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은 1949년 공산당 계열의 산별회의에서 이탈한 비공산당계 좌파가 결성한 노동조합 연합이다. 1950년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에 참여했으나 회비 체납으로 탈퇴 후 독자 노선을 걸었다. 1980년대 노동조합 센터 통합 과정에서 전일본민간노동조합협의회 결성에 참여했고, 1988년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참가를 위해 해산했다. 주요 가맹 조직으로는 전국기계금속노동조합, 신산별전화학산업노동조합연합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노총 -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 (1989년)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는 1989년 일본에서 사회당 좌파 성향의 노조들이 결성한 노동조합 연락협의회로, 특정 노선에 치우치지 않고 평화운동, 반해고 투쟁 등을 전개하며 대한민국의 민주노총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 일본의 노총 -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는 일본 최대 노동조합 중앙 조직으로, 총평의 우경화에 반발하여 결성되었으며, 전후 노동조합 운동의 흐름 속 4대 노총 통합의 결과로 탄생, 주요 가맹 산별 노조와 지방 조직으로 구성되어 정책 목표를 추구하지만, 타협적인 태도와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소극적 대처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일본의 해산된 노동조합 - 일본노동총동맹
일본노동총동맹은 1921년 대일본노동총동맹유애회가 개칭되어 성립된 노동 단체로, 사회주의에서 사회민주주의 우파로 변화하며 현실주의, 반공주의, 노사 협조주의를 표방했으나 중일 전쟁 이후 일본 군국주의에 협력, 1940년 해산되었다. - 일본의 해산된 노동조합 - 국철동력차노동조합
국철동력차노동조합은 1951년 결성된 일본의 노동조합으로, 기관차 승무원 중심에서 동력차 조종사 전체로 확대되었으며, 국철 민영화 과정에서 분열과 합병을 겪었다.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 |
---|---|
기본 정보 | |
명칭 |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
영문 명칭 | National Federation of Industrial Organizations (FIO) |
약칭 | 신산별, 산별연합 |
조직 | |
조직 형태 | 나셔널 센터 |
가맹 단체 수 | 4개 조합 외 |
조합원 수 | 66,000명 (해산 시점) |
역사 | |
설립일 | 1949년 12월 10일 |
해산일 | 1988년 10월 25일 |
후신 조직 |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 |
정치 | |
지지 정당 | 일본사회당 |
2. 역사
1946년 좌파 계열의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인 산별회의가 결성되었으나, 공산당 계열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이에 반발한 일부 비공산당계 좌파는 1949년 '''산별민주화동맹'''을 결성하고 산별회의에서 이탈, 같은 해 12월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50년 총평 결성 당시 신산별로서 참가했으나, 회비 체납에 따른 권리 정지 처분에 반발하여 1954년 탈퇴했다. 이후 독자 노선을 걸었으나, 조직 확대는 부진했고 조합이 있는 산업도 금속, 화학 등 일부에 국한되었다. 1980년대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 통일 과정에서 전민노협 결성에 앞서 중립노련과 전국노동조합총연합(총연합, 현재 동명의 약칭을 쓰는 전노련과는 별개 조직)을 결성하는 등 적극 참여했다. 1989년 연합 참가를 위해 1988년 해산했다.
2. 1. 결성 배경 (1946년 ~ 1949년)
1946년에 결성된 좌파 계열의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인 산별회의는 결과적으로 공산당 계열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이에 반발한 일부 비공산당계 좌파는 1949년에 '''산별민주화동맹'''을 결성하고 산별회의에서 이탈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명칭을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으로 변경했다.2. 2. 총평과의 관계 및 독자 노선 (1950년 ~ 1987년)
1946년에 결성된 좌파 계열의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인 산별회의는 공산당 계열의 영향력이 강했다. 이에 반발한 일부 비공산당계 좌파는 1949년에 '''산별민주화동맹'''을 결성하고 산별회의에서 이탈했다. 같은 해 12월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50년 총평 결성 당시 신산별로서 참가했지만, 회비 체납으로 인한 권리 정지 처분에 반발하여 1954년 탈퇴했다.. 이후 신산별은 노동 운동에서 독자 노선을 걸었다. 조직 확대는 크게 진전되지 못했고, 신산별 조합이 있는 산업도 금속, 화학 등 일부에 국한되었다. 1980년대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의 통일에서는 전민노협 결성에 앞서 중립노련과 전국노동조합총연합(총연합, 현재 동명의 약칭을 전노련으로 하는 조직과는 별개)을 결성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89년 결성되는 연합에 참가하기 위해 1988년 해산했다.2. 3. 노동계 재편과 연합 결성 (1988년 ~ 1989년)
1946년 산별회의(좌파 계열의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가 결성되었으나, 공산당 계열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이에 반발한 일부 비공산당계 좌파는 1949년 '''산별민주화동맹'''을 결성하고 산별회의에서 이탈, 같은 해 12월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으로 개칭했다. 1950년 총평 결성 당시 신산별로서 참가했으나, 회비 체납에 따른 권리 정지 처분에 반발하여 1954년 탈퇴했다. 이후 독자 노선을 걸었으나, 조직 확대는 부진했고 조합이 있는 산업도 금속, 화학 등 일부에 국한되었다. 1980년대 전국적 노동조합 센터 통일 과정에서 전민노협 결성에 앞서 중립노련과 전국노동조합총연합(총연합, 현재 동명의 약칭을 쓰는 전노련과는 별개 조직)을 결성하는 등 적극 참여했다. 1989년 연합 참가를 위해 1988년 해산했다.3. 가맹 조직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에는 전국기계금속노동조합(전기금), 신산별전화학산업노동조합연합(신화학), 신산별운전자노동조합(신운전),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케이지지방연합회(신산별 케이지지련) 등 다양한 산업별 노동조합들이 가맹되어 있었다. 이들은 각각 다른 산업 분야를 대표하며,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했다.[5]
전국철시설노동조합(전시노)은 옵저버 자격으로 가맹했다.[5]
3. 1. 주요 가맹 조직
노조 | 약칭 | 탈퇴 | 탈퇴 사유 |
---|---|---|---|
전국기계금속노동조합 | 전기금 | 1999년 | 총평계 전국금속노동조합(전국금속)과 통합, 금속기계를 거쳐 JAM으로 통합[5] |
신산별전화학산업노동조합연합 | 신화학 | 2002년 | JEC연합에 통합[5] |
신산별운전자노동조합 | 신운전 | 노공노련이 됨[5] | |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케이지지방연합회 | 신산별 케이지지련 | 금속기계 결성에 참여 후 JAM으로 통합[5] | |
전국철시설노동조합 | 전시노 | 옵저버 가맹[5] |
3. 2. 옵저버 가맹 조직
전국철시설노동조합(전시노)이 옵저버로 가맹했다.[1]3. 3. 기타 가맹 조직
- 전국기계금속노동조합(전기금): 총평계의 전국금속노동조합(전국금속)과 통합하여 전국금속기계노동조합(금속기계)를 거쳐, 연합 성립 후인 1999년 JAM으로 통합되었다.[5]
- 신산별전화학산업노동조합연합(신화학): 연합 성립 후인 2002년 JEC연합에 통합되었다.[5]
- 신산별운전자노동조합(신운전): 연합 성립 이후 노공노련이 되었다.[5]
- 전국산업별노동조합연합 케이지지방연합회(신산별 케이지지련): 원래 신산별의 지방조직 취급이었으나 금속산업 노동조합이 다수를 차지해서 연합 결성 이후 금속기계 결성에 참여했다. 그 뒤에는 JAM으로 다 통합되었다.[5]
- 전국철시설노동조합(전시노): 옵저버 가맹하였다.[5]
이 외에도 가맹 조합이 존재했다.
참조
[1]
논문
Prospects of Japanese Labor
1954
[2]
서적
Area Handbook for Japa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9
[3]
서적
Country Labor Profile: Japan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1979
[4]
논문
Party Politics and the Japanese Labor Movement: Rengo's "New Political Force"
1994
[5]
서적
Gewerkschaften in der japanischen Politik von 1970 bis 1990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6]
서적
Directory of Labor Organizations, Asia and Australasi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1958
[7]
서적
Labor Law and Practice in Japa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1970
[8]
간행물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日本労働年鑑 第26集 1954年版(PDF)
http://oisr-org.ws.h[...]
[9]
간행물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日本労働年鑑 第59集 1989年版(PDF)
http://oisr-org.ws.h[...]
[10]
웹사이트
日本労働総同盟
https://kotobank.jp/[...]
[11]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同盟
https://kotobank.jp/[...]
[12]
간행물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日本労働年鑑 第26集 1954年版(PDF)
http://oisr-org.ws.h[...]
[13]
간행물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日本労働年鑑 第59集 1989年版(PDF)
http://oisr-org.ws.h[...]
[14]
웹사이트
日本労働総同盟
https://kotobank.jp/[...]
[15]
웹사이트
日本労働組合総同盟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