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숙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숙선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이다. 1949년 전라북도 남원에서 태어나 9세에 판소리를 시작하여, 주광덕, 김소희에게 사사했다.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활동했으며, 1986년 판소리 완창 발표회를 통해 명창으로 이름을 알렸다. 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국내외 다수의 공연을 통해 한국 전통 예술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1998년 예술문화훈장을 수훈했으며, 현재 남원춘향제 제전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 - 신영희 (1942년)
    신영희는 1942년 전라남도 진도군에서 태어나 판소리를 배우고 춘향가 등을 사사했으며, 1977년 남원 춘향제 명창부 대상을 수상하고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춘향가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어 국악 대중화에 기여했다.
  • 판소리 명창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판소리 명창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대한민국의 국악인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국악인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안숙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안숙선
원어명安淑善
로마자 표기Ahn Sook Sun
출생일1949년 9월 5일
출생지대한민국
직업판소리 대명창, 국가무형문화재

2. 생애 및 활동

안숙선은 판소리, 가야금 병창, 가야금 산조에서 모두 일가를 이룬 명인이다.[9] 1998년에는 '천상의 소리'라는 극찬과 함께 프랑스 정부가 수여하는 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를 한국 여성 예술인 최초로 받았으며, 다음 해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11]과 '올해의 국제적인 음악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국악전문지 《소리마당》 창간기념 조사에서 '국악계의 영향력 있는 인물' 1위에 선정되었고, 《아시아경제신문》 창간 21주년 기념 '한국을 움직이는 파워여성 리더 21인'에도 선정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49~1978)

1949년 남원에서 태어났다.[9] 9살 때 이모 강순영의 주선으로 주광덕 문하에서 소리를 배우기 시작했고,[9] 10대에는 외당숙 강도근에게서 판소리 다섯 바탕의 토막소리들을 배웠다.[5] 20세에 상경하여 만정 김소희에게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를 배웠다.[10]

친이모 강순영 명인에게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와 약간의 가야금 병창을 배웠고, 함동정월(최옥삼류), 원옥화(강태홍류), 김죽파(김죽파류)에게 가야금 산조를 사사했으며, 상경 후에는 향사 박귀희(박귀희류 가야금병창)에게 가야금 병창을 사사했다.[9]

2. 2. 서울 상경 및 활동 (1979~1996)

1979년(31세)에 국립창극단에 입단하여 양암 정광수(수궁가), 춘전 성우향(심청가), 박봉술(적벽가), 운초 오정숙(흥보가) 등에게 입문하였다.[9]

국립창극단 입단 이후, 음악적 능력은 물론 뛰어난 연기력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작품에 주역으로 섰으며, 특히 춘향 역은 당대 최고의 평가를 받으며 '영원한 춘향'이라는 수식어를 받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창극 수궁가에서의 토끼 역 또한 작은 체구를 십분 활용한 익살스러운 연기로 인해 큰 인기를 끌었다. 1986년, 적벽가 완창으로 다섯 바탕 소리를 완창함으로써 전통 판소리의 연창과 전승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타 장르와의 협업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재즈 뮤지션들과 자주 협연을 펼쳤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사물놀이 창시자 김덕수와 독일의 재즈그룹 레드 선(Red Sun)과 함께해 1995년 발표한 〈토끼 이야기〉는 한국 퓨전음악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스승 격인 인당 박동진, 운초 오정숙 명창의 뒤를 이어 판소리 다섯 마당을 모두 완창하였으며, 1988년 유럽 8개국 순회공연을 시작으로 미국 카네기 홀 공연, 링컨 센터 여름 축제 공연,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 한국인 최초 초청 공연, 영국 에든버러 페스티벌 한국인 최초 초청 공연, 호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초청 공연, 제1회 윤이상 범민족 통일 음악회 평양 모란봉극장 공연 등 프랑스, 미국, 캐나다, 독일,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체코, 중국, 일본, 몽골, 터키, 폴란드, 러시아, 홍콩, 브라질 등 세계 40여 개국 최고의 무대에 초청 공연을 통해 우리 소리를 알리는 동시에 세계적인 명창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1998년에는 '천상의 소리'라는 극찬과 함께 프랑스 정부가 수여하는 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를 한국 여성 예술인 최초로 수여받았으며, 다음 해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11]과 '올해의 국제적인 음악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다.

2. 3.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및 국제적 활동 (1997~현재)

1997년 박귀희 사후 40대 중반의 젊은 나이에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이후 제5호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로 재지정되었으며, 기존 가야금 산조 및 병창 분야의 보유자 자격은 인정 해제되었다.[9]

1986년부터 1995년까지 박동진, 오정숙 명창의 뒤를 이어 판소리 다섯마당을 모두 완창하였다. 1988년 유럽 8개국 순회공연을 시작으로 미국 카네기 홀, 링컨 센터 여름축제,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한국인 최초 초청), 영국 에든버러 페스티벌(한국인 최초 초청), 호주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초청 공연, 제1회 윤이상 범민족 통일 음악회 평양 모란봉극장 공연 등 세계 40여개국에서 공연하며 우리의 소리를 알리고 세계적인 명창으로 인정받았다.[9]

1998년 '천상의 소리'라는 극찬과 함께 프랑스 정부가 수여하는 문예공로훈장 오피시에를 한국 여성 예술인 최초로 받았으며,[6][7] 다음해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11]과 '올해의 국제적인 음악인상'을 수상하였다.

2001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 성악전공 교수로 임용되어 국내 최초의 판소리 전공 교수가 되었다. 2013년 퇴임 때까지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현재도 국내외에서 활발한 공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9]

3. 주요 공연

연도공연 내용
1981동남아 12개국 순회 공연
1986유럽 7개국, 미국 7개주 판소리 완창 공연
1986-1991판소리 다섯마당 완창
1988서울올림픽 공연, 유럽 8개국 12도시 38일 순회 완창 공연
1991미국 뉴욕 카네기 홀 공연
1994영국 런던 사우스뱅크센터 완창공연
1997뉴욕 링컨 센터 여름축제 초청공연
1998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 초청공연
1999제2회 윤이상 범민족통일음악회 평양 공연, 유럽(프랑스, 독일, 영국) 3개국 완창 공연, 대한민국 제15대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01일본 동경음악제 초청 공연
20022002년 FIFA 월드컵 개막식 피날레 공연
2003뉴욕 링컨센터 여름축제 초청 완창 공연, 영국 에든버러 페스티벌 한국인 최초 초청 공연, 프랑스 파리 가을 축제 초청공연, 대한민국 제16대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05부산APEC정상회의 만찬공연, MBC 대한민국음악축제 우리시대의 명창 안숙선/국민성악가 임웅균/대한민국 최고의 대중가수 인순이 3色 콘서트
2006프랑스 기메박물관 초청 공연
20072007년 남북정상회담 문화예술부분 특별수행원/만찬공연, KBS/국립극장 주최 안숙선 소리인생 50주년 기념공연 KBS홀 공연
2008대한민국 제17대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공연
2009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축하 워싱턴공연
2010폴란드 브레이브 페스티벌 초청 공연, 벨기에 스핑크스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1한,호 수교 50주년 호주 시드니 초청 공연, 서울 G20정상회의 만찬공연,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선정기원 축하공연
2012서울 핵 안보정상회의 축하공연, 여수세계엑스포 개막식 공연
2013대한민국 제18대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공연, 영국 런던 K-뮤직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5프랑스 파리 가을 축제 초청 공연, 벨기에 브뤼셀 K-뮤직 페스티벌 초청 공연
2018런던 K- music 페스티벌 초청 공연
1979-2013국립창극단 200여 작품의 주역, 도창, 작창
기타프랑스, 영국, 독일, 스페인, 러시아, 스웨덴, 벨기에, 폴란드, 네덜란드, 그리스, 스페인, 체코, 브라질,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중국, 몽골 등 40여개국 초청 공연


4. 수상 경력

5. 약력

순서내용
1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
2국립창극단 단장 겸 예술감독, 원로단원 역임
3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장(2004-2008) 역임
4용인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대우교수(1998-2000) 역임
5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2000-2013) 역임
6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2013-2015) 역임
7남원춘향제 제전위원장
8예술문화훈장 수훈(1998년)[6]
9아비뇽 페스티벌에서 공연(1998년)[7]


참조

[1] 웹사이트 안숙선 http://www.doopedia.[...] 2019-04-26
[2] 웹사이트 South Korean Living Cultural Asset Ahn Sook-Sun Shares Pansori With LACMA Audience http://kore.am/south[...] 2014-09-29
[3] 웹사이트 Ahn Sook-Sun https://k-music.co.u[...] 2019-04-26
[4] 웹사이트 [金泰完이 만난 사람] 명창 安淑善 http://monthly.chosu[...] 2007-04-03
[5]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1996-03-14
[6] 웹사이트 [박정기의 공연문화산책] 국립창극단의 김성녀 예술감독 안숙선 작창 도창, 이태백 음악감독, 손진책 대본 연출의 심청가 http://www.mhns.co.k[...] 2018-05-05
[7] 웹사이트 Les Coréennes https://festival-avi[...]
[8] 웹인용 안숙선 http://www.doopedia.[...] 두산세계대백과사전 2015-05-15
[9] 뉴스 『평생「소리의 멍에」를 지고 먼 길을 가는 게 소리꾼의 삶』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07-04
[10] 뉴스 미치도록 그리운 두 어른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6-03-14
[11] 뉴스 [문화의날] 3명에 금관문화훈장... 문화예술상도 선정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9-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