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는 2002년 세르비아 정교회가 마케도니아 정교회 내 요반 브라니슈코프스키를 지지하며 자치권을 부여하여 설립되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이에 반발하여 대주교구 소속 성직자들과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의 북마케도니아 입국을 방해했다. 2004년에는 수도원이 해체되었고, 2005년에는 요반 대주교가 체포되어 투옥되는 등 탄압을 받았다. 국제 사회는 종교 자유 침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으며, 유럽 인권 재판소는 대주교구 등록 거부가 유럽 인권 협약 위반이라고 판결했다. 2023년에는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통합 결정에 따라 마케도니아 정교회에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동방 정교회 - 마케도니아 정교회
    마케도니아 정교회-오흐리드 대주교구는 북마케도니아의 기독교 신자 대다수가 속한 동방 정교회로, 1019년 설립, 1967년 독립을 선언 후 2022년 자치권을 인정받았으나 명칭 및 자치권 부여 주체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기본 정보
명칭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마케도니아어Православна охридска архиепископија (ПОА)
웹사이트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공식 웹사이트 (영어)
교구 정보
소속 교회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지역북마케도니아
관할권자치 대주교구
설립2002년 (2005년 승인)
해체2023년
수좌 주교요반 6세
주교 칭호대주교
하위 교구(프레스파 및 펠라고니아 교구)
(브레갈니차 교구)
데바르 및 키체보 교구
폴로그 및 쿠마노보 교구
(벨레스 및 포바르다리에 교구)
(스트루미차 교구)

2. 역사

1967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 아래 세르비아 정교회자치 교회였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독립은 다른 정교회의 승인을 얻지 못해 교회법상의 합법성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2002년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니시 합의를 통해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사실상 독립 교회로 인정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아래 자치권을 부활시키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회의가 이 합의를 승인하지 않아 합의가 파기되었다. 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일파를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의 북마케도니아 입국을 방해하고 있다. 2004년 10월 15일에는 북마케도니아 당국이 비톨라 근교 니제폴레(Niepepole)에 설립된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수도원 해체에 착수했다.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전례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며, 모든 주교와 사제는 마케도니아인이다.

대주교 요반은 2005년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명예를 훼손하고 시민의 종교적 감정을 해쳤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북마케도니아 국가종교위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종교단체 등록을 거부했다.

2. 1. 설립 배경

1967년 당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세르비아 정교회의 자치 교회였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은 다른 정교회의 승인을 얻지 못하여 교회법상의 합법성을 충족하지 못했다. 2002년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위에 관해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벨레스 교구장 요반(en) 간에 협상이 진행되었고,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마케도니아 내 ''사실상의'' 독립 교회로 인정하는 한편, 세르비아 정교회 아래에서의 ''자치''를 부활시키는 니시 합의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이 합의를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주교 회의는 받아들이지 않아 합의는 파기되었다. 이에 대해 세르비아 정교회는 여전히 합의를 인정하는 입장을 취한 요반 측을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2. 2. 니시 협정과 분열

1967년 당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세르비아 정교회자치 교회였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은 다른 정교회의 승인을 얻지 못하여 교회법상의 합법성을 충족하지 못했다. 2002년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위에 관해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벨레스 교구장 요반(en) 간에 협상이 진행되었고,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마케도니아 내 ''사실상의'' 독립 교회로 인정하는 한편, 세르비아 정교회 아래에서의 ''자치''를 부활시키는 니시 합의가 성립되었다.[3] 이 합의에는 양측 대표단의 주교 3명이 서명했으며, 마케도니아 정교회에 자치 지위를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5] 그러나 이 합의는 (현재 북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에서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6]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주교 회의는 합의를 받아들이지 않아 결국 파기되었다.[8]

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입장을 취한 요반 측을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세르비아 총대주교 파블레는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모든 주교, 성직자, 수도자, 신자들에게 세르비아 정교회와의 전례 및 교회법적 일치를 이룰 것을 요청했고,[9] 요반 브라니슈코프스키와 벨레스의 모든 사제들은 이 요청에 응하여 합의서에 서명했다.[10] 브라니슈코프스키는 이 요청을 받아들인 유일한 대주교였다.[11]

2002년 9월 23일, 요반 대주교는 세르비아 정교회 총회에 의해 오흐리드 대주교구 모든 지역의 엑자르크로 임명되었다. 2003년 12월 25일, 그는 정교 오흐리드 대주교구 주교들의 성 시노드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2] 2005년 5월 24일, 그는 니시 협정에 따라 세르비아 총대주교에 의해 "오흐리드 대주교이자 스코페 대주교"로 확인되었다. 같은 날, 요반 대주교가 성 시노드의 의장으로 있는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자치를 위한 총대주교와 총회의 ''토모스''가 발표되었다.[13][14]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본부는 니제폴레 마을에 있었으며, 북마케도니아의 세르비아 정교회 교구를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5]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소속 사제와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가 북마케도니아로 입국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2004년 10월 15일에는 북마케도니아 당국이 비톨라 근교 니제폴레(Niepepole)에 설립된 수도원 해체에 착수했는데, 이 수도원은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정신적 지주였다.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전례에 사용되는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며, 모든 주교와 사제는 마케도니아인이다.

요반 대주교는 2005년에 체포되어 220일 동안 수감되었는데, 세르비아 정교회의 교회력 및 홍보물 배포를 통해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명예를 훼손하고 시민의 종교적 감정을 해쳤다는 혐의였다.

북마케도니아 국가종교위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종교단체 등록을 거부하며, 동일 신앙의 종교 단체는 단 한 곳만 등록할 수 있고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신앙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신앙과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2. 3.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설립

1967년 당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세르비아 정교회자치 교회였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은 다른 정교회의 승인을 얻지 못하여 교회법상의 합법성을 충족하지 못했다. 2002년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위에 관해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벨레스 교구장 요반(en) 간에 협상이 진행되었고,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마케도니아 내 ''사실상의'' 독립 교회로 인정하는 한편, 세르비아 정교회 아래에서의 ''자치''를 부활시키는 니시 합의가 성립되었다.[3][4][5] 그러나 이 합의를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주교 회의는 받아들이지 않아 합의는 파기되었다.[8] 이에 대해 세르비아 정교회는 여전히 합의를 인정하는 입장을 취한 요반 측을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세르비아 총대주교 파블레는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모든 주교, 성직자, 수도자, 신자들에게 세르비아 정교회와의 전례 및 교회법적 일치를 이루도록 초청했다.[9] 요반 브라니슈코프스키와 벨레스의 모든 사제들은 이 초청에 응하기로 합의하고 합의서에 서명했다.[10] 브라니슈코프스키는 이 초청을 받아들인 유일한 대주교였다.[11]

2002년 9월 23일, 요반 대주교는 세르비아 정교회 총회에 의해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모든 지역의 엑자르크로 임명되었다. 2003년 12월 25일, 그는 구성된 이후 정교 오흐리드 대주교구 주교들의 성 시노드 의장으로 선출되었다.[12] 2005년 5월 24일, 그는 니시 협정에 따라 세르비아 총대주교에 의해 "오흐리드 대주교이자 스코페 대주교"로 확인되었다. 같은 날, 요반 대주교가 성 시노드의 의장으로 있는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자치를 위한 총대주교와 총회의 ''토모스''가 발표되었다.[13][14] 그 본부는 니제폴레 마을에 있었으며 북마케도니아의 세르비아 정교회 교구를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15] 세르비아 정교회의 교회법적 지부로서 내부 자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모든 교회법적 정교회의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2] 대주교구는 비잔틴 황제 바실 2세가 자치 불가리아 총대주교의 지위를 낮추어 1019년에 설립하고 1767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폐지된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상속을 주장했다.[16]

3. 박해

1967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 아래 세르비아 정교회자치 교회였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독립은 다른 동방 정교회의 승인을 얻지 못해 교회법상 합법성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2002년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 사이에 니시 합의가 성립하였으나,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회의가 이 합의를 승인하지 않아 사실상 파기되었다. 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일파를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전례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며, 모든 주교와 사제는 마케도니아인이다.

3. 1. 종교 단체 등록 거부 및 탄압

2002년 세르비아 정교회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 간의 니시 합의가 사실상 파기되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일파를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소속 사제와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가 북마케도니아로 입국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17][18][19] 2004년 10월 15일에는 북마케도니아 당국이 비톨라 근교 니제폴레(Nižepole)에 설립된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던 수도원 해체에 착수했다.[24]

2004년 1월, 브라니쉬코프스키와 그의 추종자 12명이 경찰에 체포되었다. 같은 해 2월에는 비톨라 근처 니제폴레 마을에 있는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수도원에 무장 복면 남성들이 침입하여 수녀들을 기관총으로 위협하고 머리카락을 자르고 수도원에 불을 질렀다.[20][21] 마케도니아 당국의 등록 신청 거부 이후, 경찰은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건물을 급습했다. 경찰과 마케도니아 정교회 사제들은 신도들을 방문하여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에 대한 충성을 포기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2][23] 2005년 7월 12일에는 드라체보 교외에 있는 ''성 넥타리오스'' 예배당이 철거되었다.[25]

요반 대주교는 2005년 6월 "민족, 인종 및 종교적 증오, 불화 및 편협성을 선동한 혐의"로 1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6] 판결은 다음 세 가지 점에 대한 유죄 판결에 의존한다고 명시했다.

# 그는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비방하는 텍스트를 종교 달력에 썼다.

# 그는 마케도니아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엑사르크로 임명되는 것에 동의했고 요아킴(요브체프스키) 주교와 마르코(키메브) 주교의 서품에 참여했다.

# 그는 부모 소유의 아파트에서 종교 의식을 집행했다.

요반 대주교는 대법원이 세 가지 점 중 마지막 두 가지가 위헌이라고 선언하고 형량이 8개월로 단축되기 전까지 220일을 복역했다.[27] 요반 대주교는 2006년 ''횡령'' 혐의로 두 번째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두 번째 피고인으로서 첫 번째 피고인(1년 3개월 형)보다 더 높은 2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석방되기 전까지 256일을 복역했다.[28]

북마케도니아 국가종교위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종교단체 등록을 거부하고 "동일 신앙의 종교 단체는 단 한 곳만 등록하여야 하며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신앙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신앙과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29][30][31][32]

3. 2. 요반 대주교 체포 및 투옥

2005년 요반 대주교는 "민족, 인종 및 종교적 증오, 불화 및 편협성을 선동한 혐의"로 체포되어 18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6] 이 판결은 다음 세 가지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에 근거했다.[26]

#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비방하는 내용을 담은 종교 달력을 작성.

# 마케도니아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총대주교로 임명되는 것에 동의하고 요아킴(요브체프스키) 주교와 마르코(키메브) 주교의 서품에 참여.

# 부모 소유의 아파트에서 종교 의식을 집행.

북마케도니아 대법원은 이 중 마지막 두 가지 혐의가 위헌이라고 판결하여 형량이 8개월로 단축되었고, 요반 대주교는 220일간 복역 후 석방되었다.[27]

이후 요반 대주교는 2006년 '횡령' 혐의로 다시 기소되어 2년 형을 선고받고 256일간 복역했다.[28]

한편, 북마케도니아 국가종교위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종교단체 등록을 반복적으로 거부했다.[29][30][31][32] 위원회는 "동일 신앙의 종교 단체는 단 하나만 등록될 수 있으며,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신앙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신앙과 다르지 않다"고 밝혔다.

3. 3. 수도원 파괴

2004년 10월 15일, 북마케도니아 당국은 비톨라 근교 니제폴레(Nižepole)에 위치한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수도원 해체에 착수했다.[24] 이 수도원은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정신적 지주였다. 2004년 2월에는 무장 복면 남성들이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수도원에 침입하여 수녀들을 위협하고 수도원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20][21] 2005년 7월 12일에는 드라체보 교외에 있는 ''성 넥타리오스'' 예배당이 철거되었다.[25]

이러한 파괴 행위는 1967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 아래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하면서 시작된 갈등과 관련이 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독립은 다른 정교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고, 2002년 니시 합의를 통해 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아래 자치권을 부활시키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나,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회의가 이를 승인하지 않아 합의가 파기되었다.

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일파를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의 북마케도니아 입국을 방해하고 있다.

4. 국제사회의 반응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미국 국무부영어는 "종교 자유 보고서"와 "인권 보고서"를 통해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구성원들의 종교 자유 제한, 종교적 이유로 인한 수감, 이동의 자유 침해, 경찰의 테러 행위, 수도원 파괴, 파괴 결정서 사본 획득 방해, 경찰 심문 등이 있었다고 밝혔다.[33][34][35][36][37]
  • US Mission to the OSCE|유럽 안보 협력 기구 주재 미국 대표부영어는 2004년에 "종교의 자유 침해"를 경고하며, 북마케도니아 당국이 법을 공정하게 적용하고 종교 분쟁에 개입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유럽 인권 협약 제9조, 북마케도니아 헌법 제19조, 북마케도니아의 OSCE 약속과 국제 규범이 모두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강조했다.[38]
  • European Commission|유럽 위원회영어는 "종교 자유 침해 사례가 존재한다"고 지적하고, "새로운 법은 종교 단체 등록을 위한 보다 자유로운 절차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39]
  •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유럽 인권 재판소영어는 2018년에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등록 거부가 유럽 인권 협약 위반이라고 판결했다.[40]
  • 국제 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는 2004년에 요반 대주교를 양심수로 선언했다.[41]
  •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는 2005년 출판물에서 "북마케도니아는 [...] 다양한 종교 단체의 지도자에 대한 괴롭힘 증가로 인해 하향 추세 화살표를 받았다"고 평가했다. 프리덤 하우스는 2007년에 요반 대주교가 "세르비아 정교회와의 연계로 인해 체포되었다"고 보고했다.[43]
  • 헬싱키 인권 위원회(Helsinki Committee for Human Rights)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구성원의 종교 자유와 인권 침해에 대해 보고했다. 헬싱키 인권 위원회는 여러 국가 기관, 특히 내무부의 활동으로 인해 기본적인 권리가 침해되었으며, 이는 브라니슈코프스키를 지지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수도사뿐만 아니라 그들을 지지하거나 연민을 느낀 시민들에게도 해당되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국가 출입 문제, 위협, 경찰 구금, 추방된 수도사에게 주거 시설을 제공한 시민에 대한 소송, 거주 권리 행사에 대한 경찰 금지 등이 있었다.[44][45][46]
  • 유럽 안보 협력 위원회(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는 2005년 요반 대주교의 투옥에 대해 보고하면서, 북마케도니아 관리들이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위와 관련된 교회 분쟁에 과잉 반응을 보였으며, 18개월의 징역형은 과도하고 정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예배당 파괴 사건과 관련해서는 "최소한 정부는 더 자제하고 이러한 괴롭힘을 중단해야 하며, 파괴된 건물에 대한 배상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종교 자유 관련 법적 틀이 모호하며, 종교 단체가 등록해야 하는데 명확한 메커니즘이 없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47]
  • 노르웨이 인권 단체 포럼 18(Forum 18)은 2008년에 북마케도니아의 2007년 종교법이 차별을 영속화한다고 보고했다.[48]
  • 콘스탄티노플의 바르톨로메오스 1세(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I of Constantinople) 총대주교는 북마케도니아 총리에게 요반 대주교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49][50]
  • 모스크바의 알렉시 2세(Patriarch Alexy II of Moscow) 총대주교는 2005년 북마케도니아 대통령에게 요반 대주교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51]
  • 그리스 교회의 성 시노드(Synod)는 2006년에 요반 대주교의 조속한 석방과 북마케도니아의 종교 자유 존중을 요구하는 격렬한 항의를 표명했다.[52]
  • 아토스 산(Mount Athos)의 성 공동체는 2004년에 요반 대주교에게 지지 서한을 보냈으며, 이 서한에는 아토스 성산의 20개 성 수도원의 공통 총회에 참여하는 모든 대표와 수도원장이 서명했다.[53]
  • 아메리카 정교회 주교회의(Standing Conference of the Canonical Orthodox Bishops in the Americas)는 북마케도니아의 요반 대주교 투옥을 규탄하고 2005년에 그의 석방을 요구했다.[54]
  • 아메리카 정교회(Orthodox Church in America)의 허먼 (스와이코) 대주교(Herman (Swaiko))는 2006년에 오흐리드의 요반 대주교의 석방을 촉구했다.[55]

5. 마케도니아 정교회와의 통합

1967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 아래 세르비아 정교회자치 교회였던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분리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 독립은 다른 정교회의 승인을 얻지 못해 동방 정교회 교회법상의 합법성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이후 2022년 5월 15일,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 성찬 공의회 연례 회의에서 '세르비아 총대주교청 재건 100주년 기념 백서'가 채택되었으며,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OOA)의 네 명의 주교를 포함한 세르비아 정교회(SOC)의 모든 주교가 서명했다.[56]

5. 1. 통합 과정

2002년 세르비아 정교회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 사이에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지위에 관한 교섭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마케도니아의 사실상 독립교회로 인정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아래서 자치권을 부활시킨다는 니시 합의가 성립되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회의가 이 합의를 승인하지 않아 사실상 합의가 파기되었다. 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입장을 취한 마케도니아 정교회 일파를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소속 사제와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가 북마케도니아로 입국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 2004년 10월 15일에는 북마케도니아 당국이 비톨라 근교 니제폴레(Niepepole)에 설립된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던 수도원 해체에 착수했다. 당 대주교구의 전례상에 사용되는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이며 모든 주교, 사제는 마케도니아인이다.

2005년, 대주교 요반(Jovan)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교회력 및 홍보물 배포를 통해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명예를 훼손하고 시민의 종교적 감정을 해쳤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220일 동안 수감되었다.

북마케도니아 국가종교위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종교단체 등록을 거부했다. 위원회는 동일 신앙의 종교 단체는 단 한 곳만 등록하여야 하며,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신앙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신앙과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2022년 5월 16일, 세르비아 정교회 공의회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 오흐리드 대교구와의 다양한 분쟁을 해결하여 오래된 분열을 치유하기로 결정했다.[57] 5월 19일, MOC와 SOC의 주교(OOA 주교 포함)가 베오그라드에서 역사적인 공동 집전을 거행했다.[58] 그 자리에서 요반 대주교(OOA 수장)는 OOA가 교회적 통일의 회복을 지지한다고 연설했다.[59] 5월 24일, 세르비아 총대주교 포르피리에가 스코페를 방문하는 동안 SOC가 MOC의 자치성을 인정하기로 한 결정이 발표되었고, MOC와 SOC의 성직자(OOC 성직자 포함)가 공동 집전을 거행했다.[60][61]

세르비아 정교회 의회는 2023년 5월 20일에 OOA를 MOC에 통합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67] 5월 23일, SOC 주교 성찬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OOA와 MOC의 통합 과정이 시작되었고, OOA 주교들에게 MOC의 관할에 합류할 수 있는 정식 허가가 주어졌다.[68][69] 통합을 향한 추가 단계는 6월에 MOC의 시노드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OOA의 성직자들을 위한 새로운 교구 창설이 시작되었다.[70][71] 6월 21일, OOA의 성직자들은 집단적으로 MOC에 합류했고 교구가 배정되었다.[72] 6월 28일, OOA 성 시노드는 공식 발표를 통해 임무를 완수했으며, OOA의 성직자들이 집단적으로 MOC에 합류했다고 밝혔다.[73]

5. 2.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해산

2002년 세르비아 정교회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 간의 교섭을 통해 니시 합의가 성립되었다. 이 합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마케도니아의 사실상 독립교회로 인정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아래 자치권을 부활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회의가 이 합의를 승인하지 않아 사실상 파기되었다. 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합의를 인정하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일파를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승인하고 자치권을 부여했다.[56]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소속 사제들과의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의 북마케도니아 입국을 방해하고 있다. 2004년 10월 15일 북마케도니아 당국은 비톨라 근교 니제폴레(Niepepole)에 설립된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수도원 해체에 착수했다.

북마케도니아 국가종교위원회는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종교단체 등록을 거부하며, 동일 신앙의 종교 단체는 단 한 곳만 등록 가능하고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신앙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신앙과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2022년 5월, 세르비아 정교회는 마케도니아 정교회와의 분쟁 해결을 위해 OOA 주교들을 포함한 모든 주교들이 서명한 문서를 채택했다.[57] 이후 베오그라드에서 역사적인 공동 집전이 거행되었고,[58][59] 세르비아 정교회는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자치성을 인정하기로 결정했다.[60][61][62] 그러나 OOA의 미래 지위와 관련된 조직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었고, OOA 성직자들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자치성 부여식에 참석하지 않았다.[63]

2023년 5월 20일, 세르비아 정교회 의회는 OOA를 MOC에 통합하기로 결정했다.[67] 이후 OOA와 MOC의 통합 과정이 시작되었고,[68][69] OOA 주교들에게 MOC 관할에 합류할 수 있는 정식 허가가 주어졌다.[70][71] 6월 21일, OOA 성직자들은 집단적으로 MOC에 합류하여 교구를 배정받았다.[72] 6월 28일, OOA 성 시노드는 임무를 완수했으며 OOA 성직자들이 집단적으로 MOC에 합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73]

6. 구조

북마케도니아 내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7개 교구 지도


북마케도니아 영토 내 교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교구명
스코페 대교구 (오흐리드 대주교가 수장)
Episkopija prespansko-pelagonijska|프레스파와 펠라고니아 교구sh
Брегалничская епархия|브레갈니차 교구ru
데바르와 키체보 교구
폴로그와 쿠마노보 교구
Episkopija veleško-povardarska|벨레스와 포바르다리에 교구sh (벨레스와 포바르다리에)
Episkopija strumička|스트루미차 교구sh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는 존속 기간 동안 오흐리드의 대주교 요반 6세가 수장이었으며, 자신과 3명의 주교로 구성된 성 시노드를 주재했다. 성 시노드는 2003년 12월 23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수도원에서 구성되었다.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비고
오흐리드의 대주교이자 스코페의 대교구장요반벨레스와 포바르다리에의 locum tenens 겸임
폴로그와 쿠마노보의 주교Йоаким Положко-Кумановски|요아킴 요브체프스키bg데바르와 키체보의 locum tenens 겸임
브레갈니차의 주교Марко Брегалнишки|마르코 키메브bg프레스파와 펠라고니아의 locum tenens 겸임
스토비의 주교 대리다비드 (니노프)스트루미차locum tenens 겸임


참조

[1] 웹사이트 US State Dept. Report on Religious Freedom in Macedonia, 2006 https://2001-2009.st[...] 2014-10-05
[2] 서적 Orthodox Churches and Politics in Southeastern Europe: Nationalism, Conservativism, and Intolerance Springer Nature 2019
[3] 웹사이트 The Nis Agreement http://poa-info.org/[...] 2002-05-17
[4] 서적 The Orthodox Christian World Routledge 2012
[5] 서적 Religious Education at Schools in Europe: Part 5: Southeastern Europe V&R Unipress 2020
[6]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Post-Socialist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Challenges Since 1989 Palgrave Macmillan 2014
[7] 웹사이트 Dnevnik http://star.dnevnik.[...] 2016-04-19
[8] 서적 Eastern Christianity an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2014
[9] 문서 Summon by the Patriarch Paul http://www.poa-info.[...]
[10] 웹사이트 The Agreement of the Priests from the Metropolis of Veles and Povardarje for Entrance into a Liturgical and Canonical Unity with the Serbian Orthodox Church http://poa-info.org/[...] 2016-04-19
[11] 서적 Serbia Since 1989: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sevic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12] 웹사이트 The decision for constitution of the Synod (in Macedonian)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4-10-05
[13] 웹사이트 The tomos for autonomy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4-10-05
[14] 웹사이트 The Serbian Patriarchate : confirmation of posting as Archbishop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5-02-21
[15] 서적 Religion in the Post-Yugoslav Context Lexington Books 2015
[16] 문서 Brief History of the Ohrid Archbishopric http://www.poa-info.[...] Orthodox Ohrid Archbishopric, Archbishop of Ohrid and Metropolitan of Skopje Jovan 2006-12-31
[17] 웹사이트 Forum 18 Archive: MACEDONIA: Serbian Orthodox Archbishop arrested again - 13 January 2004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5-02-21
[18] 웹사이트 Helsinki Committee for human rights http://mhc.org.mk/de[...] 2009-06-05
[19] 서적 Religion and Politics in Post-Socialist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Challenges Since 1989 Palgrave Macmillan 2014
[20] 웹사이트 US State Dept. report on Religious Freedoms in Macedonia https://2001-2009.st[...] 2014-10-05
[21] 웹사이트 Forum 18 - MACEDONIA: Who attacked, armed with machine guns, an Orthodox monastery?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4-10-05
[22] 웹사이트 Forum 18 - MACEDONIA: Priests and police raid and threaten Serbian Orthodox believers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4-10-05
[23] 웹사이트 US State Dept. Religious Freedom Report on Macedonia, 2006 https://2001-2009.st[...] 2014-10-05
[24] 웹사이트 US State Dept. report on Religious Freedom in Macedonia https://2001-2009.st[...] 2014-10-05
[25] 웹사이트 MACEDONIA: Religious communities still face building problems https://www.forum18.[...] 2006-08-25
[26] 웹사이트 Full text of the verdict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4-10-05
[27] 웹사이트 Full text of the verdict of the Supreme Court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4-10-05
[28] 웹사이트 Full text of the convicting verdict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4-10-05
[29] 웹사이트 Forum 18 Archive: MACEDONIA: Serbian Orthodox "will never get registration" - 23 September 2004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5-02-21
[30] 웹사이트 Forum 18 - MACEDONIA: Selective refusal to register Serbian Orthodox Church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4-10-05
[31] 웹사이트 US State Dept. Report on Religious Freedom in Macedonia, 2008 https://2001-2009.st[...] 2008-09-19
[32] 웹사이트 Forum 18 Archive: MACEDONIA: Why is state interfering in Orthodox dispute? - 8 June 2005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5-02-21
[33] 웹사이트 Macedonia https://2001-2009.st[...] 2008-09-19
[34] 웹사이트 Macedonia https://2001-2009.st[...] 2007-09-14
[35] 웹사이트 Macedonia https://2001-2009.st[...] 2014-10-05
[36] 웹사이트 Macedonia https://2001-2009.st[...] 2014-10-05
[37] 웹사이트 Macedonia,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https://2001-2009.st[...] 2014-10-05
[38] 웹사이트 US Mission to the OSCE - Statement on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http://osce.usmissio[...] Osce.usmission.gov 2015-02-21
[39] 웹사이트 Commission Staff Working Document :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2006 Progress Report http://ec.europa.eu/[...] Ec.europa.eu 2015-02-21
[40] 웹사이트 The refusal to register a religious organization contrary to the ECHR https://www.echrcase[...] echrcaselaw.com/ 2020-11-23
[41]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sees Jovan Vraniskovski a prisoner of conscience https://www.amnesty.[...] Amnesty.org 2014-10-05
[42] 웹사이트 Freedom House report on Macedonia, 2005 http://freedomhouse.[...] Freedomhouse.org 2014-10-05
[43] 웹사이트 Freedom House report on Macedonia, 2007 http://freedomhouse.[...] Freedomhouse.org 2014-10-05
[44] 웹사이트 Annual report for year 2005 http://mhc.org.mk/de[...] 2009-06-05
[45] 웹사이트 Monthly report for December 2003 and January 2004 http://mhc.org.mk/de[...] 2009-06-05
[46]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in Macedonia http://mhc.org.mk/de[...] 2009-06-05
[47] 웹사이트 Religious Freedom in Southeastern Europe http://csce.gov/inde[...] Csce.gov 2014-10-05
[48] 웹사이트 Forum 18 Archive: MACEDONIA: New Religion Law perpetuates discrimination - 31 March 2008 http://forum18.org/A[...] Forum18.org 2014-10-05
[49] 웹사이트 Σεπτόν Πατριαρχικόν Γράμμα πρός τόν Ἐξοχ. κ. Vlado Buckovski, Πρωθυπουργόν τῆς FYROM(11/08/2005) http://www.ec-patr.o[...] Ec-patr.org 2014-10-05
[50] 웹사이트 Patriarchal Letter to the Prime Minister of FYROM Mr. Vlado Buckovski http://www.ec-patr.o[...] Ec-patr.org 2014-10-05
[51] 웹사이트 A letter from His Holyness Patriarch Alexy II of Moscow to the President of Macedonia http://www.patriarch[...] 2014-10-05
[52] 웹사이트 Διαμαρτυρία της Συνόδου για τον Αρχιεπίσκοπο Αχρίδος http://www.ecclesia.[...] 2014-10-05
[53] 웹사이트 The letter from the Assembly of the twenty Holy Monasteries of Holy Mount Athos to the Metropolitan Jovan http://www.poa-info.[...] Poa-info.org 2014-10-05
[54] 웹사이트 SCOBA Condemns Imprisonment of Archbishop Jovan By FYROM and Asks For His Release http://www.scoba.us/[...] 2010-02-05
[55] 웹사이트 Metropolitan Herman calls for release of Archbishop Jovan of Ohrid http://www.oca.org/N[...] Oca.org 2014-10-05
[56] 웹사이트 SOC (2022): Encyclical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nial Celebration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Serbian Patriarchate https://web.archive.[...]
[57] 웹사이트 SOC: Communique of the Holy Assembly of Bishops (May 16th, 2022)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OOA: Joint concelebration of MOC and SOC, including OOA (May 19th, 2022) https://poa-info.org[...]
[59] 웹사이트 SOC: Archbishop Jovan: Lets preserve the unity! So that senseless schism should not recure!(May 19th, 2022) https://web.archive.[...]
[60] 웹사이트 SOC (2022): Patriarch Porphyry and Archbishop Stefan concelebrated in the Cathedral in Skopje https://web.archive.[...]
[61] 웹사이트 OOA (2022): Serbian Patriarch Porphyry served liturgy in Skopje https://poa-info.org[...]
[62] 웹사이트 SOC (2022): Patriarch Porphyry: God is the Alpha and Omega of our existence in history and in eternity https://web.archive.[...]
[63] 웹사이트 SOC (2022): Serbian Patriarch Porfirije handed the Tomos confirming the autocephaly of the Macedonian Orthodox Church – Archdiocese of Ohrid to Archbishop Stefan https://web.archive.[...]
[64] 웹사이트 OOA (2022): 15 Years of Hierarchical Service of Bishop David of Stobi https://www.poa-info[...]
[65] 웹사이트 SOC (2022): Hundreds of faithful welcomed Patriarch Porphyry in the monastery of Kalište near Struga https://web.archive.[...]
[66] 웹사이트 SOC (2022): Patriarch Porphyry: The Church offers the meaning of existence to every man in every time and every space https://web.archive.[...]
[67] 웹사이트 Spor između SPC i MPC okončan i formalno https://www.slobodna[...] Radio Free Europe 2023-05-20
[68] 웹사이트 SOC (2023): Communique of the Holy Assembly of Bishops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https://spc.rs/en/co[...]
[69] 웹사이트 ПОА (2023): Од соопштението на Светиот Архијерејски Собор на Српската Православна Црква https://www.poa-info[...]
[70] 웹사이트 MOC-OA (2023): Communique of the Holy Synod of Bishops (mk) http://mpc.org.mk/ve[...]
[71] 뉴스 'OOA (2023): On the third Sunday after Pentecost, Archbishop Jovan served in the Stavropigial Monastery of St. John Chrysostom in Bitola (mk)' https://www.poa-info[...]
[72] 웹사이트 Union complete: Macedonian Holy Synod assigns dioceses to former Serbian Church hierarchs https://orthochristi[...] 2023-06-21
[73] 간행물 'OOA (2023): Communique of the Holy Synod of the Orthodox Ohrid Archbishopric (mk)' https://web.archive.[...]
[74] 문서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75]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76]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77]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