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옹주 (태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신옹주는 조선 태종과 신빈 신씨의 딸로, 윤계동과 혼인하였다. 태종은 정신옹주의 혼사를 위해 신랑감을 찾던 중, 이속이 옹주와의 혼인을 거절하자 분노하여 그를 처벌하고, 윤향의 아들 윤계동과 혼인시켰다. 이 사건 이후 왕실 자녀의 혼인을 위한 간택령이 제정되었다. 정신옹주는 윤계동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며, 1452년 단종 재위 기간에 사망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조선의 공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공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정신옹주 (태종)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신옹주 |
한자 표기 | 貞愼翁主 |
작위 | 조선 태종의 옹주 |
배우자 | 윤계동 |
자녀 | 1남 1녀 |
아들 | 윤삼원 |
딸 | 이파의 처 |
왕가 |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신빈 신씨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1452년 10월 17일 |
2. 생애
정신옹주는 윤계동과 혼인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에 사망하자 단종은 쌀과 콩 합쳐 100석, 종이 150권, 베 40필을 부의로 내렸다.[3]
2. 1. 출생과 혼인
태종은 정신옹주의 신랑감을 찾기 위해 점쟁이 지화(池和)를 보내 강원도 지춘천군사(知春川郡事)를 지낸 바 있는 이속(李續)을 찾아가 그 아들의 사주를 묻게 했는데, 이속은 궁인에게서 태어난 옹주와는 혼인시킬 의사가 없다고 거절하였다.[2]이에 분노한 태종은 이속을 잡아가두고 매질한 뒤 폐서인으로 강등시켰다.[2] 조말생, 김효손 등이 이속의 죄는 대역죄로 삼족을 멸해야 한다고 간하였으나,[2] 태종은 이속의 재산을 몰수하고 그를 지방의 관노비로 만들었다.[3] 이속의 아들 또한 평생 장가를 들지 못하게 하였다.[3]
태종은 명문 사대부가 출신으로 당시 유배를 가 있던 윤향(尹向)을 불러들여 그에게 형조판서의 직책과 땅을 내리고 정신옹주를 그 아들 윤계동에게 시집보냈다.[3] 이 일이 있고 난 뒤 태종은 왕실 자녀를 위한 간택령 제도를 만들어 양반가의 자녀들과는 다른 절차를 밟아 혼인하도록 했다.[3] 정신옹주는 윤계동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2. 2. 이속과의 갈등
태종은 정신옹주의 신랑감을 찾기 위해 점쟁이 지화(池和)를 보내 강원도 지춘천군사(知春川郡事)를 지낸 바 있는 이속(李續)을 찾아가 그 아들의 사주를 묻게 했다. 그러나 이속은 궁인에게서 태어난 옹주와는 혼인시킬 의사가 없다며 거절하였다.[2]이에 분노한 태종은 "이속의 가문(家門)이 본래 바르지 못하다. 나도 연혼(連婚)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이속의 말이 심히 불공하다"며 이속을 잡아 가두고 매질한 뒤 폐서인으로 강등시켰다.[2] 조말생, 김효손 등이 이속의 죄는 대역죄로 삼족을 멸해야 한다고 간하였으나,[2] 태종은 이속의 재산을 몰수하고 그를 지방의 관노비로 만들었다.[3] 이속의 아들 또한 평생 장가를 들지 못하게 하였다.[3]
2. 3. 윤계동과의 혼인
태종은 정신옹주의 신랑감을 찾기 위해 점쟁이 지화(池和)를 보내 강원도 지춘천군사(知春川郡事)를 지낸 이속(李續)에게 아들의 사주를 물었다. 그러나 이속은 궁인에게서 태어난 옹주와는 혼인시킬 의사가 없다며 거절하였다.[2] 이에 분노한 태종은 이속을 잡아가두고 매질한 뒤 폐서인으로 강등시켰다.[2] 조말생, 김효손 등이 이속의 죄를 대역죄로 삼아 삼족을 멸해야 한다고 간하였으나,[2] 태종은 이속의 재산을 몰수하고 그를 지방의 관노비로 만들었다.[3] 이속의 아들 또한 평생 장가를 들지 못하게 하였다.[3]태종은 명문 사대부가 출신으로 당시 유배 중이던 윤향(尹向)을 불러 형조판서 직책과 땅을 내리고 정신옹주를 그 아들 윤계동에게 시집보냈다.[3] 이 일 이후 태종은 왕실 자녀를 위한 간택령 제도를 만들어 양반가의 자녀들과는 다른 절차로 혼인하도록 했다.[3] 정신옹주는 윤계동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2. 4. 사망
1452년(단종 즉위년)에 사망했으며, 단종은 쌀과 콩을 합쳐 100석, 종이 150권, 베 40필을 부의로 내렸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태종 | 조선 제3대 왕 |
어머니 | 신녕궁주 신빈 신씨 | |
오빠 | 함녕군 인 | |
오빠 | 온녕군 정 | |
동생 | 정정옹주 | |
동생 | 숙정옹주 | |
동생 | 소신옹주 | |
동생 | 숙녕옹주 | |
동생 | 소숙옹주 | |
동생 | 숙경옹주 | |
시아버지 | 윤향 | 호조판서, 소도공 |
시어머니 | 남양 홍씨 | 홍길민의 딸 |
남편 | 윤계동 | 영평군, 의간공 |
장남 | 윤삼원 | |
며느리 | 원주 변씨 | 변상동의 딸 |
손자 | 윤준 | |
손자 | 윤순 | |
손자 | 윤완 | |
손녀 | 무송 윤씨 | 윤지의 처 |
손녀 | 고령 신씨 | 신필의 처 |
장녀 | 한산 이씨 | 이파의 처 |
손자 | 이덕윤 |
참조
[1]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단종실록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452-09-26
[2]
간행물
태종실록
1417-09-02
[3]
서적
조선 공주의 사생활
북성재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