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인민군의 군단으로, 한국 전쟁 중 평양과 남포 지역을 방어했다. 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당시 제33사단 예하 부대가 연평도에 포격을 가해 해병대원 2명을 사살했다. 2012년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대응하기 위해 서남전선사령부가 창설되면서 NLL 관련 임무와 일부 부대가 이관되었다. 현재는 해주시에 사령부를 두고 있으며, 제26사단, 제28사단, 제33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남도 - 자혜사
자혜사는 대한민국에 있는 사찰로, 대웅전, 오층석탑, 석등 등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웅전은 조선 초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맞배지붕 익공집이고, 오층석탑은 고려 초기에 세워진 석탑이며, 석등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정육각형 석등이다. - 황해남도 - 해주 다라니석당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 -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0년 김일성의 지휘 아래 창설되어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현재는 강원도 금강군 일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 - 제2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2군단은 1950년 6월 15일에 창설되어 한국 전쟁 당시 강원도로 진격했으며 현재는 서부전선의 한 축을 담당하며 개성시를 관할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 - 제1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69년 특수 제8군단으로 창설되어 1991년 제11군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2017년 특수작전군에 소속되어 경보병, 저격, 항공 육전 부대를 예하에 두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단 -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제1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0년 김일성의 지휘 아래 창설되어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현재는 강원도 금강군 일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제4군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군 종류 | 육군 |
종류 | 보병 |
명령 체계 | 인민무력부 |
규모 | 군단 |
별칭 | 제212대연합부대 |
위치 | 해주시, 황해남도 |
좌표 | 38.049921° N, 125.714460° E |
활동 | |
활동 기간 | 1950년 – 현재 |
참전 | 한국 전쟁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리성국 상장 |
주요 지휘관 | 김경식 |
2. 역사
한국 전쟁 도중, 제4사단, 제5사단, 제10사단과 제105기갑사단, 제26여단을 이끌고 1950년 10월 말과 이듬해 1951년 9월에 평양과 남포 지역을 수비하였다. 1951년 7월에 제4사단, 제5사단, 제105 기갑사단 및 제26여단으로 구성되었다. 1953년 7월 휴전 당시에는 제4사단, 제5사단, 제10사단으로 구성되었다.
2010년 11월 23일, 군단장 김경식 중장의 지시에 따라 제33사단 예하 26포연대와 해안포부대는 해병 연평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연평도에 포를 쏴서 해병대원 2명을 사살하였다.[2]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 9월 9일에 설립된 '''서남전선사령부'''에 NLL 관련 임무와 일부 부대가 옮겨갔다. 비슷한 시기에 항공과 포병 전력이 조정되었다.[3][4]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정례 브리핑에서 제5군단장으로 옮겨간 변인섭 상장의 뒤를 이어 리성국 상장이 제4군단장에 취임한 것을 추적해냈다고 발표하였다.[5]
2001년에는 북한 남서부를 관할했다.[1] 군단은 해주시 황해남도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도중, 4, 5, 10 사단과 제105기갑사단, 제26여단을 이끌고 1950년 10월 말과 이듬해 1951년 9월에 평양과 남포 지역을 수비하였다. Rottman은 1951년 7월에 제4사단, 제5사단, 제105 기갑사단 및 제26여단으로 구성되었다고 기술한다. 1953년 7월 휴전 당시에는 제4사단, 제5사단, 제10사단으로 구성되었다.2010년 11월 23일, 군단장 김경식 중장의 지시에 따라 제33사단 예하 26포연대와 해안포부대는 해병 연평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연평도에 포를 쏴서 해병대원 2명을 사살하였다.[2]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 9월 9일에 설립된 '''서남전선사령부'''에 NLL 관련 임무와 일부 부대가 옮겨갔다. 비슷한 시기에 항공과 포병 전력이 조정되었다.[3][4]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정례 브리핑에서 제5군단장으로 옮겨간 변인섭 상장의 뒤를 이어 리성국 상장이 제4군단장에 취임한 것을 추적해냈다고 발표하였다.[5]
2001년에는 북한 남서부를 관할했다.[1] 군단은 해주시 황해남도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11월 23일, 군단장 김경식 중장의 지시에 따라 제33사단 예하 26포연대와 해안포부대는 해병 연평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연평도에 포를 쏴서 해병대원 2명을 사살하였다.[2]2. 3. 서남전선사령부 창설
한국 전쟁 도중, 4, 5, 10 사단과 제105기갑사단, 제26여단을 이끌고 1950년 10월 말과 이듬해 1951년 9월에 평양과 남포 지역을 수비하였다.[2] 1951년 7월에는 제4, 5, 105기갑사단 및 제26여단으로 구성되었고, 1953년 7월 휴전 당시에는 제4, 5, 10사단으로 구성되었다.[3][4]2010년 11월 23일, 군단장 김경식 중장의 지시에 따라 제33사단 예하 26포연대와 해안포부대는 연평도에 포를 쏴서 해병대원 2명을 사살하였다.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 9월 9일에 '''서남전선사령부'''가 설립되었고, NLL 관련 임무와 일부 부대가 이관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항공과 포병 전력이 조정되었다.[5] 2001년에는 북한 남서부를 관할했고, 군단은 해주시 황해남도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4. 군단장 변동
한국 전쟁 도중, 4, 5, 10 사단과 제105기갑사단, 제26여단을 이끌고 1950년 10월 말과 이듬해 1951년 9월에 평양과 남포 지역을 수비하였다.2010년 11월 23일, 군단장 김경식 중장의 지시에 따라 제33사단 예하 26포연대와 해안포부대는 해병 연평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연평도에 포를 쏴서 해병대원 2명을 사살하였다.[2]
서북도서방위사령부에 대응하기 위해 2012년 9월 9일에 설립된 '''서남전선사령부'''에 NLL 관련 임무와 일부 부대가 옮겨갔다.[3][4]
2013년 4월 29일, 대한민국 국방부는 정례 브리핑에서 제5군단장으로 옮겨간 변인섭 상장의 뒤를 이어 리성국 상장이 제4군단장에 취임한 것을 추적해냈다고 발표하였다.[5]
3. 부대 구성
조선인민군 제4군단은 한국 전쟁 당시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었다.
부대 |
---|
제26사단 |
제28사단 |
제33사단 |
제125사단 |
제77평사포여단 |
제88방사포여단 |
제18박격포연대 |
제31박격포연대 |
현재(확인 필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26사단
- 제28사단
- 제33사단
- 제125사단
- 제77평사포여단
- 제88방사포여단
- 제18박격포연대
- 제31박격포연대
3. 1. 한국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제4군단은 한국 전쟁 당시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었다.부대 |
---|
제26사단 |
제28사단 |
제33사단 |
제125사단 |
제77평사포여단 |
제88방사포여단 |
제18박격포연대 |
제31박격포연대 |
3. 2. 현재 (확인 필요)
- 제26사단
- 제28사단
- 제33사단
- 제125사단
- 제77평사포여단
- 제88방사포여단
- 제18박격포연대
- 제31박격포연대
참조
[1]
서적
Shield of the Great Leader
Allen and Unwin
2001
[2]
뉴스
연평도포격 北 4군단, 1백 여 전술 갖춘 공격형 부대
https://web.archive.[...]
연합뉴스
2014-01-18
[3]
뉴스
북, 남측의 서해상 군사훈련 엄중경고 ... 조선인민군 서남전선사령부 공개보도
https://web.archive.[...]
민족일보
2014-09-11
[4]
뉴스
"북한, 남측 서방사 대응 서남전선사령부 창설"
http://news.sbs.co.k[...]
SBS뉴스
2014-09-11
[5]
뉴스
北, 연평도 포격 4군단장 리성국으로 교체
http://www.yonhapnew[...]
2014-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