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북마케도니아의 정교회로, 1019년 오흐리드 대주교구로 시작되어 오스만 제국 시기 해체되었다가,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부활하려는 노력을 거쳐 1945년 마케도니아 정교회로 재건되었다. 세르비아 정교회의 관할 하에 있다가 1967년 자치권을 선포했으나, 다른 정교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 2022년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 자치권을 인정받았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으로부터 북마케도니아 관할권을 인정받았다. 현재 12개 교구와 약 500명의 사제를 두고 있으며, 오흐리드 대주교 스테판이 총대주교직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동방 정교회 -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
정통 오흐리드 대주교구는 북마케도니아에서 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아래 있던 교구였으나 박해와 종교 단체 등록 거부 등을 겪다가 2022년 독립성을 인정받고 2023년 마케도니아 정교회에 통합되었다. -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 조지아 정교회
조지아 정교회는 사도 안드레아의 선교로 시작되어 성 니노에 의해 국교로 채택된 조지아의 국교이자 동방 정교회의 자치 교회로, 러시아 제국 합병과 혁명 이후 독립을 거쳐 현재 일리아 2세 총대주교 하에 부흥기를 맞이했으나 내외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 루마니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는 14세기에 설립된 수도대주교구에서 시작하여 20세기에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로부터 독립했으며, 루마니아어로 예배를 드리고 1925년 여러 교회를 통합하여 콘스탄티노플 정교회 본부의 승인을 받아 현재 주교구, 신학대학, 신학교, 수도원 등을 운영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도원을 보유하고 공산주의 시대와 현대적 이슈들을 겪고 있는 루마니아의 정교회 교회이다.
마케도니아 정교회 | |
---|---|
기본 정보 | |
명칭 | 마케도니아 정교회 - 오흐리드 대교구 |
약칭 | AO, MOC, MOC-AO |
종류 | 동방 정교회 |
지도자 칭호 | 수석 대주교 |
지도자 | 스테판, 오흐리드와 마케도니아 대주교 |
사용 언어 | 교회 슬라브어, 마케도니아어 |
웹사이트 | 마케도니아 정교회 공식 웹사이트 |
![]() | |
관할 지역 | |
주요 관할 | 북마케도니아 |
해외 관할 |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연합 |
역사 | |
설립 | 1967년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의 독립 자칭 2022년 5월 16일, 세르비아 정교회 산하 자치 교회 지위로 복귀 2022년 6월 5일,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 독립 교회 승인 |
승인 | 1959-1967년, 2022년 5월 중순-6월 초 세르비아 정교회 자치 교회로 승인 여러 동방 정교회에서 독립 교회로 승인 |
분리 | 세르비아 정교회 (SOC) |
신학 | |
신학 | 동방 정교회 신학 |
2. 역사적 배경
1019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을 멸망시킨 동로마 제국의 황제 바실리우스 2세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총대주교좌를 폐지했지만, 일정한 자치를 인정하여 오흐리드 대주교구를 설치했다.[94] 1767년, 오흐리드 대주교구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해체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병합되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쳐 오흐리드 대주교구 부활 운동이 일어났다. 1874년 스코페와 오흐리드 주교구 신자들은 불가리아 정교회 귀속을 요구하는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을 보였다.[94] 1890년, 오흐리드 시민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부활을 요구하는 청원을 제출했다.[95] 스코페의 테오도시오스는 불가리아 정교회에 마케도니아 교회의 분리를 요구하는 청원을 여러 차례 제출하며, 마케도니아 교회의 분리가 발칸 반도의 혼란을 종식시키는 길이라고 생각했다.[96]
> “지금이야말로 이 피를 나눈 형제들의 다툼을 끝낼 때가 아닐까요? 그리고 그것은 (마케도니아의) 국민 교회 없이 오흐리드 대주교구 설치만으로 과연 가능할까요? 저는 확신합니다, 그리스도교 형제들이여. 저는 공언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은 “마케도니아인”이며, 더 이상 터키인, 이 땅에 오랫동안 군림하는 파디샤(Padishah, 황제)에게 예속되지 않도록. 그리고 이 억압받는 땅을 독수리처럼 찢어서 차지하려고 하는 그리스인, 불가리아인, 세르비아인에게 예속되지 않도록.”[9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18년에 바르다르 마케도니아는 세르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이 지역의 교구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것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불가리아가 이 지역을 점령했을 때는 다시 불가리아 정교회의 것이 되었다.
2. 1. 오흐리드 대교구

제1 불가리아 제국이 멸망한 후, 비잔티움 황제 바실 2세는 불가리아 정교회의 자치 지위를 인정하고 그 영역, 교구, 재산 및 기타 특권을 설정했다. 대주교구는 비잔티움의 불가리아 테마의 오흐리드에 위치했으며, 1019년 자치적인 불가리아 총대주교청의 지위를 낮추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관할권에 종속시킴으로써 설립되었다.[4][5]
1767년 오스만 당국에 의해 오흐리드 대주교구는 폐지되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 합병되었다.[6]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 동안, 그리스 총대주교청과 별개로 이 지역에 불가리아 교회를 복원하려는 노력이 오스만 마케도니아에서 이루어졌고, 1870년 불가리아 총대주교구가 설립되었다. 스코페와 오흐리드의 주교구의 기독교 인구는 1874년 총대주교구에 합류하는 데 압도적으로 찬성했다.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는 마케도니아 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하게 되었다. 스코페의 테오도시오스는 1890년에 별도의 마케도니아 교회로 오흐리드 대주교구를 복원하려고 시도했다.[6]
1913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가 세르비아에 편입된 후, 불가리아 총대주교구의 여러 교구가 세르비아 정교회에 의해 강제로 넘어갔다.[7]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지역이 불가리아에 의해 점령되는 동안, 지역 교구는 일시적으로 불가리아 총대주교구의 통제하에 있었다.[8][9]
마케도니아 성직자들의 최초의 현대 회의는 1943년 오흐리드 근처 이즈데글라브예 마을에서 열렸다.[10] 1944년 10월, 마케도니아 정교회 조직을 위한 이니셔티브 위원회가 공식적으로 구성되었다.[2] 1945년, 최초의 성직자와 민중 시노드가 회의를 열고 오흐리드 대주교구를 '마케도니아 정교회'로 복원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그것은 1919년부터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유일한 교회였던 세르비아 정교회에 제출되었다. 이 결의안은 거부되었지만, 1958년 두 번째 시노드에서 제출된 후속 결의안은 1959년 6월 17일 세르비아 정교회에 의해 수락되었다.[12] 도시테이 2세는 오흐리드 대주교 겸 마케도니아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2]
2. 2. 불가리아 총대주교구와 세르비아 정교회 관할 시기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쳐 오흐리드 대교구 부활 운동이 일어났다. 1870년 불가리아 총대주교구가 설립되었고, 스코페와 오흐리드 주교구의 기독교 인구는 1874년 투표를 통해 총대주교구 합류에 압도적인 찬성을 보였다. 그리하여 불가리아 총대주교구는 마케도니아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게 되었다.[6] 1890년에는 스코페의 테오도시오스가 오흐리드 대교구를 별도의 마케도니아 교회로 복원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하였다.[6]1913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가 세르비아에 편입되면서, 불가리아 총대주교구의 여러 교구가 세르비아 정교회에 강제로 넘어갔다.[7]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지역이 불가리아에 의해 점령되는 동안에는 지역 교구가 일시적으로 불가리아 총대주교구의 통제하에 있었다.[8][9]
2. 3. 마케도니아 정교회 설립과 자치권 획득 과정
1943년 오흐리드 근처 이즈데글라브예 마을에서 마케도니아 성직자들의 첫 현대 회의가 열렸다.[10] 1945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수립 후, 최초의 성직자와 민중 시노드는 오흐리드 대주교구를 '마케도니아 정교회'로 복원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 결의안은 1919년부터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의 유일한 교회였던 세르비아 정교회에 제출되었으나 거부되었다.[12]1958년 두 번째 시노드에서 제출된 후속 결의안은 1959년 6월 17일 세르비아 정교회에 의해 수락되었다.[12] 도시테이 2세(도시테우스 2세)가 오흐리드 대주교 겸 마케도니아 총대주교로 임명되었다.[2] 1962년 세르비아 총대주교 게르만과 러시아 총대주교 알렉시스는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방문하여 성 메토디우스와 성 키릴 축일에 도시테이 2세와 함께 마케도니아 정교회에서 최초로 공동 예배를 드렸다.
1966년 5월,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세르비아 주교회의에 자치권(autocephaly)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 1967년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열린 세 번째 시노드에서, 오흐리드 대주교구 폐지 200주년 기념일에 마케도니아 교회는 일방적으로 자치(완전한 행정적 독립)를 선포했다.[14] 세르비아 교회 주교들은 이 결정을 비난하고 성직자들을 분열주의자로 규탄했다.[1]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 동맹은 이 선포를 환영했다. 이후 세르비아 정교회의 반대 때문에 마케도니아 교회의 자치권은 다른 정교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다.[2]
3. 다른 정교회와의 관계 및 갈등
유고슬라비아가 분열되고 공산주의 정권이 붕괴되면서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 사이에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다. 그 내용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자치 획득 과정의 문제점, 북마케도니아에서 소수파가 된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들에 대한 문제, 중세 네마니치 시대의 세르비아 정교회 성당에 대한 문제였다.
두 정교회는 2002년 세르비아의 니시에서 타협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여, 마케도니아인을 교회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 사실상(de facto) 독립된 존재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이 합의는 정치적 압력이 있었다는 이유로, 나중에 마케도니아 측 주교들은 다시 이 합의를 철회했고, 오흐리드 대주교 요반(Jovan)만이 이 합의를 인정하였다. 그 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수장에 의해 합의는 파기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세르비아 정교회와 세르비아 공화국 정부, 그리고 마케도니아 정교회와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정부를 끌어들여 상호 비난 공방을 벌이는 상황을 초래했다.
두 교회의 "기독교의 우정 관계와 통합"에 대한 호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은 거의 없었다.
2022년 6월 5일,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 독립 정교회의 지위를 인정하는 토모스가 수여되어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독립 교회를 인정하였다.
3. 1. 독립 선언 이후의 갈등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 정교회는 마케도니아 정교회에 대한 지배력 회복을 시도했다.[10] 2002년 세르비아 니시에서 양측은 타협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여, 마케도니아인을 교회법에 따른 사실상(de facto) 독립된 존재로 인정하는 니쉬 협정을 체결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정교회 주교들은 정치적 압력을 이유로 합의를 철회했고, 오흐리드 대주교 요반만이 합의를 인정했다. 이후 북마케도니아 정부와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이 합의를 파기했다.이에 세르비아 정교회는 오흐리드 정교회 대주교구를 설치하여 자치권을 부여하고 요반을 대주교로 임명했다.[12] 이 사건은 세르비아 정교회 및 세르비아 정부와, 마케도니아 정교회 및 북마케도니아 정부 간의 상호 비난으로 이어졌다. 마케도니아 측은 요반을 세르비아의 앞잡이로 규정했고, 요반은 마케도니아 언론의 교회 비난 캠페인에 불만을 표했다.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요반의 교회 승인을 거부하고, 그의 신앙 장소를 공격했으며, 요반을 범죄자로 고발하여 체포했다. 요반은 주교직을 박탈당하고 추방되었다가 2005년 귀국하여 세례를 시도하다 다시 체포되었다. 그는 18개월 징역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으며, 면회는 엄격히 제한되었다. 2006년 3월 19일, 220일 만에 석방되었는데, 체포 이유는 돈 횡령, 교회 자금의 부적절한 사용, 그리고 마케도니아 정교회 소속 당시 교회 자금 착복이었다.
한편, 세르비아 정교회는 마케도니아 측이 프로호르 프치니스키 수도원 출입을 금지했다고 주장했다. 이 수도원은 마케도니아 국민 축제일인 일린덴(8월 2일, 성 엘리야의 날) 축하 행사와 마케도니아 인민해방 반파시스트 회의 첫 회의가 열린 곳이다. 마케도니아 입국 관리국은 성직자 복장을 한 세르비아 성직자의 입국을 자주 거부했다.
두 교회의 "기독교 우정과 통합" 호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 움직임은 거의 없었다.
3. 2. 주류 동방 정교회와의 관계 회복


2017년 11월, 불가리아국영방송은 마케도니아 정교회(MOC)가 불가리아 정교회의 성 시노드에 보낸 서한 내용을 발표했다. 이 서한은 스테판 벨랴노프스키 대주교가 서명했으며,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복원된 오흐리드 대주교구와의 성찬 공동체를 위한 협상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서한에는 "불가리아 정교회-불가리아 총대주교청은 정교회의 일치와 실질적인 영적 및 사목적 필요성을 고려하여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복원된 오흐리드 대주교구와 성찬 공동체를 수립해야 한다."라는 내용이 포함되었다.[26] 11월 27일, 불가리아 총대주교청의 성 시노드는 마케도니아의 모교회가 되는 제안을 수락하고 지위 인정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27][28][29] 세르비아 정교회는 불가리아가 마케도니아 교회의 "모교회"가 되기로 한 결정에 놀라움을 표했다.[30]
2018년 5월 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은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교회법적 지위 조사 요청을 수락했다.[32]
2020년 1월 13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북마케도니아의 총리 올리버 스파소프스키와 그의 전임자 조란 자에프를 접견했다.[33]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성명에 따르면, "이 방문의 목적은 북마케도니아의 교회 문제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회의에서는 이 문제의 이전 단계가 논의되었다."[34] 총대주교는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세르비아 정교회와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공동 회의에 초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4]
2022년 5월 9일, 세계 총대주교청의 성스러운 시노드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그 지도부와 신자들을 인정하고, 성찬 공동체를 수립했다. 또한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관할권이 북마케도니아에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고 밝혔다.[36][37] 그러나 세계 총대주교청은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과 관련하여 "마케도니아" 또는 그 파생어를 교회 명칭으로 인정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거부하고, "오흐리드"라는 명칭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24] 성스러운 시노드는 또한 세르비아 정교회가 마케도니아 정교회와 갖고 있는 행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세르비아 정교회의 역할이라고 밝혔다.[38][39][40]
2022년 5월 16일, 세르비아 정교회 성스러운 시노드는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상황이 해결되었다고 발표했다. 성스러운 시노드는 세르비아 총대주교청 아래에서 마케도니아 정교회에 대한 완전한 교회 자치가 회복되어 마케도니아 정교회(MOC-OA)가 주류 동방 정교회 세계와 완전히 성찬을 이루었다고 밝혔다.[42][43][44]
2022년 6월 5일, 세르비아 정교회로부터 독립 정교회의 지위를 인정하는 토모스가 수여되어 마케도니아 정교회의 독립 교회를 인정하였다.
3. 3. 자치권 인정 이후의 현황
2022년 5월 9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성 시노드는 마케도니아 정교회(MOC-OA)와 그 지도부 및 신자들을 인정하고 성찬 공동체를 수립했다.[36][37] 또한 북마케도니아를 MOC-OA의 관할 구역으로 인정했다.[36][37] 그러나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과 관련하여 교회 명칭에 "마케도니아" 또는 그 파생어를 사용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거부하고 "오흐리드"라는 명칭을 사용하겠다고 밝혔다.[24] 시노드는 MOC-OA와 관련된 행정 문제 해결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역할이라고 밝혔다.[38][39][40] 이 결정은 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Dimitar Kovačevski) 북마케도니아 총리에게 환영받았다.[24] 한편, 러시아 정교회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정식 권리만을 인정하고 MOC-OA의 북마케도니아 관할권을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41]5월 16일, 세르비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MOC-OA의 상황이 해결되었다고 발표했다. 세르비아 총대주교청 아래에서 MOC-OA에 대한 완전한 교회 자치가 회복되어 주류 동방 정교회와 완전한 성찬을 이루게 되었다.[42][43][44]
4. 조직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오흐리드 대주교 스테판(en)을 총대주교로 하여, 9명의 부주교로 구성된 성 시노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2005년 기준)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북마케도니아 국내외에 교구를 두고 있으며, 각 교구는 해당 지역의 신자들을 관할한다. 교회 내에서는 월명에 마케도니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다른 고어를 사용한다. (Macedonian months 참조).
4. 1. 북마케도니아 내 교구
교구명 | 관할 주교 | 비고 |
---|---|---|
스코페 교구 | 스테판 대주교 | |
테토보 및 고스티바르 교구 | 요셉 대주교 | |
쿠마노보 및 오소고보 교구 | 그리골리 대주교 | |
데바르 및 키체보 교구 | 공석 | |
프레스파 및 펠라고니아 교구 | 페트로스 대주교 | |
스트루미차 교구 | 나움 대주교 | |
브레갈니차 교구 | 힐라리온 대주교 | |
포바르다리에 교구 | 아가탄겔 대주교 | |
크루셰보 및 데미르 히사르 교구 | 요반 대주교 | |
델랴드로브치-일린덴 교구 | 요아킴 대주교 | |
델체보 및 마케돈스카 카메니차 교구 | 마르코 대주교 |
2005년 기준으로,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오흐리드 대주교 스테판(en)이 총대주교직에 있으며, 9명의 부주교로 구성된 마케도니아 정교회 성 시노드의 수장을 맡고 있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외에는 미국·캐나다 교구(부주교 메토디이), 유럽 교구(부주교 피멘), 오스트레일리아 교구(부주교 페타르)를 포함한 6개의 교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마케도니아인 디아스포라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 전체에는 약 500명의 사제와 2000개의 성당 및 수도원이 있다.
4. 2. 디아스포라 교구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국외에 있는 마케도니아인들을 위해 4개의 교구를 운영하고 있다.[89]교구명 | 관할 주교 |
---|---|
(미주-캐나다 교구) | 메토디우스(Methodius) 대주교 |
(유럽 교구) | 피멘(Pimen) 대주교 |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교구) | 프레파와 펠라고니아의 페트로스(Peter) 대주교 (본부: 멜버른)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교구) | 관할자 공석 (본부: 시드니) |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총 12개의 교구를 두고 있으며, 10명의 주교가 이를 관할한다.[89] 약 500개의 본당과 2000개 이상의 교회 및 수도원에서 약 500명의 사제가 활동하고 있으며,[89] 100명 이상의 수도승이 있는 20개 이상의 현존하는 수도원을 관할하고 있다.[89]
4. 3. 현황
마케도니아 정교회(MOC-OA)는 12개 교구, 약 500개 본당, 2,000개 이상의 교회와 수도원을 관할하며, 약 500명의 사제와 100명 이상의 수도승이 활동하고 있다.[89] 2005년 기준으로, 오흐리드 대주교 스테판(en)이 총대주교직에 있으며, 부주교 등 9명으로 구성된 마케도니아 정교회 성 시노드의 수장을 맡고 있다.북마케도니아 공화국 내 교구는 다음과 같다.
교구 | 관할 주교 |
---|---|
스코페 교구 | 오흐리드 및 마케도니아 대주교 스테판 |
폴로그 및 쿠마노보 교구 | 부주교 키릴(Kiril) |
데바르 및 키체보 교구 | 부주교 티모테이(Timotej) |
프레파 및 펠라고니아 교구 | 부주교 페타르(Petar) |
스트루미차 교구 | 부주교 나움(Naum) |
브레갈니차 교구 | 부주교 일라리온(Ilarion) |
포바르다리예 교구 | 부주교 아가탕겔(Agatangel) |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외에는 (미주-캐나다 교구)(부주교 메토디이(Metodij)), (유럽 교구)(부주교 피멘(Pimen)), (오스트레일리아 교구)(부주교 페타르(Petar))를 포함한 4개의 교구가 있으며, 주로 마케도니아인 디아스포라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10명의 주교가 12개 교구를 관할하며, 약 500개의 본당과 2,000개 이상의 교회와 수도원에서 약 500명의 사제가 활동하고 있다. 100명 이상의 수도승이 있는 20개 이상의 현존하는 수도원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한다.[89] 교회 내에서는 월명에 마케도니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다른 고어를 사용하고 있다(Macedonian months 참조).
참조
[1]
웹사이트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XX ВЕК. 10 ОКТЯБРЯ
http://www.pravoslav[...]
2014-09-14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Volume 3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9
[3]
웹사이트
Συλλείτουργο Οικουμενικού Πατριάρχη-Αρχιεπισκόπου Αχρίδος στο Φανάρι
https://www.orthodox[...]
2022-06-12
[4]
서적
The Balkans: A History of Bulgaria, Serbia, Greece, Romania, Turkey
Digital Antiquaria
[5]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National Romanticism: The Formation of National Movement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7
[7]
서적
Politics of Ethnic Cleansing: Nation-State Building and Provision of In/Security in Twentieth-Century Balkans
Lexington Books
2008
[8]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John Wiley & Sons
2010
[9]
논문
Church Life in Macedonia During World War II
[10]
서적
Macedonia and Greece: The Struggle to Define a New Balkan Nation
McFarland
1997
[11]
서적
Eastern Christianity and the Cold War, 1945-91
Routledge
2010
[12]
서적
Orthodox Churches and Politics in Southeastern Europe: Nationalism, Conservativism, and Intolerance
Springer Nature
2019
[13]
서적
Memory and Religion from a Postsecular Perspective
Routledge
2022
[14]
서적
East Central Europe and Communism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1943-1991
Routledge
2023
[15]
서적
Balkan Idols: Religion and Nationalism in Yugoslav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6]
서적
The Balkans in the New Millennium: In the Shadow of War and Peace
Routledge
2005
[17]
웹사이트
MACEDONIA: Why is state interfering in Orthodox dispute?
https://www.forum18.[...]
Forum18.org
2011-11-05
[18]
웹사이트
MACEDONIA: Serbian Orthodox "will never get registration"
https://www.forum18.[...]
Forum18.org
2011-11-05
[19]
웹사이트
IWPR Institute for War & Peace Reporting
http://www.iwpr.net/[...]
Iwpr.net
1980-12-25
[20]
웹사이트
Southeast Europe Online
http://www.southeast[...]
Southeasteurope.org
2011-11-05
[21]
웹사이트
Press Online
http://www.lobi.com.[...]
Lobi.com.mk
2011-11-05
[22]
웹사이트
Eca 15
https://www.hrw.org/[...]
Hrw.org
1999-10-31
[23]
웹사이트
Македонската Православна Црква со нов грб - Македонско хералдичко здружение
http://www.heraldika[...]
[24]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welcomes Ecumenical Patriarchate's recognition of Church of Ohrid
https://www.amna.gr/[...]
2022-05-10
[25]
서적
Eastern Christianity and Politics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2014
[26]
뉴스
Македонската архиепископия е готова да признае БПЦ за Църква-майка
https://www.bnt.bg/b[...]
БНТ
2017-11-18
[27]
웹사이트
Рeшение на Св. Синод по повод отправено писмо от Македонската православна църква
https://bg-patriarsh[...]
Българска Патриаршия
2017-11-27
[28]
웹사이트
Bulgarian Holy synod will do all it can to make Macedonian church canonical
http://orthochristia[...]
2017-11-27
[29]
뉴스
BOC accepted to be mother-church of MOC-OA
http://kurir.mk/en/?[...]
Kurir News Agency
2017-11-28
[30]
웹사이트
Bulgarian Orthodox Synod supports the Macedonian Church strive for recognition
http://evangelicalfo[...]
2017-11-30
[31]
웹사이트
РЕШЕНИЯ на Св. Синод от заседанието на 14.05.18г.
http://www.bg-patria[...]
[32]
웹사이트
The Ecumenical Patriarchate accepts the request of the Schismatic Church of Macedonia (FYROM) to examine its canonical status
https://orthodoxie.c[...]
2018-05-31
[33]
웹사이트
Премиерот Спасовски оствари средба со Вселенскиот Патријарх г. г. Вартоломеј во седиштето Цариградската Патријаршија во Истанбул
https://vlada.mk/nod[...]
Government of North Macedonia
2020-01-13
[34]
웹사이트
The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had a meeting with the Prime Minister of North Macedonia, at Oliver Spasovski's request, regarding the country's ecclesiastical problem.
https://orthodoxtime[...]
Orthodox Times
2020-01-13
[35]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requests church autocephaly from Ecumenical Patriarch
https://www.ekathime[...]
2020-09-21
[36]
웹사이트
Constantinople Ends Schism with North Macedonia Church
https://balkaninsigh[...]
2022-05-10
[37]
웹사이트
Serbia's Olive Branch: Breakthrough or Trap for Macedonia's Church?
https://balkaninsigh[...]
2022-05-19
[38]
웹사이트
Phanar: Yes to the recognition, no to "Macedonia" for the Archdiocese of Ohrid
https://orthodoxtime[...]
null
[39]
웹사이트
Οικουμενικό Πατριαρχείο: Αναγνωρίζει τη σχισματική εκκλησία των Σκοπίων
https://www.orthodox[...]
2022-05-09
[40]
웹사이트
Αποφάσεις της Αγίας και Ιεράς Συνόδου σχετικά με το εκκλησιαστικό θέμα του Κράτους της Βορείου Μακεδονίας
https://ec-patr.org/[...]
2022-05-09
[41]
웹사이트
Какво следва от решението на Вселенската патриаршия за Охридската епископия?
https://dnes.dir.bg/[...]
2022-05-10
[42]
웹사이트
Church of Serbia for North Macedonia: We are not under the influence or pressure of anyone
https://orthodoxtime[...]
2022-05-16
[43]
웹사이트
Саопштење Светог Архијерејског Сабора
http://www.spc.rs/sr[...]
2022-05-16
[44]
웹사이트
The Assembly of the SOC approved the canonical unity of the MOC-OA - Free Press
https://www.sloboden[...]
2022-05-16
[45]
웹사이트
Беседа на Архиепископот во денот на светите Кирил и Методиј (24.05.2022)
https://www.preminpo[...]
2022-05-25
[46]
뉴스
RSE: SPC priznala autokefalnost Makedonske pravoslavne crkve
https://www.vijesti.[...]
2022-05-24
[47]
웹사이트
Serbian Patriarch Brings "Good News" to Newly-Recognised Macedonian Church
https://balkaninsigh[...]
2022-05-24
[48]
웹사이트
BREAKING: Patriarch Porfirije announces autocephaly of Macedonian Church (+VIDEO)
https://orthochristi[...]
null
[49]
웹사이트
Patriarchate of Serbia recognizes the autocephaly of Archdiocese of Ohrid
https://orthodoxtime[...]
2022-05-24
[50]
웹사이트
Архиепископ Стефан: Када се љубав дели – она се умножава! {{!}} Српскa Православнa Црквa [Званични сајт]
http://www.spc.rs/sr[...]
null
[51]
웹사이트
Patriarchate Of Serbia overrides centuries old traditions: It granted 'Tomos of Autocephaly' to Ohrid Archdiocese
https://orthodoxtime[...]
2022-06-05
[52]
웹사이트
Macedonian Church receives tomos of autocephaly from Serbian Church
https://orthochristi[...]
null
[53]
웹사이트
Патријарх Порфирије у Саборној цркви у Београду: Црква се умножава у духу Јеванђеља Христовог (ФОТО/ВИДЕО)
http://www.tvhram.rs[...]
null
[54]
웹사이트
Zvanično priznata autokefalnost – Porfirije uručio tomos arhiepiskopu Stefanu
https://rs.n1info.co[...]
N1
2022-06-05
[55]
웹사이트
Архиепископот Стефан за То Вима: Единствено Вселенската Патријаршија издава томос за автокефалност
https://religija.mk/[...]
2022-06-05
[56]
웹사이트
Archbishop of Ohrid finks out on the Serbs: We will get the Tomos of Autocephaly from the Ecumenical Patriarch
https://orthodoxtime[...]
2022-06-06
[57]
웹사이트
МПЦ-ОА: Со документот на СПЦ црквата се претставува како достојна за автокефаност
https://religija.mk/[...]
2022-06-06
[58]
웹사이트
Соопштение од Кабинетот на Архиепископот
http://mpc.org.mk/ve[...]
МПЦ
2022-06-07
[59]
웹사이트
Greek Synod objects to name and territory of Macedonian Orthodox Church
https://orthochristi[...]
2022-06-08
[60]
웹사이트
Εγινε στο Φανάρι επίσημα η αποκατάσταση της εκκλησιαστικής κοινωνίας της Αρχιεπισκοπής Αχρίδος
https://www.ekirikas[...]
2022-06-11
[61]
웹사이트
Архиепископот Стефан од патријархот Вартоломеј го прими Патријаршискиот акт
https://mrt.com.mk/n[...]
2022-06-10
[62]
웹사이트
Concelebration at the Phanar with Bartholomew and the Archbishop of Ohrid (LIVE)
https://orthodoxtime[...]
2022-06-12
[63]
웹사이트
Οικουμενικός Πατριάρχης σε Αχρίδος Στέφανο: "Η από τώρα πορεία σας εξαρτάται αποκλειστικά από τη δική σας συμπεριφορά"
https://www.orthodox[...]
2022-06-12
[64]
웹사이트
Κοβάτσεφσκι: Ευχαριστούμε τον Πατριάρχη Βαρθολομαίο για τον τερματισμό μιας ιστορικής αδικίας
https://www.ieidisei[...]
2022-06-12
[65]
웹사이트
Bulgarian Orthodox Church restores canonical communion with Church of Northern Macedonia
https://orthochristi[...]
null
[66]
웹사이트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признала Македонскую Православную Церковь — Охридскую Архиепископию автокефальной Церковью-Сестрой
http://www.patriarch[...]
null
[67]
웹사이트
Polish Church officially recognizes Macedonian Orthodox Church
https://orthochristi[...]
2022-10-27
[68]
웹사이트
Primate of Macedonian Orthodox Church added to diptychs of Ukrainian Orthodox Church
https://orthochristi[...]
2022-11-23
[69]
웹사이트
Bulgarian Church recognizes autocephaly of Macedonian Church, but without title "Ohrid"
https://orthochristi[...]
2022-12-20
[70]
웹사이트
Patriarchate of Romania recognised the autochephaly the Serbs granted to the Archdiocese of Ohrid
https://orthodoxtime[...]
2023-02-10
[71]
웹사이트
Czech-Slovak Church recognizes Macedonian-Ohrid autocephaly
https://orthochristi[...]
2023-03-27
[72]
웹사이트
Antiochian Synod officially recognizes Macedonian Orthodox Church
https://orthochristi[...]
2023-03-27
[73]
웹사이트
Georgian Church enters into communion with Macedonian Church
https://orthochristi[...]
2023-03-27
[74]
웹사이트
Albanian Church enters into communion with Macedonian-Ohrid Church
https://orthochristi[...]
2023-03-27
[75]
웹사이트
Macedonian Church rejects communion with Ukrainian schismatics
https://orthochristi[...]
2023-03-31
[76]
웹사이트
Russian Agents Cloaked in Mantles of the Macedonian Orthodox Church
https://truthmeter.m[...]
2024-03-25
[77]
웹사이트
Union complete: Macedonian Holy Synod assigns dioceses to former Serbian Church hierarchs
https://orthochristi[...]
2023-06-21
[78]
웹사이트
MOC-OA holds protest against laws on gender equality and registries
https://mia.mk/en/st[...]
2023-06-29
[79]
웹사이트
North Macedonia’s Church Protests Gender-Related Laws
https://balkaninsigh[...]
2023-06-29
[80]
웹사이트
Протест на црквата против законите за родот со проруски шмек [галерија]
https://meta.mk/prot[...]
2023-06-29
[81]
웹사이트
Икони, крстови и руски знамиња на протестот на МПЦ против законите за родова еднаквост и матична евиденција
https://lokalno.mk/i[...]
2023-06-30
[82]
웹사이트
Thousands in North Macedonia join Church protest against proposed laws on gender equality, identity
https://apnews.com/a[...]
2023-06-29
[83]
웹사이트
MOC-OA protest against the legal amendments on gender equality and birth records
https://www.sloboden[...]
2023
[84]
웹사이트
Пендаровски: Имаме информации од НАТО дека луѓе од највисокото раководство на Синодот на МПЦ соработуваат со руските служби
https://360stepeni.m[...]
2023-06-30
[85]
웹사이트
Macedonian Church’s Independence Challenged by Constantinople Patriarch
https://balkaninsigh[...]
2024-05-03
[86]
웹사이트
Metropolitan of Imbros: The Tomos granted by the Serbs to the Archdiocese of Ohrid is a fake – It’s a shame for the church
https://orthodoxtime[...]
2024-04-12
[87]
웹사이트
Macedonian Church Rejects Constantinople’s Conditions for Independence
https://balkaninsigh[...]
2024-05-22
[88]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Leaders In North Macedonia Express Support For Ukrainian Orthodox Church
https://www.rferl.or[...]
2024-09-12
[89]
웹사이트
Macedonian Orthodox Church today
http://www.mpc.org.m[...]
2021-10-24
[90]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91]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92]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93]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94]
서적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I.B.Tauris
2006
[95]
문서
DA DSIP - Beograd - PPO, F.7, d.6, p.br. 962, 1890.
[96]
문서
Theodosius of Skopje Centralen D'rzhaven istoricheski archiv (Sofia) 176, op. 1. arh.ed. 595, l.5-42 - Razgledi, X/8 (1968), p.996-1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