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제1연평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제1연평해전은 1999년 6월 15일, 북한 경비정의 북방한계선(NLL) 침범으로 시작된 대한민국 해군과 북한 해군 간의 교전이다. 북한은 6월 초부터 NLL을 침범했고, 6월 15일에는 북한 경비정이 선제 공격을 가했다. 14분간의 교전 끝에 북한 경비정 1척이 침몰하고 여러 척이 파손되었으며, 대한민국 해군도 피해를 입었다. 대한민국은 6월 15일을 전승 기념일로 지정하고 참전 군인들을 포상했다. 이 사건은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연평도 포격으로 이어지는 한반도 군사적 긴장의 시작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의 사건 - 해군 부사관 성추행 피해 사망 사건
    해군 부사관 성추행 피해 사망 사건은 대한민국 해군에서 발생한 성추행 피해가 피해 부사관의 사망으로 이어진 사건이며, 군대 내 성폭력과 은폐 의혹을 야기했다.
제1연평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평도 (3번으로 표시됨)
연평도 (3번으로 표시됨)
분쟁 정보
분쟁명제1 연평해전
분쟁의 일부한국 분쟁
시기1999년 6월 9일 - 1999년 6월 15일
장소황해 북방한계선, 연평도
결과대한민국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한)
교전국 2대한민국 (남한)
지휘관
조선인민군 해군알 수 없음
대한민국 해군작전사령관 서영길, 2함대사령관 박정성
병력 규모
조선인민군 해군어뢰정 3척, 초계함 2척
대한민국 해군초계함 2척
피해 규모
조선인민군 해군어뢰정 1척 침몰, 초계함 3척 심각한 손상, 초계함 2척 경미한 손상, 17-30명 사망, 약 70명 부상
대한민국 해군초계함 1척 경미한 손상, 고속정 1척 경미한 손상, 9명 부상
관련 전투
지도 정보
A: 연합국 설정의 북방한계선(NLL), B: 북한 주장 군사분계선

2. 배경

1998년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대한민국 정부햇볕정책을 추진하여 남북 화해와 협력을 모색했다. 같은 해 11월 18일, 금강산 관광이 시작되어 남북 관계 개선의 기대감이 높아졌다.[13]

그러나 1998년 6월 북한 잠수정 침투 사건[14], 7월 동해 무장간첩 침투[18] 등 북한의 도발이 이어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잠수정은 잠수정, 햇볕은 햇볕'이라며 햇볕정책과 도발을 분리하여 대응하려 했으나,[15] 북한은 11월 강화도 간첩선 침투 시도,[21] 12월 여수 반잠수정 침투 사건[22] 등 해상 도발을 계속했다.

1999년 6월 초부터 북한 경비정들이 연평도 부근 NLL을 연일 침범하며 남북한 전력이 대치하는 상황이 발생했다.[23]

2. 1. 북방한계선(NLL) 문제

1953년 한국 전쟁 정전협정 체결 이후 유엔군 사령부는 북방한계선(NLL)을 설정하여 남북 간 해상 경계선으로 삼았다.[1] 그러나 북한은 1999년 이전까지 NLL을 명시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1]

1999년 6월 조선중앙통신(KCNA)은 NLL이 북한 영해를 침범한다고 주장하며 NLL 무력화를 시도했다.[1] 북한은 NLL 대신 자체적인 해상 경계선을 주장하며 NLL 이남 해역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5]

350px
* '''A:''' 유엔군사령부가 설정한 북방한계선, 1953[4]

  • '''B:''' 북한이 선포한 "범한 MDL", 1999[5]
  • 연평도, 백령도, 대청도를 포함하여 각 해상 경계선의 구성에 특정 섬의 위치가 반영되어 있다.

]]

3. 전투 경위

1999년 6월 6일부터 북한군 경비정이 매일 북방한계선(NLL)을 침범, 한국 영해에 머무르는 도발 행위를 반복했다.

1999년 6월 15일, 북한 경비정 4척과 어선 20척이 NLL을 넘어 대한민국 해역으로 진입했다. 대한민국 해군참수리급 고속정포항급 초계함을 동원하여 경고 방송을 하고, '밀어내기' 작전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북한 경비정은 대한민국 해군 함정에 충돌을 시도하며 공격적인 기동을 보였다.

오전 9시 28분, 북한 경비정 684호가 25mm 기관포로 선제공격을 가했고, 어뢰정 3척도 공격에 가담했다. 대한민국 해군은 즉각 반격, 14분간의 교전 끝에 북한 어뢰정 1척을 침몰시키고, 경비정 1척을 크게 파손시키는 등 큰 피해를 입혔다. 대한민국 해군도 참수리급 고속정 325호 정장 안지영 대위를 비롯한 7명이 부상당하고, 함정 5척이 손상되는 피해를 보았다.[27][28][29]

3. 1. 전력 비교

남북한 함정들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25][26]

1999년 6월 15일 아침, 북한 경비정들은 대한민국 해군 고속정을 "충돌"시키려는 시도를 하였고, 어뢰정 3척이 합류하여 이를 지원했다.[2] 북한 경비정 ''PT-381''은 기관총과 25mm 기관포로 대한민국 고속정을 공격했고, 대한민국 해군은 20mm 개틀링 기관포와 40mm, 76mm 무기로 반격하여 14분 동안 총 4,584발의 탄약을 발사했다.[2]

이 전투로 북한 어뢰정 1척(40톤급)이 침몰했고, 경비정 1척(420톤급)이 심각하게 파손되었으며, 경비정 2척(215톤급)이 기능불능 상태가 되었고, 경비정 2척(70톤급)이 약간의 피해를 입었다.[7] 대한민국 공식 추산에 따르면 북한군 사상자는 17명에서 30명이었지만, 비공식 추산으로는 100명을 넘어섰을 수 있다.[7]

3. 1. 1.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은 참수리급 고속정포항급 초계함 10여 척을 동원하여 해군 교전 수칙에 따라 경고 방송을 하였고, '밀어내기' 경고 작전을 수행했다.[25][26]

함종제원무장
고속정(PKM)150톤급40mm 함포 1문, 20mm 발칸포 2문
초계함(PCC)1200톤급76mm 함포 2문, 40mm 기관포 2문, 미스트랄 미사일, 하푼 미사일, 어뢰, 기뢰



교전 결과 참수리급 고속정 325호의 정장 안지영 대위를 비롯한 장병 7명이 부상을 입었다.[27][28][29] 또한, 초계함 1척과 고속정 4척이 손상되었다.[7]

3. 1. 2. 조선인민군 해군

淸津|청진중국어급 경비정은 80톤급으로, 100mm 함포 1문과 14.5mm 기관총 4문을 장착하고 있었다.[25][26] 신흥급 어뢰정은 37톤급으로, 14.5mm 기관총 2문과 어뢰 2발, 포탄 교란용 장애포를 장착하고 있었다.[25][26]

6월 15일 아침, 북한 경비정들은 대한민국 해군 고속정을 "충돌"시키려는 시도를 하였고, 어뢰정 3척이 합류하여 이를 지원했다.[2] 북한 경비정 ''PT-381''은 기관총과 25mm 기관포로 대한민국 고속정을 공격했고, 대한민국 해군은 20mm 개틀링 기관포와 40mm, 76mm 무기로 반격했다.[2] 이 전투로 북한 어뢰정 1척이 침몰하고, 경비정 1척이 크게 파손되었으며, 다른 경비정 4척도 피해를 입었다.[7]

4. 전투 결과 및 영향

1999년 7월 4일 제1연평해전 이후, 북방한계선(NLL)을 넘은 북한군이 11시까지 물러나면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었지만, 추가 충돌은 없었다. 조선중앙통신은 "적함 10척 이상이 불타거나 심하게 손상되었으며, 많은 시체와 잔해를 싣고 도주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하며 승리를 왜곡했다.[7]

이후에도 해당 해역에서 어업 관련 사건과 침범이 계속되었고, 2002년 제2연평해전, 2009년 대청해전과 같은 해상 교전이 발생했다.[8] 2010년 11월에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었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도 불구하고, 당시 합참의장 김진호는 2014년 11월 자신의 자서전에서 대한민국 국군 통신 정보 기관이 도청한 북한 교신 기록을 통해 13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9]

4. 1. 대한민국

1999년 7월 4일, 대한민국 해군은 제1연평해전에 참전했던 해군 유공 장병 7명을 1계급씩 특진시켰다. 이에 따라 고속정 편대장 최용규 소령과 하사 4명, 일병 2명이 각각 중령, 중사, 상병으로 진급했다. 군 장병들이 대간첩작전 공훈 등으로 훈장을 받은 사례는 있었으나, 교전으로 특진한 것은 6.25 전쟁베트남 전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30]

1999년 7월 7일, 고속정 325호 정장 안지영 대위는 을지무공훈장을 수상했다.[31]

1999년 11월 11일, 대한민국 해군연평도 당섬에 연평해전 전승기념비를 세웠다. 높이 9.35m의 전승비에는 '연평해전'이 발생한 배경과 북한 해군의 선제공격에 대응한 대한민국 해군의 전력, 승전 내용, 그리고 해전의 교훈 등이 담겨 있다.[32]

이 사건은 경제 발전을 지속하던 대한민국에게 북한과의 적대 관계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을 상기시키며 큰 충격을 주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총격전이 발생한 6월 15일을 "전승 기념일"로 지정하고 참전 군인 549명에게 훈장을 수여했다.

발생 당시 이 전투는 '''연평해전'''으로 불렸으나, 2002년에 발생한 서해 교전의 명칭이 제2연평해전으로 변경됨에 따라 '''제1연평해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20년 6월, 문재인 정부는 현충일 행사에서 천안함 피격 사건과 제1, 제2연평해전 유족을 초청하지 않기로 발표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을 감안하여 참석자를 제한했다"라고 설명했지만, 대한민국 국군 내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자신이 주최하는 행사에 천안함 유족 등이 참석하는 것을 불쾌하게 여겼을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한다.[11]

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1연평해전에서 어뢰정 1척이 침몰하고, 경비정 1척이 크게 파손되었으며, 3척이 파손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대한민국 국군의 통신 정보 기관이 도청한 북한의 교신 기록에 따르면, 13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9] 그러나 조선중앙통신은 "적함 10척 이상 격침 또는 대파"라고 주장하며 패배를 인정하지 않았다.[7]

4. 3. 사회적 파장 및 논란

이 사건은 경제 발전을 지속하던 대한민국 사회에 북한과의 적대 관계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상기시키며 큰 충격을 주었다. 대한민국 해군은 총격전이 발생한 6월 15일을 "전승 기념일"로 지정하고 참전 군인 549명에게 훈장을 수여했다.[8]

당시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2020년 현충일 행사에서 천안함 피격 사건과 제1, 제2연평해전 유족 초청이 제외되면서 논란이 발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코로나19 유행을 감안하여 참석자를 제한했다"라고 설명했지만, 대한민국 국군 내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자신이 주최하는 행사에 천안함 유족 등이 참석하는 것을 불쾌하게 여겼을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한다.[11] 이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ern Limit Line (NLL) West Sea Naval Engagements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2010-11-27
[2] 논문
[3] 논문
[4] 뉴스 Factbox: What is the Korean Northern Limit Line? https://www.reuters.[...] Reuters (UK) 2010-11-23
[5] 간행물 The North/South Korea Boundary Dispute in the Yellow (West) Sea http://www.law.hawai[...] Hawaii Law School
[6] 논문
[7] 웹사이트 KPA navy command spokesman on S. Korea's anti-DPRK campaign http://www.kcna.co.j[...] KCNA 1999-06-19
[8] 웹사이트 Yeonpyeong Naval Battle Revisited http://www.koreafocu[...] Korea Focus 2009-07-29
[9] 뉴스 第1次延坪海戦、北朝鮮の死傷者は130人以上 http://www.chosunonl[...] 2014-11-24
[10] 웹사이트 KOREAN PENINSULA: VIEWS ON YELLOW SEA 'GUN BATTLE,' SUNSHINE POLICY, PERRY VISIT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1999-06-18
[11] 뉴스 현충일 행사 천안함 유족 뺀 정부…비난 커지자 "실수, 넣겠다" https://news.chosun.[...] 2020-06-05
[12] 뉴스인용 '연평해전' 해군장병 7명 특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7-03
[13] 뉴스 금강산 관광선 북도착 1998-11-19
[14] 뉴스 북잠수정 발견서 예인까지 꽁치잡이 선장 "눈앞에 잠수정"긴급타전 1998-06-23
[15] 뉴스 '잠수정은 잠수정, 햇볕은 햇볕' '잠수정 사건'정부 대응 1998-06-27
[16] 뉴스 북잠수정 사건 침투서 자살까지 재구성 1998-06-30
[17] 뉴스 북잠수정시신 오늘 북송환 정전위 비서장회의 열려 1998-07-03
[18] 뉴스 북무장간첩 변시1구 동해시 해안서 발견 1998-07-13
[19] 뉴스 안보리에 '북도발'서한 제출 1998-07-18
[20] 뉴스 북, 간첩사건 되레 사죄 요구 1998-07-18
[21] 뉴스 북간첩선 강화해안 침투 1998-11-21
[22] 뉴스 남해침투 북잠수정 격침 1998-12-19
[23] 뉴스 '북침범'중간정리 1999-06-15
[24] 뉴스 舌戰벌인 장성급회담 1999-06-16
[25] 뉴스 남북서해교전 남북 해군력 비교 1999-06-16
[26] 뉴스 피격된 북 신흥급어뢰정 舊蘇 P—4급 모방 자체건조 1999-06-16
[27] 뉴스인용 해군2함대 '제1연평해전' 참전 기념식 열려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3-06-14
[28] 뉴스 서해사태 국방부·합참등 이모저모 '교전5분 상황끝'실제론 14분 1999-06-17
[29] 뉴스 1999년 1차 연평해전 때 북한 사상자 130여명 달해 주장 제기 http://article.joins[...] 2014-11-23
[30] 뉴스 `연평해전' 해군장병 7명 특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7-03
[31] 뉴스인용 <연합인터뷰> 을지무공훈장 받은 안지영 대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7-07
[32] 뉴스인용 해군 '연평해전' 전승비 건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11-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