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화 교환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화 교환기는 전신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가입자 간의 직접 회선 없이 호출에 따라 개별 회선을 전환하고 상호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최초의 전화 교환기는 1877년 헝가리인 티바다르 푸슈카시의 제안에 따라 벨 전화 회사에서 제작되었고, 이후 수동 교환기를 거쳐 자동 교환기로 발전했다. 1891년 알몬 스트로저는 전화 회선의 자동 전환을 위한 스테핑 스위치를 발명했으며, 1970년대부터는 전자 교환기와 디지털 교환기가 등장했다. 전화 교환기는 사용 목적, 계층, 기술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대규모 전화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화 교환기 - 전자교환기
    전자교환기는 다이얼이나 버튼으로 상대방 번호를 찾아 통화를 연결하는 전자 장치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해 개발되었으며 반전자교환방식과 전전자교환방식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TDX 시리즈 개발로 전화 통신망 발전에 기여했으나 VoIP와 휴대전화에 밀려 레거시 시스템으로 불린다.
  • 전화 교환기 - BORSCHT
    BORSCHT는 전화 교환기의 주요 기능인 배터리 공급, 과전압 보호, 링잉, 신호, 코딩, 하이브리드, 테스트를 나타내는 약어이다.
  • 헝가리의 발명품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헝가리의 발명품 - 더 투르크
    더 투르크는 볼프강 폰 켐펠렌이 제작한 체스 두는 기계로, 터번 쓴 인형이 체스를 두는 모습이었으나 실제로는 사람이 숨어 조종하는 속임수였으며 유럽 순회 공연과 문화 콘텐츠 소재, 유사품 등장, 독일어 관용구에 영향을 미쳤다.
  • 전기 통신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전기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전화 교환기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통신 장비
설명전화 통화를 위해 전화를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
추가 정보
관련 용어전화국
중앙 사무실
참고 자료
참고 자료Verizon 서비스

2. 역사

전기 전신 시대에는 우체국, 역, 주요 정부 기관(부처), 증권거래소, 소수의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신문, 가장 큰 국제적으로 중요한 기업, 그리고 부유한 개인이 주요 사용 대상이었다.[2] 전화 교환기 발명 이전에도 전화 장치가 존재했지만, 당시 전신의 구조와 체계로는 전화 장치의 성공과 경제적인 운영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초기 전화는 단 하나의 다른 전화기와만 직접 연결되어 통신했기 때문이다.[3]

전화 교환기는 가입자 회선을 연결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작은 지역을 위한 전화 시스템이었다. 이는 전화를 일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만들었으며, 새로운 산업 부문의 탄생을 이끌었다.

전화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최초의 전화 교환기'라는 타이틀에는 여러 주장이 있다. 1877년 토마스 에디슨 아래에서 일하던 헝가리 출신 푸스카시 티바다르(Tivadar Puskás)가 전화 교환기를 처음 제안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4][5][6][7][8]

이후, 수동 교환기에서 자동 교환기로, 그리고 전자 교환기와 디지털 교환기로 발전해 왔다.

교환기 방식 비교
구분스위치제어 방식신호 방식전화 회선 지원중계 선로
전자 교환기다접점 봉입형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6다이얼 펄스, DTMF동축 케이블
디지털 교환기시분할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7다이얼 펄스, DTMF, ISDN, PHS광섬유, PDH, SDH, ATM


2. 1. 초기 수동 교환

1922년 보스턴 교환기 다이어그램


1903년 가입자 회선 4개를 위한 수동 교환기(위쪽)와 4개의 횡단형 통화 회로(가로), 그리고 운영자를 연결하는 막대(T) 하나. 가장 아래 횡단형 막대(E)는 신호 표시기(F)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휴 상태의 스테이션을 접지(지구)에 연결한다.


전화 교환기 발명 이전 초기 전화는 단 하나의 다른 전화기와만 직접 연결되어 통신했다.[3] 전화 교환기는 작은 지역을 위한 전화 시스템으로, 가입자 회선을 연결하여(상호 연결) 그들 사이에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했다. 교환기는 전화를 일상적인 사용에 편리하고 이용 가능한 기술로 만들었고, 새로운 산업 부문의 창출에 자극을 주었다.

전화의 발명 자체와 마찬가지로 "최초의 전화 교환기"라는 명예에는 여러 주장이 있다. 전화 교환기를 처음으로 제안한 사람 중 한 명은 헝가리 출신의 푸스카시 티바다르(Tivadar Puskás)로, 1877년에 토마스 에디슨에서 일하던 때 제안했다.[4][5][6][7][8] 푸스카시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실험용 전화 교환기는 벨 전화 회사에 의해 보스턴에 1877년에 건설되었다.[9] 세계 최초의 국가 운영 전화 교환기는 하인리히 폰 슈테판의 지휘 아래 1877년 11월 12일 베를린 근처 프리드리히스베르크에서 개설되었다.[10] 조지 윌러드 코이(George W. Coy)는 1878년 1월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개장한 최초의 미국 상업용 전화 교환기를 설계 및 건설했으며, 최초의 전화 부스는 인근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에 건설되었다.[11] 교환대는 "마차 볼트, 찻주전자 뚜껑 손잡이, 그리고 부스 와이어"로 만들어졌으며 동시에 두 개의 통화를 처리할 수 있었다.[12] 찰스 글리든도 1878년 매사추세츠주 로웰에 50명의 가입자를 가진 교환기를 설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에서는 다른 초기 전화 교환기가 런던맨체스터에 설치되었는데, 두 곳 모두 1879년에 벨 특허에 따라 개장했다.[13] 벨기에에는 1년 후 안트베르펜에 첫 국제 벨 교환기가 설치되었다.

1887년 푸스카시는 다중 교환대를 도입했다.[14]

후기 교환기는 플러그 보드 수백 개로 구성되었고 교환대 운영자들이 근무했다. 각 운영자는 1/4인치 팁-링-슬리브(3-도체) 잭의 은행이 있는 수직 패널 앞에 앉았는데, 각 잭은 가입자의 가입자 회선(subscriber)의 현지 종단이었다. 잭 패널 앞에는 두 줄의 패치 코드가 있는 수평 패널이 있었는데, 각 쌍은 코드 회로(cord circuit)에 연결되었다.

발신자가 수화기를 들면, 지역 루프 전류가 잭 근처의 신호등을 켰다.[15] 운영자는 후면 코드("응답 코드")를 가입자 잭에 삽입하고 헤드셋을 회로에 전환하여 "번호를 말씀해 주십시오?"라고 물었다. 지역 통화의 경우, 운영자는 쌍의 전면 코드("벨소리 코드")를 발신자의 지역 잭에 삽입하고 벨소리 사이클을 시작했다. 장거리 통화의 경우, 운영자는 트렁크 회로에 연결하여 다른 교환대 은행이나 원격 중앙 사무소의 다른 운영자에게 연결했다. 1918년 장거리 통화 연결을 완료하는 데 평균 15분이 걸렸다.[15]

초기 수동 교환대는 운영자가 청취 키와 벨소리 키를 조작해야 했지만, 1910년대 후반과 1920년대에 교환대 기술의 발전으로 운영자가 응답 코드를 삽입하면 통화가 자동으로 응답되고, 운영자가 발신자의 잭에 벨소리 코드를 삽입하자마자 벨소리가 자동으로 시작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운영자는 회로에서 분리되어 다른 통화를 처리할 수 있었고, 발신자는 들리는 벨소리 신호를 들었기 때문에 운영자가 정기적으로 계속 벨을 울리고 있다고 보고할 필요가 없었다.[16]

링다운(ringdown) 방식에서는 발신 운영자가 다른 중간 운영자를 호출하여 발신 가입자를 호출하거나 다른 중간 운영자에게 전달했다.[17] 이러한 중간 운영자의 체인은 모든 센터 간에 중간 트렁크 회선이 동시에 사용 가능한 경우에만 통화를 완료할 수 있었다. 1943년 군사 통화가 우선순위를 가졌을 때, 장거리 통화를 위한 수동 교환대를 사용하는 도시에서는 장거리 미국 통화를 요청하고 예약하는 데 2시간이 걸릴 수 있었다.

2. 2. 자동 교환기의 등장

호주의 한 시골 지역 전화 교환국 건물


'''자동 교환기'''는 1888년 알몬 스트로거(Almon Strowger)에 의해 발명되었다.[21] 1892년에 처음 상업적으로 사용되었지만, 20세기 초까지는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자동 교환기는 전화 통화에 필요한 연결을 완료하는 인간 교환원의 필요성을 없앴다. 자동화는 인간 교환원을 전기 기계 시스템으로 대체했으며, 전화기에는 발신자가 자동 교환 시스템에 목적지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다이얼이 장착되었다.

전화 교환기는 사용자가 수화기를 스위치 후크 또는 크래들에서 떼어낼 때 전화기의 오프 훅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교환기는 다이얼 톤을 제공하여 교환기가 다이얼된 숫자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전화기에서 생성된 펄스 또는 DTMF 톤이 처리되고, 동일한 교환기 내 또는 다른 원거리 교환기로 목적지 전화기에 연결이 설정된다.

교환기는 한쪽이 전화를 끊을 때까지 연결을 유지한다. 이 연결 상태 모니터링을 ''감독''이라고 한다. 청구 장비와 같은 추가 기능도 교환기에 통합될 수 있다.

벨 시스템 다이얼 서비스는 자동 번호 식별(ANI)이라는 기능을 구현하여 자동 청구, 수신자 부담 800번 및 9-1-1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용이하게 했다. 수동 서비스에서는 교환대 잭 필드의 불빛으로 통화의 발신 위치를 알 수 있었다. ANI 이전에는 장거리 통화가 교환원 대기열에 배치되었고, 교환원은 발신자의 번호를 묻고 종이 요금 티켓에 기록했다.

초기 교환기는 모터, 샤프트 구동 장치, 회전 스위치 및 릴레이를 사용하는 전기 기계 시스템이었다. 자동 교환기의 일부 유형에는 스트로거 스위치(Strowger switch) 또는 단계별 스위치, 올 릴레이, 패널 스위치(panel switch), 회전식 시스템(Rotary system) 및 교차바 스위치(crossbar switch)가 있다.

일본에서는 1965년(쇼와 40년)에 도쿄와 전국 도도부현청 소재지 간에 전화 교환원을 거치지 않는 다이얼 즉시 통화가 가능해졌다. 이것을 "다이얼 즉시 통화", "다이얼 즉시화"라고 표현했다.[21]

1891년 3월 10일, 캔자스시티 (미주리주)의 발명가 앨먼 브라운 스트로저는 전화 회선의 전환을 자동화하는 장치인 스테핑 스위치의 특허를 취득했다. 이 특허에는 많은 확장과 개조가 이루어졌지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10개의 단(0-9에 대응)과 각각 반원형으로 배열된 10개의 접점을 가진 뱅크로 구성되었다. 회전 다이얼식 전화와 함께 사용될 때, 번호의 각 쌍에 따라 스테핑 스위치 중앙의 슬라이딩 컨택터가 첫 번째 번호의 펄스 개수만큼 단을 상승하고, 다음 번호의 펄스 개수만큼 소회전하면서 접점 조를 수평으로 슬라이딩한다(스텝 바이 스텝 교환기 참조).

이후 스테핑 스위치는 뱅크에 배치되는데, 첫 번째 단은 "라인 파인더"이다. 최대 100개의 가입자 회선 중 하나가 수화기를 "오프 훅"으로 들면, 라인 파인더는 그 가입자 회선을 비어 있는 첫 번째 셀렉터(전환 회선)에 연결하고, 다이얼될 자릿수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다는 다이얼톤을 가입자에게 돌려준다. 가입자의 다이얼은 초당 약 10펄스로 펄스 신호를 발생시켰지만, 속도는 개별 전화 운영 규격에 따라 다양했다.

스트로저 스위치 기반 교환기는 패널 스위치(panel switch) 교환기, 크로스바 스위치 기술에 밀리게 되었다. 이러한 교환기 설계는 더 빠른 전환이 가능했고, 스트로저식의 표준 10펄스/초보다 빠른 약 20펄스/초의 펄스 신호를 받아들였다. 이후 많은 교환기가 DTMF "푸시 신호" 등의 톤 신호 시스템을 채용했다.

기술 과도기(펄스에서 DTMF)에는 DTMF를 펄스로 변환하여 종래의 스트로저 스위치, 패널 스위치, 크로스바 스위치에 공급하기 위한 컨버터를 탑재했다. 이 기술은 2002년 중반까지 사용되었다.

2. 3. 전자 교환기와 디지털 교환기

1960년대부터 전자 교환기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전자 교환기는 다접점 봉입형 스위치를 사용하며, 축적 프로그램 방식과 공통선 신호 No.6 방식을 활용한다. 1970년대에는 디지털 교환기가 등장했는데, 이는 시분할 스위치를 사용하고 공통선 신호 No.7 방식을 채택하여 통신 효율성을 더욱 높였다.[21] 전자 교환기와 디지털 교환기는 유연 과금을 지원하고, 다이얼 펄스, DTMF, ISDN, PHS 등 다양한 회선 방식을 지원한다. 중계 선로 방식으로는 광섬유를 사용하며, PDH, SDH, ATM 등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교환기 방식 비교
구분스위치제어 방식신호 방식전화 회선 지원중계 선로
전자 교환기다접점 봉입형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6다이얼 펄스, DTMF동축 케이블
디지털 교환기시분할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7다이얼 펄스, DTMF, ISDN, PHS광섬유, PDH, SDH, ATM


3. 기술 발전



전화 교환기는 1877년 보스턴의 벨 전화 회사에서 최초로 실험적인 전화 교환기가 만들어진 이후, 수동, 자동, 전자,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하면서 통신 기술의 발전을 이끌었다.

1888년 알몬 스트로거(Almon Strowger)가 발명하고 1892년에 처음 상업적으로 사용된 자동 교환기는 20세기 초 전화 통화 연결을 자동화하여 인간 교환원의 필요성을 없앴다. 초기 자동 교환기는 스트로거 스위치(Strowger switch) (단계별 스위치), 패널 스위치(panel switch), 회전식 시스템(Rotary system), 교차바 스위치(crossbar switch)와 같은 전기 기계 시스템을 사용했다.

전면 덮개를 제거한 일반적인 위성 PABX


193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의 여러 연구소에서 디지털 교환 및 전송에 대한 개념이 연구되었다.[17] 벨 연구소는 ESSEX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최초의 디지털 교환기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며, 파리의 LCT(Laboratoire Central de Telecommunications)는 디지털 전송 시스템과 결합된 최초의 진정한 디지털 교환기를 설계했다.[17] 1972년 프랑스 브르타뉴에서는 알카텔의 E10 시스템이 최초로 상용화된 디지털 지역 교환 시스템이었다.[17]

대표적인 디지털 교환기에는 에릭슨의 AXE 교환기, 알카텔-루슨트의 E10, 1000-S12, 웨스턴 일렉트릭 5ESS,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EWSD, 노텔의 DMS100, NEC NEAX, 마코니 시스템 X 등이 있다.

디지털 교환기는 초당 8,000번(샘플링 속도 8kHz) 음성을 PCM 디지털 신호로 인코딩한다. 이 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를 통해 수신측에서 다시 원래 음성으로 변환된다.

3. 1. 신호 방식

전화 교환기 간 정보 전송 방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교환기 간 정보 전송 방식
방식설명장점단점비고
공통선 신호 방식제어 신호를 통화로와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송수신한다. 사업용 디지털 교환기·전자 교환기 상호 간에 사용되며, 공통선 신호 제7호가 대표적이다.
공통 채널 신호 방식통화 채널과 동일한 전송로에 다중화된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ISDN의 D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D채널 공통 채널 방식”이라고 한다. 원격 다중 가입자선 전송 장치(RSBM)·내선전화 교환기와 가입자 교환기 사이에 사용된다.
개별선 신호 방식통화 회선과 같은 전송로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중 주파수(Multi Frequency) 신호가 사업용 교차 접속기(crossbar exchange) 상호 간에, DTMF 및 모뎀을 사용하는 방식이 내선 전화 교환기와 가입자 교환기 간에 사용되었다. 디지털 교환기로 교체가 완료된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3. 2. 교환 방식

초기 전화 교환기는 교환원이 직접 회선을 연결하는 수동 방식이었다. 1892년 알몬 스트로거(Almon Strowger)가 발명한 자동 교환기는 전화 통화 연결을 자동화하여 교환원의 필요성을 없앴다. 자동 교환기는 스트로거 스위치(Strowger switch) 또는 단계별 스위치, 교차바 스위치(crossbar switch)와 같은 전기 기계 시스템을 사용했다.

전자 교환기는 다접점 봉입형 스위치와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을 사용했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로는 웨스턴 일렉트릭의 1ESS 교환기, 노던 텔레콤의 SP1 교환기, 에릭슨의 AXE 등이 있다.

디지털 교환기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알카텔의 E10 시스템은 1972년 프랑스에서 상용화된 초기 디지털 교환 시스템이다. 디지털 교환기의 예로는 에릭슨의 AXE 교환기, 알카텔-루슨트의 E10, 1000-S12, 웨스턴 일렉트릭 5ESS 등이 있다.

3. 3. 유지 보수

전기 기계식 교환 시스템은 직류 및 교류 전원을 필요로 했으며, 이는 현장에서 기계식 발전기를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또한, 전화 교환기는 많은 기계 부품의 조정이 필요했다.[18] 현대식 교환기와 달리, 전기 기계식 교환기를 통해 다이얼된 호출을 연결하는 회로는 금속 도체를 통해 지역 교환 지역 내에 직류 연속성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시스템의 설계 및 유지보수 절차에는 가입자가 서비스 품질의 과도한 변화를 경험하거나 고장을 감지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포함되었다. ''메이크-비지(make-busy)''라고 하는 다양한 도구는 고장 시와 수리 중에 전기 기계식 스위치 요소에 연결되었다. 메이크-비지는 작업 중인 부품을 사용 중인 것으로 식별하여 교환 로직이 해당 부품을 우회하도록 했다. 유사한 도구를 ''TD 도구''라고 불렀다. 체납 가입자의 서비스는 일시적으로 거부(TD)되었다. 이는 크로스바 교환기 시스템의 가입자 사무실 장비 또는 단계별 교환기의 회선 그룹에 도구를 연결하여 수행되었다. 가입자는 전화를 받을 수 있었지만 발신할 수는 없었다.

벨 시스템의 스트로저 기반 단계별 교환국은 청소와 같은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했다. 장비 베이의 표시등은 퓨즈가 나간 경우(보통 백색 램프) 또는 영구 신호(끊임없이 수화기가 벗겨진 상태, 보통 녹색 표시등)와 같은 상태를 직원에게 알렸다. 단계별 교환국은 최신 기술보다 단일 지점 고장에 더 취약했다.

크로스바 교환국은 더 많은 공유된 공통 제어 회로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디지트 수신기(''발신 레지스터''라고 하는 요소의 일부)는 가입자가 다이얼한 숫자를 수집하는 데 필요한 시간만큼 호출에 연결되었다. 크로스바 아키텍처는 단계별 교환국보다 더 유연했다. 후기 크로스바 시스템에는 카드 기반의 문제 보고 시스템이 있었다. 1970년대까지 벨 시스템의 거의 모든 단계별 및 크로스바 교환기에 자동 번호 식별이 개조되었다.

4. 종류

무선전화기가 등장하기 전에는 전화 통화를 위해 전화기끼리 단일 전화 회선으로 연결해야 했다. 하지만 여러 장소의 전화기와 통신하려면 연결 대상을 바꿀 때마다 전화 회선을 연결해야 했다. 그래서 전화를 걸 때, 각 지역의 전화국에 있는 전화 교환원에게 연결 대상을 말하면, 교환원이 수동으로 전화 회선을 연결했다. 이러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빠르게 하기 위해, 전화기에서 보내는 다이얼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전화 회선을 연결하는 기계가 발명되었다.

초기 전화 교환기는 기계식으로, 전화 회선과 연결된 접점이 물리적으로 움직여 연결 대상을 바꾸었다. 이후 전자 교환기가 발명되어 전자 회로를 통해 회선을 전환하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상호 접속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1965년에 도쿄와 전국 도도부현청 소재지 간에 전화 교환기를 거친 통화가 가능해졌다. 이를 "다이얼 즉시 통화", "다이얼 즉시화"라고 불렀다.[21] NTT 등의 전기통신사업자를 위한 전화 교환기는 2015년에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사무실이나 공장 등의 내선 전화용(자영 설비) 구내 교환기는 이후에도 생산되고 있다.

VoIP로의 교체가 진행되고 있으며, NTT는 2025년경에 교환기 설비의 유지가 한계에 이를 것으로 보고 2024년을 목표로 공중전화망을 차세대 통신망(NGN)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교환기의 역사
방식통화로
스위치
제어 방식신호 방식시외 통화
전화 요금
시내 통화
전화 요금
다이얼 펄스DTMFISDNPHS전화 회선중계 선로 방식
수동패치 패널교환원자석식
공전식
Hudson 과금횟수××××전선
1880단계식 교환기가동 접점다이얼 펄스 직접개별 선 신호선Carlson 과금횟수×××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1920교차 접속 교환기교차 접속 스위치배선 논리 간접 제어광역 시분할횟수××도파관FDM
1960전자 교환기다접점 봉입형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6유연 과금유연 과금××동축 케이블FDM
1970디지털 교환기시분할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7유연 과금유연 과금광섬유PDH
SDH
ATM



교환기는 단계적, 대폭적으로 소형화되었고, 그 장소는 콜로케이션 규칙(co-location=공동의 설치 장소)으로 관문 교환기·ADSL의 하우징 서비스로서 다른 전기 통신 사업자에게 대여되고 있다.

4. 1.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사내전용교환기(PAX, Private Automatic eXchange)는 전용선이나 내선 전화망에만 연결되며, 공중 교환 회선에는 연결되지 않는 교환기다. 주로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 특정 조직 내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내선교환기(P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는 내선 전화망, 전용 회선과 공중 회선을 상호 연결하는 교환기다.

전기통신사업용 교환기는 NTT와 같은 통신 사업자가 공중 회선 교환에 사용하는 대형 교환기다. 공중 회선끼리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4. 2. 계층에 따른 분류

통신 사업자들이 보유한 교환망은 거대하기 때문에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 계층에서 교환기의 기능은 다르다.

  • '''가입자 교환기(LS, Local Switch)''' : 일반 전화 가입자를 직접 수용하는 교환기로, 교환망의 최하층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NTT 도코모에는 MLS라는 최하층 교환기가 있는데, 이는 Mobile Local Switch의 약자이다.
  • '''중계 교환기(TS, Toll Switch)''' : 교환망 내에서 교환기들을 상호 연결하는 장치이다. TS가 정확히 무엇의 약자인지는 불명확하다. 하나의 LS는 그 지역의 많은 가입자를 수용하므로, 그 지역 내의 상호 통화는 LS만으로 가능하지만, 다른 LS에 수용된 가입자와 통화하려면 TS를 통해 회선을 교환해야 한다. 모든 LS를 직접 연결하면 연결 수가 엄청나게 많아지므로, 필요할 때만 중계하는 것이 TS의 존재 의의이다.
  • '''관문 교환기(GS, Gateway Switch)''' : 서로 다른 통신망 간을 연결하는 교환기이다. 기능적으로는 TS 기능을 포함한다. 어떤 교환망이 다른 교환망과 상호 접속하고 싶을 때, 그 관문(POI, Point of Interconnection)에 설치된다. TS 기능 외에, 신호 변환 기능을 갖는 경우가 많다.

4. 3. 기술 방식에 따른 분류

스위치제어 방식신호 방식시외 통화
전화 요금시내 통화
전화 요금다이얼 펄스DTMFISDNPHS전화 회선중계 선로 방식수동패치 패널교환원자석식
공전식Hudson 과금횟수××××전선1880년대단계식 교환기가동 접점다이얼 펄스 직접개별 선 신호선Carlson 과금횟수○×××트위스트 페어 케이블1920년대교차 접속 교환기교차 접속 스위치배선 논리 간접 제어광역 시분할횟수○○××도파관FDM1960년대전자 교환기다접점 봉입형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6유연 과금유연 과금○○××동축 케이블FDM1970년대디지털 교환기시분할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7유연 과금유연 과금○○○○광섬유PDH
SDH
ATM

5. 네트워크 내 역할

전화 교환기는 전화 네트워크에서 가입자 간 통화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 통신망에서는 디지털 교환기가 널리 사용되며, VoIP 기술로의 전환이 진행 중이다.

6. 한국의 전화 교환기

1965년도쿄와 전국 도도부현청 소재지 간에 전화 교환기를 거친 통화가 가능해졌다. 이를 "다이얼 즉시 통화", "다이얼 즉시화"라고 표현했다.[21] NTT 등의 전기통신사업자를 위한 전화 교환기는 2015년에 생산을 종료했지만, 사무실이나 공장 등의 내선 전화용(자영 설비) 구내 교환기는 그 이후에도 생산되고 있다.

VoIP로의 교체가 진행되고 있으며, NTT는 2025년경에 교환기 설비의 유지가 한계에 이르므로 2024년을 목표로 공중전화망을 차세대 통신망(NGN)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교환기의 역사
방식통화로
스위치
방식전화 요금전화 회선중계 선로
제어신호시외 통화시내 통화다이얼 펄스DTMFISDNPHS방식
수동패치 패널교환원자석식
공전식
Hudson 과금횟수××××전선
1880년대단계식 교환기가동 접점다이얼 펄스 직접개별 선 신호선Carlson 과금×××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1920년대교차 접속 교환기교차 접속 스위치배선 논리 간접 제어광역 시분할××도파관FDM
1960년대전자 교환기다접점 봉입형축적 프로그램 방식공통선 신호 No.6유연 과금××동축 케이블
1970년대디지털 교환기시분할공통선 신호 No.7광섬유PDH
SDH
ATM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Definitions http://www.verizonen[...] Verizon Enterprise Solutions
[2] 뉴스 Private Telegraphs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1878-04-19
[3] 서적 Peer to Peer: Collaboration and Sharing Over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4] 서적 Inventors and inventions Great lives from history Volume 4 of Great Lives from History: Inventors & Inventions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5] 웹사이트 TIVADAR PUSKÁS (1844–1893) https://web.archive.[...] 2011-02-04
[6] 웹사이트 SZTNH http://www.mszh.hu/E[...] Mszh.hu 2012-07-01
[7] 웹사이트 Puskás, Tivadar http://www.omikk.bme[...] Omikk.bme.hu 2012-07-01
[8] 웹사이트 Welcome hunreal.com - BlueHost.com http://www.hunreal.c[...] Hunreal.com 2012-07-01
[9] 서적 Edison His Life And Inventions
[10] 웹사이트 120 Year Telephone anniversary http://cdrecord.org/[...]
[11] 뉴스 Top 50: New Haven was birth place of the modern telephone https://www.nhregist[...] 2018-04-22
[12]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first switchboard" page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Early Manchester telephone exchanges https://web.archive.[...] mosi.org.uk 2013-07-30
[14] 서적 Hungarian Contributions to World Civilization
[15] 웹사이트 Basic Telephones https://web.archive.[...] 2003-09-07
[16] 웹사이트 Stromberg-Carlson Telephone Mfg. Co. Resource Page http://www.stromberg[...] 2020-09-09
[17] 웹사이트 Basic Telephones, The Switchboard (ringdown is near bottom) https://web.archive.[...] 2003-09-07
[18] 문서 Federal Standard 1037C
[19] 문서 Connected to a switch, an off-hook condition operates a relay to connect the line to a dial tone generator and a device to collect dialed digits.
[20] 뉴스 Phone System Feared Vulnerable To Wider Disruptions of Service https://web.archive.[...] 1988-05-26
[21]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2] 뉴스 Private Telegraphs https://news.google.[...] シドニー・モーニング・ヘラルド 1878-04-19
[23] 서적 Peer to Peer: Collaboration and Sharing Over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24] 서적 Inventors and inventions Great lives from history Volume 4 of Great Lives from History: Inventors & Inventions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25] 웹사이트 SZTNH http://www.mszh.hu/E[...] Mszh.hu 2012-07-01
[26] 웹사이트 Puskás, Tivadar http://www.omikk.bme[...] Omikk.bme.hu 2012-07-01
[27] 웹사이트 Welcome hunreal.com - BlueHost.com http://www.hunreal.c[...] Hunreal.com 2012-07-01
[28] 서적 Edison His Life And Inventions
[29] 웹사이트 120 Year Telephone aniversary http://cdrtools.sour[...] 2019-05-23
[30]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first switchboard" page https://web.archive.[...]
[31] 웹사이트 Early Manchester telephone exchanges https://web.archive.[...] mosi.org.uk 2013-07-30
[32] 서적 Hungarian Contributions to World Civilization
[33] 웹사이트 Basic Telephones https://web.archive.[...] 2003-09-07
[34] 웹사이트 Stromberg-Carlson Telephone Mfg. Co. Resource Page http://www.stromberg[...]
[35] 웹사이트 Basic Telephones, The Switchboard (ringdown is near bottom) https://web.archive.[...] 2003-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