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함대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함대는 대한민국 해군 서해를 관할하는 작전사령부이다. 1946년 남조선해안경비대 인천 해군기지로 창설되어, 1973년 제5해역사령부를 거쳐 1986년 제2함대로 개편되었다. 주요 참전으로는 한국 전쟁,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등이 있으며, 2010년에는 소속 초계함 천안함 피격 사건이 발생했다. 현재 제2해상전투단, 제2군수전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으며, 기함은 DDH-972 을지문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함대 - 제1함대 (대한민국)
    제1함대는 대한민국 해군의 전투 부대로 동해 해역을 방어하며, 1946년 창설 후 여러 개편을 거쳐 198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한국 전쟁 대한해협 해전에 참전하여 북한군 상륙정을 격침시킨 전력이 있으며, 다양한 함선과 전대로 구성되어 국제 해군과 교류 협력한다.
  • 대한민국의 함대 - 제3함대 (대한민국)
    제3함대는 1946년 창설되어 여러 재편성을 거쳐 1986년 현재의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전라남도 영암군 목포 해군기지에 위치하여 서남해 해역 방어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해상 전투 부대이다.
  • 평택시 소재의 관공서 - 평택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으로 여러 부서와 파출소, 출장소를 관할하며 해상 치안 유지, 해양 사고 구조 및 예방,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평택시 소재의 관공서 - 제7항공통신전대
    제7항공통신전대는 대한민국 공군 유일의 정보통신 부대로, 항공 작전, 훈련, 행사 지원, 통신 건설 및 사이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투 부대를 지원하며, 1955년 창설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고, 전술이동통신대대, 통신전자정비대대, 기지지원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 1946년 설립 - 경상남도체육회
    경상남도체육회는 1945년 경상남도체육협회로 설립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울산광역시체육회 분리 및 학교, 생활체육회를 흡수하고 회장, 사무처 등을 갖춘 조직으로 8개 시와 10개 군에 지부를 둔다.
  • 1946년 설립 -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1946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창간된 대한민국의 종합 일간지로, 과거 언론 탄압과 강제 통합을 겪었으나 한화그룹으로부터 분리 독립 후 사원주주회사로 출범하여 현재는 진보 성향의 언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제2함대 (대한민국)
기본 정보
DDH-975 충무공이순신과 2함대 기함 DDH-972 을지문덕
DDH-975 충무공이순신과 2함대 기함 DDH-972 을지문덕
명칭제2함대
원어 명칭해군제2함대
영어 명칭Republic of Korea Navy 2nd Fleet
통칭호만포대
상위 부대
상위 부대해군작전사령부
활동 정보
창설1946년 4월 15일
재창설1950년 9월
담당 지역서해 영해 경비 및 방위
본부경기도 평택시 (평택 해군기지)
주요 참전한국 전쟁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지휘관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Navy Rear Admiral Upper Half (OF-7).svg|30px]] 소장 허성재 (해사 49기)

2. 역사

1946년 4월 15일, 남조선해안경비대 인천 해군기지가 창설되었다.[1] 1949년 6월에는 인천경비부로, 1973년 7월에는 제5해역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1986년 2월 1일, 서해 해역 사령부를 기반으로 제2함대로 다시 개편되었다.[1]

1950년 6월, LST 문산을 퇴각하여 목포경비부와 통합되었으나, 3개월 뒤 실행된 인천 상륙작전으로 인천시를 수복하면서 9월에 복귀하였다.[1]

1999년 6월 제1연평해전, 2002년 6월 제2연평해전, 2009년 11월 대청해전에 출동했으며,[1] 2010년에는 소속 초계함 '천안' 침몰 사건이 발생했다.[1]

1999년 11월, 인천 해군기지에서 평택 해군기지로 함대 본부를 이전하였다.[1]

2007년 3월 2일, 국방개혁 2020 야전부대 지휘체계 단순화 방침에 따라 제2전투전단이 해체되고 제2전투전단장은 제2함대 부사령관 직책으로 옮겨갔다.[1]

2015년 1월 30일, 해군 제1, 2, 3함대 예하에 제1, 2, 3해상전투단이 창설되었다. 제11, 12, 13전대는 제1해상전투단, 제21, 22, 23전대는 제2해상전투단, 제31, 32, 33전대는 제3해상전투단에 배속되었으며, 함대 부사령관이 해상전투단장으로 옮겨졌다.[2]

3. 편성

제2해상전투단 예하에는 제21전대, 제22전대, 제23전대가 있다. 이 외에도 제2군수전대, 제2기지방호전대, 제2기지지원전대, 제2훈련전대, 제208조기경보전대, 제2항공지원대, 군사경찰대대,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제27전대, 제5특전대대 (파견), 제218조기경보대대 포함)가 있다.

과거 울산급 호위함 FF-958 제주포항급 초계함 PCC-768 익산, PCC-773 성남도 있었으나, PCC-768 익산은 2018년 12월 31일에, PCC-773 성남은 2021년 3월에 퇴역하였다.[1]

3. 1. 부대


  • 제2해상전투단
  • * 제21전대
  • * 제22전대
  • * 제23전대
  • 제2군수전대
  • 제2기지방호전대
  • 제2기지지원전대
  • 제2훈련전대
  • 제208조기경보전대
  • 제2항공지원대
  • 군사경찰대대
  • 인천해역방어사령부
  • * 제27전대
  • * 제5특전대대 (파견)
  • * 제218조기경보대대

기함DDH-972 을지문덕이 맡고 있다.

3. 2. 함정

함급함명취역일퇴역일
광개토대왕급 구축함DDH-972 을지문덕1999년-
인천급 호위함FFG-811 인천2013년-
FFG-812 경기2014년-
FFG-816 충북2016년-
대구급 호위함FFG-821 서울2021년-
울산급 호위함FF-961 청주1993년-
포항급 초계함PCC-779 영주1989년-
PCC-783 신성1991년-
PCC-785 공주1993년-
윤영하급 고속함PKG-711 윤영하2008년-
PKG-712 한상국2009년-
PKG-713 조천형2009년-
PKG-715 황도현2010년-
PKG-716 서후원2010년-
PKG-717 박동혁2011년-
PKG-721 지덕칠2014년-
검독수리급 고속정PKMR-211 참수리2017년-
PKMR-213 참수리2017년-
PKM-315 참수리-
PKM-325 참수리-
PKM-335 참수리-


4. 주요 참전

참조

[1] 뉴스 해군 1·2전투전단 21년 만에 해체 http://news.khan.co.[...] 한국경제신문 2007-03-07
[2] 뉴스 해군, 함대사령부 예하 해상전투단 창설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15-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