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통신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통신사령부는 1918년 2월 14일 창설된 제9정비대대를 기원으로 하며,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정식 조직되었다. 전신, 전화, 해안포 사격 통제 통신 시설의 설치 및 유지를 임무로, 하와이 관할 지역의 케이블 건설, 본토 및 마닐라와의 무선 통신망 구축을 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라디오 운용병 파견 및 수송선 지원, 972통신근무중대로 재지정, 972통신근무대대로 재편성되어 중앙 태평양 지역 통신국의 유선 부대 임무를 수행했다. 전후 병력 감축으로 해산되었다가 1958년 펜실베이니아에서 재편성,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퀴논에 주둔하며 통신 지원을 제공했다. 1997년 재활성화되어 미국 육군 군사령부에 배속되었고, 현재 육군 사이버 사령부 소속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리조나주의 부대 -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는 미국 육군 사이버사령부 직속으로 육군 사이버 공간을 계획, 설계, 보호, 운영하여 합동 작전에서 임무 수행 지휘를 가능하게 하며, 애리조나주 포트 후아추카에 본부를 두고 전 세계에서 육군과 연합군을 지원한다. - 애리조나주의 부대 - 제309항공우주정비재생전대
제309항공우주정비재생전대는 미국 데이비스-먼선 비행장에 위치하여 항공기 정비, 재생, 보관, 폐기 임무를 수행하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설립되어 명칭 변경과 임무 확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연평균 300대의 항공기를 처리한다. -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 - 제311통신사령부
제311통신사령부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로, 1944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기를 거쳐 현재는 하와이주에서 태평양 지역의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육군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 - 미국 육군의 통신사령부 - 제7통신사령부
미국 육군 제7통신사령부는 미국 국방부 정보망 작전을 수행하며, 국가 지도자, 합동 전력, 육군에게 미국 본토 디지털 인프라를 제공하고, 서반구 내 합동, 범부처, 정부 간 및 다국적군을 지원하는 통신 사령부이다. - 1969년 폐지 - 신도군
신도군은 압록강 하구에 위치한 평안북도에 있는 군으로, 여러 섬을 포함하며 1988년에 재설치되었고, 갈대, 어업,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 1969년 폐지 - 한국주택은행
제9통신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일 | 1997년 9월 16일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통신대 |
종류 | 통신 사령부 |
본부 | 애리조나주, 포트 후아추카 |
상위 부대 | 네트워크기획기술사령부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앨런 R. 린 소장 |
역사 | |
과거 활동 기간 | 1948년 10월 8일 ~ 1948년 10월 8일 1958년 6월 23일 ~ 1967년 10월 20일 1968년 5월 10일 ~ 1969년 11월 29일 1997년 9월 16일 ~ 현재 |
참전 | 태평양 전쟁 베트남 전쟁 |
2. 역사
제9통신사령부는 1918년 2월 14일 창설된 제9정비대대에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호놀룰루를 중심으로 전신, 전화 등 통신 시설의 설치 및 유지를 담당했다. 1921년 본부를 포트 샤프터로 이전하고 하와이 관할 지역 내 케이블 건설을 맡았으며, 1930년대에는 미국 본토 및 워싱턴 D.C.와의 무선 통신망을 구축했다.
진주만 공습 이후 태평양 지역에서의 통신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1943년 제972통신대대로 재지정되었고, 1944년 대대 규모로 확장되어 중앙 태평양 지역에서 유선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이 시기 활동으로 공로 부대 휘장 등을 수여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8년 말 해산되었으나, 1958년 펜실베이니아주 토비해나 신호 보급창에서 제972통신대대(보급 및 정비)로 재창설되었다. 이후 미국 제2군으로 배속되기도 했다.
1965년부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퀴논과 롱빈 기지 등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두 차례 해산과 재창설을 겪었으며, 1969년 11월 베트남 철수 계획에 따라 다시 해산되었다. 베트남 전쟁 참전 공로로 10개의 작전기와 두 번째 우수부대 표창을 받았다.
약 28년간 비활성 상태로 있다가 1997년 9월 16일, 제9군 통신사령부(ASC) 본부 및 본부 중대로 재활성화되어 미국 육군 군사령부 예하 부대가 되었다. 2002년에는 미국 육군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기술 사령부 및 제9군 통신사령부(NETCOM/9th ASC)로 개편되었고, 2010년부터는 미국 육군 사이버 사령부 예하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2. 1. 창설 초기 (1918년 ~ 1941년)
제9통신사령부의 기원은 1918년 2월 14일 창설된 제9정비대대(9th Service Company, Signal Corps)이다. 이 부대는 창설 2개월 뒤인 1918년 4월 19일 호놀룰루에서 정식으로 조직되었다. 초기 임무는 전신, 전화, 그리고 해안포 사격 통제를 위한 통신 시설의 설치 및 유지였다. 창설 당시 조직은 대위 1명, 상병 5명, 일등병 15명으로 구성되었다. 부대원들은 오아후섬의 포트 샤프터, 스코필드 막사, 포트 루거, 포트 암스트롱, 포트 카메하메하, 히캄 비행장, 루크 비행장, 트리플러 종합병원 등 여러 기지에서 임무를 수행했다.1921년, 부대는 본부를 호놀룰루에서 포트 샤프터로 이전했으며, 하와이 관할 지역 내 대규모 케이블 건설을 담당하게 되었다. 1929년 5월부터는 미국 본토 및 필리핀 마닐라와 무선 통신을 시작했다. 1930년 8월에는 워싱턴 D.C.에 있는 육군성(War Department) 기지와 직접적인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였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 1945년)
진주만 공습 이후 포트 샤프터에서의 통신 작전은 확장되기 시작했다. 1942년, 제9통신대대는 라디오 운용병을 크리스마스섬, 캔턴섬, 타부에란섬으로 파견했으며,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 사이를 오가는 수송선과 하와이 해역의 섬 간 선박에도 라디오 운용병을 지원했다.1943년 4월, 부대는 제972통신대대로 재지정되었다. 이후 1944년 1월 8일에는 대대 규모로 재편성되어 제972통신대대(972d Signal Service Battalion)가 되었고, 병력은 643명으로 늘어났다. 이 부대는 또한 미국 육군 중앙 태평양 지역(U.S. Army Forces, Central Pacific Area)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태평양 전선이 확대되고 통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작전 지역 통신 자원의 재분배가 필요해졌고, 제972통신대대는 유선 통신을 주로 담당하는 "유선 대대"가 되었다. 부대의 주된 임무는 중앙 태평양 지역 통신국의 유선 부서가 통신 시설을 설치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 필요한 인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대대의 주요 부대는 오아후섬에 주둔했으며, 하와이섬, 마우이섬, 카우아이섬에도 분견대가 배치되었다.
제972통신대대는 1945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의 공로를 인정받아 중앙 태평양 기지 사령부로부터 공로 부대 휘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1941년부터 1943년까지의 활동으로 중앙 태평양 작전 휘장을 받았으며, 대대 소속 통신 사진 분견대는 동부 위임 통치령 작전 휘장을 받았다.
2. 3. 전후 재편성 및 해산 (1945년 ~ 1965년)
1947년 1월, 대대는 병력이 760명으로 증가하며 재편성되었다. 이때 본부 파견대와 A중대, B중대가 추가되었다. 1948년 6월, 대대는 다시 재편성되어 본부 파견대를 대체하는 본부 중대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1948년 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병력 감축으로 인해 대대는 하와이 준주의 포트 샤프터에서 해산되었다.1958년 5월, 통신 참모의 명령에 따라 제972통신대대로 펜실베이니아주 토비해나 신호 보급창에서 다시 현역으로 복귀했다. 1958년 5월 14일, 제972통신대대(보급 및 정비)로 재편성되었으며, 이 부대는 별도의 중대 없이 본부 요소로만 구성되었다. 1962년 7월, 제972통신대대는 통신 참모 소속에서 미국 제2군으로 재배속되었다. 이후 1965년 5월에는 본부 파견대가 본부 중대로 재편성되었다.
2. 4. 베트남 전쟁 (1965년 ~ 1975년)
1965년 8월, 제972통신대대는 남베트남에서의 해외 임무 수행을 위해 준비 태세에 들어갔다. 이 부대는 미국 육군 지원 사령부에 배속되어 퀴논에 주둔하며, 1965년 9월부터 1967년 10월까지 신호 보급소 운영 및 보급, 정비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제972통신대대는 1967년 10월 20일에 해산되었으나, 이듬해인 1968년 5월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다시 창설되었다. 부대원들은 5개월간의 훈련을 거쳐 1968년 10월, 두 번째 베트남 파병길에 올랐다.재창설된 제972통신대대는 1968년 10월 29일 롱빈 기지에 도착하여 미 육군 전략 통신 사령부 예하 제2통신단, 제1통신여단에 배속되었다. 부대는 베트남 공화국 전역에 걸쳐 비상 통신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았다. 1968년 11월에는 제107통신중대(지원)가 대대에 배속되었고, 같은 달 말에는 제267통신중대(케이블 건설)와 제327통신중대(무선 중계)를 예하에 두게 되었다.
1969년 10월, 대대는 제267통신중대와 제327통신중대의 통제권을 제39통신대대(제2통신단 소속)로 이관하며 또 다른 해산을 준비했다. 같은 달 제107통신중대는 미국으로의 재배치를 위해 해산되었다. 결국 1969년 11월 말, 제972통신대대는 남베트남에서 미군 병력을 감축하는 계획의 일환으로 최종 해산되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제972통신대대는 10개의 베트남 전역 참가 기록을 남겼으며, 미 육군 베트남 사령부로부터 두 차례 우수부대 표창을 받았다.
2. 5. 재창설 및 현대 (1997년 ~ 현재)
1997년 9월 16일, 제9군 통신사령부(ASC) 본부 및 본부 중대로 부대가 재활성화되었으며, 미국 육군 군사령부에 배속된 주요 예하 부대가 되었다. 2002년 10월 1일, 육군은 제9군 통신사령부를 미국 육군 네트워크 엔터프라이즈 기술 사령부 및 제9군 통신사령부(NETCOM/9th ASC)로 재지정했다. 2010년 10월 1일, 제9통신사령부(육군)는 육군 사이버 사령부 및 제2군의 예하 부대가 되었다. 2017년 제2군은 해체되었다.3. 부대
(내용 없음)
3. 1. 베트남 전쟁
- 제107통신중대 (지원)
- 제267통신중대 (선로 건설)
- 제327통신중대 (무전 중계)
1965년 8월, 제972통신대대는 남베트남에서의 해외 임무 수행을 위해 파병 준비 지시를 받았다. 이 부대는 미 육군 지원사령부에 배속되어 퀴논에 주둔하며, 1965년 9월부터 1967년 10월까지 신호 보급소 운영 및 보급, 정비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제972통신대대는 1967년 10월 20일에 해산되었으나, 1968년 5월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다시 창설되었다. 재창설된 부대원들은 5개월간의 훈련을 거쳐 같은 해 10월, 두 번째 베트남 파병길에 올랐다.
새롭게 편성된 제972통신대대는 1968년 10월 29일 롱빈 기지에 도착하여 미 육군 전략 통신 사령부 예하 제2통신단, 제1통신여단에 배속되었다. 대대는 베트남 공화국 전역에 걸쳐 비상 통신 지원 임무를 맡았다. 1968년 11월에는 제107통신중대(지원)가 대대에 배속되었고, 같은 달 말에는 제267통신중대(선로 건설)와 제327통신중대(무선 중계)가 추가로 편입되었다.
1969년 10월, 대대는 제267통신중대와 제327통신중대의 지휘권을 제39통신대대, 제2통신단으로 이관했다. 이는 또 다른 부대 해체를 준비하는 과정의 일부였다. 같은 달, 제107통신중대는 미국 본토로 재배치되기 위해 해산되었다. 1969년 11월 말, 미 육군은 남베트남 주둔 미군 병력 감축 계획의 일환으로 제972통신대대를 최종 해산했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제972통신대대는 총 10개의 베트남 작전 참가 표창을 받았으며, 미 육군 베트남 사령부로부터 두 번째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4. 기록
(내용 없음)
4. 1. 소속
소속 부대 | 기간 |
---|---|
미국 태평양 육군 | 1918년 4월 19일 ~ 1948년 10월 8일 |
제2군 | 1962년 7월 ~ 1967년 10월 20일 |
제2통신단 | 1968년 10월 29일 ~ 1969년 11월 29일 |
미국 육군 전력사령부 | 1997년 9월 16일 ~ 2002년 10월 1일 |
육군사이버사령부 | 2002년 10월 1일 ~ 현재 |
4. 2. 계보
wikitext날짜 | 영어 명칭 | 한국어 명칭 |
---|---|---|
1918년 2월 14일 | {{lang|eng|9th Service Company, Signal Corps|} | } || 통신대, 제9근무중대 (정규군)중앙태평양 |
베트남 전쟁 | 방어 반격 반격, 제2(II)단계 반격, 제3(III)단계 구정 대공세 반격, 제4(IV)단계 반격, 제5(V)단계 반격, 제6(VI)단계 1969년 구정 대공세 1969년 하계-추계 1970년 동계-춘계 |
4. 4. 스트리머
wikitext스트리머 | 내역 |
---|---|
태평양 전구 | |
베트남 1966년 ~ 1967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