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비행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비행사단은 1939년 9월 일본군 제2항공군 소속 제3비행집단으로 창설되어,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 육군의 항공 사단이다. 화베이 지역에서 항공 작전을 수행하다가, 1942년 4월 제3비행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말레이, 네덜란드령 동인도, 버마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1944년 중국으로 돌아와 대륙타통작전에 참여하기 위해 제5항공군에 배속되어 해체되었다. 사단장은 스가와라 미치오, 나카소노 모리타카, 시모야마 다쿠마 등이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마 전역 - 람리섬 전투
람리섬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버마 전역의 일부로, 1945년 1월 영국군이 람리섬을 점령하기 위해 일본군과 벌인 전투이며, 마타도르 작전으로 시작되어 연합군의 항공 지원 거점 확보와 일본군의 방어 간 공방전이 벌어졌고, 일본군 철수 과정에서 바다악어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 버마 전역 - 버마 로드
버마 로드는 중일 전쟁 당시 중국의 보급로 확보를 위해 건설된 총 길이 1,154km의 도로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중국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일본 점령으로 폐쇄 후 레도 로드를 통해 재개통되었다. - 일본의 비행사단 - 제7비행사단
제7비행사단은 1943년 싱가포르에서 창설되어 인도네시아, 호주 북부, 뉴기니 등에서 해양 초계, 항공 방어, 지상 작전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5년 해체된 일본 제3항공군 소속 부대이다. - 일본의 비행사단 - 제5비행사단
제5비행사단은 1940년 제5비행집단으로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 중 필리핀과 버마 전역에 참전했으며, 1942년 제5비행사단으로 개명되어 97식, 1식 전투기 등을 운용하며 남서태평양 전구에서 활약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6사단 (일본군)
제6사단은 구마모토 진대를 모체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 사단으로,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나 난징 대학살 가담과 태평양 전쟁에서의 괴멸 직전 상황, 주요 지휘관들의 전쟁 범죄 처벌 등으로 어두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일본의 사단 - 제5사단 (일본군)
제5사단은 1888년 창설되어 청일 전쟁부터 태평양 전쟁까지 일본 제국주의 주요 전쟁에 참전한 일본군 사단으로, 청일 전쟁에서 청군을 몰아내고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뉴기니 전역에서 큰 피해를 입고 종전 후 해체되었다.
제3비행사단 | |
---|---|
부대 정보 | |
명칭 | 제3비행사단 |
원어 명칭 | 第3飛行師団 (다이산히코시단) |
통칭 | 隼 (하야부사) |
활동 기간 | 1942년 4월 15일 ~ 1944년 2월 14일 |
국가 | [[파일:Flag of Japan.svg|20px]]대일본제국 |
소속 | 대일본제국 육군 |
병과 | 항공대 |
병종 | 항공 작전 |
규모 | 사단 |
담당 지역 | 중국, 불인, 란인, 버마, 중국 |
편성지 | 해당 없음 |
통칭호 | 隼 (하야부사) |
애칭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보충 담당 | 해당 없음 |
상급 부대 | 해당 없음 |
최종 상급 부대 | 제23군 |
최종 위치 | 난징 |
주요 참전 | 태평양 전쟁 |
주요 참전 전역 | 제2차 세계 대전 남서태평양 전구 말레이 전역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역 버마 전역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해당 없음 |
장비 | |
장비 정보 | 해당 문서에 장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습니다. |
2. 역사
1939년 9월 1일, 지나 화베이 지방에서 항공병단 소속 제3비행집단으로 창설되었다. 태평양 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화베이 지방에서 항공전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2년 4월 제3비행사단으로 개명되었다. 개전 이후에는 남서태평양의 말레이 전역,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역, 버마 전역에 참전하였고, 1944년에 중국으로 다시 건너가, 2월 14일에 대륙타통작전을 위해 창설될 제5항공군의 일부가 됨으로써 제3비행사단은 해체되었다.
항공병단의 관동군 편입에 따라 제3비행집단은 1939년 9월에 편성되어 북중국에서의 작전을 담당했다. 태평양 전쟁 개전 후, 말레이 작전, 란령 작전, 버마 전투에 참전했다.
이후 중국으로 돌아와 난징에 사령부를 두었다. 1942년 4월, 제3비행사단으로 개칭. 1944년 2월, 대륙 타통 작전 등에 대응하기 위해 해산하고, 새로 제5항공군이 편성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39년 9월 1일, 일본 제국은 중국 화베이 지방에서 항공병단 소속 제3비행집단으로 제3비행사단을 창설하였다. 창설 이후 제3비행사단은 태평양 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화베이 지방에서 항공전 임무를 수행하였다. 1942년 4월, 제3비행사단으로 개명되었다.개전 이후, 제3비행사단은 남서태평양의 여러 전역에 참전하였다. 말레이 전역,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역, 버마 전역에서 전투를 수행하였다. 1944년, 제3비행사단은 다시 중국으로 이동하였고, 그 해 2월 14일 대륙타통작전을 위해 창설될 제5항공군의 일부가 되면서 해체되었다.
2. 2. 주요 작전
2. 3. 해체
1939년 9월 1일, 지나 화베이 지방에서 항공병단 소속 제3비행집단으로 창설되었다. 태평양 전쟁이 시작될 때까지, 화베이 지방에서 항공전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2년 4월 제3비행사단으로 개명되었다. 개전 이후에는 남서태평양의 말레이 전역,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역, 버마 전역에 참전하였다. 1944년에 중국으로 다시 건너가, 2월 14일에 대륙타통작전을 위해 창설될 제5항공군의 일부가 됨으로써 제3비행사단은 해체되었다.3. 지휘부
3. 1. 사단장
wikitext#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중장 | 스가와라 미치오 | 1942년 4월 15일 | 1942년 7월 9일 | |
2 | 중장 | 나카소노 모리타카 | 1942년 7월 9일 | 1943년 9월 9일 | 작전 중 사망 |
3 | 중장 | 시모야마 다쿠마 | 1943년 9월 11일 | 1944년 2월 14일 |
3. 1. 1. 제3비행집단장
3. 1. 2. 제3비행사단장
wikitext#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중장 | 스가와라 미치오 | 1942년 4월 15일 | 1942년 7월 9일 | [2] |
2 | 중장 | 나카소노 모리타카 | 1942년 7월 9일 | 1943년 9월 9일 작전 중 사망 | |
3 | 중장 | 시모야마 다쿠마 | 1943년 9월 11일 | 1944년 2월 14일 |
3. 2. 참모장
wikitable# | 계급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대좌 | 핫토리 다케시/服部武士일본어 | 1939년 9월 1일 | 1941년 3월 1일 | |
2 | 대좌 | 가와시마 도라노스케 | 1942년 3월 1일 | 1942년 4월 15일 | |
3 | 대좌 | 모리모토 군조 | 1942년 4월 15일 | 1943년 5월 19일 | |
4 | 소장 | 요이시 호이치 | 1943년 5월 19일 | 1944년 2월 14일 |
3. 2. 1. 제3비행집단 참모장
- 핫토리 타케시 핫토리 다케시/服部武士일본어 항공병 대좌: 1939년 9월 1일 - 1941년 3월 1일
- 카와시마 토라노스케 대좌: 1941년 3월 1일 - 1942년 4월 15일
3. 2. 2. 제3비행사단 참모장
wikitable
4. 부대 구성
wikitext
전투부대 | |
---|---|
교도부대 | |
비행장부대 | |
통신부대 | |
군수(정비, 보급)부대 |
4. 1. 최종 부대 구성 (1944년 2월)
전투부대 | |
---|---|
교도부대 | |
비행장부대 | |
통신부대 | |
군수(정비, 보급)부대 | |
참모 |
4. 2. 예하 부대
; 전투부대- 제1비행단 - 항커우
- * 비행 제16전대 (경폭)
- * 비행 제25전대 (전투)
- * 비행 제44전대 (정찰)
- * 비행 제90전대 (경폭)
- * 독립비행 제18중대 (사령부 정찰)
- * 독립비행 제83중대 (정찰)
- * 제8직협비행대
; 교도부대
- 제105교육비행단 - 베이징
- * 제114교육비행연대 (전투)
- * 제115교육비행연대 (사령부 정찰)
- * 제118교육비행연대 (전투)
; 비행장부대
- 제3항공지구사령부
- 제5항공지구사령부
- 제16항공지구사령부
- * 제18비행장대대 (경폭)
- * 제31비행장대대 (경폭)
- * 제57비행장대대 (정찰)
- * 제91비행장대대 (경폭)
- * 제96비행장대대 (중(重)폭)
; 통신부대
- 제6항공정보연대
- 제5항공고정통신대
- 제15항공통신대
- 제5기상측정대
- 중국 파견군 기상대
; 군수(정비, 보급)부대
- 제15야전항공창
- 제23항공분창
5. 장비
제3비행사단은 1식 전투기, 2식 복좌전투기를 전투기로 운용하였고, 98식 직접협동정찰기, 99식 정찰기, 100식 사령부정찰기를 정찰기로, 99식 쌍발경폭격기를 폭격기로 운용하였다.
6. 평가
참조
[1]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2]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3]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4]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5]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6]
서적
陸海軍将官人事総覧 陸軍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