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단은 둘 이상의 사단으로 구성된 야전 부대로, 일반적으로 중장이 지휘하며, 많은 군대에서 사용되는 군사 조직 단위이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여러 군단이 야전군으로 통합되기도 했다. 군단은 각국 군대의 역사와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한국 육군, 미국 육군, 프랑스군 등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에 관한 - 중대
    중대는 군대의 기본 전술 및 행정 단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규모와 구성을 거쳐 현대에는 100~250명 규모로 유지되며 소대, 중대 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대위가 지휘한다.
  • 군사에 관한 - 분대
    분대는 군대에서 공식 편제상 가장 작은 병력 단위이며, 육군에서는 소대의 하급 부대로 분대장이 지휘하고, 인원은 6명에서 12명 사이이며, 해군, 헌병, 경찰, 소방대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로 존재한다.
군단
구글 지도
군사 정보
부대 유형군사 부대
규모군사 제대 규모
지휘관장군 (주로 중장)
병력 규모2~5개 사단 또는 3만~8만 명 (시기와 국가에 따라 다름)
구성사단, 여단, 연대, 대대, 지원 부대 등으로 구성
임무대규모 작전, 전투, 전략적 목표 달성
역사
어원라틴어 'corpus' (몸체)에서 유래, 프랑스어 'corps d'armée' (군단) 거쳐 영어 'corps'로 사용
고대 로마로마 군단 (legion)은 초기 군단 개념의 하나
근대나폴레옹 전쟁 시기 프랑스에서 대규모 독립 부대로 사용, 이후 다른 국가로 확산
현대오늘날에도 주요 육군 부대 단위로 사용, 다양한 규모와 구성 존재
편제
일반적인 구성2~5개 사단, 군수 부대, 포병 부대, 공병 부대, 통신 부대, 정찰 부대 등으로 구성
사단 종류기갑사단, 보병사단, 기계화보병사단, 공수사단, 특수작전부대 등 다양한 사단 포함 가능
국가별 편제 차이국가, 군사 교리, 전장 환경에 따라 다양한 편제 구성
기타
군단 (일본)일본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사용된 부대 단위
군단 (한국)대한민국 육군의 주요 부대 단위
군단 (영어)영어 'corps' (코어)로 발음
군단 (프랑스어)프랑스어 'corps' (코르)로 발음

2. 역사

군단은 중장 또는 대장 계급의 군단장이 지휘하는 부대 편성 단위이다. 보통 2~4개의 사단과 사단 예하가 아닌 독립혼성여단(여러 기능을 갖추고 독립적인 전투 능력을 보유), 독립부대(사단, 여단에 속하지 않고 군단장 직할로 특명을 수행하는 연대·대대)로 구성되며, 병력 규모는 수만 명에서 십만 명에 이른다. 2개 이상의 군단이 합쳐지면 ''''''이 된다.[1] 일본 제국 육군은 군단 편제 없이 사단 위에 바로 군을 두었다. 육상자위대 또한 군단이 없으며(군집단, 총군 등 '군'자가 붙는 부대는 자위대에 없음. 자위대 용어 참조), 사단 등의 상위 부대로는 군에 상응하는 방면대를 둔다.[1]

'군단'이라는 용어는 비토 다케시가 이끄는 다케시 군단, 이시하라 프로모션 소속 배우들을 지칭하는 이시하라 군단, 닛코 사루 군단, 오스카 미녀 군단처럼 영향력 있는 인물을 중심으로 결속된 집단을 가리키는 데에도 쓰인다.[1]

2. 1. 기원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9세기 초에 여러 사단을 합쳐 만든 것이 군단의 시초이다. 유럽 각국에서도 프랑스 공화국군을 본떠 편성되었으며, 군단장에는 일반적으로 중장, 대장 또는 군단장이 임명되었다. 군단은 여러 사단을 조합하여 어느 정도의 전장, 전투 지역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편성된 작전 단위이며, 동일한 종류의 사단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예: 해병군단). 일반적으로 군단 사령부는 작전 지휘 기능만을 가지며, 인사, 보급 관리 기능은 가지지 않는다.[1]

미군 재편 과정에서 미국 육군은 군단에 대해 재정의하여 군단 사령부를 '''UEx'''(Unit of Employment X)라는 사령부 부대 중 중장이 지휘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한편, UEx 중 소장이 지휘하는 것이 사단 사령부이다. 참고로, ''UEx''는 미군 재편 계획 수립 당시 사용된 서류상의 명칭이며, 실제 사용되는 명칭으로는 종전과 같이 ''군단''이라는 명칭이 채택되었다.[1]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투 규모가 커짐에 따라 여러 군단이 야전군으로 통합되었고, 이후 군집을 형성했다. 많은 군대에서 군단은 두 개 이상의 사단으로 구성된 야전 부대이며, 일반적으로 중장이 지휘한다. 번호가 매겨진 군단이 있는 서방 군대에서는 로마 숫자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예: 제7군단).

3. 각국의 군단

NATO 표준 지도 표기에서 군단은 사각형 안에 'X'자 두 개(XX)로 표시된다. 많은 군대에서 군단은 2개 이상의 사단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중장이 지휘한다.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투 규모가 커짐에 따라 여러 군단이 야전군으로 통합되었고, 이후 군집단을 형성했다. 서방 군대에서는 군단 번호를 로마 숫자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예: VII 군단).

NATO 지도 기호[1]
우호적인 합동군 사단

적대적인 합동군 사단
--
우호적인 공수부대 사단
--
우호적인 보병 사단
--
적대적인 기갑 사단


  •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은 현재 6개의 군단을 보유하고 있다.
  • '''일본:''' 일본 제국 육군은 군단(軍)을 사단의 상위 부대로 운영했다.
  • '''미국:''' 미국 육군은 군단 사령부를 'UEx'로 재정의했다.
  •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군단은 1914년에 창설되어 갈리폴리 전투에서 활약했다.
  • '''캐나다:''' 캐나다 군단제1차 세계 대전에서 처음으로 군단 규모 부대를 배치했다.
  • '''중국:''' 중국 국민혁명군은 군단(軍團중국어)을, 인민해방군 육군은 집단군(集团军중국어)을 군단과 유사하게 운용한다.
  • '''프랑스:''' 프랑스군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부터 군단(corps d'armée)을 운용해 왔다.
  • '''독일:''' 독일 연방군은 프로이센 시대부터 이어져 온 군단 편제를 유지하고 있다.
  • '''인도:''' 인도 육군은 14개 군단으로 구성되며, 각 군단은 중장이 지휘하고 3~4개 사단으로 구성된다. 군단 사령부는 육군에서 가장 높은 야전 부대이다.


인도 육군 행정 부대
육군 기갑 부대
육군 항공 부대
육군 치과 부대
육군 교육 부대
육군 의무 부대
육군 병기 부대
육군 우편 부대
육군 보급 부대
육군 방공 부대
전자기계 기술 부대
공병 부대
군사 경찰 부대
통신 부대
방위 보안 부대
정보 부대
개척 부대
마필 및 수의 부대


  • '''파키스탄:''' 파키스탄 육군은 9개 기동 군단을 보유하며, 각 군단은 중장이 지휘하고 최소 2개 사단으로 구성된다.
  • '''영국:''' 영국 육군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다수의 군단을 창설했으며, 현재는 연합 신속대응군단을 운용하고 있다.
  • '''소련:''' 소련군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전쟁 중에 군단을 운용했으며, 전쟁 후에는 대부분 해산되었다.


일반적으로 군단은 군단장이 지휘하는 중장 또는 대장의 직책이다. 2~4개의 사단과 독립 혼성 여단, 독립부대로 구성되며, 수만 명에서 십만 명에 달하는 병력을 거느린다. 2개 이상의 군단이 합쳐진 것이 ''''''이다.

군단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9세기 초에 여러 사단을 합쳐 만든 것이 시초이며, 유럽 각국에서도 프랑스 공화국군을 본떠 편성되었다.

파생적으로, 비토 다케시가 이끄는 다케시 군단, 이시하라 프로모션 소속 배우들을 지칭하는 이시하라 군단, 닛코 사루 군단, 오스카 미녀 군단처럼 영향력 있는 인물을 중심으로 결속된 집단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에는 현재 6개의 군단이 있다.

이 중 7군단은 기동군단으로, 전쟁이 일어나면 다른 군단은 주둔지를 거점으로 지역 방위 및 방어, 타 부대 및 대민 지원 중심의 임무를 수행하는 반면, 7기동군단은 주둔지를 떠나 총공격에 집중하는 공격 중심의 임무를 수행한다.

현재 6개 군단 전부는 전방을 담당하는 야전군급 상급 부대인 지상작전사령부의 예하 군단이다. 과거에는 후방을 담당하는 제2작전사령부 예하 군단도 존재했으나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특전사령부는 인원수는 사단 이하이지만 부대 단위는 군단이며, 장교 숫자 역시 일반 군단과 동일한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다.

3. 2. 일본

일본 제국 시절 군단은 사단의 상위 전술 부대로서 제국 육군육군 항공대에서 '군(軍)'이라는 명칭으로 운영되었다. 군(軍)의 상위 전술 단위 부대는 방면군, 총군이었으며, 관동군의 경우 총군과 같은 병력을 가지는 부대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설립된 육상자위대에서는 방면대라는 명칭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방면대는 지역 경계 사령부 명칭으로 이동 단위 부대인 군단과는 다르다.

3. 3. 미국

미군 재편 과정에서 미국 육군은 군단 사령부를 '''UEx'''(Unit of Employment X)라는, 중장이 지휘하는 사령부 부대로 재정의했다. 한편, UEx 중 소장이 지휘하는 것은 사단 사령부이다. ''UEx''는 미군 재편 계획 수립 당시 사용된 서류상의 명칭이며, 실제 사용되는 명칭으로는 종전과 같이 ''군단''이 채택되었다.

3. 4.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및 뉴질랜드 군단은 1914년에 창설되어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군대로 구성되었으며, 1915년 갈리폴리에서 싸웠다.[2] 1916년 초, 원래 군단은 재편되었고 제1 ANZAC 군단과 제2 ANZAC 군단의 두 개의 군단이 창설되었다.[2] 제1차 세계 대전 후반기에, 해외 복무를 자원한 인원으로만 구성된 오스트레일리아 제1차 원정군(AIF)의 5개 보병 사단은 서부 전선에서 존 모나쉬(Sir John Monash) 중장 지휘하에 오스트레일리아 군단으로 통합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제1군단이 오스트레일리아 제2차 원정군(2nd AIF) 3개 부대(제6사단, 제7사단, 제9사단) 및 경우에 따라 다른 연합군 부대를 북아프리카 전역과 그리스 전역에서 조정하기 위해 편성되었다. 태평양 전쟁이 시작된 후, 제1군단은 오스트레일리아로 단계적으로 철수하였고, 본부는 브리즈번 지역으로 이전하여 퀸즐랜드와 북부 뉴사우스웨일스주(NSW)의 연합군 부대를 통제하였다. 제2군단도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방어를 위해 민병대 부대를 가지고 편성되었고, 제3군단은 서호주의 육군을 통제하였다. 하위 군단 편성은 오스트레일리아 나머지 지역의 연합군 육군을 통제하였다. 제1군단 본부는 나중에 뉴기니 전역의 통제권을 맡았다. 1945년 초, 제1군단이 보르네오 탈환 임무를 맡았을 때, 제2군단이 뉴기니를 장악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군인들은 육군 전체에서 공통된 기능이나 임무를 정의하는 병과에 우선적으로 소속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은 각각 특정 병과(때로는 개별 대대)의 일원으로 군인을 식별하는 색깔별 끈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군인이 모병과가 아닌 부대에 배치되는 경우, 어떤 상황을 제외하고는 군인은 모병과의 모자 휘장과 끈을 계속 착용한다.

뉴질랜드에서 군인들은 우선적으로 육군 전체에서 공통적인 기능이나 임무를 정의하는 부대에 소속된다. 뉴질랜드 육군에서 부대는 유사한 직무 기능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행정 그룹이다.[19] 군인이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 모부대 외부의 부대에 배치되는 경우, 해당 군인은 계속해서 자신의 부대 모자 휘장을 착용한다.

3. 5. 캐나다

캐나다 군단제1차 세계 대전에서 캐나다가 처음으로 군단 규모의 부대를 배치하면서 창설되었다. 이 군단은 4개의 캐나다 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창설부터 종전까지 구성이 바뀌지 않았다는 점에서 독특했다. 휴전 후, 평시 캐나다 민병대는 명목상 군단과 사단으로 편성되었지만, 대대보다 큰 상비 부대는 훈련을 받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캐나다는 단일 사단을 영국-프랑스군에 지원했다. 1940년 6월 프랑스 함락 후, 두 번째 사단이 영국으로 이동하여 캐나다 군단 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이 군단은 영국에 두 번째 군단 사령부가 설립되고 5개의 캐나다 사단이 편성되면서 제1 캐나다 군단으로 개명되었다. 제1 캐나다 군단은 이탈리아에서, 제2 캐나다 군단은 북서 유럽에서 전투를 벌였고, 1945년 초에 재결합되었다. V-E 데이 이후 부대가 해산된 후, 캐나다는 그 이후로 군단 사령부를 편성한 적이 없다.

1968년 육군, 왕립 캐나다 해군, 왕립 캐나다 공군이 통합되어 캐나다군이 형성되면서, 여러 군단들이 재편성되었다. 예를 들어, 왕립 캐나다 치과 군단과 왕립 캐나다 육군 의무 군단은 해군 및 공군 부대와 합쳐져 캐나다군 보건 서비스 그룹의 캐나다군 치과 부서와 캐나다군 의무 서비스를 구성했다.[17] 왕립 캐나다 육군 보급 군단의 수송 및 보급 부서는 왕립 캐나다 군수 군단과 합쳐져 물류 부서를 형성했다.[17]

3. 6. 중국

중국 국민혁명군 군단(軍團중국어)은 중화민국에서 사용한 군사 조직 유형이다. 보통 2~3개의 국민혁명군 사단과 여러 개의 독립 여단 또는 연대, 그리고 지원 부대를 지휘했다. 중화민국은 중일 전쟁 기간 동안 133개의 군단을 보유했다. 전쟁 초기 손실 이후, 1938년 개혁에 따라 부족한 포병과 기타 지원 부대는 사단에서 제외되어 군단 또는 군 수준 이상에서 운용되었다. 군단은 연합군 사단과 거의 비슷한 규모를 가진 NRA의 기본 전술 부대가 되었다.

현대 인민해방군 육군의 집단군(集团军중국어)은 군단과 가장 유사하다. 2010년대 초반 군 개혁 이후, 전형적인 인민해방군 집단군은 6개의 합성군 여단과 추가적인 포병, 방공, 공병, 유지, 특수작전 및 육군 항공 자산으로 구성된다. 각 부대는 약 3만 명의 전투 병력과 수천 명의 지원 인원으로 구성된다.

3. 7. 프랑스

나폴레옹 1세 휘하의 프랑스군은 군단(corps d'armée) 규모의 편제를 최초의 공식적인 합동군(combined-arms) 그룹으로 사용했는데, 이는 사단들을 상당히 안정적인 인원과 장비 체계로 묶은 것이었다. 나폴레옹 1세는 1805년에 처음으로 군단(corps d'armée)을 사용했다.[2] 군단의 사용은 나폴레옹 1세에게 나폴레옹 전쟁 초기 단계에서 상당한 전장 이점을 제공한 군사적 혁신이었다. 군단은 기병, 포병, 보병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군사 집단으로 설계되었으며, 수적으로 우세한 적에 맞서 방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나폴레옹 1세는 자신의 병력의 대부분을 집중시켜 적 전선의 약한 부분에 대한 돌파를 시도할 수 있었고, 동시에 자신의 통신선이나 측면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을 수 있었다. 이러한 혁신은 다른 유럽 열강들이 유사한 군사 구조를 채택하도록 자극했다. 군단은 오늘날까지 프랑스군 조직의 계층으로 남아 있다.[2]

군단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9세기 초에 여러 사단을 합쳐 만든 것이 시초이다. 유럽 각국에서도 프랑스 공화국군을 본떠 편성되었으며, 군단장에는 일반적으로 중장, 대장 또는 군단장이 임명되었다.

3. 8. 독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19세기 초에 여러 사단을 합쳐 군단을 만든 것이 시초이다. 유럽 각국에서도 프랑스 공화국군을 본떠 편성되었으며, 군단장에는 일반적으로 중장, 대장 또는 군단장이 임명되었다. 프로이센에서는 전쟁 대비 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1816년 11월 5일자 "폐하의 명령"(Allerhöchste Kabinetts-Orderde)에 따라 군단이 도입되었다.[1] 1805년 울름 전투 이후 평시에도 고정적인 군사 편제로 사용되었으며, 거의 모든 유럽 군대에서 채택되었다.[1]

3. 9. 인도

인도 육군은 14개 군단으로 구성되며, 각 군단은 중장 계급의 군단장(GOC, general officer commanding)이 지휘한다. 각 군단은 3개 또는 4개의 사단으로 구성된다. 인도 육군에는 공격, 방어, 혼성 등 세 가지 유형의 군단이 있다. 군단 사령부는 육군에서 가장 높은 야전 부대이다.

인도 육군의 행정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육군 기갑 부대
육군 항공 부대
육군 치과 부대
육군 교육 부대
육군 의무 부대
육군 병기 부대
육군 우편 부대
육군 보급 부대
육군 방공 부대
전자기계 기술 부대
공병 부대
군사 경찰 부대
통신 부대
방위 보안 부대
정보 부대
개척 부대
마필 및 수의 부대


3. 10. 파키스탄

파키스탄 육군은 9개의 기동 군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군단은 중장이 지휘한다. 각 군단은 최소 두 개의 사단으로 구성된다. 군단 사령부는 육군에서 가장 높은 현장 부대이다.

3. 11. 영국

웰링턴은 1815년 나폴레옹 1세에 대항하는 4개 사단의 연합군을 지휘하기 위해 군단(corps d'armée)을 편성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군이 원정군에서 확장되면서 많은 사단을 관리하기 위해 군단이 창설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군단에는 23개의 보병 군단과 소수의 기병 군단이 있었다. 이 단어는 장교훈련단(Officers Training Corps)과 같은 다른 특수 부대에도 사용되었다. 1950년대 일부 학교에서는 의무적으로 참여했던 연합사관후보생단(Combined Cadet Force)을 통해 중고등학교에서 10대 남학생들의 군사 훈련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속어로 CCF를 간단히 "군단(Corps)"이라고 불렀다.

영국 육군(British Army)은 여전히 부대의 작전 통제를 위한 군단 사령부를 가지고 있다. 라인 영국군(British Army of the Rhine)의 제1군단은 1994년 연합 신속대응군단(Allied Rapid Reaction Corps)으로 재지정되었다. 영국이 "기본 국가"이고 사령부 직원의 대부분을 제공하지만 더 이상 순수하게 영국의 부대는 아니다. 필요하다면 순수한 국내 군단 사령부를 신속하게 재구성할 수 있다.

2006년 5월 4일 아프가니스탄 국제 안보 지원군(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의 지휘를 맡았다. 이전에는 1999년 코소보 전쟁(Kosovo War) 중 육군을 지휘하는 사령부로 배치되었고, 1996년 IFOR 배치 초기 단계를 지휘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osnia and Herzegovina)에서도 복무했다. 그 외에 1945년 이후 영국 군단 사령부가 작전적으로 배치된 유일한 시기는 수에즈 위기(Suez Crisis) 중 제2군단이었다.

영국 육군에서 행정 부대는 의장 부대와 거의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데, 다른 부대에는 없는 행정 지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행정 부대는 자체 모자 휘장, 안장 띠 및 기타 휘장과 전통을 가지고 있다.

  • 정보부대
  • RAF 연대
  • 왕립 군수 부대
  • 왕립 해병대
  • 왕립 통신 부대


어떤 경우에는, 독립 연대 및 기타 부대의 느슨한 집단(통합된 휘장, 군사 전통 또는 기타 장비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부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왕립 기갑 부대 또는 "보병 부대"가 있다.

3. 12. 소련

옛 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적군은 약 3개 사단으로 구성된 라이플 군단을 보유하고 있었다.[13] 그러나 전쟁 초기에는 소련 고위 사령부(스타브카)의 구조 문제로 군과 군단이 통합되었다. 이후 적군 사령관들이 대규모 부대 지휘 경험을 쌓으면서 라이플 군단이 다시 편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전쟁 중에 소련 기갑 부대는 군단으로 편성되었는데, 전쟁 전의 기계화 군단은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개편 과정에서 이러한 "군단"은 사단 구조 없이 전차 여단과 지원 부대로 재편성되었고, 이 때문에 비공식적으로 "여단 집합체"라고 불리기도 했다.

전쟁 후 전차 군단과 기계화 군단은 사단으로 재평가되었다. 1956년부터 1958년까지의 개혁 기간 동안 대부분의 군단은 해산되고 새로운 합동 군과 전차 군이 창설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닌그라드 군관구의 비보르크 군단과 아르한겔스크 군단 등 일부 군단은 유지되었다. 이들은 각각 3개의 저준비 기계화 보병 사단을 가진 소규모 군이었다. 1980년대에는 벨로루시 군관구(서부 TVD/전략 방향)와 트란스바이칼 군관구에 여단 체제의 "통합 군단"(제48근위 독립군단)이 창설되었지만 몇 년 후 폐지되었다.

소련 공군은 편대 수준까지 지상 부대의 용어를 사용했다. 항공 사단과 공군 사이에는 군단이 있었는데, 이 군단 역시 각각 3개의 항공 사단을 가지고 있었다.

4. 행정 부대

영국 군사 전통의 영향을 받은 영어권 국가들과 다른 많은 국가들에서, 군단(corps)은 공통된 기능에 따라 구성된 인원의 집단을 의미하며, 병과(arm), 부대(service), 소집(mustering), 또는 분과(branch)라고도 한다.

영국 육군에서 행정 부대는 의장 부대와 거의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데, 다른 부대에는 없는 행정 지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행정 부대는 자체 모자 휘장, 안장 띠 및 기타 휘장과 전통을 가지고 있다.


  • 정보부대
  • RAF 연대
  • 왕립 군수 부대
  • 왕립 해병대
  • 왕립 통신 부대


어떤 경우에는, 독립 연대 및 기타 부대의 느슨한 집단(통합된 휘장, 군사 전통 또는 기타 장비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부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왕립 기갑 부대 또는 "보병 부대"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군인들은 육군 전체에서 공통된 기능이나 임무를 정의하는 병과에 우선적으로 소속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은 각각 특정 병과(때로는 개별 대대)의 일원으로 군인을 식별하는 색깔별 끈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 끈은 짠 끈으로 의장용 제복에 착용하며, 20세기 초 끈으로 제복에 고정했던 접이식 나이프 발급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군인이 모병과가 아닌 부대에 배치되는 경우, 어떤 상황을 제외하고는 군인은 모병과의 모자 휘장과 끈을 계속 착용한다(예: 보병 대대에 배치된 사무원은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군수병과의 모자 휘장을 착용하지만 배치된 대대의 끈을 착용한다).

캐나다에서는 캐나다 육군이 캐나다군에 통합되면서 영국식 군단 모델이 인사 부서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캐나다군 행정 명령(CFAOs)에서 "...유사한 군 역할, 관습 및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응집력 있는 전문 그룹..."으로 정의된다.[16] 그러나 기갑 부서는 왕립 캐나다 기갑 군단(Royal Canadian Armoured Corps)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했고, 보병 부서는 왕립 캐나다 보병 군단(Royal Canadian Infantry Corps) 명칭을 계속 사용했으며, 포병 부서는 왕립 캐나다 포병 연대(Royal Regiment of Canadian Artillery)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968년 육군, 왕립 캐나다 해군(Royal Canadian Navy), 왕립 캐나다 공군(Royal Canadian Air Force)이 합쳐져 캐나다군이 형성되었을 때, 왕립 캐나다 치과 군단(Royal Canadian Dental Corps)과 왕립 캐나다 육군 의무 군단(Royal Canadian Army Medical Corps)은 해군 및 공군 부대와 합쳐져 캐나다군 보건 서비스 그룹(CF H Svcs Gp)의 캐나다군 치과 부서(Dental Branch (Canadian Forces))와 캐나다군 의무 서비스(Canadian Forces Medical Service)를 구성했다. 왕립 캐나다 육군 보급 군단(Royal Canadian Army Service Corps)의 수송 및 보급 부서는 왕립 캐나다 군수 군단(Royal Canadian Ordnance Corps)과 합쳐져 물류 부서를 형성했다. 왕립 캐나다 육군 보급 군단(Royal Canadian Army Service Corps)의 사무직은 왕립 캐나다 육군 급여 군단(Royal Canadian Army Pay Corps)과 왕립 캐나다 우편 군단(Royal Canadian Postal Corps)과 합쳐져 행정 부서를 형성했고(나중에 물류 부서와 합쳐짐)[17]

다른 "군단"으로는 캐나다 공병 군단, 통신 군단, 가이드 군단, 캐나다 여성 육군 군단(Canadian Women's Army Corps), 왕립 캐나다 육군 수의 군단(Royal Canadian Army Veterinary Corps), 캐나다 임업 군단(Canadian Forestry Corps), 캐나다 헌병 군단(Canadian Provost Corps) 및 캐나다 정보 군단(Canadian Intelligence Corps)이 있다.[18]

인도 육군의 행정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
육군 기갑 부대
육군 항공 부대
육군 치과 부대
육군 교육 부대
육군 의무 부대
육군 병기 부대
육군 우편 부대
육군 보급 부대
육군 방공 부대
전자기계 기술 부대
공병 부대
군사 경찰 부대
통신 부대
방위 보안 부대
정보 부대
개척 부대
마필 및 수의 부대



뉴질랜드에서 군인들은 우선적으로 육군 전체에서 공통적인 기능이나 임무를 정의하는 부대에 소속된다. 뉴질랜드 육군에서 부대는 유사한 직무 기능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행정 그룹이다.[19] 군인이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 모부대 외부의 부대에 배치되는 경우, 해당 군인은 계속해서 자신의 부대 모자 휘장을 착용한다(예: 보병 대대에 배치된 보급 기술병은 뉴질랜드 왕립 육군 물류 연대의 모자 휘장을 착용한다).

참조

[1]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01
[2] 서적 Diggers: The Australian Army, Navy and Air Force in Eleven Wars Lansdowne 1994-01-01
[3]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Civil War High Command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2-01-01
[5] 서적 Maneuver and Firepower: The Evolution of Divisions and Separate Brigades Center of Military History, U.S. Army 1998-01-01
[6] 웹사이트 Civil War Army Organization and Rank https://web.archive.[...] North Carolina Museum of History 2022-01-23
[7] 서적 The Brigade: A History, Its Organization and Employment in the US Army Combat Studies Institut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04-01-01
[8] 서적
[9] 서적 Of Duty Well and Faithfully Done: A History of the Regular Army in the Civil War Nebraska 2011-01-01
[10] 서적 History of Military Mobilization http://www.history.a[...] Department of the Army 1955-11-01
[11]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1941 http://usacac.army.m[...]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12] 서적 Vietnam Studies: Command and Control, 1950-1969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the Army 1991-01-01
[13] 웹사이트 Eve of war Soviet structure http://niehorster.or[...]
[14] 서적 Military Encyclopedia, Volume 4, article "Corps" Voenizdat 1999-01-01
[15] 서적 Советская вое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в 8-ми томах (2-е издание), Том 4, статьи Корпус, Корпус ПВО [Soviet Military Encyclopedia in 8 volumes (2nd Edition), Volume 4, articles "Corps" and "Air Defence Corps."] Voenizdat 1977-01-01
[16] 웹사이트 Personnel Branches within the Canadian Forces https://web.archive.[...]
[17] 서적 Wait For The Waggon Leo Cooper 1998-01-01
[18] 서적 A Call To Arms
[19] 웹사이트 Military Training & Education NZ Defence Careers https://defencecaree[...]
[20] 간행물 Army Regulation 600-82: The U.S. Army Regimental System http://www.17thinfan[...] U.S. Army
[21] 웹사이트 URL Unrestricted Line Officer http://www.navyreser[...] NavyReserve.com
[22] 웹사이트 Mission of Public Health Service at USPHS Commissioned Corps https://web.archive.[...] Usphs.gov 2011-11-14
[23] 웹사이트 NOAA Corps http://www.noaacorps[...] Noaacorps.noaa.gov
[24] 웹사이트 The Union Army Ambulance Corps http://www.civilwar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