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는 1946년부터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 대회이다. 1940년대부터 현재까지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를 거듭하며,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유수의 대학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우수 선수 발굴 및 육성, 프로야구 저변 확대, 아마추어 야구 발전에 기여하며 한국 야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는 1946년 첫 대회가 개최된 이후, 한국 대학 야구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회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2. 역대 대회 결과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역대 우승 대학 및 최우수 선수 정보는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1. 역대 우승 대학 및 최우수 선수
| 회수 | 연도 | 우승 대학 | 결승전 스코어 | 준우승 대학 | 개최 구장 | 대회 최우수선수 | 우수투수상 | 타격상 | 감독상 | 비고 | |
|---|---|---|---|---|---|---|---|---|---|---|---|
| 1회 | 1946 | 한양대학교 | |||||||||
| 2회 | 1947 | 서울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
| 3회 | 1948 | 성균관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
| 4회 | 1949 |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 2 : 1 | 성균관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
| 5회 ~ 8회 | 1950 ~ 1953 | 미개최 | 6.25 전쟁으로 인해 미개최 | ||||||||
| 9회 | 1954 | 성균관대학교 | 3 : 1 | 한양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
| 10회 | 1955 | 성균관대학교 | 7 : 5 | 서울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김의석(서울대) | |||||
| 11회 | 1956 | 중지 | [1] | ||||||||
| 12회 | 1957 | 성균관대학교 | 4 : 1 | 동아대학교 | 육군야구장 | [2] | |||||
| 13회 | 1958 | 성균관대학교 | 육군야구장 | 리그전 진행[3] | |||||||
| 14회 | 1959 | ||||||||||
| 15회 | 1960 | 동아대학교 | 3 : 1 6 : 2 | 성균관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박정일(동아대) | 홍당길(동아대) | 결승전을 2회전 진행[4] | |||
| 16회 | 1961 | 연세대학교 | 5 : 0 | 성균관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주성현(연세대) | |||||
| 17회 | 1962 | 성균관대학교 | 3 : 0 | 동아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한을룡(성균관대) | 박영길(동아대) | ||||
| 18회 | 1963 | 성균관대학교 | 7 : 4 | 연세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김용길(성균관대) | 이영기(연세대) | ||||
| 19회 | 1964 | 연세대학교 | 3 : 2 | 경희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김창진(연세대) | 김양남(고려대) | 정태수(연세대) | |||
| 20회 ~ 30회 | 1965 ~ 1975 | 미개최 | |||||||||
| 31회 | 1976[5] | 한양대학교 | 4 : 1 | 고려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장효조(한양대) | 정순명(한양대) | 장정호(한양대) | 서영무(한양대) | ||
| 32회 | 1977 | 연세대학교 | 3 : 2 | 한양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이광은(연세대) | 최동원(연세대) | 김한근(한양대) | 이재환(연세대) | ||
| 33회 | 1978 | 한양대학교 | 1 : 0 | 건국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장효조(한양대) | 김용남(한양대) | 장효조(한양대) | 김동엽(한양대) | ||
| 34회 | 1979 | 동아대학교 | 4 : 2 | 한양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박용성(동아대) | 임호균(동아대) | 김종모(영남대) | 강병철(동아대) | ||
| 35회 | 1980 | 연세대학교 | 3 : 0 | 성균관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손영주(연세대) | 최동원(연세대) | 박해성(연세대) | [6] | ||
| 36회 | 1981 | 동아대학교 | 5 : 2 | 중앙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김상훈(동아대) | 김재열(동아대) | 김상훈(동아대) | 강병철(동아대) | ||
| 37회 | 1982 | 인하대학교 | 2 : 1 | 동국대학교 | 서울운동장 야구장 | 김명성(인하대) | 오영일(인하대) | 김경표(한양대) | 김진영(인하대) | ||
| 38회, 39회 | 1983, 1984 | 미개최 | [7] | ||||||||
| 40회 | 1985 | 한양대학교 | 2 : 1 | 고려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김건우(한양대) | 김종석(한양대) | 김성규(연세대) | 김보연(한양대) | ||
| 41회, 42회 | 1986, 1987 | 미개최 | |||||||||
| 43회 | 1988 | 동아대학교 | 8 : 6 | 고려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김석련(동아대) | 최태곤(동아대) | 양준혁(영남대) | |||
| 44회 | 1989 | 미개최 | |||||||||
| 45회 | 1990 | 경성대학교 | 한양대학교 | 박정태(경성대) | |||||||
| 46회 | 1991 | 인하대학교 | 8 : 3 | 한양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김일혁(인하대) | 위재영(인하대) | 김종훈(경희대) | 주성로(인하대) | ||
| 47회 | 1992 | 건국대학교 | 2 : 0 | 연세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추성건(건국대) | 김민국(건국대) | 서석영(인하대) | |||
| 48회 | 1993 | 홍익대학교 | 10 : 1 | 경남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문희성(홍익대) | 최상덕(홍익대) | 문희성(홍익대) | 박종회(홍익대) | ||
| 49회 | 1994 | 고려대학교 | 9 : 8 | 한양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손민한(고려대) | 진갑용(고려대) | ||||
| 50회 | 1995 | 고려대학교 | 3 : 2 | 한양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김종국(고려대) | 손민한(고려대) | 이학균(한양대) | 조두복(고려대) | ||
| 51회 | 1996 | 인하대학교 | 12 : 10 | 연세대학교 | 잠실 야구장 | 이득수(인하대) | |||||
| 52회 | 1997 | 고려대학교 | 9 : 3 | 연세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손인호(고려대) | |||||
| 53회 | 1998 | 경희대학교 | 3 : 2 | 경성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홍성흔(경희대) | |||||
| 54회 | 1999 | 한양대학교 | 9 : 5 | 연세대학교 | 동대문야구장 | 전근표(한양대) | 전근표(한양대) | ||||
| 55회 | 2000 | 홍익대학교 | 동국대학교 | 이용우(홍익대) | |||||||
| 56회 | 2001 | 한양대학교 | 고려대학교 | 강철민(한양대) | |||||||
| 57회 | 2002 | 인하대학교 | 동아대학교 | 정재복(인하대) | |||||||
| 58회 | 2003 | 원광대학교 | 경희대학교 | 주창훈(원광대) | |||||||
| 59회 | 2004 | 중앙대학교 | 경성대학교 | 이혁수(중앙대) | |||||||
| 60회 | 2005 | 경성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장원삼(경성대) | 김기표(경성대) | 김강석(경성대) | 윤영환(경성대) | ||||
| 61회 | 2006 | 동국대학교 | 원광대학교 | 강민욱(동국대) | 이문광(동국대) | 김다원(성균관대) | 김학용(동국대) | ||||
| 62회 | 2007 | 성균관대학교 | 단국대학교 | 이희근(성균관대) | 정종국(성균관대) | 김영관(한양대) | 이연수(성균관대) | ||||
| 63회 | 2008 | 중앙대학교 | 원광대학교 | 유희관(중앙대) | 김상록(중앙대) | 이규환(원광대) | 정기조(중앙대) | ||||
| 64회 | 2009 | 건국대학교 | 중앙대학교 | 장승욱(건국대) | 장우람(건국대) | 김현우(건국대) | 윤병선(건국대) | ||||
| 65회 | 2010 | 경성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임현준(경성대) | 정수봉(경성대) | 고영우(성균관대) | 윤영환(경성대) | ||||
| 66회 | 2011 | 동아대학교 | 동국대학교 | 나규호(동아대) | 김성호(동아대) | 김동영(동국대) | 김석연(동아대) | ||||
| 67회 | 2012 | 동의대학교 | 영남대학교 | 서용주(동의대) | 배준빈(동의대) | 최승민(영남대) | 이상번(동아대) | ||||
| 68회 | 2013 | 동국대학교 | 동의대학교 | 양석환(동국대) | 홍영현(동국대) | 양석환(동국대) | 이건열(동국대) | ||||
| 69회 | 2014 | 동국대학교 | 인하대학교 | 이현석(동국대) | 백찬이(동국대) | 최재원(동국대) | 이건열(동국대) | ||||
| 70회 | 2015 | 경성대학교 | 인하대학교 | 김명신(경성대) | 공수빈(경성대) | 채상현(인하대) | 윤영환(경성대) | ||||
| 71회 | 2016 | 동국대학교 | 중앙대학교 | 박창빈(동국대) | 박승수(동국대) | 조석환(동국대) | 이건열(동국대) | ||||
| 72회 | 2017 | 홍익대학교 | 경성대학교 | 최태성(홍익대) | 안도원(홍익대) | 고우송(한양대) | 장채근(홍익대) | ||||
| 73회 ~ 78회 | 2018 ~ 2023 | 대회 미개최 또는 자료 없음 | |||||||||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는 한국 대학 야구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대회이다.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된 대학 야구는 1945년 광복 이후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한국 야구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특히, 수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하며 한국 야구의 저변 확대에 크게 공헌했다.
[1]
문서
8월 23일부터 4일간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9월 27일로 연기된 후 주최 측 사정으로 개최 중지됨
3. 대회 역사와 변천
4. 한국 야구에 미친 영향
참조
[2]
문서
동아대와 성균관대 두 팀 참가
[3]
문서
성균관대, 고려대, 동아대, 신흥대가 출전해 리그전으로 펼쳐져 2승 1무를 거둔 성균관대가 우승하였다.
[4]
문서
대회 참가팀이 동아대, 성균관대 총 두 팀이 참가하여 양일 경기 형태로 진행
[5]
문서
11년만에 부활하였다.
[6]
문서
당시 연대는 감독이 공석으로, 감독상 대신 연세대 야구부장인 정종진이 지도상, 전 연세대 감독인 이재환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7]
뉴스
경향신문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