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평면에서 주어진 직선과 그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며, 여러 가지 형태로 공식이 존재한다. 직선의 방정식 $ax + by + c = 0$으로 정의된 경우, 점 $(x_0, y_0)$에서 직선까지의 거리는 ${\displaystyle {\frac
{\sqrt {a^{2}+b^{2}}}}}$로 계산된다.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경우, 두 점 $P_1(x_1, y_1)$과 $P_2(x_2, y_2)$를 지나는 직선과 점 $(x_0, y_0)$ 사이의 거리는 \frac{\sqrt{(x_2-x_1)^2+(y_2-y_1)^2}}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외에도 벡터 표현을 사용하거나, 기하학적, 대수적 증명을 통해 공식을 유도할 수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스, 로봇 공학, 게임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2. 공식
평면 좌표계, 벡터 등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른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공식들을 소개한다.
2. 1. 직선의 방정식으로 정의된 경우
평면에서 직선이 $ax + by + c = 0$ 형태로 주어질 때 ($a$, $b$, $c$는 실수 상수이고, $a$와 $b$는 동시에 0이 아니다), 점 $(x_0, y_0)$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21] [22] :\frac{\sqrt{a^2+b^2}} 이때 점 $(x_0, y_0)$과 가장 가까운 직선상의 좌표, 즉 점에서 직선에 내린 수선의 발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23] :x = \frac{b(bx_0 - ay_0)-ac}{a^2 + b^2} \text{, } y = \frac{a(-bx_0 + ay_0) - bc}{a^2+b^2} 이 공식은 한국의 중등 교육과정에서도 다루어지는 내용으로, 수학적 사고력 및 문제 해결 능력 함양에 기여한다.
2. 1. 1. 수직선 및 수평선의 경우
와 가 동시에 0이 될 수 없는 이유는 그 경우 직선이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 둘 중 하나만 0이 될 수는 있다. 가 0인 경우 직선의 방정식은 이 되어 수평선의 형태를 띈다. 이 때 점 로부터의 거리는 단순히 선분의 길이를 재면 되고, 그 결과 }로 나타난다. 이와 비슷하게 만 0인 경우에는 직선이 수직선이 되어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가 된다. [21] [22]
2. 2.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경우
두 점 $P_1(x_1, y_1)$과 $P_2(x_2, y_2)$를 지나는 직선과 점 $(x_0, y_0)$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24] :\frac{\sqrt{(x_2-x_1)^2+(y_2-y_1)^2}} 이 공식에서 분모는 점 $P_1$과 $P_2$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분자는 세 점 $(x_0, y_0)$, $P_1$, $P_2$가 이루는 삼각형 넓이의 2배와 같다. 밑변의 길이가 $b$, 높이가 $h$인 삼각형의 넓이 공식은 $A = \frac{1}{2}bh$이다.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이 식에서 $h$를 남기고 나머지를 이항한 $h = \frac{2A}{b}$와 같다. 같은 결과를 나타내는 다른 식은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distance}(P_1, P_2, (x_0, y_0)) = \frac{\sqrt{(y_2-y_1)^2+(x_2-x_1)^2}}.
2. 3. 벡터 표현을 사용한 경우
벡터 공식의 그림. 직선의 방정식은 벡터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 \mathbf{x} = \mathbf{a} + t\mathbf{n} 여기서 a영어 는 직선 위의 한 점의 위치이고, n영어 은 직선의 방향을 나타내는 단위 벡터이다. 스칼라 ''t''가 변함에 따라 x영어 는 직선의 자취를 나타낸다. 임의의 점 p영어 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operatorname{distance}(\mathbf{x} = \mathbf{a} + t\mathbf{n}, \mathbf{p}) = \| (\mathbf{a}-\mathbf{p}) - ((\mathbf{a}-\mathbf{p}) \cdot \mathbf{n})\mathbf{n} \|.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mathbf{a}-\mathbf{p} 는 p영어 에서 직선 위의 점 a영어 까지의 벡터이다. 그러면 (\mathbf{a} - \mathbf{p}) \cdot \mathbf{n} 는 직선에 대한 투영된 길이이므로 :((\mathbf{a} - \mathbf{p}) \cdot \mathbf{n})\mathbf{n} 는 \mathbf{a}-\mathbf{p} 를 직선에 투영한 벡터이다. 따라서 :(\mathbf{a}-\mathbf{p}) - ((\mathbf{a}-\mathbf{p}) \cdot \mathbf{n})\mathbf{n} 는 \mathbf{a}-\mathbf{p} 의 직선에 수직인 성분이다.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는 그 벡터의 노름이다. [10] 이 공식은 2차원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화할 수 있다. 만약 선 ''l''이 점 A를 지나고 방향 벡터 \vec u 를 갖는다면, 점 P와 선 ''l''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d(\mathrm{P}, (l))= \frac{\left\|\overrightarrow{\mathrm{AP}} \times\vec u\right\|}{\|\vec u\|} 여기서 \overrightarrow{\mathrm{AP}} \times\vec u 는 벡터 \overrightarrow{\mathrm{AP}} 와 \vec u 의 외적 이며, \|\vec u\| 는 \vec u 의 벡터 노름이다. 외적은 3차원과 7차원에서만 존재하며, 0차원과 1차원에서는 자명하게 존재한다(외적은 상수 0).
3. 증명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은 대수적, 기하학적, 벡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될 수 있다.
3. 1. 대수적 증명
이 증명은 ''a''와 ''b''가 모두 0이 아닌 값을 가질 때만 사용 가능하다. 즉, 직선이 수직선이나 수평선이 아닌 경우에 해당한다. 직선 ''ax'' + ''by'' + ''c'' = 0의 기울기는 -''a''/''b''이다. 따라서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b''/''a''(기울기의 역수에 음수를 취한 값)이다. 점 (''x''0 , ''y''0 )을 지나고 기울기가 ''b''/''a''인 직선과 ''ax'' + ''by'' + ''c'' = 0이 만나는 교점을 (''m'', ''n'')이라고 하자. 그러면 기울기의 정의에 의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frac{y_0 - n}{x_0 - m}=\frac{b}{a} 이를 정리하면 a(y_0 -n) - b(x_0 - m) = 0 이고, 양변을 제곱하면 다음 식을 얻는다. :a^2(y_0 - n)^2 + b^2(x_0 - m)^2 = 2ab(y_0 - n)(x_0 - m) 이제 다음 식을 고려해보자. : \begin{align} (a(x_0 - m) + b(y_0 - n))^2 & = a^2(x_0 - m)^2 + 2ab(y_0 -n)(x_0 - m) + b^2(y_0 - n)^2 \\ & = \left(a^2 + b^2\right) \left((x_0 - m)^2 + (y_0 - n)^2\right) \end{align} 여기서 (''m'', ''n'')은 ''ax'' + ''by'' + ''c'' = 0 위의 점이므로, 다음 식도 성립한다. : (a(x_0 - m) + b(y_0 - n))^2 = (ax_0 + by_0 - am - bn)^2 = (ax_0 + by_0 + c)^2 따라서 위 두 식을 연립하면 다음을 얻는다. :\left(a^2 + b^2\right) \left((x_0 - m)^2 + (y_0 - n)^2\right) = (ax_0 + by_0 + c)^2 유클리드 거리 의 정의에 의해 (''m'', ''n'')과 (''x''0 , ''y''0 )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d=\sqrt{(x_0 - m)^2+(y_0 - n)^2} = \frac{\sqrt{a^2+b^2}} [25] [4] [14]
3. 2. 기하학적 증명
기하학적 증명의 참고 그림 a영어 와 b영어 가 모두 0이 아닌 값을 가질 때만 사용 가능한 증명 방법이다. [26] 점 P한국어 (''x''0 , ''y''0 )에서 직선 Ax + By + C = 0한국어 에 내린 수선의 발을 R한국어 이라 한다. 또 P한국어 에서 y축에 평행한 직선을 내려 직선과 만나는 교점을 S한국어 라 한다. 직선에서 임의의 점 T한국어 를 잡아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TVU한국어 를 만든다. 이때 직선의 기울기는 -A/B한국어 로 쓸 수 있다. ∆PRS한국어 와 ∆TVU한국어 는 ∠PSR = ∠TUV한국어 이고 세 내각이 모두 같아 서로 닮음 이다. [27] 이에 따라 다음 공식이 성립한다. :\frac = \frac 점 S한국어 의 좌표를 (''x''0 , ''m'')한국어 이라 할 때 선분 PS, TV, TU한국어 의 길이를 고려하면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overline{PR} | = \frac{\sqrt{A^2 + B^2}} 이때 S한국어 가 놓여있는 직선의 방정식을 알기 때문에 m한국어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m = \frac{-Ax_0 - C}{B} 따라서 최종적으로 다음 식을 얻는다. [28] : |\overline{PR}| = \frac{\sqrt{A^2 + B^2}}
3. 3. 벡터의 사영을 사용한 증명
벡터의 사영을 이용한 증명의 참고 그림 점 P(''x''0 , ''y''0 )와 직선 ''ax'' + ''by'' + ''c'' = 0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직선 위에 임의의 점 Q(''x''1 , ''y''1 )을 잡고, 이 점에서 시작하여 직선에 수직인 벡터 '''n''' = (''a'', ''b'')를 생각할 수 있다. 점 P와 직선 사이의 거리는 \overrightarrow{QP} 를 '''n'''에 정사영한 벡터의 길이와 같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9] [8] [18] :d = \frac{\| \mathbf{n}\|}. \overrightarrow{QP} = (x_0 - x_1, y_0 - y_1) 이므로, \overrightarrow{QP} \cdot \mathbf{n} = a(x_0 - x_1) + b(y_0 - y_1) 이다. 또한 \| \mathbf{n} \| = \sqrt{a^2 + b^2} 이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d = \frac{\sqrt{a^2 + b^2}}. 이 때, Q(''x''1 , ''y''1 )는 직선 위의 점이므로, c = -ax_1 - by_1 를 만족한다. 따라서,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은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다. : d = \frac{\sqrt{a^2 + b^2}}.
4. 추가 공식
점과 직선 사이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다른 공식들을 유도할 수 있다. 이 유도 과정은 직선이 수직이나 수평이 아님을 전제로 한다. 점 P의 좌표가 (x_0, y_0 )로 주어지고, 직선의 방정식이 y=mx+k (기울기-절편 형태)로 주어질 때, 점 P를 지나고 이 직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y=\frac{x_0-x}{m}+y_0 이다. 두 직선의 교점은 원래 직선에서 점 P에 가장 가까운 점이다. 따라서: :mx+k=\frac{x_0-x}{m}+y_0. 이 방정식을 ''x''에 대해 풀면, :x=\frac{x_0+my_0-mk}{m^2+1}. 교점의 ''y'' 좌표는 이 ''x'' 값을 원래 직선의 방정식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y=m\frac{(x_0+my_0-mk)}{m^2+1}+k. 두 점 사이의 거리 를 구하는 공식 d=\sqrt{(X_2-X_1)^2+(Y_2-Y_1)^2} 을 사용하면, 직선과 점 사이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d=\sqrt{ \left( {\frac{x_0 + m y_0-mk}{m^2+1}-x_0 } \right) ^2 + \left( {m\frac{x_0+m y_0-mk}{m^2+1}+k-y_0 }\right) ^2 } = \frac
\sqrt{1 + m^2} . 직선의 방정식이 ''ax'' + ''by'' + c = 0 형태일 때, ''m'' = -''a''/''b''이고 ''k'' = - ''c''/''b''임을 이용하여 위 식을 표준 형태로 바꿀 수 있다. [9]
5. 응용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6. 읽을 거리
미셸 마리 데자(Michel Marie Deza)와 엘레나 데자(Elena Deza)의 《거리 백과사전》(Encyclopedia of Distances, 2판, 스프링어, 2013) 86쪽. ISBN 9783642309588 [1]
7. 역사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공식은 미셸 데자와 엘레나 데자가 쓴 ''Encyclopedia of Distances''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2013년 스프링거에서 출판된 2판이다. [1]
참조
[1]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2]
서적
Spain 2007
[3]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4]
문서
Between Certainty and Uncertainty: Statistics and Probability in Five Units With Notes on Historical Origins and Illustrative Numerical Examples
[5]
서적
Ballantine Jerbert 1952
[6]
문서
If the two triangles are on opposite sides of the line, these angles are congruent because they are alternate interior angles.
[7]
서적
Ballantine Jerbert 1952
[8]
서적
Anton 1994
[9]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10]
웹사이트
Lines and Distance of a Point to a Line
http://geomalgorithm[...]
softSurfer
2013-12-06
[11]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12]
서적
Spain 2007
[13]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14]
서적
Laudański 2013
[15]
서적
Ballantine Jerbert 1952
[16]
문서
もし2つの三角形が直線を挟んで両側に位置した場合、この2角の関係は[[錯角]]であるからやはり等しい。
[17]
서적
Ballantine Jerbert 1952
[18]
서적
Anton 1994
[19]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20]
웹사이트
Lines and Distance of a Point to a Line
http://geomalgorithm[...]
softSurfer
2013-12-06
[21]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22]
서적
Spain 2007
[23]
서적
Larson Hostetler 2007
[24]
웹인용
Lines and Distance of a Point to a Line
https://geomalgorith[...]
softSurfer
2013-12-06
[25]
문서
Between Certainty and Uncertainty: Statistics and Probability in Five Units With Notes on Historical Origins and Illustrative Numerical Examples
[26]
서적
Ballantine Jerbert 1952
[27]
문서
If the two triangles are on opposite sides of the line, these angles are congruent because they are alternate interior angles.
[28]
서적
Ballantine Jerbert 1952
[29]
서적
Anton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