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36년에 실시되었으며, 오카다 내각의 선거 숙정 정책과 2·26 사건의 영향으로 치러졌다. 중선거구제 하에 466명의 중의원 의원을 선출했으며, 입헌민정당이 205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입헌정우회는 175석, 쇼와회는 20석을 얻었으며, 사회대중당, 국민동맹 등 다른 정당과 무소속 의원들도 당선되었다. 선거 결과는 일본 정치 지형에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당선자 명단과 함께 각 현별 의석 획득 현황이 상세히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선거 - 193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3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대공황 시대에 뉴딜 정책에 대한 지지 속에 민주당이 상원 다수당 지위를 굳건히 하고 공화당이 부진한 결과를 낳았다.
  • 1936년 선거 - 1936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1936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나치당이 권력을 완전히 장악한 후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 없이 치러진 선거로, 나치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권력 장악을 공고히 하고 독재 체제 강화 및 소수 민족 탄압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1936년 2월 - 1936년 동계 올림픽
    1936년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제4회 동계 올림픽은 나치 독일의 선전 도구 활용 및 반유대주의 논란 속에서도 28개국 선수들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 대회였으며, 알파인 스키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노르웨이가 종합 1위를 차지하고 이바르 발랑루드와 소냐 헤니 같은 스타를 배출했다.
  • 1936년 2월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5년부터 1936년까지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침공, 점령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제국을 선포한 전쟁으로, 국제 연맹의 한계를 드러내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조가 되었다.
  • 1936년 일본 - 국회의사당 (일본)
    일본 국회의사당은 중의원과 참의원의 회의가 열리는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로, 메이지 시대부터 건립이 추진되어 1936년 완공되었으며 일본 정치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 1936년 일본 - 방공 협정
    1936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코민테른에 대항하여 체결한 방공 협정은 소련을 겨냥한 비밀 의정서를 포함하고, 추후 이탈리아 등을 포함한 추축국 형성에 기여했으나, 독소불가침조약으로 의미가 퇴색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비판받으며 국제 정세와 추축국 외교 전략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선거 개요
국가일본 제국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1932년 일본 총선거
이전 선거 연도1932년
다음 선거1937년 일본 총선거
다음 선거 연도1937년
선출 의석 수중의원의 전체 466석
과반 의석 수234석
선거 날짜1936년 2월 20일
주요 정당 및 지도자
마치다 추지
마치다 추지
지도자마치다 추지
정당입헌민정당
지난 선거 득표율, 의석수35.25%, 146석
획득 의석수205석
의석 변동59
득표수4,444,413
득표율39.92%
득표율 변동4.67pp
스즈키 기사부로
스즈키 기사부로
지도자스즈키 기사부로
정당입헌정우회
지난 선거 득표율, 의석수32.25%, 301석
획득 의석수174석
의석 변동127
득표수4,188,029
득표율37.62%
득표율 변동20.58pp
쇼와카이 이미지 없음
쇼와카이
지도자공석
정당쇼와카이
지난 선거
획득 의석수18
의석 변동신당
득표수531,772
득표율4.78%
득표율 변동신당
아베 이소오
아베 이소오
지도자아베 이소오
정당사회대중당
지난 선거 득표율, 의석수2.59%, 5석
획득 의석수18
의석 변동13
득표수518,844
득표율4.66%
득표율 변동2.07pp
아다치 겐조
아다치 겐조
지도자아다치 겐조
정당국민동맹
지난 선거
획득 의석수15
의석 변동신당
득표수421,632
득표율3.79%
득표율 변동신당
선거 결과 지도
1936년 일본 총선거, 결합된 득표율
선거구는 당선자의 득표율에 따라 음영 처리됨
선거 이후
총리선거 후 총리
선거 전 총리오카다 케이스케
선거 전 총리 소속 정당일본 제국 육군
선거 후 총리히로타 코키
선거 후 총리 소속 정당무소속 정치인

2. 선거 배경

오카다 내각은 1934년 7월 8일에 성립되었다. 오카다 게이스케는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한 직후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사의 공정성"이라며 선거 숙정을 주요 정책으로 내걸었다. 내무성 관료 출신으로 도쿄부지사와 경시총감을 역임한 고다마 히데오를 내무대신으로, 검사 출신으로 오사카부지사와 내무차관을 역임한 시오노 스에히코를 사법대신으로 발탁하여 선거법 위반 단속을 강하게 추진했다.



선거를 앞두고 내무 관료·검찰·경찰·정치가·실업가 등이 모여 선거 숙정 중앙 연맹을 결성했다. 이들은 선거법 위반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선거 비용 제한과 기부 금지 등을 호소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당시 일본의 주요 정당들은 모두 거국일치 내각 구성을 지지했다. 입헌정우회스즈키 기사부로 총재가 "군부와 관료, 정당이 일치단결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거국일치 내각에 참여할 뜻을 밝혔다. 입헌민정당은 "정당 정치는 정당의 세력 확장이 아니라 국정에 대한 책임 완수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거국일치 내각 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사회대중당 역시 "거국일치 내각은 자본주의 체제 유지를 위한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국민 생활 안정을 위해" 거국일치 내각에 협력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



입헌정우회사이토 내각오카다 내각에 대해 소극적인 비판만을 가했다. 이는 입헌정우회만주사변 이후 군부와 혁신 관료의 압력에 굴복하여 그들에게 영합하는 자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1936년 2월 26일, 2·26 사건이 발생했다. 황도파 청년 장교들이 다카하시 고레키요 대장대신, 사이토 마코토 내대신, 와타나베 조타로 육군 교육총감 등을 살해하고 스즈키 간타로 시종장에게 중상을 입혔다. 이 사건으로 인해 오카다 내각은 총사직했다.

3. 선거 제도

중의원 의원 466명은 3석에서 5석 사이의 중선거구제에서 선출되었다.[2] 보통 선거는 만 25세 이상의 남성에게만 선거권이 주어졌으며, 유권자 수는 14,479,553명이었다.

4. 주요 정당 및 후보

5. 선거 결과

wikitext

정당의석수
입헌민정당205석
입헌정우회175석
쇼와회20석
사회대중당18석
국민동맹15석
기타33석
합계466





현(Prefecture)
의석
획득 의석
입헌민정당입헌정우회쇼와회사회대중당국민동맹기타무소속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
아이치177613
아키타7421
아오모리6231
지바1156
에히메954
후쿠이52111
후쿠오카1848114
후쿠시마1165
기후954
군마9531
히로시마13733
홋카이도2010712
효고1910711
이바라키114331
이시카와633
이와테7151
가가와633
가고시마12714
가나가와11632
고치62211
구마모토10154
교토11821
미에9531
미야기8341
미야자키51211
나가노137312
나가사키94311
나라5311
니가타1574121
오이타734
오카야마10361
오키나와5221
오사카21114141
사가642
사이타마114511
시가5221
시마네651
시즈오카135611
도치기963
도쿠시마6321
도쿄31168511
돗토리4211
도야마633
와카야마6231
야마가타82411
야마구치91611
야마나시51121
총계466205174201815628



총 투표율은 14,304,546표 중 116,886표가 무효표로 처리되었다.

5. 1. 주요 당선자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의 주요 당선자는 다음과 같다.

선거구당선자소속 정당
1936년 | 6월 26일가가와현 제2구나가오 슈타로입헌민정당
8월 3일후쿠오카현 제1구하라구치 하쓰타로입헌정우회
9월 11일기후현 제1구히키타 에이키치입헌정우회
9월 25일나라현후쿠이 킨조입헌정우회
10월 22일나가노현 제2구야마베 쓰네시게입헌민정당
니가타현 제1구다나베 구마이치입헌정우회
11월 4일도쿄부 제5구카부라기 타다마사입헌민정당
12월 12일아키타현 제1구이시카와 사다타쓰입헌정우회
12월 15일사이타마현 제3구몬다 신마쓰입헌정우회
12월 19일가고시마현 제2구아마테츠 마사모리입헌정우회
12월 25일나가노현 제4구다나카 코입헌양정회
1937년 | 1월 9일군마현 제2구코구레 다케오입헌정우회
2월 22일고치현 제1구나가노 나가히로입헌민정당
2월 24일홋카이도 제5구기노시타 세이타로입헌정우회
2월 27일홋카이도 제4구이타야 준스케입헌정우회
-지바현 제1구(미실시)입헌정우회
아이치현 제4구(미실시)입헌민정당



;총 122명

;입헌민정당

:;55명

후카자와 키페이(홋카이도 제4구), 나구모 쇼사쿠(홋카이도 제5구), 나카가와 시게하루(아키타 제1구), 츠치다 소스케(아키타 제2구), 나카니시 미츠라(후쿠시마 제2구), 미나토 스에마츠(후쿠시마 제2구), 야마모토 쿠메키치(이바라키 제3구), 오몬 코사쿠(토치기 제1구), 키무라 아사시치(토치기 제2구), 타카마츠 쵸조(토치기 제2구), 모리시타 쿠니오(토치기 제2구), 스즈키 코타로(사이타마 제1구), 야마모리 토리이치(사이타마 제3구), 이케다 세이슈(지바 제3구), 이이다 스케오(가나가와 제1구), 노다 타케오(가나가와 제2구), 와타나베 테츠조(도쿄 제1구), 하라 타마시게(도쿄 제1구), 하시모토 유키(도쿄 제1구), 나가노 코이치(도쿄 제2구), 코사카 우메키치(도쿄 제3구), 모리 카네미치(도쿄 제4구), 이토 타케시치로(도쿄 제5구), 나카무라 우메키치(도쿄 제6구), 코야나기 마키에(니가타 제2구), 나이토 큐이치로(니가타 제3구), 키타 소이치로(이시카와 제2구), 타나카 쿠니하루(나가노 제1구), 키노시타 신(나가노 제3구), 이토 토이치로(기후 제2구), 히비노 민페이(기후 제3구), 타카기 쿠메타로(시즈오카 제2구), 사카시타 센이치로(시즈오카 제3구), 핫토리 사키시(아이치 제1구), 와타나베 타마사부로(아이치 제3구), 카타오카 츠네이치(미에 제1구), 나가이 겐(미에 제2구), 카도 겐센(미에 제2구), 카와사키 스에요시(교토 제2구), 이케모토 진시로(교토 제2구), 키무라 키치타로(오사카 제2구), 후루토 마스지로(오사카 제6구), 카시와기 세이지(효고 제3구), 코바타 토라노스케(효고 제4구), 우에무라 카조(효고 제5구), 마스다 켄겐(시마네 제2구), 카타야마 카즈오(오카야마 제1구), 후루타 키미타(히로시마 제1구), 타무라 히데키치(도쿠시마 제1구), 오자키 시게미(고치 제2구), 나카노 쿠니이치(사가 제1구), 나카무라 또이치(사가 제2구), 아이노 토키이치로(사가 제2구), 아사쿠라 마이토(오이타 제1구), 사자와 사다지(미야자키 전현구)

;입헌정우회

:;30명

난조 토쿠오(홋카이도 제4구), 오가사와라 야소미(아오모리 제1구), 후지이 타츠지(아오모리 제1구), 키쿠치 쵸에몬(이와테 제1구), 마츠카와 쇼조(이와테 제2구), 나카타 요시나오(아키타 제1구), 요시우에 쇼료(지바 제2구), 타나카 겐(도쿄 제6구), 야마구치 쿠요시(도쿄 제7구), 진보 시게키치(이시카와 제1구), 타나카 야스케(나가노 제1구), 카토 켄지(기후 제2구), 핫토리 마이지로(미에 제1구), 모리 코타로(시가 전현구), 타나카 코요시(교토 제2구), 후루카와 와이치로(효고 제4구), 유키요시 카쿠지(오카야마 제1구), 타카라 소시치(야마구치 제1구), 나카노 하루스케(야마구치 제2구), 후지 카츠에이(후쿠오카 제1구), 이시이 토쿠히사지(후쿠오카 제2구), 츠루 소이치(후쿠오카 제3구), 오키조(후쿠오카 제3구), 카타야마 히데타로(후쿠오카 제4구), 스에츠구 토라타로(후쿠오카 제4구), 쿠라나리 쇼하치로(나가사키 제1구), 오노 렌(오이타 제1구), 이토 이와오(미야자키 전현구), 이와모토 에이지로(가고시마 제2구), 모리시마 아키나가(오키나와 전현구)

;쇼와회

:;2명

미키 칸타로(이와테 제2구), 나가야마 타다노리(히로시마 제3구)

;사회대중당

:;11명

카와마타 세이온(아키타 제2구), 오카자키 켄(가나가와 제1구), 코노 미츠(도쿄 제1구), 아사누마 이네지로(도쿄 제4구), 아소 히사시(도쿄 제5구), 미야케 쇼이치(니가타 제3구), 야마자키 켄지(시즈오카 제2구), 타마 만키요(오사카 제1구), 츠카모토 쥬조(오사카 제3구), 카와무라 야스타로(오사카 제4구), 사타케 하루키(고치 제2구)

;국민동맹

:;3명

타카오카 다이스케(니가타 제2구), 이시자카 시게루(구마모토 제1구), 쿠라하라 토시토시(구마모토 제2구)

;제파

:;5명

히라노 리키조(야마나시 전현구), 이마이 신조(야마나시 전현구), 카토 칸쥬(도쿄 제5구), 나카하라 킨지(나가노 제3구), 쿠로다 토시오(오카야마 제1구)

;중립

:;16명

기타 쇼타로(홋카이도 제4구), 키무라 타케오(야마가타 제1구), 아야카와 타케지(사이타마 제2구), 카사이 시게하루(야마나시 전현구), 키타 료키치(니가타 제1구), 후쿠다 코(후쿠이 전현구), 코야마 료(나가노 제2구), 이케자키 타다카(오사카 제3구), 니시카와 테이이치(야마구치 제1구), 마츠모토 지이치로(후쿠오카 제1구), 마에다 코사쿠(후쿠오카 제1구), 오카 코사부로(후쿠오카 제3구), 바바 모토하루(나가사키 제1구), 이마기레이 세이고(가고시마 제1구), 토미요시 에이지(가고시마 제2구), 코바야시 사부로(가고시마 제3구)

;총 68명

;입헌민정당

:;47명

이치야나기 나카지로(홋카이도 1구), 사와다 토시키치(홋카이도 1구), 아사카와 히로시(홋카이도 2구), 오카다 하루오(홋카이도 4구), 쓰루미 유스케(이와테 2구), 고야마 구라노스케(미야기 2구), 신타 기에몬(아키타 1구), 오쿠야마 가메조(야마가타 2구), 아와야마 히로시(후쿠시마 1구), 우지이에 기요시(후쿠시마 3구), 나카자키 토시히데(이바라키 1구), 우부카타 다이키치(군마 1구), 모가미 마사조(군마 2구), 시노하라 리쿠로(지바 1구), 오카자키 구지로우(가나가와 3구), 호리우치 료헤이(야마나시 전현 구), 오타 신지로(도쿄 4구), 마쓰이 군지(니가타 1구), 사토 겐노스케(니가타 3구), 가와이 나오지(니가타 4구), 데라시마 겐조(도야마 1구), 미야자와 타네유(나가노 3구), 기타하라 아치노스케(나가노 3구), 야마다 미치오(기후 1구), 고쿠에 미요키치(시즈오카 1구), 핫토리 히데아키(아이치 2구), 오카모토 지쓰타로(아이치 4구), 니시무라 킨자부로(교토 1구), 쓰하라 다케시(교토 3구), 무라카미 구니요시(교토 3구), 시안 신큐로(오사카 2구), 다나카 만이쓰(오사카 5구), 핫토리 교이치(나라 전현 구), 니시다 이쿠헤이(와카야마 1구), 미요시 에이지로(돗토리 전현 구), 쓰치야 히로시(히로시마 3구), 무라오카 고이치(야마구치 1구), 다카시마 헤이키치(도쿠시마 2구), 고니시 가즈(가가와 1구), 마쓰다 기사부로(에히메 1구), 오노 도라키치(에히메 2구), 혼다 마키오(에히메 3구), 혼다 에이사쿠(나가사키 1구), 도미타 도헤이(나가사키 2구), 이치노미야 후사지로(오이타 1구), 칸나 겐와(오키나와 전현 구), 나카이마 소이치(오키나와 전현 구)

;입헌정우회

:;6명

도조 사다시(홋카이도 5구), 이시자카 요헤이(사이타마 2구), 다이추 구스에몬(가나가와 3구), 하루히 준분(나가노 2구), 기무라 사쿠지로(기후 2구), 히다 다쿠시(히로시마 2구)

;쇼와회

:;1명

진 군키치(미야자키 전현 구)

;사회대중당

:;4명

가타야마 데쓰(가나가와 2구), 스즈키 분지(도쿄 6구), 미즈타니 조사부로(교토 1구), 가와카미 조타로(효고 1구)

;국민동맹

:;2명

다나카 요다쓰(시가 전현 구), 미우라 도라오(미야자키 전현 구)

;제1야당

:;1명

오이시 다이(고치 1구)

;중립

:;7명

와타나베 야스쿠니(홋카이도 3구), 타가와 다이키치로(도쿄 3구), 아제타 아키라(나가노 4구), 시오오 벤쿄(아이치 1구), 스기우라 다케오(아이치 5구), 타부치 토요키치(와카야마 2구), 마쓰가타 고지로(가고시마 1구)

;총 111명

;입헌민정당

:;11명

다카하시 주타로(이와테 1구), 이노마타 겐지로(아키타 2구), 다카하시 요시쓰구(도쿄 1구), 오칸다 군지(도쿄 1구), 고토 료이치(기후 2구), 우미노 가즈마(시즈오카 1구), 기시 마모루(시즈오카 2구), 이노우에 고이치(시즈오카 3구), 혼다 야이치로(오사카 4구), 후지타 잣스이(히로시마 1구), 오가와 도라히코(야마구치 2구)

;입헌정우회

:;79명

스하라 에이타로(홋카이도 1구), 마루야마 나미야(홋카이도 1구), 다나카 기요마쓰(홋카이도 2구), 이타야 준스케(홋카이도 4구), 마쓰오 다카유키(홋카이도 4구), 야마모토 시에이(홋카이도 4구), 마쓰자네 기요타(홋카이도 4구), 기노시타 세이타로(홋카이도 5구), 히로세 다메히사(이와테 2구), 호시 렌페이(미야기 2구), 도다 도라오(야마가타 1구), 고지마 지젠(후쿠시마 2구), 하바라 신고로(이바라키 1구), 우에노 기조(도치기 2구), 마스다 긴사쿠(군마 1구), 고구레 다케오(군마 2구), 몬다 신마쓰(사이타마 3구), 다케자와 다이치(지바 3구), 노가타 지로(가나가와 1구), 스즈키 기사부로(가나가와 2구), 스즈키 히데오(가나가와 3구), 가와테 호오(야마나시 전현 구), 오사키 세이사쿠(야마나시 전현 구), 다케우치 도지(야마나시 전현 구), 혼다 요시나리(도쿄 1구), 이토 니타로(도쿄 3구), 미카미 히데오(도쿄 5구), 사카모토 잇카쿠(도쿄 7구), 다나베 구마이치(니가타 1구), 데즈카 스케에(니가타 2구), 가토 도모마사(니가타 3구), 다카하시 긴지로(니가타 3구), 스즈키 요시타카(니가타 4구), 다카미 유키미치(도야마 1구), 아오야마 겐조(이시카와 2구), 야마모토 신페이(나가노 1구), 오가와 헤이키치(나가노 3구), 아리마 아사오(나가노 3구), 다카하시 다모쓰(나가노 4구), 히키타 에이키치(기후 1구), 사타케 나오타로(기후 2구), 오가사와라 산쿠로(아이치 4구), 곤도 도시치로(아이치 5구), 시미즈 긴조(시가 전현 구), 센바 히사시(시가 전현 구), 와시노 요네타로(교토 1구), 나카노 타이치로(교토 2구), 미즈시마 히코이치로(교토 3구), 이타노 도조(오사카 1구), 누마타 가이치로(오사카 2구), 아오타 가쓰하루(오사카 3구), 하라 소베 (효고 4구), 후쿠이 진조(나라 전현 구), 기모토 슈이치로(와카야마 1구), 세코 고이치 (와카야마 2구), 야노 신야(돗토리 전현 구), 오키시마 간조(시마네 2구), 오야마 히사마로(오카야마 1구), 노리이 만주오(오카야마 2구), 모리타 후쿠이치(히로시마 3구), 요네다 기쿠마(히로시마 3구), 호료 아사노스케(야마구치 1구), 이토 가이지로(도쿠시마 2구), 우에하라 헤이타로(가가와 1구), 나카타니 사다요리(고치 1구), 요리미쓰 요시아키(고치 2구), 하라구치 하쓰타로(후쿠오카 1구), 요시다 도모아키(후쿠오카 1구), 미야가와 잇칸(후쿠오카 1구), 가이타니 신시(후쿠오카 3구), 다카쿠라 히로시(후쿠오카 3구), 무카이 야오(나가사키 1구), 시오쓰키 가쿠(오이타 1구), 미즈쿠보 진사쿠(미야자키 전현 구), 와타나베 요시치(미야자키 전현 구), 아마쓰치 마사모리(가고시마 2구), 사키야마 쓰구토모(오키나와 전현 구), 가네시로 노리미쓰(오키나와 전현 구), 다케시타 후미타카(오키나와 전현 구)

;쇼와회

:;7명

나카노 도라키치(후쿠시마 2구), 이사카 히데고로(미에 1구), 나가타 모모조(교토 2구), 하타 시치에몬(효고 5구), 난바 기요토 (오카야마 1구), 와타나베 고 (히로시마 2구), 히구치 노리쓰네(후쿠오카 3구)

;사회대중당

:;1명

고이케 시로(후쿠오카 4구)

;국민동맹

:;7명

사토 리키치(야마가타 2구), 구리하라 히코사부로(도치기 2구), 나카무라 쓰구오(도쿄 6구), 와시자와 요시지(나가노 2구), 도다 요시미(나가노 3구), 모리 미네이치(사가 2구), 나카타 쇼스케(나가사키 2구)

;제파

:;1명

마쓰타니 요지로(도쿄 6구)

;중립

:;5명

오카모토 가즈미(도치기 1구), 나가시마 류지(사이타마 2구), 박춘금(도쿄 4구), 스노우치 시나키치(에히메 1구), 쓰자키 나오타케(가고시마 3구)

6. 선거의 영향

7. 한국과의 관계

8. 평가 및 의의

참조

[1]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2] 서적
[3] 법률 衆議院議員選挙法中改正法律(昭和9年法律第49号)による改正後の衆議院議員選挙法(大正14年法律第47号)第150条
[4]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