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남대학교는 1967년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의 통합으로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청학정신'을 건학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산캠퍼스를 주 캠퍼스로, 대구광역시 대명동에 대구캠퍼스를 두고 있다. 19개 단과대학, 12개 대학원, 다양한 부속기관과 연구소를 운영하며, 2만 명 이상의 학부생과 3천 명 이상의 대학원생이 재학 중이다.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며, 총동창회를 통해 동문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남대학교 - 영남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은 1983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암센터 개설, 영남대학교의료원 발족, 상급종합병원 지정 등의 역사를 거쳐 영천병원을 부속병원으로 두고 있다. - 영남대학교 - 대구대학 (1947년)
대구대학 (1947년)은 1947년 대구문리과대학으로 개교하여 6개 학과를 운영했으며, 조용기를 초대 학장으로 선임한 후 영남대학교로 통합되었다. - 경산시의 학교 - 영남신학대학교
1913년 미국인 선교사 아담스가 설립한 보통성경학교에서 시작된 영남신학대학교는 교명 변경과 캠퍼스 이전을 거쳐 1994년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신학대학교이다. - 경산시의 학교 - 대신대학교
대신대학교는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사립대학교로, 1954년 대구야간신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변경과 통합을 거쳐 1997년 현재의 교명이 되었으며, 4개의 학부와 신학과, 3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구 남구의 학교 - 계명대학교
1899년 대구 제중원에서 시작하여 기독교 정신으로 설립된 계명대학교는 1978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동산의료원 인수 후 의과대학을 설립하여 의료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제 교류 중심의 사립 종합대학이다. - 대구 남구의 학교 - 영남이공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는 1968년 영남대학교 부설 실업고등학교로 시작하여 1979년 전문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전문대학으로, 국가고객만족도 1위,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선정, 글로벌 현장 학습, 산학 협력, 창업 지원, 국제 교류 등 우수한 교육 역량과 다양한 활동을 인정받고 있다.
영남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영남대학교 |
영어 이름 | Yeungnam University |
한자 표기 | 嶺南大學校 |
로마자 표기 | Yeongnam Daehakgyo |
설립 년도 | 1947년 |
대학 설치 년도 | 1967년 |
학교 유형 | 사립 |
설립자 | 박정희 |
총장 | 최외출 |
학교법인 | 영남학원 |
웹사이트 | 영남대학교 홈페이지 |
표어 | 성실하고 유능한 인재의 산실 |
캠퍼스 | |
주요 캠퍼스 | 경상북도경산시 대학로 280 (경산 캠퍼스) |
추가 캠퍼스 | 대구광역시남구 현충로 170 (대구 캠퍼스) |
캠퍼스 규모 | 2 캠퍼스, 15 대학, 12 대학원 |
학생 | |
전체 학생 수 | 31,218명 |
학부생 수 | 28,429명 |
대학원생 수 | 2,789명 |
2017년 학부생 수 | 29,887명 |
2017년 대학원생 수 | 3,051명 |
교직원 | |
교직원 수 (2017년 4월) | 885명 |
상징 | |
학교 상징 | 천마상 |
기타 정보 | |
![]() | |
![]() |
2. 영남대의 청학정신
영남대학교의 상징인 천마는 압량벌에 자리 잡은 영남대가 '민족의 대학', '세계 속의 대학'으로 나아가려는 창학정신과 교육목표를 담아, 신라 화랑의 기상을 표현한다. 말갈기는 불굴의 기백과 진취성을, 둥근 모양은 무궁한 가능성과 원만성을 나타내며, 천마의 역동적인 모습은 미래로 나아가는 천마인의 진취성을 보여준다.[18]
교명 '영남'은 태백, 속리산 등 태산 준령의 남쪽을 뜻하며, 낙동강을 중심으로 통일성과 일체감을 가진 문화권이다.[19] 영남은 신라, 가야 문화와 불교, 유교, 동학 사상의 발원지이며, 원효, 퇴계, 수운 등 역사적 인물들이 배출된 곳이다.[19] '영남'이라는 교명은 민족문화 발전과 창조적 정신을 구현하여 문화 창조에 이바지하는 장소라는 의미이며,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의 설립 취지와도 부합한다.[19]
영남대학교의 표어는 창의성, 진취성, 지성, 야성이다.[20]
Y형 인재는 영남대학교의 영문 이니셜 Y를 따서 만든 인재상으로, 두 팔 벌려 세계와 미래를 향해 환호하는 천마인을 상징한다. 이는 인성을 바탕으로 창의성과 진취성을 겸비한 인재를 의미하며, 21세기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에 맞는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20]
2. 1. 창학정신
영남대학교는 애국정신을 바탕으로 인간교육과 생산교육을 추진함으로써, 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 민족중흥의 새 역사에 기여함을 창학정신으로 삼는다.[16][17]2. 1. 1. 대구대학 창학정신(1947-1967)
해방과 함께 애국, 애족하는 인사들이 발의하였으며,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위하여 구국경세의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건학하였다. 경북도내 각계각층의 독지가들이 희사한 재산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각 분야의 인재를 양성, 배출하고 대학 스스로가 지역문화의 각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14]2. 1. 2. 청구대학 창학정신(1950-1967)
청구대학은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의 맥을 이은 해방 후의 청년운동이 모태가 되었다. 청구대학은 대중대학강좌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 야간대학의 효시로 볼 수 있다. 청구대학은 애국애족의 독립정신을 기초로 하여 배움의 길을 찾던 근로청년들에게 고등교육의 길을 열어 민족문화를 수호, 발전시킬 인재를 길러낼 목적 아래 발족하였다.[15]2. 1. 3. 영남대학교 창학정신(1967~)
영남대학교는 지성의 전당으로서 애국정신을 바탕으로 인간교육과 생산교육을 추진함으로써, 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 민족중흥의 새 역사에 기여함을 창학정신으로 삼는다.[16][17]2. 2. 천마(天馬)
신라 화랑의 자취가 남아있는 압량벌에 ‘민족의 대학’이라는 건학 이념을 기치로 설립된 영남대학교가 자리 잡았다. 영남대학교의 상징인 천마 속에는 약동하는 힘과 비약하는 화랑의 기상이 응집되어 있고, ‘민족의 대학’, ‘세계 속의 대학’으로 나아가려는 창학정신과 교육목표가 표출되어 있다. 뒤로 힘차게 뻗은 말갈기는 불굴의 기백과 진취성을 나타내며, 우주를 상징하는 둥근 모양은 무궁한 가능성과 원만성을 나타낸다. 구름 위를 질주하는 듯한 장엄한 모습의 천마를 통해서 거침없이 미래로 뻗어 나아가려는 천마인의 진취적인 기상이 표현된다.[18]2. 3. 교명의 유래
영남은 태백,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과 죽령, 조령, 추풍령 등과 같은 태산 준령의 남쪽, 즉 “嶺之南”이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19] 영남의 중앙부에는 낙동강이 흐르며 좌우에서 흘러오는 지류들이 합류되면서 통일성과 일체감을 가진 특색있는 하나의 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이곳은 신라, 가야 문화의 본고장인 동시에 불교, 유교 문화와 동학 사상의 발원지이기도 하다.[19] 신라가 이곳을 기반으로 민족통일의 대업을 성취하면서 한국사의 주류가 영남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원효, 퇴계, 수운 등 우리 역사의 큰 흐름을 바꾼 인물들이 배출되었다.[19] 그래서 영남은 향토 지명이라기보다 민족문화의 발전과 창달을 사명으로 하는 장소를 뜻하기도 한다.[19] 즉, 민족문화가 가지는 전통과 창조적 정신을 새로이 구현하여 문화 창조에 이바지하는 장소라는 의미인데, 교명을 “영남”이라 택하였으며 이는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의 설립 취지와도 부합한다.[19]2. 4. 구성원 현황(2017년 기준)
2. 5. 표어
창의성, 진취성, 지성, 야성[20]2. 6. Y형 인재
Y는 영남대학교의 영문 이니셜 Y를 표현한 것이며, Y의 이미지는 두 팔 벌려 세계와 미래를 향해 환호하는 천마인을 상징한다. 두 팔이 향하는 하늘은 글로벌을, 딛고 있는 땅은 로컬을 타나낸다. 또한 인성을 몸통으로, 창의성과 진취성을 겸비한 것을 의미한다. 영남대학교는 21세기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에 부합하는 Y형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새로운 인재 육성 패러다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20] ‘Y형 인재론’은 영남대학교 제13대 총장인 이효수 교수의 PDR System Theory의 Humanware 개념[21]과 MIT McGregor 교수의 XY 이론[22]에 기초한 인적자원개발 개념이다.[23]3. 역사
영남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구대학과 1950년 설립된 청구대학이 1967년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통합 당시 이돈영이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같은 해 교육부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다. 인문대학, 공과대학, 법정대학, 상경대학, 약학대학, 야간대학 등 6개의 단과대학으로 시작하였으며, 초기에는 35개 학과와 12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였다. 1968년 신기석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 1969년 경산시에 본교 캠퍼스 건설이 시작되었다.
1972년 대학 본부를 포함한 전체 기구가 대구광역시에서 경상북도 경산시로 이전하였다. 1973년 병설 공업전문학교(현 경일대학교)를 매각하였다. 1970년대 초 경영대학원과 국어국문학과, 법학과, 경제학과 대학원이 설립되었고, 본관, 인문대학, 법정대학, 상경대학이 대구 캠퍼스에서 경산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70년대 중반 21층 규모의 중앙도서관(교수 연구실 포함)과 본관이 완공되었다.
1981년 박근혜 이사를 앞세워 영남대학교 정관 제1조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 정신에 입각하여’라는 내용으로 개정했다.[24]
1980년대 영남대학교병원, 외국어학원,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1983년 영남대학병원이 개원하였고, 1986년 영남대학교 의료원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 박물관 신축 건물이 개관하였다.
1990년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로부터 학부 및 대학원 '우수대학', 상경 및 국제무역 분야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1997년 기초과학 및 실험 교육 분야 '정부 지원 과학 교육 프로그램', '테크노파크 프로젝트' 주관 대학, BK21(Brain Korea 21) 사업의 기계 분야 주관대학 및 정보기술 분야 참여대학, 과학기술부로부터 섬유의류과학 연구정보센터로 선정되었다.
2000년대 건축학과,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생명공학과 대학원 과정과 한문학과, 섬유공학과 박사 과정이 신설되었다. 2001년 상경대학이 금융학과, 경영학과, 금융·경제학과, 국제경제학과로 개편되었다. 2003년 임상약학대학원(임상약학과 대학원 과정)과 스포츠과학대학원(스포츠과학과 대학원 과정)이 설립되었다.
2009년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의학전문대학원이 개원하였고, 재단정상화가 이루어졌다. 2012년 영남대학교 정관에서 교주 박정희를 설립자 박정희로 변경하였다.
매년 많은 국제 학생들이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위해 영남대학교에 입학하여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학생들은 중국,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불가리아, 이집트,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몽골, 베트남, 폴란드, 일본, 페루, 세네갈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온다.
영남대학교는 현재 전 세계 여러 대학들과 학술 협정을 맺고 있다. 미국 몬태나 대학교,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뉴욕 주립대학교 알바니 캠퍼스,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캐나다 알버타 대학교, 프랑스 하우트알자스 대학교(1999년부터),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국립대학교, 노보시비르스크 국립기술대학교, 일본 후쿠이 대학교, 신슈 대학교, 우즈베키스탄과 중국 난징대학교, 난카이대학교, 홍콩 령남대학교 등이 포함된다.
2010년 아시아 통신원(Asian Correspondent) 뉴스 보도에 따르면, 영남대학교는 아시아 10대 국제 대학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2]
2019년 DOAJ 및 PubMed Central은 1984년부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발행하는 '영남대학교 의학잡지'의 색인을 시작하였다.[3]
3. 1. 대구대학
- 1947년 3월 최준이 '''대구문리과대학'''을 개교하였다.
- 1947년 9월 22일 재단법인 대구대학 설립이 인가되고, '''대구대학'''으로 개편되었다.
- 1948년 9월 대봉동(현 대구중)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1950년 4월 부설 초급대학을 설립하였다.
- 1951년 4월 포정동 청구대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1952년 부설 초급대학을 폐지하였다.
- 1952년 5월 남산동 대구향교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1954년 12월 대명동(현 영남대의료원)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1958년 대학원을 설치하였다.
- 1959년 3월 재단법인 문파교육재단과 통합하여, 병설 대구여자학숙을 설립하였다.
- 1961년 1월 병설 대구여자학숙을 대구대학에 통합하였다.
- 1962년 병설 여자초급대학을 설립하였다.(대구여자학숙의 부활)
- 1964년 제121 ROTC 설치가 인가되었다.
- 1964년 최준이 삼성그룹의 이병철 회장에게 학교 경영권을 넘겼다.
- 1967년 사카린 밀수 사건 발각 여파로 삼성그룹이 운영에서 손을 떼고, 대구대학의 경영권을 박정희 대통령에게 넘겼다.
3. 2. 청구대학
- 1948년 9월 최해청이 '''대구문리과전문학원''' 야간부를 종로에서 개교하였다.
- 1950년 3월 포정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1950년 4월 25일 재단법인 청구대학을 설립하고, '''청구대학'''으로 개편하였다.
- 1953년 주간부를 설치하였다.
- 1955년 문화동(현 노보텔)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 1960년 효목동에 공학관을 준공하였다.
- 1961년 대학원을 설치하였다.
- 1962년 병설 실업초급대학을 설립하였다.
- 1963년 병설 공업고등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
- 1964년 효목동으로 본부를 이전하였다.
- 1964년 제122 ROTC 설치인가를 받았다.
- 1967년 학내외 사정으로 박정희 대통령에게 경영권을 넘겼다.[1]
3. 3. 영남대학교
1967년 12월, 박정희에 의해 대구대학(현재의 대구대학교와는 무관)과 청구대학이 통합되어 학교법인 영남학원이 설립되고 '''영남대학교'''로 개편되었다. 초대 이사장으로는 이동형 선생이 취임하였다.[24] 1968년에는 초대총장으로 신기석 박사가 취임하였고, 경상북도 경산시에 105만여 평의 학교 부지를 마련하였다. 1969년에는 경산 캠퍼스 건립 기공식이 열렸다.1972년에는 대학교 본부 및 전체 기구가 대구광역시에서 경산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74년에는 중앙도서관 22층이 준공되었고, 1975년에는 전자계산소가 준공되었다.
1981년에는 박근혜 이사를 앞세워 영남대학교 정관 제1조를 '교주 박정희 선생의 창학 정신에 입각하여’라는 내용으로 개정했다.[24]
1983년에는 영남대학병원이 개원하였고, 1986년에 영남대학교 의료원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에는 박물관 신축 건물이 개관하였다.
1996년에는 지역협력연구센터(RRC)가 개설되었고, 2001년에는 경북지역 환경기술개발센터 개설, 영남대학교 i-Campus 정보인프라시스템이 개통되었다. 2002년에는 최첨단 멀티미디어지원센터 개설, 인터넷 방송국 개국, 모바일 캠퍼스가 구축되었다. 2003년에는 의과학 연구소가 신설되었다.
2004년에는 영남대학교 UI 글씨체가 개정되었다. 2005년에는 전국 대학 최초로 '독도연구소'가 설립되었고, 중앙도서관 리노베이션이 준공되었다. 2008년에는 향토생활관, 천마아트센터가 개관하였다.
2009년에는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과 의학전문대학원이 개원하였고, 재단정상화가 이루어졌다. 2010년에는 의과대학 증/개축, 여성 ROTC 시범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1년에는 YU-EU센터가 개원하고, 융복합연구클러스터(CRC)가 준공되었다. 2012년에는 영남대학교 정관에서 교주 박정희를 설립자 박정희로 변경하였다.
2012년에는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장학재단 주관 "다문화 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영남권역거점대학, 교육과학기술부 ‘2012학년도 한국교육 선진화 선도대학(ACE)사업 1위’,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또한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 국가인적자원개발(HRD)컨소시엄 사업 ‘영남권 허브 대학’,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에 선정되었고, ‘창조캠퍼스’ 지원대학으로 2년 연속 선정되었다.
2012년에는 미국 Southern Oregon University와 상호학점교류에 관한 특별협정을 체결하여 ‘1+3 글로벌 학위과정’을 개설하였고, 베트남국립대학-호치민(VNU-HCM)과 교류협력을 체결하였다. 2012년 9월 19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연장 개통되어 영남대역이 신설되었다.
2013년에는 제14대 총장으로 노석균 교수(화학공학)가 취임하였다. 같은해 9월 10일에는 현재의 UI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2월 27일에는 '2013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획득하였다.
2014년에는 2012학년도 기준 학생 1인당 교육비투자가 대구경북 종합사립대 1위를 기록했고(2013년 8월 대학알리미 기준), 영남대 의대가 ‘2013년 의학교육 평가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캄보디아 교육부로부터 '우수봉사단'으로 선정되었다. 같은해 3월 1일에는 정치행정대학 경찰행정학과가 신설되었고, 4월에는 시가총액 10대기업 임원배출 전국 10위, '2014 대한민국 참교육대상'(‘글로벌혁신경영’ 부문)을 수상하였다. 4월 29일에는 영남대학교병원 권역 호흡기 전문질환센터가 개원하였다.
2014년 5월에는 영남대 로스쿨이 제3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전국 2위를 기록했고,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정 2013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 전자공학과·정보통신공학과가 최우수로 선정되었다. 6월에는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었고, 7월에는 영남대 창업보육센터 준공식이 개최되었으며, 박정희정책새마을대학원이 박정희새마을대학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같은달 아이티 정부 공무원이 '아이티 경제발전 전략 및 새마을운동' 연수를 받았다.
2014년 8월에는 영남대가 국립국제교육원 '정부초청 대학원 장학생 한국어연수기관'으로 선정되었고,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와 글로벌 산학협력 MOU를 체결했다. 같은달 동아일보 '2014 청년드림대학' 선정 결과 취업, 창업 지원역량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고, 9월에는 2014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영남대 경영학부가 '우수' 평가를 받았다.
2015년에는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상위 A등급을 받았고, 2016년에는 제5회 변호사시험 합격률 100%로 2년 연속 전국 1위를 기록했다. 2016년에는 교육부 프라임사업(산업연계교육활성화 선도대학) 대형 유형에 선정되어 3년간 450억원을 지원받게 되었다.
2017년에는 고용노동부 대학창조일자리센터 운영대학,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사업)에 선정되었다.
2017년 3월 현재, 영남대학교는 광활한 캠퍼스 위에 다양한 부속기관과 각종 연구소 및 최첨단의 영남대학교 의료원 및 영천병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부의 19개 단과대학(야간강좌개설부 포함), 68개 학부(과), 12개 대학원을 갖춘 사립대학으로 성장하고 있다.


영남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구대학과 1950년 설립된 청구대학이 1967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이돈영이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같은 해 교육부로부터 인가를 받아 인문대학, 공과대학, 법정대학, 상경대학, 약학대학, 야간대학 등 6개 단과대학으로 출발하였다. 초기에는 35개 학과와 12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였다. 1968년 신기석이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고, 1969년 경산에 본교 캠퍼스 건설이 시작되었다.
1970년대 초에는 경영대학원과 국어국문학과, 법학과, 경제학과 대학원이 설립되었고, 이후 본관, 인문대학, 법정대학, 상경대학이 대구 캠퍼스에서 경산 캠퍼스로 이전하였다. 1970년대 중반에는 21층 규모의 중앙도서관(교수 연구실 포함)과 본관이 완공되었다. 1980년대에는 영남대학교병원, 외국어학원,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1996년 한국대학교육협의회로부터 학부 및 대학원 '우수대학'으로, 상경 및 국제무역 분야 '최우수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1997년에는 기초과학 및 실험 교육 분야 '정부 지원 과학 교육 프로그램'에 선정되었고, 모범적인 '테크노파크 프로젝트' 주관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BK21(Brain Korea 21) 사업의 기계 분야 주관대학 및 정보기술 분야 참여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과학기술부로부터 섬유의류과학 연구정보센터로 선정되었다.
2000년에는 건축학과,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학과, 생명공학과 대학원 과정과 한문학과, 섬유공학과 박사 과정을 신설하였다. 2001년에는 상경대학을 금융학과, 경영학과, 금융·경제학과, 국제경제학과로 개편하였다. 2003년에는 임상약학대학원(임상약학과 대학원 과정)과 스포츠과학대학원(스포츠과학과 대학원 과정)이 설립되었다.
매년 많은 국제 학생들이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위해 영남대학교에 입학하여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학생들은 중국,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불가리아, 이집트,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몽골, 베트남, 폴란드, 일본, 페루, 세네갈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온다.
영남대학교는 현재 전 세계 여러 대학들과 학술 협정을 맺고 있는데, 여기에는 몬태나 대학교,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뉴욕 주립대학교 알바니 캠퍼스, 아이오와 주립대학교(미국), 알버타 대학교(캐나다), 하우트알자스 대학교(1999년부터), 노보시비르스크 국립대학교, 노보시비르스크 국립기술대학교(러시아), 후쿠이 대학교 및 신슈 대학교(일본) 그리고 우즈베키스탄과 중국의 여러 대학들(예: 난징대학교, 난카이대학교, 령남대학교(홍콩)) 등이 포함된다.
2010년 아시아 통신원(Asian Correspondent) 뉴스 보도에 따르면, 영남대학교는 새로운 밀레니엄의 세계 교육 변화에 대한 극적인 변화로 아시아 10대 국제 대학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2]
2019년 DOAJ 및 PubMed Central은 1984년부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발행하는 동료 심사 및 오픈 액세스 저널인 '영남대학교 의학잡지'의 색인을 시작하였다.[3]
4. 캠퍼스
영남대학교는 경산캠퍼스와 대구캠퍼스 두 개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주 캠퍼스인 경산캠퍼스는 대한민국 남동부 한반도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다.[4]
영남대학교는 2만 2천 명의 학부생, 3천 5백 명의 대학원생, 그리고 1천 명의 교수 및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시설과 학술 단체를 갖추고 있다. 경산캠퍼스는 약 900acre 규모이며, 국제교류센터, 외국어학원을 포함한 11개의 부속기관과 38개의 학술 연구소가 있다.[4]
4. 1. 경산캠퍼스
영남대학교는 2개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는데, 경산캠퍼스가 주 캠퍼스이며, 다른 하나는 대구 캠퍼스이다. 경산캠퍼스는 대한민국 남동부 한반도에 위치한 경산시에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다.[4]경산캠퍼스는 약 900acre 규모의 아름다운 캠퍼스로, 국제교류센터, 외국어학원을 포함한 11개의 부속기관과 38개의 학술 연구소가 있다.[4] 대학의 메인 캠퍼스인 경산캠퍼스는 한국에서 두 번째로 넓은 캠퍼스이며(1위는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캠퍼스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4. 2. 대구캠퍼스
영남대학교는 경산캠퍼스와 대구 캠퍼스, 두 개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대구캠퍼스는 구 대구대학(현재의 대구대학교와는 무관) 캠퍼스이다.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위치하며, 대명캠퍼스라고도 불린다. 영남대학교병원, 의과대학, 경영행정대학원, 환경보건대학원이 소속되어 있으며, 근처에는 같은 재단 산하 전문대학인 영남이공대학교도 있다.[4]
5. 개설 학과·전공
영남대학교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경산캠퍼스'''에는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기계IT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약학대학, 생명응용과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사범대학, 예술대학, 글로벌인재대학, 천마학부대학, 융합전공이 있다.
'''대구캠퍼스'''에는 의과대학, 일반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경영행정대학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환경보건대학원, 스포츠과학대학원, 교육대학원, 공학대학원, 박정희 새마을대학원 등 전문대학원 및 특수대학원이 있다.
개설 학과는 다음과 같다.
- '''인문대학''': 한국어 문학, 영어 영문학, 독일어 문학, 한국사, 문화 인류학, 사회학, 일본어 문학, 프랑스어 문학, 철학, 역사, 심리학,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 '''자연과학대학''': 수학, 물리학, 생물학, 통계학, 화학, 생화학.
-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토목 및 환경공학, 기계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컴퓨터과학 및 공학, 통신공학, 도시계획 및 공학, 재료과학 및 공학.
- '''법과대학''': 법학.
- '''정치외교학과 및 행정학과''': 정치학 및 외교학, 지역 개발 및 복지행정, 행정학.
- '''상경대학''': 경제학 및 금융학, 경영학, 국제 경제학 및 경영학.
- '''의과대학''': 의예과, 의학.
- '''약학대학'''
- '''자원과학대학''': 식품산업 경영, 조경학, 식품공학 및 식품서비스산업, 원예학, 임산 자원, 응용 미생물학.
- '''인간 생태학 및 체육학 대학''': 가정 및 주택 연구, 체육학, 식품영양학.
- '''교육대학''': 교육학, 영어 교육, 수학교육, 특수 체육, 한국어 교육, 고어 교육, 유아 교육.
- '''음악대학'''
- '''미술 및 디자인 대학''': 예술, 디자인.
- '''섬유학과'''
- '''생명공학과'''
- '''중국어 및 문화학과'''
- '''건축학과'''
- '''기초학부'''
- '''융합 학문'''
5. 1. 연구기관
연구기관명 |
---|
인문과학연구소 |
기초과학연구소 |
공업기술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소 |
자원문제연구소 |
민족문화연구소 |
통일문제연구소 |
환경문제연구소 |
산․경연구소 |
의과학연구소 |
노인학연구소 |
스포츠과학연구소 |
약품개발연구소 |
법학연구소 |
정보통신연구소 |
생명공학연구소 |
장류연구소 |
조형연구소 |
학교교육연구소 |
창업․중소기업경영지원센터 |
한우연구소 |
기계기술연구소 |
방재연구소 |
생활과학연구소 |
통계연구소 |
재료기술연구소 |
청정기술연구소 |
광나노기술연구소 |
중국연구센터 |
국어문화연구소 |
농촌개발연구소 |
독도연구소 |
섬유패션소재지역협력연구소 |
건축연구소 |
태양에너지연구소 |
박정희새마을연구원 |
사이버감성연구소 |
한국균형발전연구소 |
단백질센서연구소 |
한자문화연구소 |
한국군사문제연구소 |
고등교육정책연구소 |
세포배양연구소 |
인문학연구소 |
산업기술연구소 |
자원개발연구소 |
통일연구원 |
환경연구소 |
의학과학연구센터 |
예술·디자인연구소 |
창업경영센터 |
마늘연구소 |
재해예방연구소 |
통계학연구소 |
의공학연구소 |
광학 및 나노과학연구소 |
한국어 상담 및 연구센터 |
지역혁신연구소 |
섬유 및 패션소재 지역연구소 |
자연과학연구소 |
한국문화연구소 |
영남지역발전연구원 |
경영경제연구소 |
약물연구소 |
콩 발효 및 식품연구소 |
교육학 연구소 |
인간생태학연구소 |
국제개발협력연구소 |
5. 2. 연구 프로그램
영남대학교는 다양한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브레인 코리아 21(BK21) 사업'''
교육인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BK21 2단계 사업으로 시작된 기계부품산업 연구인력개발센터는 지역 대학원의 연구 역량 강화 및 전문화를 통해 지역 산업의 R&D 인력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남대학교 디스플레이화학공학과(DsChE)와 정보통신공학과는 각각 화학공학 및 통신 분야의 BK21(브레인 코리아 21) 2단계 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IT 산업을 위한 창의적인 연구 인력을 양성할 예정이었다. DsChE는 또한 규슈대학교를 벤치마킹하여 산학협력 시스템의 시제품을 구축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2006년 대구/경북 지역 BK21 지역 사업의 화학공학 프로그램 선정으로 DsChE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ABEEK 프로그램, NURI 프로그램, BK21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하는 화학공학 학과가 되었다. 이로 인해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여러 국가의 많은 외국인 학생들이 장학금을 받고 화학공학의 PSDC 및 정보통신공학과의 WINLAB과 같은 연구실에 합류하여 연구와 고등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5]
- '''NURI 사업'''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사업의 주요 목적은 유비쿼터스 시대를 이끌고 지역 경제에 기여할 실용적 능력과 국제 경쟁력을 겸비한 임베디드 기술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이다.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과는 교육부의 지원을 받는 고급소재부품인력양성사업단(AHRIAMD)을 통해 지역 소재·부품 산업에 소재 엔지니어를 공급하기 위해 학부생들의 교육 환경 개선에 연간 130만달러를 지원받고 있다. 영남대학교 디스플레이화학공학과(DsChE)는 한국 교육부의 전략적 지원을 받는 NURI 사업 참여 기관으로 선정되었다. DsChE는 지역 디스플레이 산업에 특화된 화학 엔지니어를 교육하고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석유화학 산업 중심의 교육에서 새로운 디스플레이 및 IT 산업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하여 NURI 사업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6]
- '''폴리머젤 연구 클러스터 센터'''
영남대학교 폴리머젤 연구 클러스터 센터(PGRC)는 상공부의 지원을 받아 경상북도에 융합형 고부가가치 유기 폴리머젤 신소재 R&D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9년간의 사업이다.[7]
- '''RIC'''
와이미디어 지역혁신센터(RIC)는 무선멀티미디어시스템 기술의 일부로 시작되었다. RIC는 대구·경북 지역 IT 산업 클러스터의 기술 기반과 기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산학 연구소 협력 시스템을 구축했다. 강력한 지역 기반은 아이디어와 제품이 지역을 넘어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8]
6. 부속 기관
- 사회교육원
- 다문화교육연구원
- 영남아메리칸센터
- 의료원
- 도서관
- 박물관
- 신문방송사
- 정보전산원
- 건강관리센터
- 출판부
- 생활관
- 고시원
- 외국어교육원
- 공학교육혁신센터
- 천마아트센터
- 한국어교육원
- 실험동물센터
- 영남대학교병원 (대구광역시 남구)
- 영남대학교영천병원 (경상북도 영천시)

7. 주요 학생 단체
영남대학교의 주요 학생 단체로는 총학생회, 동아리, 지킴이, 운동부, 학생홍보대사 등이 있다.
7. 1. 총학생회
영남대학교 총학생회는 학교 당국과 학생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학생자치기구이다. 총학생회, 중앙감사위원회, 대학원총학생회, 총동아리연합회 및 각 단과대 학생회로 구성된다.[25]7. 2. 동아리
영남대학교에는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다양한 문화 활동, 사회 봉사 등을 통해 자발적인 사회 경험을 쌓고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동아리들이 운영되고 있다. 현지조사연구회, 천마극단, 천마응원단, 상문독서토론회, 탐험대, 산악회 등 90여 개의 동아리가 활동 중이다.[26]7. 3. 지킴이
영남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학생 자치 야간 규찰대이다. 교내 야간 순찰을 강화하여 건전한 대학 문화 정착과 면학 분위기 조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2012년 2학기 현재, 영대 지킴이 제30기가 활동하고 있다. 1명의 대장과 20명의 조원 총 2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 학기 학교 축제나 행사 등의 안전적인 진행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매 학기 시작 전, 야간 규찰대 모집을 하며, 학교 행정 인턴십 장학생으로 신청한다.7. 4. 운동부
영남대학교에는 야구, 축구, 유도, 씨름, 레슬링, 육상 등 6개의 운동부가 활동하고 있다. 각 운동부에서 배출한 많은 선수들이 국가대표 등으로 발탁되어 각종 국제대회에서 국위를 선양하고 학교의 명예를 높인 바 있다.[27]7. 5. 학생홍보대사
1996년 12월 제1기를 시작으로 현재 22기째(2017년) 전통을 이어오고 있으며, 학생홍보대사는 On/Off-line으로 영남대학교를 대표하는 얼굴로 활동하고 있다.[28] 최근 2011년 영남대학교 학생홍보대사 영대사랑은 학생들의 아이디어로 제작한 학교 로고송을 제작하여 화제가 되었다.[28]8. 국제 교류
영남대학교 국제교류처는 외국 기관과의 교환 프로그램(학생 및 교수 교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국제 교육 증진을 위한 공동 세미나, 국제 심포지엄, 특별 강연 등 국제 행사 주관, 영남대학교 및 외국 기관의 교수 및 학생에 대한 행정 지원, 비자, 해외 유학, 대학 추천 프로그램 및 영어 증명서 발급 자문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9]
영남대학교와 교류 협정을 맺은 대학교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대학교 |
---|---|
대한민국 | 중앙대학교 |
일본 | 군마대학교 |
히로시마경제대학교 | |
홋카이도대학교 | |
칸다외국어대학교 | |
간사이외국어대학교 | |
간사이대학교 | |
고치공과대학교 | |
메이지대학교 | |
미야자키국제대학교 | |
오테몬가쿠인대학교 | |
릿토쿠칸대학교 | |
시마네대학교 | |
텐리대학교 | |
토요하시기술과학대학교 | |
후쿠이대학교 | |
도시샤대학교 | |
히로시마대학교 | |
키타미공업대학교 | |
나가사키대학교 | |
도호쿠대학교 | |
미야자키대학교 | |
요코하마국립대학교 | |
시바우라공업대학교 | |
교토공예섬유대학교 | |
시즈오카대학교 | |
나라교육대학교 | |
오이타대학교 | |
신슈대학교 |
9. 학생 생활
영남대학교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장려한다. 총학생회를 비롯한 여러 학생 자치 단체가 있다. 총학생회는 2만 명의 학생들을 대표하며, 학생들의 학업 및 문화 활동을 증진하고 지원하여 개인적 발전을 돕고, 나아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 '''개교기념일 및 춘마제'''
영남대학교 개교기념일을 기념하는 춘마제는 매년 5월 중순에 열린다.

- '''영남대학교 SAE 미니 바하 코리아'''
기계공학과는 1996년부터 매년 "전국 대학생 자동차 제작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대학생들이 공학 지식을 자동차 설계 및 제작에 적용하고, 창작 의욕을 고취하며, 결과에 승복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대학 신문'''
영대신문(캠퍼스 내부 신문)은 1954년 6월과 12월에 각각 창간된 대구 및 청구 대학 신문이 합병되어 1968년 1월에 처음 발행되었다. 현재 학기 중 매주 발행되며, 대학 뉴스, 국내외 학습 동향 정보, 교수 및 학생들의 학술 논문과 창작물을 싣고 있다.
영남옵서버는 1969년부터 4면짜리 타블로이드판 영어 월간지로 발행되다가 1994년부터 잡지 형식으로 바뀌었다. 1982년 영남연보에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한국어와 영어 신문은 모두 교수진의 감독 하에 학생들이 편집한다.
- '''대학교 방송국'''
영남대학교는 1965년에 설립된 대학방송국(UBS)을 운영하고 있다. UBS는 캠퍼스 내외의 학사 관련 사항에 대한 음악, 뉴스 및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
9. 1. 시설





영남대학교는 학생들을 위한 시설을 제공한다. 대학 도서관은 국내외 도서, 학술지, 정기 간행물을 갖추고 있다. 정보컴퓨팅시스템연구소(IICS)는 효율적인 그룹웨어, 기가비트 네트워크, 고용량 서버 및 무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바일 환경과 같은 최첨단 정보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학문적 및 행정적 활동을 지원한다. 이는 미래형 지능형 캠퍼스인 '''i-캠퍼스''' 구축을 위한 첨단 네트워크, 통신 및 컴퓨팅 시스템 계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은 또한 캠퍼스 지역에 고속 인터넷 서비스와 Wi-Fi를 제공한다.
- '''기숙사'''
영남대학교는 1973년 5월 캠퍼스 내 거주가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기숙사 시설을 개설했다. 이 시설은 학부생과 대학원생에게 개방된다. 현재 자취형 기숙사를 포함한 6개의 기숙사가 1,200명의 학생들을 수용하고 있다. 500명 이상이 동시에 식사할 수 있는 현대식 식당, 대형 스크린 TV와 비디오 플레이어가 있는 비디오실, 열람실, 컴퓨터실, 휴게실, 탁구대, 간식 판매대 및 체육관 등이 기숙사 거주자를 위해 제공되는 시설의 일부이다.
- '''보건센터'''
대학 보건센터는 1967년 12월 학생, 교수진 및 행정 직원의 건강 관리를 위해 설립되었다. 센터는 학생들을 위한 연례 건강 검진, 캠퍼스 환경 위생 및 필요한 경우 예방 접종을 제공한다. 또한 학생 및 대학 구성원의 건강 상담을 담당한다.
- '''국제교류센터'''
2002년 3월 이전의 외국어 연구소와 국제교류처가 통합되었다. 새롭게 통합된 조직의 명칭은 "국제교류센터"이며, "국제교육"팀과 "국제협력"팀의 두 팀으로 구성된다. 국제교육팀의 주요 기능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외국어 수업과 한국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학 박물관은 1968년 5월 대구 캠퍼스에 신라-가야 문화 연구소의 소장품으로 설립되었다. 대학 박물관은 고고학 및 인류학 분야의 조사, 수집, 교육 및 보존을 수행한다. 박물관 내에 전시된 것은 대부분 신라와 가야 문화의 발굴과 연구 결과이다. 이 외에도 박물관은 고지도, 문서, 그림, 서예 등 중요한 소장품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3,000점 이상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중 고지도는 한국 박물관 중 가장 풍부한 컬렉션을 자랑한다. 대학 박물관은 학생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대상으로 한 공공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박물관은 지역 사회의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또한 대학 박물관에는 민속 공원이 있다. 70000m2의 면적을 가진 민속 정원은 한국 대학에서 유명하고 독특한 장소이다. 영남대학교 민속 정원은 동쪽에 거울 연못과 언덕 위의 벚꽃 산책로(소위 사랑길) 근처에 위치한 6채의 전통 가옥으로 구성되어 있다. 민속 공원은 전통 기와집, 중산층 전통 가옥, 조선 시대 사립학교, 상류층 학자들의 별장으로 사용되었던 정자 등 공원 내 7개의 전통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건물들은 대학생 강의실과 박물관에서 운영하는 어린이 여름학교 프로그램에 자주 사용된다.
9. 2. 학생 서비스
- EASY – 영남대학교 교육 및 행정 시스템(Education & Administration System for Yeungnam University)
- 보건 및 복지(Health and Welfare)
- 원스톱 서비스 센터(One-Stop Service Center)
- 학생회
- ROTC 프로그램(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 재정 지원(Financial Aid)
9. 3. 학생 활동
영남대학교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장려한다. 총학생회를 비롯한 여러 학생 자치 단체가 있다. 총학생회는 2만 명의 학생들을 대표하며, 학생들의 학업 및 문화 활동을 증진하고 지원하여 개인적 발전을 돕고, 나아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개교기념일 및 춘마제'''
영남대학교 개교기념일을 기념하는 춘마제는 매년 5월 중순에 열린다.
- '''영남대학교 SAE 미니 바하 코리아'''
기계공학과는 1996년부터 매년 "전국 대학생 자동차 제작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대학생들이 공학 지식을 자동차 설계 및 제작에 적용하고, 창작 의욕을 고취하며, 결과에 승복하는 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대학 신문'''
영대신문(캠퍼스 내부 신문)은 1954년 6월과 12월에 각각 창간된 대구 및 청구 대학 신문이 합병되어 1968년 1월에 처음 발행되었다. 현재 학기 중 매주 발행되며, 대학 뉴스, 국내외 학습 동향 정보, 교수 및 학생들의 학술 논문과 창작물을 싣고 있다.
영남옵서버는 1969년부터 4면짜리 타블로이드판 영어 월간지로 발행되다가 1994년부터 잡지 형식으로 바뀌었다. 1982년 영남연보에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한국어와 영어 신문은 모두 교수진의 감독 하에 학생들이 편집한다.
- '''대학교 방송국'''
영남대학교는 1965년에 설립된 대학방송국(UBS)을 운영하고 있다. UBS는 캠퍼스 내외의 학사 관련 사항에 대한 음악, 뉴스 및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
10. 동문
영남대학교 총동창회는 1969년 2월 16일에 설립되었다.[1] 전국적으로 서울, 부산, 마산, 창원, 경산, 제주 등 27개 이상의 지부와 미국 뉴욕, 시카고, 워싱턴 D.C., 애틀랜타,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 그리고 인도네시아, 영국 등 해외 지부가 운영되고 있다.[1] 동창회는 동문들의 단과대학, 전공, 직장 등을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1]
10. 1. 총동창회
영남대학교 총동창회는 1967년 12월 18일 대구대학과 청구대학이 합병하여 영남대학교로 발족함에 따라 양 대학의 동창회가 통합하여 이루어진 기구이다.[29] 1969년 2월 16일에 설립되었다.[29] 1972년 전국 대학 동창회 중 최초로 회관 건물을 갖게 되었으며,[29] 대한민국 대학 총동창회 중 동문 서비스를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최초의 사무실이었다.[29] 1995년 완료된 동문 명단 전산화 작업은 파악된 모든 동문(전국 최다)에게 동창회보를 발송하는 최초의 동창회가 되게 하였다.[29]서울, 부산, 마산, 창원, 제주 등 27곳에 동창회 지부가 조직되어 있고, 뉴욕, 남가주, 시카고, 워싱턴 D.C., 미국 동남부, 인도네시아, 벤쿠버, 토론토, 영국 등 9곳의 해외 지부도 결속되어 있다.[29] 단과대학별, 학과별, 직장별 등의 동창회도 결성되어 있다.[29] 이처럼 동문 상호 간의 친목과 우의를 도모하면서 영대인의 긍지를 한껏 자랑하고 있는데, 재단법인 <영대동창장학회>를 설립하여 모교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29]
영남대학교 총동창회 사무실은 1972년 대구광역시 대명동에 매입되었으며,[29] 1995년 2월 대구시 신천동에 462평 부지에 지하층을 포함한 5층 규모의 새로운 사무실 건물을 건립하였다. 1996년 9월에는 지하층을 포함한 4층 규모의 별관을 매입하여 대한민국 어느 대학 총동창회보다 규모가 큰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었다.[29]
10. 2. 주요 동문
영남대학교 총동창회는 1969년 2월 16일에 설립되었다.[1] 총동창회는 전국적으로 서울, 부산, 마산, 창원, 경산, 제주도를 포함한 27개 이상의 지부가 있으며, 미국 뉴욕, 시카고, 워싱턴 D.C., 애틀랜타,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 그리고 인도네시아, 영국 등 해외 지부도 운영하고 있다.[1] 영남대학교 총동창회는 동문들의 단과대학, 전공, 직장 등을 기준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1]주요 동문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Top 10 Asian international universities
http://www.asiancorr[...]
Asian Correspondent
2010-05-18
[2]
웹사이트
Yeungnam University, South Korea
http://asiancorrespo[...]
Asian Correspondent
2010-05-17
[3]
논문
First step to international journal by indexing PMC and DOAJ
2020-01-01
[4]
웹사이트
Campus Cyber Tour
http://www.yu.ac.kr/[...]
[5]
웹사이트
BK21
http://www.yu.ac.kr/[...]
[6]
웹사이트
NURI
http://www.yu.ac.kr/[...]
[7]
웹사이트
PGRC
http://www.yu.ac.kr/[...]
[8]
웹사이트
RIC
http://www.yu.ac.kr/[...]
[9]
웹사이트
Guidelin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http://www.yu.ac.kr/[...]
[10]
웹인용
종합대학(綜合大學, university)
http://www.encyber.c[...]
두산그룹 엔싸이버
2009-04-20
[11]
서적
영남대학교60년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0
[12]
웹인용
영남대학교 상징과 목표
http://www.yu.ac.kr/[...]
2011-08-04
[13]
웹인용
영남대학교 현황
http://www.yu.ac.kr/[...]
2011-08-04
[14]
서적
영남대학교60년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0
[15]
서적
영남대학교60년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0
[16]
서적
영남대학교60년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0
[17]
웹인용
영남대학교 창학정신
http://www.yu.ac.kr/[...]
2011-08-08
[18]
서적
영남대학교60년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0
[19]
서적
영남대학교60년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0
[20]
웹인용
영남대학교 표어
http://www.yu.ac.kr/[...]
2011-08-08
[21]
웹인용
PDR시스템이론
http://humanware.yu.[...]
2011-08-08
[22]
웹인용
XY이론
https://terms.naver.[...]
2011-08-08
[23]
웹인용
Y형인재란?
https://www.youtube.[...]
2011-08-08
[24]
웹사이트
http://www.hani.co.k[...]
[25]
웹인용
총학생회 홈페이지
http://ch.yu.ac.kr/c[...]
2011-08-08
[26]
웹인용
총동아리 홈페이지
http://club.cyworld.[...]
2011-08-08
[27]
웹인용
운동부 홈페이지
http://sports.yu.ac.[...]
2011-08-08
[28]
웹인용
영대사랑 홈페이지
http://pr.yu.ac.kr/0[...]
2011-08-08
[29]
웹인용
영남대학교 총동창회 소개
http://www.yn.or.kr/[...]
2011-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