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용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용선은 두 지점 간의 직접적인 통신 회선을 의미하며, 1970년대 디지털 기술 도입과 함께 발전했다. 초기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 연결에 사용되었고, 이후 프레임 릴레이, ATM, 인터넷 연결에 활용되었다. 21세기 들어서는 광대역 통신망의 발달로 전송 속도가 향상되었으며, 사설망 구축, 인터넷 연결, 금융 기관 통신, 방송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전용선은 국가별로 다양한 기술과 속도로 제공되며, 최근에는 DSL, 메트로 이더넷 등의 대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회로 - 트랜스폰더
    트랜스폰더는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재송신하는 중계기로, 무선 통신, 위성 통신, 항공/해상 교통 관제, 철도 시스템,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통신 회로 - 반송파
    반송파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변조되는 기본 주파수 신호로, 초기 라디오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대에도 다중 채널 전송 기술에 활용된다.
  • 전기통신 - FTTX
    FTTx는 광섬유를 활용한 통신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방식으로, 광섬유 연결 위치에 따라 FTTH, FTTB, FTTC, FTTN 등으로 나뉘며, 각 방식은 구축 비용과 제공 대역폭에 차이가 있고, VDSL, PON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미래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지속적인 발전과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 전기통신 - 중계기
    중계기는 전기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신호를 증폭하거나 재생성하여 통신 거리를 연장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전용선
전용 회선
정의
설명전용 회선은 통신 사업자가 임대하고 특정 사용자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회선이다.
사용자는 대개 기업, 정부 기관 및 기타 조직으로, 이들은 이 회선을 사용하여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 음성 또는 비디오를 전송한다.
이러한 회선은 공용 인터넷이 아닌 사용자에게 전용된 물리적 케이블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구축된다.
특징전용 회선은 일반적으로 공용 인터넷 연결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대역폭을 보장한다.
종종 동기식 전송에 사용되어, 데이터를 일정한 속도로 보내고 받는다.
전용 회선은 대개 고객의 특정 요구 사항에 맞게 사용자 정의할 수 있다.
종류
구리선구리선은 오랫동안 사용된 매체로, 전화를 위한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된다.
속도와 거리는 구리선의 품질과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광섬유광섬유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섬유를 사용하여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매우 높은 대역폭과 속도를 제공하여 광범위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신호 감쇠가 적어 장거리 전송에 유용하다.
무선무선 전용 회선은 마이크로파나 기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유선 인프라가 없는 지역에 적합하며 유연성을 제공한다.
무선 회선은 환경 조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보안 및 간섭 문제에 민감할 수 있다.
위성위성 회선은 위성을 사용하여 지구상의 다른 위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원격 지역 및 대륙 간 연결에 유용하며, 지상 인프라가 부족한 곳에 필요하다.
위성 통신은 지연 시간이 길고 비용이 높을 수 있다.
기술
T 캐리어T 캐리어 시스템은 북미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전송 기술로, T1 및 T3 회선이 포함된다.
T1 회선은 1.544 Mbps의 속도를 제공하고 T3 회선은 44.736 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구리선 기반으로 음성 및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E 캐리어E 캐리어 시스템은 유럽과 기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전송 기술로, E1 및 E3 회선이 포함된다.
E1 회선은 2.048 Mbps의 속도를 제공하고 E3 회선은 34.368 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T 캐리어 시스템과 유사하게 음성 및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동기식 광대역 네트워크 (SONET/SDH)SONET (북미) 및 SDH (국제 표준)는 광섬유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화된 디지털 전송 기술이다.
매우 높은 속도와 대역폭을 제공하며 광범위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음성, 데이터 및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MPLS)MPLS는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에 레이블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대역폭 사용을 개선할 수 있다.
트래픽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 품질 기능을 제공한다.
이더넷이더넷은 오늘날 LAN 및 WAN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킹 기술이다.
이더넷 전용 회선은 다양한 속도와 대역폭으로 광섬유 또는 구리선에서 제공된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며 현대 네트워킹에 적합하다.
주요 용도
기업 연결기업 전용 회선은 지점 간 연결, 데이터 센터 연결 및 클라우드 서비스 연결에 사용된다.
이러한 연결은 기업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안정적인 통신과 데이터 보호가 필요한 환경에 적합하다.
금융 기관금융 기관은 전용 회선을 사용하여 거래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지점 및 데이터 센터를 연결한다.
속도, 안정성 및 보안이 매우 중요하며, 전용 회선이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필수적이다.
금융 거래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정부 기관정부 기관은 전용 회선을 사용하여 민감한 정보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한다.
정부 네트워크는 보안이 필수적이며, 전용 회선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국가 안보 및 공공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료 기관의료 기관은 환자 기록과 이미지,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사용한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고품질 연결이 필요하며, 전용 회선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의료 데이터의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ISP는 백본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사용한다.
ISP는 안정적이고 빠른 연결이 필요하며, 전용 회선이 이를 제공한다.
고객에게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장점
보안전용 회선은 공용 인터넷보다 더 안전하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무선 경로는 해당 고객만 사용하므로 도청 또는 데이터 해킹의 위험이 적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는 데 필요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한다.
신뢰성전용 회선은 전용 연결을 통해 작동하므로 일반적으로 공용 인터넷보다 더 안정적이다.
대역폭이 보장되므로 대기 시간이나 패킷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에 안정성이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하다.
대역폭전용 회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역폭을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용량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을 제공한다.
제어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기업은 네트워크 연결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트래픽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서비스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단점
비용전용 회선은 공용 인터넷 연결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다.
전용 회선의 가격은 사용되는 기술과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초기 구축 및 유지 비용이 높을 수 있다.
복잡성전용 회선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은 공용 인터넷 연결보다 더 복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계 및 구성에 기술적인 전문 지식이 필요할 수 있다.
전용 회선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 추가적인 리소스와 전문성이 필요할 수 있다.
유연성 부족전용 회선은 특정 지점 간 연결에 사용되므로, 공용 인터넷만큼 유연하지 않다.
연결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위치를 추가하는 것은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변경 및 확장성에 대한 유연성이 부족하다.
역사
초기전용 회선은 전신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최초의 전신 회선은 이러한 유형의 연결의 예시이다.
전화망의 초창기에도 전용선 개념이 사용되었으며, 특정 사용자를 위해 연결을 제공했다.
전신 및 초기 전화 시스템에서부터 전용 회선 개념이 시작되었다.
발전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T1, E1 및 광섬유 회선을 포함한 새로운 유형의 전용 회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전송 속도와 대역폭을 크게 향상시켰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전용 회선도 발전해왔다.
현대오늘날 전용 회선은 기업 및 조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MPLS, 이더넷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같은 기술 발전을 통해 사용이 더욱 늘어났다.
이러한 발전은 전용 회선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더욱 개선했다.
현대 네트워크에서 전용 회선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역사

전용선 서비스는 1970년대에 벨 백본망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회선으로 전환하면서 디지털화되었다. 이를 통해 AT&T는 데이타폰 디지털 서비스(나중에는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로 브랜드를 변경함)를 제공하여 ISDN과 T1 회선 배치를 시작하였다.[5]

1970년대에 개발된 IBM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나 DEC의 DECnet을 통해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단말기 및 원격 사이트에 연결하는 데 전용선이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디지털 서비스 확장과 함께 전용선은 프레임 릴레이 또는 ATM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고, 데이터 전송 속도도 T1에서 T3 회로까지 증가했다. 1990년대에는 ISP 접속 지점 연결에도 사용되었으며, 이후 MPLS 통합 제품과 통합되었다. 21세기 초에는 인터넷 붐과 함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10Gbit/s로 발전했다.

일본에서는 1906년 7월 20일 일본은행과 요코하마 정금은행 본점 간에 일본 최초의 전용선 전화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 1. 한국

1960년대부터 아날로그 전용선과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졌다. 1980년대에 고속 디지털 전용선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아날로그 전용선을 점차 대체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전용선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 통신 사업자의 전용 이더넷망을 이용한 광역 이더넷, 인터넷을 이용하여 가상적으로 전용선을 구축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등 더 저렴한 가상 전용선 서비스가 이용되기 시작했다. 암호화, 캡슐화 등의 보안 강화와 통신 속도 향상에 따른 지연 감소로 인해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예: 주민기본대장 네트워크, 은행의 온라인 시스템 등). 2010년대에 들어 일반 전용선 장비의 유지보수가 어려워짐에 따라 품목의 대폭적인 정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더넷 이외의 회선 인터페이스 신규 가입도 중단되고 있다.[4]

2. 2. 세계

1970년대 벨 백본 네트워크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회로로 전환되면서 전용선 서비스(또는 전용회선 서비스)는 디지털화되었다. 이를 통해 AT&T는 데이터폰 디지털 서비스(나중에 디지털 데이터 서비스로 브랜드 변경)를 제공하여 고객 구내에 ISDN 및 T1 회선을 연결하는 배치를 시작했다.[1]

전용선은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IBM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1974년 개발) 또는 DEC의 DECnet(1975년 개발)을 통해 단말기 및 원격 사이트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1980년대 디지털 서비스 확장과 함께 전용선은 고객 구내를 프레임 릴레이 또는 ATM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액세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초 T1 옵션(최대 전송 속도 1.544Mbit/s)에서 T3 회로까지 증가했다.

1990년대 인터넷 발전과 함께 전용선은 고객 구내를 ISP 접속 지점에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그 다음 10년 동안에는 앞서 언급한 서비스(프레임 릴레이, ATM, 기업용 인터넷)가 MPLS 통합 제품과 통합되었다.

21세기 초 인터넷 붐과 장거리 광 네트워크 또는 광역 통신망의 서비스 증가와 함께 액세스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대 10Gbit/s로 급격히 발전했다.

3. 활용

전용선은 사설 네트워크사설 전화망을 구성하거나, 인터넷 등 통신망으로 사용된다.

전용선 사설망 구조 / 인터넷은 전화 접속으로 진행하는 구조


전용선은 두 지점 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스타형·분기형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전용 통신선로나 전파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회선과 다중화되는 경우가 많다.

좁은 의미의 전용회선은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특정 고객 전용의 통신회선을 가리키지만, 이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것은 사설선이라고 부른다. 이와 반대로, 가입자 간에 상대방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유선전화나 ISDN망 등은 공중망이라고 부른다.

전용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공중망의 혼잡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공중망보다 정보유출, 도청, 변조의 가능성이 낮다.
  • 정액 요금이므로, 통신 빈도가 잦고 점유 시간이 길면 공중망보다 저렴하다.
  • 두 지점을 직접 연결하므로 접속 동작이 불필요하다.
  • 회선 설비의 설치 및 보수를 전기통신사업자가 담당하므로, 고객의 기술적 부담이 사설선보다 적다.[3]

3. 1. 주요 목적

전용선은 사설 네트워크사설 전화망을 구성하거나, 인터넷 등 통신망으로 사용된다.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 / 인터넷은 전화 접속으로 진행하는 구조


전용선의 끝에 두 개의 라우터를 연결하면, 사이트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다. 전용선의 끝에 두 개의 [https://www.3cx.com/global/kr/voip-sip-webrtc/pbx-phone-system/ PBX(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 전화 네트워크)]를 연결하면, 공공 전화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바로 직통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런 시스템은 전용 전화 비용을 관리할 수 있게 되고, 내선 번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전화 라인 사용이 많은 경우 많은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전용선은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1. 통신 보안 확보: 공중망이 두절되어도 확보해야 하는 통신이나, 변조·도청을 방지해야 하는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 경찰전화, 소방전화, 철도전화, 전력보안통신선, 수운용전화 등의 중요 통신. 특히 중요도가 높고, 재해 시에도 신뢰성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철도사업자, 전력회사 등은 외부의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회선 외에 독자적으로 회선망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 은행 등 금융기관의 온라인 시스템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의 통신 연결.
  • 방송국의 스튜디오에서 송신소로 콘텐츠 전송.
  • 방송국 간의 네트워크. 민영방송의 뉴스 계열에서 콘텐츠 전송. NTT 중계회선(텔레비전)·방송선(라디오).

2. 비용 절감: 회선 사용 빈도가 높고, 공중망보다 요금을 절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 공장, 지사, 영업소 등 전사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 일본전기(NEC)의 C&C VAN, 후지쯔의 FENICS 등 전국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
  • 기업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의 연결. 특히 통신 대역폭이나 지연 시간의 보장이 요구되는 경우.
  • 이용 빈도가 높은 구간의 내선전화.


지점대행전화는 지역 밖의 NTT국사에서 전용선을 설치하여 구축하였다. 다이얼업 접속이 주류였던 시대에 전용선 접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개인 사용자도 있었다.

3. 2. 세부 활용 사례

전용선은 사설 네트워크, 사설 전화 네트워크(사설 교환기(PBX)를 상호 연결)를 구축하거나 인터넷 또는 파트너 네트워크(엑스트라넷)에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네트워크 설계에서 전용선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는 다음과 같다.

  • 임대 회선을 두 개의 라우터로 종단하면 사이트 간 네트워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임대 회선은 1970년대에 IBM 시스템 네트워크 아키텍처(System Network Architecture) 및 디지털 장비 DECnet과 같은 독점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업과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기 전 대학교 및 연구 네트워크에서 TCP/IP를 사용하여 처음 사용되었다. 2000년대에 TCP/IP가 보편화될 때까지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Novell IPX와 같은 다른 계층 3 프로토콜이 사용되었다. 오늘날 지점 간 데이터 회선은 일반적으로 TDM, 이더넷 또는 계층 3 MPLS로 프로비저닝된다.
  • 임대 회선을 이용하여 두 개의 PBXs(사설 교환기)를 연결하면 공중전화망(PSTN)을 우회하여 사이트 간 통화가 가능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체 다이얼 플랜을 관리하고(내부 전화번호에 짧은 내선 번호를 사용) 회선을 통해 충분한 음성 트래픽이 전송될 경우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특히 전화 요금 절감액이 임대 회선의 고정 비용을 초과하는 경우).
  •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통신 회사들은 기존 인프라 위에 패킷 교환을 이용한 더욱 발전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많은 통신 회사들이 ATM, 프레임 릴레이 또는 ISDN 서비스를 제공 목록에 추가했다. 고객 사이트를 통신 회사 네트워크 접속 지점에 연결하는 데는 전용선이 사용되었다.
  • 국제 전용 임대 회선(IPLC, International Private Leased Circuit)은 지점 간 전용 회선으로 기능한다. IPLC는 일반적으로 여러 고객이 동일한 회선을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화(TDM) 회선이다. TDM의 특성상 CSU/DSU와 라우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라우터에 CSU/DSU가 포함되어 있다.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임대 회선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는 고객을 ISP의 접속 지점에 연결하는 것이 되었다. 인터넷이 네트워킹 세계에 가져온 변화와 함께 프레임 릴레이 또는 ATM 네트워크의 대안을 제시하는 다른 기술들이 개발되었는데, 여기에는 VPN(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과 기존 ATM/프레임 릴레이 인프라의 TCP/IP 업그레이드인 MPLS 네트워크가 있다.

전용회선은 두 지점 간의 것뿐만 아니라, 스타형·분기형 구성도 가능하다. 전용 통신선로나 전파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회선과 다중화되어 있는 경우가 더 많다.

좁은 의미의 전용회선은,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특정 고객 전용의 통신회선을 가리키지만, 특히 이용자 자신이 설치하는 것을 사설선이라고 부른다. 이에 대하여, 가입자 간에 상대방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유선전화나 ISDN망 등)을 공중망이라고 부른다.

전용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공중망의 혼잡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공중망과 비교하여 정보유출·도청·변조의 가능성이 낮다.
  • 정액 요금이므로, 통신 빈도가 많고 점유 시간이 긴 경우, 공중망보다 저렴하다.
  • 두 지점을 직접 연결하는 경우, 접속 동작이 불필요하다.
  • 회선 설비의 설치·보수를 전기통신사업자가 행하므로, 고객의 기술적 부담이 사설선보다 작다.


전용선이 사용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공중망이 두절되어도 확보해야 하는 통신이나, 변조·도청을 방지해야 하는 통신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서.

  • 경찰전화, 소방전화, 철도전화, 전력보안통신선, 수운용전화 등의 중요 통신. 특히 중요도가 높고, 재해 시에도 신뢰성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철도사업자, 전력회사 등은 외부의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회선 외에 독자적으로 회선망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 은행 등 금융기관의 온라인 시스템과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의 통신 연결.
  • 방송국의 스튜디오에서 송신소로 콘텐츠 전송.
  • 방송국 간의 네트워크. 민영방송의 뉴스 계열에서 콘텐츠 전송. NTT 중계회선(텔레비전)·방송선(라디오).

2. 회선 사용 빈도가 높고, 공중망보다 요금을 저렴하게 하기 위해서.

  • 공장, 지사, 영업소 등 전사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 일본전기(NEC)의 C&C VAN, 후지쯔의 FENICS 등 전국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
  • 기업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의 연결. 특히 통신 대역폭이나 지연 시간의 보장이 요구되는 경우.
  • 이용 빈도가 높은 구간의 내선전화.


지점대행전화는 지역 밖의 NTT국사에서 전용선을 설치하여 구축하였다. 다이얼업 접속이 주류였던 시대에 전용선 접속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개인 사용자도 있었다.

주요 일반 전용선 서비스 품목[3]
품목활용 용도속도・대역폭・용도단말 구간통신 방식 등비고
대역폭 품목자유 이용3.4kHz2선/4선적절히음성 대역 300Hz - 3.4kHz
3.4kHz(S)4선음성 대역 300Hz - 3.4kHz 전송 특성 개선
48kHz음성 대역 60.15kHz - 103.83kHz 또는 104.33kHz - 107.7kHz (2013년 7월 1일 폐지)
목적 이용음성 전송2선/4선전화음성 대역 300Hz - 3.4kHz
음악 방송4선전이중 통신음성 대역 300Hz - 3.4kHz (2012년 4월 1일 폐지)
AM 방송음성 중계 대역 50Hz - 10kHz (2015년 7월 1일 폐지)
FM 방송음성 중계 대역 40Hz - 15kHz (2010년 4월 1일 폐지)
부호 품목50bps접지 귀환2선전이중 통신 
금속 귀환단방향/반이중 통신
4선전이중 통신
100bps(2009년 4월 1일 폐지)
200bps(2015년 7월 1일 폐지)
1200bps(2010년 4월 1일 폐지)
2400bps(2015년 7월 1일 폐지)
4800bps
9600bps
48kbps


  • 디지털
  • 이더넷 10Mbps・100Mbps・1Gbps・10Gbps
  • 동기식 디지털 계층 64kbps・128kbps・1500kbps(1.5Mbps)・6000kbps(6Mbps)・50Mbps・150Mbps
  • 비동기 전송 모드(ATM) 1Mbps - 600Mbps

4. 기술 방식

2013년 7월 1일 폐지목적 이용음성 전송2선/4선전화음성 대역 300Hz - 3.4kHz음악 방송4선전이중 통신음성 대역 300Hz - 3.4kHz
2012년 4월 1일 폐지AM 방송음성 중계 대역 50Hz - 10kHz
2015년 7월 1일 폐지FM 방송음성 중계 대역 40Hz - 15kHz
2010년 4월 1일 폐지부호 품목50bps접지 귀환2선전이중 통신 금속 귀환단방향/반이중 통신4선전이중 통신100bps2009년 4월 1일 폐지200bps2015년 7월 1일 폐지1200bps2010년 4월 1일 폐지2400bps2015년 7월 1일 폐지4800bps9600bps48kbps

[3]

5. 국가별 현황

국가내용
영국64 kbit/s부터 시작하여 E1, E3 회선을 통해 최대 34.368 Mbit/s까지의 속도를 제공한다. 2018년 3월 기준, 일반적으로 100 Mbit/s ~ 1 Gbit/s 범위에서 제공되며, 런던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10 Gbit/s의 속도도 가능하다.[1][2]
미국저속 전용선은 아날로그 모뎀, 고속 전용선은 FT1(Fractional T1)을 사용한다. 고객은 일반적으로 CSU/DSU를 포함한 자체 네트워크 종단 장비를 관리한다.[1]
홍콩64k, 128k, 256k, 512k, T1 또는 E1 속도로 이용 가능하다. 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으로 CSU/DSU를 제공하고 고객에게 V.35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 광섬유 회선이 기존 회선을 대체하고 있다.[1]
인도64 kbit/s부터 최대 622 Mbit/s까지의 속도를 제공한다. 고객은 광케이블, 전화선, ADSL, 또는 Wi-Fi를 통해 연결되며, CSU/DSU와 같은 자체 네트워크 종단 장비를 관리해야 한다.[1]
이탈리아64 kbit/s부터 64 kbit/s의 배수로 디지털 형태의 전용선을 사용할 수 있다. 지역 전화 회사는 두 건물 사이의 일반 구리 절연쌍선을 제공하는 CDA를 제공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xDSL 기술을 배치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4 kHz의 베어러 채널로 제한되어 POTS 연결과 유사하다.
일본1906년 7월 20일 일본 최초의 전용선 전화 서비스가 일본은행과 요코하마 정금은행 본점 간에 시작되었다.[4] 1960년대부터 아날로그 전용선과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졌고, 1980년대에는 고속 디지털 전용선 서비스, 1990년대에는 ATM 전용선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0년대에는 통신 사업자의 전용 이더넷망을 이용한 광역 이더넷, 인터넷을 이용해 가상으로 전용선을 구축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등 더 저렴한 가상 전용선 서비스가 이용되기 시작했다. 2010년대에는 일반 전용선 장비의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고 있다.[4]



많은 국가에서 전용선은 점차 DSL과 메트로 이더넷으로 대체되고 있다.

5. 1. 영국

영국에서는 임대 회선을 64 kbit/s부터 시작하여 64 kbit/s 단위로 증가시켜 E1 회선을 통해 최대 2.048 Mbit/s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E3 회선을 통해 2.048 Mbit/s에서 34.368 Mbit/s 사이의 속도를 사용할 수 있다.[1] 네트워크 종단 장치(NTE)는 회선을 종료하고 요청된 방식(대부분 X.21)을 제공하지만, G.703 또는 10BASE-T와 같은 더 높은 속도의 인터페이스도 사용할 수 있다.[1] 그러나 일부 ISP는 임대 회선을 "임대 광섬유 연결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전용 대역폭 서비스"로 더 느슨하게 정의하기도 한다.[1]

2018년 3월 기준으로, 임대 회선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100 Mbit/s ~ 1 Gbit/s 범위에서 제공된다.[2] 예를 들어 런던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10 Gbit/s의 속도도 가능하다.[2]

5. 2. 미국

미국에서는 저속 전용선(56kbit/s 이하)은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모뎀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고속 전용선은 일반적으로 '''FT1'''(Fractional T1|프랙셔널 T1영어)을 사용한다. FT1은 1~24개의 56k 또는 64k 타임슬롯을 가진 T1 베어러 회선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고객은 일반적으로 채널 서비스 유닛과 데이터 서비스 유닛(CSU/DSU)을 포함한 자체 네트워크 종단 장비를 관리한다.[1]

5. 3. 홍콩

홍콩에서 임대 회선(전용선)은 64k, 128k, 256k, 512k, T1(채널화 여부와 관계없이) 또는 E1(덜 일반적) 속도로 이용 가능하다. 속도에 관계없이 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으로 CSU/DSU를 제공하고 고객에게 V.35 인터페이스로 제공한다.[1]

광섬유 회선은 기존 회선을 서서히 대체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대역폭에서 이용 가능하다.[1]

5. 4. 인도

인도에서는 64 kbit/s, 128 kbit/s, 256 kbit/s, 512 kbit/s, 1 Mbit/s, 2 Mbit/s, 4 Mbit/s, 8 Mbit/s, 1000 Mbit/s, T1 (1.544 Mbit/s) 또는 E1 (2.048 Mbit/s) 속도의 전용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622 Mbit/s까지 가능하다.[1] 고객은 광케이블, 전화선, ADSL, 또는 Wi-Fi를 통해 연결된다.[1] 고객은 채널 서비스 유닛(CSU)과 데이터 서비스 유닛(DSU)과 같은 자체 네트워크 종단 장비를 관리해야 한다.[1]

5. 5. 일본

6. 전용선 대체 서비스

전용선은 ADSL, SDSL 등의 대체 연결 서비스보다 비용이 더 비싸다. 이는 전용선이 임차인에게만 독점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는 표준 영국 국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더 적당한 대역폭으로 전용선 유형의 서비스(캐리어 이더넷 기반, 제로 컨텐션, 보장된 가용성)를 제공하는 대안 상품을 개발했다. 전용선은 전이중이지만, 대부분의 전용선 대안은 반이중 또는 여러 경우 비대칭 서비스만 제공한다.

7. 주요 제공 기업

일본의 주요 전용선 제공 기업은 다음과 같다.

7. 1. 일본

참조

[1] 서적 Microsoft Encyclopedia of Networking, Second Edition Microsoft Press 2002
[2] PDF NTT ギガストリームTypeG Etherアークストリーム料金表 http://www.ntt.com/g[...]
[3] 웹사이트 NTT東日本 契約約款集 > What's New http://www.ntt-east.[...]
[4] 웹사이트 法人向け専用線サービスおよびVPNサービスにおける一部品目の新規受付停止について ケイ・オプティコム http://www.k-opti.co[...]
[5] 서적 Microsoft Encyclopedia of Networking, Second Edition Microsoft Pres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