검치호랑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치호랑이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멸종된 육식 포유류로, 길고 날카로운 송곳니가 특징이다. 마카이로두스아과(Machairodontinae)를 포함한 여러 아과와 족으로 분류되며, 메타일루루스족, 스밀로돈족, 호모테리움족 등이 있다. 검치호랑이는 호랑이나 고양이와 같은 고양이과 동물과 가깝다고 여겨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고양이과 내에서 독자적인 계통을 형성한다. 검치호랑이는 3,370만 년 전부터 9,000년 전까지 살았으며, 다양한 검치호랑이 종류가 존재했다. 검치호랑이의 생태와 식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뭉툭한 사지와 긴 송곳니를 통해 대형 동물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치호랑이 - 바르보우로펠리스
바르보우로펠리스는 마이오세 후기에서 플리오세 초기에 걸쳐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 서식했던 멸종된 육식성 고양잇과 동물 속으로, 사자 크기의 근육질 몸과 긴 송곳니, 특징적인 두개골 구조를 지녔다. - 검치호랑이 - 틸라코스밀루스
틸라코스밀루스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했던 멸종된 스파라소돈트 포유류 속으로, 검치호랑이와 유사하지만 고양이과가 아닌 주머니고양이와 더 가까운 스파라소돈트류에 속하며, 길고 두꺼운 두개골과 칼 모양의 송곳니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검치호랑이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Machairodontinae |
학명 명명자 | 윌리엄 힐리 다람 (1872년) |
영어 이름 | Saber-toothed Cats, Saber-toothed Tigers (검치호랑이) |
한국어 이름 | 검치호랑이, 검치고양이 |
하위 분류군 | 호모테리움족 (Homotheriini) 메타일루루스족 (Metailurini) 스밀로돈족 (Smilodontini) |
분류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고양이목 |
과 | 고양이과 |
아과 | 마카이로두스아과 (Machairodontinae) |
2. 계통 및 분류
검치호랑이는 고양이과와 그 외의 여러 과에 걸쳐 나타나는 검치(길고 날카로운 송곳니)를 가진 포유류를 통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수렴 진화의 대표적인 예시로, 서로 다른 계통에서 독립적으로 검치 형태를 진화시켰다.
최초의 검치호랑이는 에오세 중기(약 4,000만 년 전)에 출현했으며, 최후의 검치호랑이는 약 1만 년 전에 멸종했다.
검치 형태는 단궁류인 고르곤옵스류(Gorgonopsia)에서 처음 나타났고, 이후 유대류인 델타테로이디아(Deltatheroida), 틸라코스밀루스(Thylacosmilus), 옥시에나과(Oxyaenidae), 님라부스과(Nimravidae), 바르보우로펠리스과(Barbourofelidae), 그리고 고양이과의 마카이로두스아과(Machairodontinae) 등 다양한 포유류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틸라코스밀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분리된 계통으로, 유대류에 속한다. 즉, 고양이보다는 캥거루와 주머니쥐에 더 가깝다.
고양이과 내에서 검치호랑이, 즉 마카이로두스아과는 다시 호모테리움족, 메타일루루스족, 스밀로돈족으로 나뉜다. 흔히 '검치호랑이'하면 떠올리는 스밀로돈은 스밀로돈족에 속한다. 메타일루루스족과 스밀로돈족은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운표는 현생종 중에서 검치 형태의 송곳니를 가지고 있지만, 표범속에 근연하며 검치호랑이와의 관계는 수렴 진화의 결과이다.[21]
다음은 검치 포유류의 과(Family) 목록이다.
과 | 분화 시기 (백만 년 전) | 비고 |
---|---|---|
델타테리디과 | ? (백악기) | 유대류 |
틸라코스밀루스과 | ? (백악기) | 유대류 |
히아에노돈과 | ? | |
프로비베라과 | ? | |
하이아이네일루루스과 | ? | 측계통군 |
옥시에나과 | ? | |
님라비과 | 48~55 (후기 에오세) |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 ? | 고양이과와 자매 분류군 |
고양이과 | ? | 마카이로두스아과 포함 |
다음은 검치호랑이들의 속(Genus), 하위 종의 수, 출현 시기, 멸종 시기, 서식지, 송곳니 크기를 정리한 표이다.
속명 | 종 | 출현 (백만 년 전) | 멸종 (백만 년 전) | 지역 | 송곳니 크기 |
---|---|---|---|---|---|
스밀로돈 | 3–6 | 2.5 | 0.01 |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 17cm–20cm |
호플로포네우스 | 5 | 33.7 | 23.8 |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 |
에우즈밀루스 | 3 | 30.5 | 28 |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 |
디닉티스 | 4 | 40 | 25 | 북아메리카 | |
디나엘루루스 | 1 | ? | ? | 북아메리카 | |
디나일루릭티스 | 1 | ? | ? | ? | |
에오펠리스 | 2 | ? | ? | ? | |
님라비데스 | 2 | ? | ? | ? | |
님라부스 | 6 | 33.5 | 20 | 유럽과 북아메리카 | |
님라비스쿠스 | 1 | ? | ? | ? | |
포고노돈 | 2 | 15 | 6 | 유럽과 북아메리카 | |
퀘르킬루루스 | 1 | ? | ? | ? | |
아르카이루루스 | 1 | ? | ? | ? | |
아이루로갈레 | 1 | ? | ? | ? | |
이티다일루루스 | 1 | ? | ? | ? | |
알바노스밀루스 | 3 | 18 | 3 |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 |
아프로스밀루스 | 1 | 25 | 10 | 아프리카 | |
바르부로펠리스 | 7 | 15 | 3 |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 35cm |
긴즈부르그스밀루스 | 1 | 23 | 10 | 아프리카 | |
프로산사노스밀루스 | 2 | 18 | 5 |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 |
산사노스밀루스 | 3 | 12 | 3 |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 |
시르토스밀루스 | 1 | 23 | 8 | 아프리카 | |
밤피릭티스 | 1 | 15 | 3 |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 |
비슈누스밀루스 | 1 | ? | ? | ? | |
호모테리움 | 10 | 3 | 0.01 |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 10cm |
틸라코스밀루스 | 2 | 10 | 1.8 | 남아메리카 | 30cm 이상 |
메타일루루스 | 9 | 15 | 8 | 유라시아 | |
아델파일루루스 | 1 | 23 | 5 | 북아메리카 | |
파라마카이로두스 | 3 | 20–15 | 9 | 유럽 | |
마카이로두스 | 18 | 15 | 2 |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미오마카이로두스 | 1 | 13.65 | 5.33 |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암피마카이로두스 | 4 | 후기 마이오세 | ? |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헤미마카이로두스 | 1 | 홍적세 | 홍적세 | 자바 | |
로코툰자일루루스 | 1 | 후기 마이오세 | 후기 마이오세 | 아프리카 | |
메간테레온 | 8 | 3 | 0.5 |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디노펠리스 | 6 | 5 | 1.5 |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테라일루루스 | 1 | 5 | 2 |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 |
폰토스밀루스 | 4 | 20 | 9 | 유라시아 | |
프로아일루루스 | 2 | 30 | 20 | 유럽과 북아메리카 | |
푸세우다일루루스 | 1 | 20 | 10 | 유럽과 북아메리카 | |
제노스밀루스 | 1 | 1.7 | 1 | 북아메리카 | |
스테나일루루스 | 1 | ? | ? | ? | |
에피마카이로두스 | 1 | ? | ? | ? | |
헤미마카이로두스 | 1 | ? | ? | ? | |
이쉬로스밀루스 | 1 | ? | ? | ? |
2. 1. 마카이로두스아과 (Machairodontinae)
'''마카이로두스아과'''는 고양이과에 속했던 아과로, 검치호랑이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에오세 중기에 처음 나타나 약 1만 년 전까지 생존했다.마카이로두스아과는 크게 세 족(Tribus)으로 나뉜다.
- 메타일루루스족
- 스밀로돈족
- 호모테리움족
메타일루루스족과 스밀로돈족은 아마도 측계통군이며, 이 순서로 분기되었다.
속 | 하위 종의 수 | 출현 (백만 년 전) | 멸종 (백만 년 전) | 서식지 |
---|---|---|---|---|
마카이로두스 | 18 | 15 | 2 |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
미오마카이로두스 | 1 | ? | ? | ? |
파라마카이로두스 | 3 | 20–15 | 9 | 유럽 |
폰토스밀루스 | 4 | 20 | 미상 | 유라시아 |
2. 1. 1. 메타일루루스족 (Metailurini)
메타일루루스족(Metailurini)은 마카이로두스아과에 속하는 검치호랑이의 한 분류군이다.- 아델파일루루스(Adelphailurus)
- 디노펠리스(Dinofelis)
- 메타일루루스(Metailurus)
- 폰토스밀루스(Pontosmilus)
- 스테나일루루스(Stenailurus)
- 테라일루루스(Therailurus)
메타일루루스족은 아래 분기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스밀로돈족과 함께 측계통군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9]
2. 1. 2. 스밀로돈족 (Smilodontini)
마카이로두스아과에 속하는 스밀로돈족은 1천 5백만 년 전 ~ 9백만 년 전 유럽과 아시아에 살았던 파라마카이로두스, 6백만 년 전 ~ 2백만 년 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에 살았던 메간테레온, 2천 5백만 년 전 ~ 기원전 1만 년 경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스밀로돈을 포함한다.[19] 스밀로돈족은 아마도 측계통으로, 이 순서로 분기되었다.[19]2. 1. 3. 호모테리움족 (Homotheriini)
호모테리움족은 로코툰야일루루스에서 기원했으며, 호모테리움속과 제노스밀루스가 이 족에 속한다. 호모테리움속은 5백만 년 전부터 1만 년 전까지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서식했으며 14종, 평균 190kg이었다. 제노스밀루스는 1천만 년 전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했으며 1종, 300kg이었다.[19]속 | 하위 종의 수 | 출현 (백만 년 전) | 멸종 (백만 년 전) | 서식지 |
---|---|---|---|---|
로코툰야일루루스 | ? | 10 | ? | 아프리카 |
호모테리움 | 10 | 3 | 0.01 | 아프리카, 유라시아, 남북아메리카 |
제노스밀루스 | 1 | 1.7 | 1 | 북아메리카 (플로리다) |
2. 2. 님라부스과 (Nimravidae)
님라부스과(Nimravidae)는 고대 고양이상과(feliform) (식육목)에 속하는 과이다. 이들은 진정한 고양이과와 매우 유사한 짧은 두개골과 키가 큰 시상 능선을 가지고 있었다. 일부 종은 독특한 플랜지(flange)를 가지고 있었고, 일부는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다. 마카이로두스류는 대부분의 경우 송곳니가 더 길고 튼튼했지만, 예외도 나타난다.2. 3. 바르보우로펠리스과 (Barbourofelidae)
바르부로펠리스(Barbourofelis)는 고양이상 과에 속하는 식육목으로, 실제 고양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바르부로펠리스류는 ''바르부로펠리스''인데, 대부분의 마카이로두스아과와는 다음과 같은 특징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무겁고 튼튼한 하악골(mandible)
- 더 작은 안와(orbit)
- 거대하고 거의 울퉁불퉁한 플랜지
- 더 뒤쪽에 위치한 송곳니
평균적인 마케로두스류는 잘 발달된 앞니를 가지고 있었지만, 바르부로펠리스류는 더 극단적인 형태를 보였다.[7]
2. 4. 기타 검치 포유류
최초의 검치호랑이는 에오세 중기 즈음에 출현하였고 최후의 검치호랑이는 약 1만 년 전에 멸종했다. 검치 특징은 다양한 포유류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검치는 고르곤옵스류(Gorgonopsia)와 같은 단궁류(synapsids)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들은 검치 특화를 경험한 단궁류 내의 최초의 동물 그룹 중 하나였으며, 많은 종들이 긴 송곳니를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 출현은 백악기(Cretaceous) 유대류(metatheria)의 계통인 델타테로이디아(Deltatheroida)에서 나타난다.
긴 송곳니의 세 번째 출현은 틸라코스밀루스(Thylacosmilus)인데, 이는 검치 포유류 중에서 가장 특징적이며 구별하기 쉽다.
검치의 네 번째 예는 옥시에나과(Oxyaenidae)에서 나타난다. 작고 가느다란 마케로이데스(Machaeroides)는 평균적인 마케로두스류보다 더 얇은 송곳니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 번째 검치 출현은 고대 고양이상과(feliform) (식육목) 과인 님라부스과(Nimravidae)이다.
여섯 번째 출현은 바르부로펠리스과(Barbourofelidae)이다. 이 고양이상 식육목들은 실제 고양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검치 그룹은 마카이로두스아과 자체였다.
속 | 하위 종의 수 | 출현 (백만 년 전) | 멸종 (백만 년 전) | 서식지 | 송곳니 크기 |
---|---|---|---|---|---|
스밀로돈 | 6 | 2.5 | 0.01 | 남북 아메리카 | 17cm–20cm |
호플로포네우스 | 5 | 33.7 | 23.8 | 남북아메리카 | |
유스밀루스 | 3 | 30.5 | 28 | 유럽, 남북아메리카 | |
디닉티스 | 4 | 40 | 25 | 북아메리카 | |
디나엘루루스 | 1 | ? | ? | 북아메리카 | |
디나일루리크티스 | 1 | ? | ? | ? | |
에오펠리스 | 1 | ? | ? | ? | |
님라비데스 | 2 | ? | ? | ? | |
님라부스 | 6 | 33.5 | 20 | 유럽, 북아메리카 | |
님라비스쿠스 | 1 | ? | ? | ? | |
포고노돈 | 2 | 15 | 6 | 유럽, 북아메리카 | |
퀘르킬루루스 | 1 | ? | ? | ? | |
아르카엘루루스 | 1 | ? | ? | ? | |
아엘루로갈레 | 1 | ? | ? | ? | |
이크티다일루루스 | 1 | ? | ? | ? | |
알바노스밀루스 | 3 | 18 | 3 | 아프리카, 유라시아 | |
아프로스밀루스 | 1 | 25 | 10 | 아프리카 | |
바보우로펠리스 | 7 | 15 | 3 | 아프리카, 유라시아 | 35cm |
긴스버그밀루스 | 1 | 23 | 10 | 아프리카 | |
프로산사노밀루스 | 2 | 18 | 5 | 아프리카, 유라시아 | |
산사노밀루스 | 3 | 12 | 3 | 아프리카, 유라시아 | |
시르토스밀루스 | 1 | 23 | 8 | 아프리카 | |
밤피리크티스 | 1 | 15 | 3 | 아프리카, 유라시아 | |
비슈누스밀루스 | 1 | ? | ? | ? | |
호모테리움 | 10 | 3 | 0.01 | 아프리카, 유라시아 남북아메리카 | 10cm |
틸라코스밀루스 | 2 | 10 | 1.8 | 남아메리카 | 30cm 이상 |
메타일루루스 | 9 | 15 | 8 | 유라시아 | |
아델파일루스 | 1 | 23 | 5 | 북아메리카 (캔자스) | |
파라마카이로두스 | 3 | 20–15 | 9 | 유럽 | |
마카이로두스 | 18 | 15 | 2 |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 |
메간테레온 | 8 | 3 | 0.5 |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 |
디노펠리스 | 6 | 5 | 1.5 |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 |
폰토스밀루스 | 4 | 20 | * | 유라시아 | |
제노스밀루스 | 1 | 1.7 | 1 | 북아메리카(플로리다) | |
스테나일루루스 | 1 | ? | ? | ? | |
에피마카이로두스 | 1 | ? | ? | ? | |
미오마카이로두스 | 1 | ? | ? | ? | |
헤미마카이로두스 | 1 | ? | ? | ? | |
이스키로스밀루스 | 1 | ? | ? | ? |
검치호랑이는 윗턱 송곳니가 입 밖으로 튀어나올 정도로 길게 발달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들은 오늘날의 고양이보다 몸집이 더 튼튼하고 곰과 비슷한 체격을 가졌다.[7] 나무늘보, 맘모스 등 큰 먹이를 사냥하는 데 유리했을 것으로 보인다. 라 브레아 타르 핏에서 발견된 ''스밀로돈'' 화석은 이들이 사자처럼 무리 생활을 하는 육식동물이었음을 보여준다.[7]
(백만 년 전)
3. 형태
검치 특성은 여러 포유류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최초의 검치는 단궁류인 고르곤옵스류에서 나타났는데, 이들은 여러 종에서 긴 송곳니를 가졌다.[8] ''스마일로사우루스''와 ''이노스트란케비아''는 예외적으로 큰 송곳니를 가져 후대의 검치호랑이와 유사한 기능을 했을 수 있다.
백악기 유대류인 델타테로이디아 중 ''로테리디움''도 긴 송곳니를 가졌다.[9] 틸라코스밀루스는 매우 두드러진 플랜지(flange, 가장자리)와 삼각형 단면의 송곳니를 가진 독특한 검치 포유류였다.
옥시에나과의 ''마케로이데스''는 가늘고 긴 송곳니와 긴 주둥이를 가졌다. 고대 고양이상과인 님라부스과는 마케로두스류와 유사한 두개골 형태를 가졌지만, 일부 종은 플랜지가 없거나 작아 구별이 어렵다.
바르부로펠리스과는 실제 고양이와 가까운 고양이상 식육목으로, ''바르부로펠리스''는 대부분의 마케로두스류보다 무겁고 튼튼한 하악골과 작은 안와, 크고 울퉁불퉁한 플랜지, 뒤쪽에 위치한 송곳니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마케로두스류는 신생대 후기에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마카이로두스, 호모테리움, 메간테레온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의 검치는 입을 다물었을 때 아래턱의 칼집 모양 움푹한 곳에 들어갔다. 그러나 스밀로돈은 칼집이 없어 검치가 그대로 밖으로 튀어나왔다.
2020년 러시아 사하 공화국 북동부 Бадярихаru 강 근처 후기 홍적세 영구 동토층에서 ''Homotherium latidens''의 미라화된 상반신이 발견되어 털과 근육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22][23]
다음은 검치호랑이들의 속, 종의 수, 출현 시기, 멸종 시기, 서식지, 송곳니 크기를 나타낸 표이다.속 종의 수 출현 (백만 년 전) 멸종 (백만 년 전) 서식지 송곳니 크기 스밀로돈 3–5 2.5 0.01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17–30 cm 호플로포네우스 5 33.7 23.8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유스밀루스 3 30.5 28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디닉티스 4 40 25 북아메리카 디나엘루루스 1 ? ? 북아메리카 디나일루리크티스 1 ? ? ? 에오펠리스 2 ? ? ? 님라비데스 2 ? ? ? 님라부스 6 33.5 20 유럽과 북아메리카 님라비스쿠스 1 ? ? ? 포고노돈 2 15 6 유럽과 북아메리카 퀘르킬루루스 1 ? ? ? 아르카엘루루스 1 ? ? ? 아엘루로갈레 1 ? ? ? 이크티다일루루스 1 ? ? ? 알바노스밀루스 3 18 3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아프로스밀루스 1 25 10 아프리카 바르부로펠리스 7 15 3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긴스버그밀루스 1 23 10 아프리카 프로산사노밀루스 2 18 5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산사노밀루스 3 12 3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시르토스밀루스 1 23 8 아프리카 밤피리크티스 1 15 3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비슈누스밀루스 1 ? ? ? 호모테리움 10 3 0.01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틸라코스밀루스 2 10 1.8 남아메리카 30 cm 이상 메타일루루스 9 15 8 유라시아 아델파일루루스 1 23 5 북아메리카 파라마카이로두스 3 20–15 9 유럽 마카이로두스 18 15 2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미오마카이로두스 1 13.65 5.33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암피마카이로두스 4 후기 마이오세 ?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헤미마카이로두스 1 홍적세 홍적세 자바 로코툰자일루루스 1 후기 마이오세 후기 마이오세 아프리카 메간테레온 8 3 0.5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디노펠리스 6 5 1.5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테라일루루스 1 5 2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폰토스밀루스 4 20 9 유라시아 프로아일루루스 2 30 20 유럽과 북아메리카 프세우다일루루스 1 20 10 유럽과 북아메리카 제노스밀루스 1 1.7 1 북아메리카 스테나일루루스 1 ? ? ? 에피마카이로두스 1 ? ? ? 헤미마카이로두스 1 ? ? ? 이스키로스밀루스 1 ? ? ?
4. 생태
멸종
(백만 년 전)서식지 송곳니 크기 (cm) 스밀로돈 6 2.5 0.01 남북 아메리카 17–20 호플로포네우스 5 33.7 23.8 남북아메리카 유스밀루스 3 30.5 28 유럽, 남북아메리카 디닉티스 4 40 25 북아메리카 디나엘루루스 1 ? ? 북아메리카 디나일루리크티스 1 ? ? ? 에오펠리스 1 ? ? ? 님라비데스 2 ? ? ? 님라부스 6 33.5 20 유럽, 북아메리카 님라비스쿠스 1 ? ? ? 포고노돈 2 15 6 유럽, 북아메리카 퀘르킬루루스 1 ? ? ? 아르카엘루루스 1 ? ? ? 아엘루로갈레 1 ? ? ? 이크티다일루루스 1 ? ? ? 알바노스밀루스 3 18 3 아프리카, 유라시아 아프로스밀루스 1 25 10 아프리카 바보우로펠리스 7 15 3 아프리카, 유라시아 35 긴스버그밀루스 1 23 10 아프리카 프로산사노밀루스 2 18 5 아프리카, 유라시아 산사노밀루스 3 12 3 아프리카, 유라시아 시르토스밀루스 1 23 8 아프리카 밤피리크티스 1 15 3 아프리카, 유라시아 비슈누스밀루스 1 ? ? ? 호모테리움 10 3 0.01 아프리카, 유라시아, 남북아메리카 10 틸라코스밀루스 2 10 1.8 남아메리카 30 이상 메타일루루스 9 15 8 유라시아 아델파일루스 1 23 5 북아메리카 (캔자스) 파라마카이로두스 3 20–15 9 유럽 마카이로두스 18 15 2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메간테레온 8 3 0.5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디노펠리스 6 5 1.5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폰토스밀루스 4 20 * 유라시아 제노스밀루스 1 1.7 1 북아메리카(플로리다) 스테나일루루스 1 ? ? ? 에피마카이로두스 1 ? ? ? 미오마카이로두스 1 ? ? ? 헤미마카이로두스 1 ? ? ? 이스키로스밀루스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