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한옥마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한옥마을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전통 한옥 밀집 지역이다. 전주는 후백제 왕국의 수도이자 조선 왕조의 정신적 수도로 여겨졌으며, 1만 년 전부터 사람들이 정착하여 한옥마을이 형성되었다. 경기전, 전동성당, 풍남문, 오목대, 전주향교 등 다양한 문화 유적지가 있으며, 전통문화관, 공예품전시관, 한옥생활체험관, 전통술박물관, 전통한지원, 한방문화센터 등의 시설을 통해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전주비빔밥, 막걸리, 콩나물국밥 등 다양한 먹거리가 유명하며, 덕진공원, 전주 영화의 거리, 전주 남부시장 등 주변 관광지와 함께 '고독한 미식가' 시즌7에도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산구 -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은 1990년에 개관하여 상설전시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4만 점 이상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완산구 - 전주기전대학
전주기전대학은 1973년 기전여자전문학교로 설립되어 1974년 개교했으며, 전문대학으로 개편된 후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는 5개 계열 35개 전공으로 전문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전북특별자치도 중화산동에 캠퍼스가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마을 - 서래마을
서래마을은 1985년 서울프랑스학교의 이전, 1990년대 프랑스계 기업들의 한국 진출로 형성되었고, 프랑스어 간판, 국기를 상징하는 색상의 블록 포장 도로 등 특징을 가지며, 서울프랑스학교, 다양한 프랑스 음식점, 카페 등이 위치해 있으며,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 대한민국의 마을 -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조선시대 양반들의 주거지였으며, 1930년대 한옥 골목길이 형성되었고, 한옥 보존을 위한 노력을 거쳐 현재는 다양한 문화유산과 관광 명소를 갖춘 곳이다. - 대한민국에 관한 - 간호사
의학적, 간호 지침을 포함한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에 관한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전주한옥마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주한옥마을 |
로마자 표기 | Jeonju Hanok Village |
한자 표기 | 全州韓屋마을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교동 일원 |
면적 | 298,260m² |
가구 수 | 947동 |
설립일 | 1910년대 |
웹사이트 | 전주한옥마을 공식 웹사이트 |
상세 정보 | |
설명 | 전주한옥마을은 전주시 완산구에 위치한 전통 한옥 마을이다. 8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대한민국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
2. 역사
전주는 대한민국의 오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900년대 견훤이 건국한 후백제의 수도였으며,[4] 조선 왕조의 정신적 수도로 여겨졌다. 조선 시대에 전주는 전라도 지역을 제주도와 함께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였다. 이러한 이유로 전주는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땅'이라고 불린다.[4]
전주 지역에는 1만 년 전에 사람들이 처음 정착했다. 처음에는 산기슭 주변에 살았고, 신라 시대에는 산 주변 평지로 이주했다. 전주 사람들은 도시 방어벽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많은 마을이 자연스럽게 도시 주변에 형성되었다. 이 마을들이 현재 한옥 마을의 시작이었다. 대한제국 시대에 전주 성벽이 철거된 후, 성벽 안의 주거 지역은 양반들을 중심으로 풍남동과 교동 지역 전체로 확장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의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5]
2. 1. 초기 역사
전주는 대한민국의 오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900년대 견훤이 건국한 후백제의 수도였다.[4] 이씨 왕가가 배출된 곳이기 때문에 조선의 정신적 수도로 여겨졌다. 조선 시대에 전주는 제주도와 함께 전라도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였다. 그래서 이 도시를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땅'이라고 부른다.[4]전주 지역에는 1만 년 전에 처음 사람들이 정착했다. 처음에는 산기슭 주변에 살았고, 신라 시대에 산 주변의 평지로 이주했다. 전주 사람들은 도시 방어벽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많은 마을이 자연스럽게 도시 주변에 형성되었다. 이 마을들이 현재 한옥 마을의 시작이었다. 대한제국 시대에 전주 성벽이 철거된 후, 성벽 안의 주거 지역은 양반을 중심으로 풍남동과 교동 지역 전체로 확장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의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5]
2. 2. 후백제와 조선 시대
전주는 대한민국의 오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900년대 견훤이 건국한 후백제의 수도였으며,[4] 조선 왕조의 정신적 수도로 여겨졌다. 조선 태조는 전주 이씨였다. 조선 시대에 전주는 제주도와 함께 전라도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였다. 이러한 이유로 전주는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땅'이라고 불린다.[4]2. 3. 한옥마을의 형성
전주는 대한민국의 오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900년대 견훤이 건국한 후백제의 수도였으며,[4] 조선 왕조의 정신적 수도로 여겨졌다. 전주는 이씨 왕가가 배출된 곳이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 전주는 제주도와 함께 전라도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였다. 그래서 이 도시를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땅'이라고 부른다.[4]전주 지역에는 1만 년 전에 처음 사람들이 정착했다. 처음에는 산기슭 주변에 살았고, 신라 시대에는 산 주변 평지로 이주했다. 전주 사람들은 도시 방어벽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많은 마을이 자연스럽게 도시 주변에 형성되었다. 이 마을들이 현재 한옥 마을의 시작이었다. 대한제국 시대에 전주 성벽이 철거된 후, 성벽 안의 주거 지역은 양반들을 중심으로 풍남동과 교동 지역 전체로 확장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의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5]
2. 4. 현대
전주는 대한민국의 오랜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900년대 견훤이 건국한 후백제의 수도였으며,[4] 조선 왕조의 정신적 수도로 여겨졌다. 조선 시대에 전주는 제주도와 함께 전라도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였다. 이러한 이유로 전주는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땅'이라고 불린다.[4]전주 지역에는 1만 년 전에 사람들이 처음 정착했다. 처음에는 산기슭 주변에 살았으나, 신라 시대에 평지로 이주했다. 전주 사람들은 도시 방어벽을 건설하기 시작했고, 많은 마을이 자연스럽게 도시 주변에 형성되었다. 이 마을들이 현재 한옥 마을의 시작이었다. 대한제국 시대에 전주 성벽이 철거된 후, 성벽 안의 주거 지역은 양반들을 중심으로 풍남동과 교동 지역 전체로 확장되었다. 이 마을은 전주의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 중 하나가 되었다.[5]
3. 문화 유적지
전주한옥마을에는 조선 시대의 다양한 문화 유적들이 보존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경기전, 전동성당, 풍남문, 오목대, 전주향교 등이 있다.
- '''경기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를 모신 곳으로,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광해군 6년(1614년)에 복원되었다.
- '''전동성당'''은 한국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의 순교지에 세워진 천주교 성당으로, 로마네스크와 비잔틴 양식이 혼합된 아름다운 건축물이다.
- '''풍남문'''은 조선 시대 전주를 둘러쌌던 성벽의 남문으로,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문이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08호로 지정되었다.
- '''오목대'''는 이성계가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경으로 돌아가던 중 전주에서 승전을 기념한 곳으로, 전주한옥마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전주향교'''는 조선 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유교 문화의 중심지였다. 고려 공민왕 때인 1354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현재 사적 제379호로 지정되어 있다.
3. 1. 경기전
경기전(慶基殿, 사적 제339호)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왕의 초상화)을 봉안하기 위해 태종 10년(1410년)에 지어진 건물이다. 태조 이성계의 어진은 전주, 경주, 평양, 개경, 영흥 등 총 6곳에 봉안되었으나 오직 전주의 어진만이 현존하고 있다. 1442년까지 경기전은 어용전(御容殿)이라고 불렸으며 조선왕조실록이 보관되기도 하였다. 정유재란 때 불에 타 소실되었던 경기전은 광해군 6년(1614년)에 복원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0] 2011년에 완성된 어진박물관과 여러 체험활동을 통해 경기전은 전주한옥마을의 주요 관광지로 자리잡았다.[31] 경기전의 입장료는 성인 3000KRW, 어린이는 1000KRW이다. 이용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6~8월은 오후 8시까지)이다.경전전(慶基殿)은 이성계의 어진을 봉안한 곳으로, 태종 10년(1410년)에 건립되었다.[13] 경전전은 대한민국의 사적 제339호로 지정되었으며, 이성계 어진은 국보 제317호로 지정되었다.[14] 경전전은 전주한옥마을 앞에 위치해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다. 경전전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초등학교를 짓기 위해 서쪽 부지와 부속 건물이 철거되어 원래보다 규모가 작아졌다.[15]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외삼문과 내삼문이 연결된 단순한 구조이다.
3. 2. 전동성당
전동성당(사적 제288호)은 프와넬 신부가 설계한 천주교 성당으로, 1908년에 착공하여 1914년에 완공되었다. 한국 천주교 최초 순교자인 윤지충(1759-1791)의 순교지에 세워졌으며, 서울특별시의 명동성당, 대구광역시의 계산성당과 함께 대한민국의 3대 성당으로 꼽힌다. 성당 건축 당시 국내 기술이 미흡하여 청나라 도공을 불러 공사를 했다는 일화가 있다. 로마네스크와 비잔틴 양식이 혼합된 형태로 곡선미가 아름다운 전동성당은 영화 “약속”, “전우치” 등에 등장하기도 하였다.[32] [6] [7]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서양식 건축물이다.
3. 3. 풍남문
풍남문은 조선 시대 전주를 둘러쌌던 성벽의 남문으로, 성벽이 훼손된 후 유일하게 남아있는 문이다.[16][17]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08호로 지정되었다.[17] 조선 선조 30년(1597년)에 사방의 성문이 모두 철거되었으나,[18] 1978년부터 3년간의 복원 작업을 거쳐 풍남문이 복원되었다.[19] 특히 2층에 위치한 문의 기둥 배열은 한국 건축 양식에서 매우 드문 형태이다.[19] 전주는 조선 시대에 전라도의 감영 소재지였기 때문에 도시를 둘러싸는 요새를 갖추고 있었다.3. 4. 오목대
전주한옥마을 동쪽에 있는 오목대 (梧木臺, 지방기념물 제16호)는 태조 이성계가 고려 우왕 6년(1380년) 황산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돌아가던 중 본향인 전주에 들러 승전고를 울리며 자축한 곳이다. 이후 고종이 친필로 ‘태조고황제주필유지’라는 비문을 새겨, 태조 이성계가 머무른 곳이라 전하고 있다.[33] 오목대는 언덕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전주한옥마을을 한눈에 내려볼 수 있는 좋은 곳으로, 많은 관광객이 이곳에서 전주한옥마을 관광을 시작한다.[8][9]
3. 5. 전주향교
고려 공민왕 때인 1354년에 처음 지어진 전주향교(사적 제379호)는 성균관을 모델로 삼았다. 원래 경기전 북쪽에 있었으나, 향교에서 나는 소리가 어진을 봉안한 경기전을 시끄럽게 한다는 이유로 태종 때 전주읍성 서쪽 황화대 아래로 옮겨졌다. 그 후 두 차례 전쟁을 겪고 선조 때인 1603년 현재 위치에 자리 잡았다. 전주향교는 제향 공간인 대성전과 강학 공간인 명륜당을 비롯하여 총 99칸이 넘는 규모였다. 향교 정문인 만화루는 그 고을에 특별한 존재가 태어났음을 상징하는 2층 누각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전주에서 태어난 태조 이성계 덕분이었다. 향교는 오랫동안 유학의 근본정신, 어진 심성, 예의 바른 성품을 가르치는 데 힘썼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많은 향교가 내리막길을 걸었고, 전주향교 역시 이러한 변화를 피할 수 없었다.[34] 전주향교는 이제 “지역의 다양한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전통문화의 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5]전주향교는 조선 시대 전주에 있던 학생들을 위한 유교 사당이자 학교였다.[10] 공민왕에 의해 1354년 건립되었으나, 두 차례의 전쟁 이후 이전을 거쳤다. 사당 구역의 주요 건물인 대성전이 앞에 위치하고, 강학 구역의 주요 건물인 명륜당이 뒤에 위치한 것은 일반적인 향교의 배치와는 다른 특이한 형태이다. 전주향교에는 총 99개의 방이 있다.[11] 대한민국 보물 제379호로 지정되어 있다.[12]
4. 주요 전통문화 시설
전주한옥마을에는 전주전통문화관, 전주공예품전시관, 전주한옥생활체험관, 전주전통술박물관, 전주전통한지원, 전주한방문화센터 등 다양한 전통문화 시설들이 있어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관람하며, 배울 수 있다.
4. 1. 전통문화관
전주전통문화관은 전주한옥마을 내에 있는 전통문화시설로, 시민과 관광객들이 전통혼례, 공연, 교육 및 전통음식 체험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한벽극장, 한벽루, 다향, 화명원, 조리체험실, 경업당 등에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프로그램과 시간이 다양하므로 방문 전 미리 일정을 확인하고 예약하는 것이 좋다.[36]4. 2. 공예품전시관
전주한옥마을 내에 있는 전주공예품전시관은 크게 전시관, 체험관, 쇼핑몰로 나뉘어 있다. 공예관과 기획관에서는 공예 관련 작품들을 관람할 수 있고, 체험관에서는 공예 체험을 할 수 있다. 명품특산관, 생활공예점에서는 공예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전주공예품전시관은 전주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고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오후 6시(하절기 오후 7시까지)이다.[37]4. 3. 한옥생활체험관
조선시대 양반집을 연상케 하는 전주한옥생활체험관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 안마당, 사랑마당으로 이루어진 전통한옥이다. 한국의 전통생활양식을 직접 체험하며, 전통숙박을 할 수 있다.[38]4. 4. 전통술박물관
전주전통술박물관은 2002년 전주한옥마을에 개관하여 전통 가양주(家釀酒)의 맥을 이어가고 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전통 가양주 문화는 원래 집집마다 술을 빚어 제사를 지내고 손님에게 대접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일제강점기 1909년 일제의 주세법 때문에 그 맥이 끊겼었다.[39] 이러한 전통 가양주의 맥을 찾아 잇고자 전통술박물관에서는 전통 가양주 강좌, 가양주 관련 연구 사업,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39]4. 5. 전통한지원
전주전통한지원에서는 우리 조상들의 장인정신이 깃든 전통 한지 제조 기법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순수 우리 한지만을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되는 한지의 80%는 일본에 수출되고, 나머지는 국내에서 판매된다.[40] 방문객들은 한지 뜨기, 무늬 넣기, 말리기 등 한지 제작 과정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40] 인터넷 쇼핑몰도 운영하고 있다.[40]4. 6. 한방문화센터
전주한방문화센터는 한의학과 한약학을 전통 생활문화와 연결하여 전시, 교육, 체험하는 국내 유일의 한의학 박물관으로, 한방문화관과 동의사상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순히 전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상체질 감별•진단, 한방 건강나이 측정, 한의학 치료원리, 한방바이오 상품체험 등을 통해 쉽게 한의학의 원리에 다가갈 수 있다. 입장 시간은 오전 10시에서 오후 7시까지이다.[41]5. 먹거리
아래의 먹거리들은 전주를 대표하는 음식이지만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음식점들이 모여 있기 때문에 간략하게 소개한다.[42]
- 전주비빔밥: 사골 국물로 밥을 짓고 콩나물을 넣어 뜸을 들이는 것이 특징이며, 황포묵, 육회 등 30가지가 넘는 재료를 사용한다.[43]
- 막걸리: 전주 막걸리는 한 주전자를 시키면 한정식 상차림이 함께 나오고, 추가 주문 시 새로운 안주가 나온다.[42] 전주 막걸리 타운은 여러 곳에 있으며, 전주한옥마을과 가까운 곳은 경원동이다.
- 모주와 콩나물국밥: 전주 콩나물국밥은 콩나물과 계란을 넣고 끓인 국물에 밥을 말아먹는 음식으로, 모주와 함께 즐겨 먹는다. 모주는 한약재와 계피를 넣어 알코올 도수를 낮춘 전주 지역의 막걸리이다.[42]
5. 1. 전주비빔밥
비빔밥은 각 지역마다 특색을 가지고 오랜 시간 발전해 온 한국 전통 음식이다. 전주비빔밥은 밥을 사골 국물로 짓고 뜸을 들일 때 콩나물을 넣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황포묵, 육회 등 총 30가지가 넘는 재료를 사용해 그 풍미를 더욱 살렸다. 비빔밥이 전주를 대표하는 음식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이다.[43]5. 2. 막걸리
전주 막걸리는 다른 지방과는 다르게 막걸리 한 주전자를 시키면 한 상이 꽉 차는 한정식 음식들이 같이 나온다. 음식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다르고, 막걸리를 추가로 주문할 때마다 새로운 안주가 함께 나온다.[42] 전주 막걸리 타운은 삼천동, 평화동, 효자동, 서신동, 경원동, 인후동 총 6곳에 자리 잡고 있고 이 중 전주한옥마을과 가까운 곳은 경원동이다. 일반적으로 막걸리 한 주전자는 15000KRW~19000KRW 정도이다.[42]5. 3. 모주와 콩나물국밥
전주콩나물국밥은 콩나물과 계란을 넣고 끓인 국물에 밥을 말아먹는 음식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든든한 한끼가 되기 때문에 서민들에게 인기가 많다. 콩나물국밥과 같이 즐기는 음료가 모주(母酒)이다. 모주는 전주의 특별한 막걸리로, 한약재와 계피를 넣어 알코올 도수를 낮춘 해장술이다.[42]6. 주변 관광지
덕진공원은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표적 연꽃 군락지로, 전주 도심에 자리 잡고 있다. 43000m2의 호수가 있는데, 매년 7월이 되면 연꽃이 만개한다. 현수교와 어우러져 이루는 장관 때문에 전국에서 관광객이 많이 찾아오고 주변 주민들도 쉼터로 이용한다.[44]
전주 영화의 거리는 전주 고사동 오거리 인근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전주의 대표적 명소이다.[45] 전주국제영화제가 매년 이곳에서 치러지고 있으며, 영화제가 열릴 때면 6만 7천여 명의 관광객들이 방문한다.[46]
남부시장은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2길에 있는 한국 최초의 시장으로, 조선 초기부터 이어져 왔다. 조선 시대에는 '남문밖시장'으로 불리다가 1936년에 크게 개축되면서 '남부시장'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전성기에는 전국의 쌀 시세가 결정될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졌으며, 현재는 290여 개의 점포와 1,200여 명의 상인이 있다.[48]
6. 1. 덕진공원
전북특별자치도의 대표적인 연꽃 군락지이다. 전주 도심에 있는 덕진공원에는 43000m2의 호수가 있는데, 매년 7월이 되면 연꽃이 만개한다. 연꽃이 호수 위 현수교와 어우러져 이루는 장관 때문에 전국에서 관광객이 많이 찾아오고 주변 주민들도 쉼터로 이용한다. 전주시는 2013년부터 덕진공원을 중심으로 대규모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공사를 시작했다. 전주시는 아시아 전통정원화 사업을 통해 덕진공원을 널리 알려진 관광지로 만들 계획이다.[44]
6. 2. 전주 영화의 거리
전주 영화의 거리는 전주 고사동 오거리 인근 일대에 조성되어 있는 전주의 대표적 명소이다.[45] 전주국제영화제가 매년 영화의 거리에서 치러지고 있는데, 영화제가 열릴 때면 6만 7천여 명의 관광객들이 영화의 거리를 방문한다.[46] 전주 영화의 거리는 행정기관 주도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도시를 가꾸고 만드는 데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디자인적인 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47]6. 3. 전주 남부시장
남부시장은 전주시 완산구 풍남문2길에 있는 한국 최초의 시장으로, 조선 초기부터 이어져 왔다. 조선 시대에는 '남문밖시장'으로 불리다가 1936년에 시장이 크게 개축되면서 '남부시장'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전성기에는 전국의 쌀 시세가 남부시장에서 결정될 정도로 큰 영향력을 가졌다고 한다. 현재는 290여 개의 점포와 1,200여 명의 상인이 있으며, 주단, 가구, 건어물, 채소, 과일, 약재 등을 주로 취급한다.[48] 주요 먹거리로는 콩나물국밥, 순대국밥, 팥죽, 보리밥, 수제비 등이 있다.[48]7. 대중문화 속 전주한옥마을
2018년 고독한 미식가 시즌7 9화에 전주한옥마을이 배경으로 나왔다.[1]
7. 1. 고독한 미식가
2018년 고독한 미식가 시즌7 9화에 전주한옥마을이 나왔다.[1]참조
[1]
웹사이트
Jeonju Hanok Village [Slow City]
https://web.archiv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5-12-22
[2]
웹사이트
A trip to Jeonju Hanok Village
http://korea.stripes[...]
2015-12-22
[3]
뉴스
한옥마을 보러 연 800만명 북적…'4대 관광도시'로 뜬 전주 (8 millions visitors are coming to Jeonju for Jeonju Hanok Village... rising one of the four touring city)
https://web.archive.[...]
2015-11-07
[4]
웹사이트
Jeonju City Tourism
https://web.archive.[...]
Jeonju City Tourism
[5]
웹사이트
여행이 있는 면횟길<24>전주 한옥마을
https://web.archive.[...]
2015-12-21
[6]
뉴스
대한민국 3대 성당 천주교 전동 성당 (South Korea's Three Catholic Cathedral, Jeondong Cathedral)
NEWSIS
2010-10-23
[7]
뉴스
우리나라 가톨릭 초기 역사를 볼 수 있는 '전동성당' ('Jeondong Cathedral, a sign of early history of Catholicism in Korea)
http://www.sisunnews[...]
2015-12-22
[8]
웹사이트
Local Cultural Assets - Home Culture Cultural Heritages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Omokdae & Imokdae
https://web.archive.[...]
2015-12-22
[10]
웹사이트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전주향교)
http://english.visit[...]
2019-04-22
[11]
웹사이트
Cyber Tour into Cultural Property
https://web.archive.[...]
2022-01-14
[12]
웹사이트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전주향교)
https://web.archive.[...]
2015-12-21
[13]
뉴스
'육룡이 나르샤' 태조 이성계의 영정이 봉안된 '전주 경기전'(Enshrinement of portrait of King Taejo, Gyeonggijeon in Jeonju)
https://web.archive.[...]
Edaily News
2015-12-21
[14]
뉴스
Portrait of King Taejo at Gyeonggijeon
https://web.archive.[...]
sjbnews
2015-12-22
[15]
뉴스
Gyeonggijeon of Jeonju Hanok Village
http://www.imaeil.co[...]
Maeil News
2015-12-22
[16]
웹사이트
Pungnammun Gate (전주 풍남문)
http://english.visit[...]
2019-04-22
[17]
뉴스
아픈 역사 이겨낸 한옥마을 속 조선 왕조의 뿌리(The root of Joseon Kings in Hanok Village)
https://web.archive.[...]
2015-12-22
[18]
뉴스
과거로 시간 여행...전주 한옥마을 '북적'(Time travel to the past, crowded at Jeonju Hanok Village)
http://www.ytn.co.kr[...]
2015-12-13
[19]
뉴스
김성호기자의 종교건축 이야기(The religion architecture story of reporter Kim Sungho)
http://news.naver.co[...]
2006-07-10
[20]
웹사이트
한지 전문쇼핑몰 전주전통한지원
https://web.archive.[...]
2015-12-22
[21]
뉴스
전통 위협받는 전주한옥마을, 상업화 '몸살'(Jeonju Hanok maeul threatened by commercialization)
https://web.archive.[...]
2015-11-08
[22]
뉴스
'지나친 상업화' 전주 한옥마을의 위기…정체성 복원 시급
https://www.yna.co.k[...]
2021-04-11
[23]
문서
한옥 735, 비 한옥 212
[24]
웹사이트
전주한옥마을 현황
http://hanok.jeonju.[...]
[25]
웹사이트
한옥마을의 역사와 유래
http://webcache.goog[...]
홍성덕
[26]
뉴스
여행이 있는 면횟길<24>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1-08-22
[27]
뉴스
전주한옥마을의 미래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2-09-27
[28]
웹사이트
전주한옥마을 웹페이지의 소개
http://hanok.jeonju.[...]
[29]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30]
뉴스
유료화된 경기전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2-06-03
[31]
뉴스
전주 경기전 볼거리 풍성해진다!
http://www.ytn.co.kr[...]
YTN
2011-11-08
[32]
뉴스
대한민국 3대 성당 천주교 전동 성당
http://www.newsis.co[...]
NEWSIS
2010-10-23
[33]
뉴스
감성과 전통의 전주 한옥마을
http://www.wolyo.co.[...]
월요신문
2012-07-16
[34]
뉴스
전주향교-'공자 가라사대'…전라도 유교•유학의 심장부
http://www.jjan.kr/n[...]
전북일보
2012-09-06
[35]
뉴스
전주 향교 유림회 이•취임식 열려
http://www.domin.co.[...]
전북도민일보
2011-12-27
[36]
웹사이트
회사 소개
http://www.jt.or.kr/
[37]
웹사이트
전시관 안내
http://hanji.phoill.[...]
2013-12-14
[38]
웹사이트
세화관 소개
http://www.jjhanok.c[...]
2005-03-05
[39]
웹사이트
수을관 안내
http://urisul.net/
2014-08-02
[40]
웹사이트
한지원소개
https://hanzi.co.kr:[...]
[41]
웹사이트
한방문화센터 둘러보기
http://cafe.daum.net[...]
[42]
뉴스
전주로 떠나는 막걸리 여행
http://food.chosun.c[...]
조선일보
2012-05-08
[43]
뉴스
콩나물서 황포묵까지 30가지… 전주비빔밥은 ‘퍼펙트 일품요리’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2-07-02
[44]
뉴스
전주 ‘아시아전통정원’ 조성 첫발
http://www.segye.com[...]
세계보
2012-11-14
[45]
뉴스
두 얼굴의 전주 영화의거리
http://www.domin.co.[...]
전북도민일보
2012-10-05
[46]
뉴스
“전주 영화의거리 속에 세상의 모든 자유가…”
http://reporter.kore[...]
다정다감
2012-05-07
[47]
뉴스
‘멋고장’ 전주, 디자인 도시로 업그레이드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11-10-25
[48]
뉴스
콩나물국밥 발상지, 피순대에 팥죽도 맛나요, 전주 남부시장
http://travel.chosun[...]
트래블조선
2012-1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전라감사 이상황 도정 기록 <호남일기> 국역본 발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