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세계소리축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세계소리축제는 매년 가을 전라북도 일원에서 개최되는 음악 축제이다. 2001년 시작되어 실내외 공연, 워크숍, 마스터 클래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판소리와 국악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한다. 역대 조직위원장으로는 천이두, 안숙선, 김명곤, 김한, 이왕준 등이 있으며, 매년 다른 주제로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시작된 음악제 - 프리마베라 사운드
프리마베라 사운드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시작되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으며 여러 도시로 확장되었으나, 라틴 아메리카 지역 행사는 취소되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도시 연계 프로그램 등을 통해 유럽을 대표하는 음악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 2001년 시작된 음악제 - ETPFEST
서태지가 주최한 ETPFEST는 2001년 단독 공연으로 시작해 2002년부터 록 페스티벌로 전환, 국내외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하며 혁신적인 무대 연출과 기술적 요소로 한국 록 음악 시장의 저변 확대와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축제 - 무주반딧불축제
무주반딧불축제는 1997년부터 시작되어 반딧불이를 주제로 자연의 소중함을 알리고 다양한 행사와 무주반딧불이동요제를 통해 자연과 교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환경 축제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축제 - 전주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는 김대중 정부의 문화 정책에 따라 2000년에 시작되어 매년 전주에서 독립 영화와 예술 영화를 상영하며, '디지털 삼인삼색'과 '전주 시네마 프로젝트'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신진 감독 발굴과 영화 산업 다양성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영화제이다. - 전주시 -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공간 정보, 지적 제도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지적 측량 및 지적 재조사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한다. - 전주시 - 전북교통방송
전북교통방송은 2002년 전주교통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FM 102.5MHz와 FM 106.1㎒로 방송을 송출하고,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출발! 전북대행진 등이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전주, 대한민국 |
개최 기간 | 가을 |
장르 | 전통 음악 월드 뮤직 |
웹사이트 | 전주 국제 소리 축제 공식 웹사이트 |
명칭 | |
한자 | 소리 |
로마자 표기 | Jeonju Segye Sori Chukje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ŏnju Segye Sori Ch'ukche |
축제 연혁 | |
개최 연도 | 2001년-현재 |
2. 역사
전라북도에서 2001년 처음 개최된 전주세계소리축제는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악 축제로 성장하였다. 초기에는 전라북도립국악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점차 전주한옥마을 등 전주 시내 전역으로 확장되었다.
축제는 매년 가을에 열리며, 국내외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한다. 2010년대 들어 관람객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역대 집행위원장은 다음과 같다.
2. 1. 초기 (2001년 ~ 2008년)
연도 | 회차 | 기간 | 장소 | 공연팀 |
---|---|---|---|---|
2001 | 1 | 2001년 10월 13일 ~ 21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 142팀 (15개국) |
2002 | 2 | 2002년 8월 24일 ~ 9월 1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통문화 공간 | 156팀 (16개국) |
2003 | 3 | 2003년 9월 27일 ~ 10월 5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전통문화관 | 172팀 (14개국) |
2004 | 4 | 2004년 10월 16일 ~ 22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북대학교 | 190팀 (14개국) |
2005 | 5 | 2005년 9월 27일 ~ 10월 3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 일원 | 190팀 (25개국) |
2006 | 6 | 2006년 9월 16일 ~ 24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184팀 (22개국) |
2007 | 7 | 2007년 10월 6일 ~ 14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 일원 | 131팀 (10개국) |
2008 | 8 | 2008년 9월 26일 ~ 10월 4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280팀 (16개국) |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천이두, 2004년부터 2008년까지는 안숙선이 집행위원장을 맡았다.
2. 2. 발전 (2009년 ~ 2017년)
2008년까지는 주로 전라북도립국악원과 전주 일원에서 축제가 열렸으며, 2006년부터는 전주한옥마을이 주요 장소로 추가되었다.연도 | 회차 | 기간 | 장소 | 공연팀 및 기타 |
---|---|---|---|---|
2010 | 9 | 2010년 10월 1일 – 5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3,000명 아티스트, 9개국, 150,000명 관람객 |
2011 | 10 | 2011년 9월 30일 – 10월 4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1,161명 아티스트, 9개국, 212,831명 관람객 |
2012 | 11 | 2012년 9월 13일 – 9월 17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1,592명 아티스트, 18개국, 228,519명 관람객 |
2013 | 12 | 2013년 10월 2일 – 6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2,834명 아티스트, 37개국, 281,478명 관람객 |
2014 | 13 | 2014년 10월 8일 – 12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1,300명 아티스트, 29개국, 302,378명 관람객 |
2015 | 14 | 2015년 10월 7일 – 11일 | 전라북도립국악원, 전주한옥마을 | 1,300명 아티스트, 28개국, 170,242명 관람객 |
2009년부터 2010년까지는 김명곤이 집행위원장을 맡았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박칼린, 김형석이, 2014년부터는 박제천이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2. 3. 확장 (2018년 ~ 현재)
주어진 자료에는 2018년 이후 전주세계소리축제의 확장 단계에 대한 정보가 없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이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3. 행사 내용
전주세계소리축제는 매년 가을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전라북도 일대에서 열리며, 실내외 프로그램, 어린이 소리 축제, 명창 및 명인들의 마스터 클래스, 워크숍 등이 진행된다. 판소리와 풍물을 비롯한 국악의 모든 거장들이 참여하며, 전 세계의 아티스트들을 환영하는 축제이다.
3. 1. 주요 프로그램
전주세계소리축제는 매년 가을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전라북도 일대에서 열리며, 실내외 프로그램, 어린이 소리 축제, 명창 및 명인들의 마스터 클래스, 워크숍 등이 진행된다. 판소리와 풍물을 비롯한 국악의 모든 거장들이 참여하며, 전 세계의 아티스트들을 환영하는 축제이다.3. 2. 부대 행사
전주세계소리축제는 매년 가을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전라북도 일대에서 실내외 프로그램, 어린이 소리 축제, 명창 및 명인들의 마스터 클래스, 워크숍 등을 통해 개최된다. 판소리와 풍물을 비롯한 국악의 모든 거장들이 참여하며, 전 세계의 아티스트들을 환영하는 축제이다.4. 역대 조직위원장
5. 역대 행사 주제 및 기간
연도 | 회차 | 주제 | 기간 | 참가팀 |
---|---|---|---|---|
2001년 | 1 | 소리사랑 온누리에 | 2001년 10월 13일 ~ 10월 21일(10일간) | 15개국 142개팀 |
2002년 | 2 | 목소리(Voice) | 2002년 8월 24일 ~ 9월 1일(8일간) | 16개국 156개팀 |
2003년 | 3 | 소리, 길, 만남 | 2003년 9월 27일 ~ 10월 5일(10일간) | 14개국 172개팀 |
2004년 | 4 | 소리! 경계를 넘다! | 2004년 10월 16일 ~ 10월 22일(7일간) | 14개국 190개팀 |
2005년 | 5 | 난(亂), 민(民), 협률(協律) | 2005년 9월 27일 ~ 10월 3일(7일간) | 25개국 190개팀 |
2006년 | 6 | 소리, 놀이 | 2006년 9월 16일 ~ 9월 24일(9일간) | 22개국 184개팀 |
2007년 | 7 | 소리, 몸짓 | 2007년 10월 6일 ~ 10월 14일(9일간) | 10개국 131개팀 |
2008년 | 8 | 소리, 오락 | 2008년 9월 26일 ~ 10월 4일(9일간) | 16개국 280개팀 |
2009년 | - | - | 신종플루로 인해 축제 취소 | - |
2010년 | 9 | 시간을 넘는 소리, 세대를 잇는 감동 | 2010년 10월 1일 ~ 10월 5일(5일간) | 9개국 3,200명 |
2011년 | 10 | 이리 오너라 Up Go 놀자 | 2011년 9월 30일 ~ 10월 4일(5일간) | 9개국 1,616명 |
2012년 | 11 | 소리 한 상 가득 | 2012년 9월 13일 ~ 9월 17일(5일간) | 18개국 1,529명 |
2013년 | 12 | 아리아리랑 소리소리랑 | 2013년 10월 2일 ~ 10월 6일(5일간) | 37개국 2,834명 |
2014년 | 13 | 대마디 대장단 | 2014년 10월 8일 ~ 10월 12일(5일간) | 29개국 1,300여명 |
2015년 | 14 | 소리 Big Party | 2015년 10월 7일 ~ 10월 11일(5일간) | 28개국 1,300여명 |
2016년 | 15 | 세상의 모든 소리 | 2016년 9월 29일 ~ 10월 3일(5일간) | 28개국 1,300여명 |
2017년 | 16 | 때깔 나는 소리 | 2017년 9월 20일 ~ 9월 24일(5일간) | 28개국 165여회 |
2018년 | 17 | 소리 판타지 | 2018년 10월 3일 ~ 10월 7일(5일간) | 18개국 154여회 |
2019년 | 18 | 바람, 소리 | 2019년 10월 2일 ~ 10월 6일(5일간) | 20개국 132여회 |
2020년 | 19 | 잇다영어 | 2020년 9월 16일 ~ 9월 20일(5일간) | |
2021년 | 20 | 소리#20 | 2021년 9월 29일 ~ 10월 3일(5일간) | |
2022년 | 21 | 더늠(20+1) | 2022년 9월 16일 ~ 9월 25일(10일간) | |
2023년 | 22 | 상생과 회복(Coexistence and Resilience) | 2023년 9월 15일 ~ 9월 24일(10일간) |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한국서부발전, 태안 지역 40여 가정 참여 ‘위피 썸머 캠프’ 성공적 개최
극장 밖으로 뛰처나간 심청…“‘판소리극 심청’은 딸들에게 바치는 레퀴엠”
전주세계소리축제 13일부터 닷새간 열려…개막 공연은 ‘심청’
전주세계소리축제 13일 개막···창극 ‘심청’ 새롭게 태어난다
착한 심청은 없다…새롭게 해석한 ‘판소리극 심청’
‘심청은 왜 그랬을까’…고전 완전히 재해석한 국립창극단 ‘심청’
가맥축·밤밤페스타···전주, 8월 한여름 밤 ‘야간축제 풍성’
전통과 현대를 잇는 소리의 향연···전주세계소리축제 8월 개막
“심청, 우리 전부의 이야기”…판소리 읊는 퓨전 심청이 온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