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해군의 편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쟁해군의 편제는 독일 해군의 조직 구조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1930년부터 1939년까지 국가해군에서 전쟁해군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쳤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해군최고사령부를 중심으로 해군집단사령부, 함대사령부, 해군상급사령부 등 다양한 지휘 체계가 운영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각 시기별로 편제가 변화하며, 잠수함, 전투함, 방위 전력 등 각 부대의 지휘관들이 존재했다.
1930년대 국가해군(Reichsmarine)은 나치 독일의 재무장과 함께 전쟁해군(Kriegsmarine)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겪었다. 이 과정은 해군력 증강과 조직 개편을 포함했다.
2. 1930년-1939년 (국가해군에서 전쟁해군으로)
2. 1. 국가해군 편제 (1930년-1931년)
1930년에서 1931년 사이 국가해군 편제는 다음과 같다.[1]2. 2. 전쟁해군으로의 이행 (1939년 이전)
제2차 세계 대전 개전 직전 시점의 전쟁해군 편제는 다음과 같다.[2][3]
동해방위지휘관(Befehlshaber der Sicherung der Ostsee|베펠샤버 데어 지헤룽 데어 오스트지de)
북해방위지휘관(Befehlshaber der Sicherung der Nordsee|베펠샤버 데어 지헤룽 데어 노르트지de)
어뢰정지도자(Führer der Torpedoboote|퓌러 데어 토르페도보테de; FdT)
기뢰부설함지도자(Führer der Minensuchboote|퓌러 데어 미넨주흐보테de; FdM)3.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독일 해군(크릭스마리네)의 편제는 전쟁의 진행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했다.
1943년 말을 기준으로, 해군최고사령부 산하에는 함대사령부, 서부해군집단사령부 겸 프랑스 지령제독, 이탈리아 독일해군사령부가 있었다.[2]
1943년 이후, 해군최고사령부 예하 함대사령부는 역할이 변화하여 전투단지휘관, 방위전력지휘관, 잠수정 지령제독, 구축함지도자, 고속정지도자를 두었다. 노르웨이 해군상급사령부는 노르웨이 해역을 세분화하여 노르웨이 북극연안 제독, 노르웨이 북부연안 제독, 노르웨이 서부연안 제독을 두었다. 북해해군상급사령부는 저지대 제독과 독일 만 연안지휘관을, 동해해군상급사령부는 동해서부연안지휘관, 동해중부연안지휘관, 동방제독을 두었다. 서부해군상급사령부는 요새함장과 육공군 농성병력을 지휘했고, 남부해군상급사령부도 역할이 변화하였다. 소규모 전투부대 제독도 있었다.
3. 1. 1939년-1941년
해군최고사령부(Oberkommando der Marine|오베어코만도 데어 마리네de) 예하에 함대사령부(Flottenkommando|플로텐코만도de)가 있었고, 함대사령부에는 전함지휘관(Befehlshaber der Schlachtschiffe|베펠샤버 데어 슐라흐트시페de)과 잠수정지휘관(Befehlshaber der Unterseeboote|베펠샤버 데어 운터지보테de)이 있었다. 잠수정지휘관 예하에는 어뢰정지도자(Führer der Torpedoboote|퓌러 데어 토르페도보테de)가 있었고, 함대사령부에는 구축함지도자(Führer der Zerstörer|퓌러 데어 체르슈퇴러de)가 있었다.[4]
북부해군집단사령부(Marinegruppenkommando Nord|마리네그루펜코만도 노르트de)는 동해군항(Marinestation der Ostsee|마리네슈타티온 데어 오스트지de)과 북해군항(Marinestation der Nordsee|마리네슈타티온 데어 노르트지de)으로 구성되었다. 동해군항에는 동해방위지휘관(Befehlshaber der Sicherung der Ostsee|베펠샤버 데어 지헤룽 데어 오스트지de), 공군전력지도자(Führer der Luftstreitkräfte|퓌러 데어 루프트슈트라이트크레프테de), 노르웨이 제독(Admiral Norwegen|아트미랄 노르베겐de), 북극해 제독(Admiral Nordmeer|아트미랄 노르트미어de)이 있었다. 북해군항에는 북해방위지휘관(Befehlshaber der Sicherung der Nordsee|베펠샤버 데어 지헤룽 데어 노르트지de), 이탈리아 독일해군사령부(Deutsches Marinekommando Italien|도이체스 마리네코만도 이탈리엔de)가 있었다. 이탈리아 독일해군사령부 예하에는 북아프리카 해군사령부(Marinekommando Nordafrika|마리네코만도 노르다프리카de), 튀니지 해군사령부(Marinekommando Tunesien|마리네코만도 투네지엔de), 이탈리아 독일해상수송장(Deutscher Seetransportchef Italien|도이체 지트란슈포르트헤프 이탈리엔de)이 있었다.[4]
서부해군집단사령부(Marinegruppenkommando West|마리네그루펜코만도 베스트de) 예하에는 프랑스 제독(Admiral Frankreich|아트미랄 프랑크라이히de)이 있었고, 그 아래에 서역방위지휘관(Befehlshaber der Sicherung Westraum|베펠샤버 데어 지헤룽 데어 베스트라움de)이 있었다.[4]
남부해군집단사령부(Marinegruppenkommando Süd|마리네그루펜코만도 쉬트de) 예하에는 에게 제독(Admiral Ägäis|아트미랄 에게이스de), 흑해 제독(Admiral Schwarzes Meer|아트미랄 슈바르체스 메어de), 아드리아 제독(Admiral Adria|아트미랄 아트리아de)이 있었다.[4]
3. 2. 1941년-1943년
해군최고사령부 산하 1943년 말 전쟁해군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2]3. 3. 1943년-1945년
해군최고사령부(Oberkommando der Marine|오베어코만도 데어 마리네de) 예하 함대사령부(Flottenkommando|플로텐코만도de)는 역할이 변화하여 전투단지휘관(Befehlshaber der Kampfgruppe|베펠샤버 데어 캄프그루페de), 방위전력지휘관(Befehlshaber der Sicherungsstreitkräfte|베펠샤버 데어 지헤룽슈트라이트크레프테de), 잠수정 지령제독(Kommandierender Admiral der Unterseeboote|코만디렌더 아트미랄 데어 운터지보테de), 구축함지도자(Führer der Zerstörer|퓌러 데어 체르슈퇴러de), 고속정지도자(Führer der Schnellboote|퓌러 데어 슈넬보테de)를 두었다.
노르웨이 해군상급사령부(Marineoberkommando Norwegen|마리네오버코만도 노르베겐de)는 노르웨이 해역을 세분화하여 노르웨이 북극연안 제독(Admiral norwegische Polarküste|아트미랄 노르베기셰 폴라르퀴슈테de), 노르웨이 북부연안 제독(Admiral norwegische Nordküste|아트미랄 노르베기셰 노르트퀴슈테de), 노르웨이 서부연안 제독(Admiral norwegische Westküste|아트미랄 노르베기셰 베스트퀴슈테de)을 두었다.
북해해군상급사령부(Marineoberkommando Nordsee|마리네오버코만도 노르트지de)는 저지대 제독(Admiral Niederlande|아트미랄 니데를란데de)과 독일 만 연안지휘관(Küstenbefehlshaber Deutsche Bucht|퀴슈텐베펠샤버 도이체 부흐트de)을 두었다.
동해해군상급사령부(Marineoberkommando Ostsee|마리네오버코만도 오스트지de)는 동해서부연안지휘관(Küstenbefehlshaber westliche Ostsee|퀴슈텐베펠샤버 베스틀리헤 오스트지de), 동해중부연안지휘관(Küstenbefehlshaber mittlere Ostsee|퀴슈텐베펠샤버 미틀레레 오스트지de), 동방제독(Admiral Ostland|아트미랄 오스틀란트de)을 두었다.
서부해군상급사령부(Marineoberkommando West|마리네오버코만도 베스트de)는 요새함장(Festungskommandanten|페스퉁슈코만단텐de)과 육공군 농성병력(eingeschlossene Kräfte des Heeres und der Luftwaffe|아잉게슐로세네 크레프테 데스 헤어레스 운트 데어 루프트바페de)을 지휘했다.
남부해군상급사령부(Marineoberkommando Süd|마리네오버코만도 쉬트de)도 역할이 변화하였다.
소규모 전투부대 제독(Admiral der Kleinkampfverbände|아트미랄 데어 클라인캄프페어벤데de)이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Illustrierter Deutscher Flotten-Kalender für 1932
Köhlers Flotten-Kalender
1932
[2]
서적
100 Jahre Organisation der deutschen Marine
Bonn
1993
[3]
웹사이트
WLB Stuttgart: Flottenkommando
http://www.wlb-stutt[...]
[4]
문서
아무개 제독({{lang|de|''Admiral ... ''}})"이라는 직함은 후기로 가면 "아무개 지령제독({{lang|de|''Kommandierender Admiral ... ''}})이라는 표현으로 바뀌기도 한다. 그러나 문헌들을 보면 두 용어가 항상 엄밀히 같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