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M. 로빈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M. 로빈슨은 20세기 후반의 저명한 신약성서 학자이자 종교학자로, 역사적 예수 연구, Q 복음서 연구, 나그함마디 문서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데이비슨 칼리지, 컬럼비아 신학대학원, 바젤 대학교, 프린스턴 신학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바젤에서 카를 바르트와 오스카 쿨만에게,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루돌프 불트만에게서 수학했다. 에모리 대학교, 클레어몬트 신학대학,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1970년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받았다. 로빈슨은 예수의 부활 현현에 대한 견해로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와 논쟁을 벌였으며, 2016년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주요 저서로는 '마가복음의 역사적 문제',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탐구', 'Q 복음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수와 역사 - 예수의 십자가형
예수의 십자가형은 기독교의 핵심적인 사건으로, 예수가 유대교 지도자들의 반대와 로마 총독의 판결에 따라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사건이며, 인류의 죄를 속죄하고 구원을 가져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예수와 역사 - 성십자가
성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십자가 또는 그 유물 조각을 의미하며, 4세기 헬레나의 발견 이후 전 세계로 분산되어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상징으로 숭배되고 있다. - 미국의 신학자 - 존 캅
존 캅은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과정철학을 연구한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클레어몬트에서 과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과정신학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태신학, 종교 다원주의, 지속 가능한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정의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신학자 - 토니 캠폴로
토니 캠폴로는 미국 복음주의 목사이자 사회학자, 작가, 활동가로서 이스턴 대학교 교수, 복음주의 교육 증진 협회 설립, 사회 정의 운동, 진보적 정치 신념 등으로 논쟁을 일으키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1924년 출생 - 윌리엄 렌퀴스트
윌리엄 렌퀴스트는 미국 대법원장으로 재직하며, 보수주의 성향으로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대한 좁은 해석, 연방 정부 권한 축소 및 주 정부 권한 확대를 주장했으며, `부시 대 고어` 사건과 빌 클린턴 탄핵 재판에 관여했다. - 1924년 출생 - 조반니 사르토리
조반니 사르토리는 이탈리아의 정치학자이며, 특히 의미있는 정당 개념을 통해 정치학계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민주주의 이론, 정치 제도 디자인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제임스 M. 로빈슨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4년 6월 30일 |
사망 | 2016년 3월 22일 |
직업 | 성서 학자 |
소속 | 예수 세미나 회원 |
직장 | 클레어몬트 대학원 대학교 |
학력 | |
모교 | 제임스 클라크 앤드 컴퍼니 브릴 출판사 |
저서 | |
주요 저서 | 마니교 코덱스 Quest to Q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존 마 아스게이르손 크리스틴 드 토이어 마빈 W. 메이어 제이슨 D. 베둔 폴 딜리 이안 가드너 |
2. 생애
로빈슨은 2016년 3월,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학문적 여정
로빈슨은 데이비슨 칼리지에서 문학사를, 컬럼비아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사를 취득했다. 이후 스위스 바젤 대학교에서 1952년 신학 박사 학위를, 미국 프린스턴 신학대학에서 1955년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안수를 받은 장로교 목사이기도 했다.바젤 유학 시절, 로빈슨은 카를 바르트와 오스카 쿨만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동시에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로 이동하여 루돌프 불트만의 강의를 들으며 그의 실존주의 신학과 철학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의 바젤 대학교 박사 논문은 출판되지 않았으나, 프린스턴 신학대학에서의 박사 논문은 1957년 ''마가복음의 역사 문제''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그의 첫 교수직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위치한 에모리 대학교의 캔들러 신학대학에서 시작되었으며(1952-1958), 이후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로 옮겨 클레어몬트 신학대학(1958-1964)과 클레어몬트 대학원(1964-1999)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클레어몬트 대학원에서는 아서 레츠 주니어 종교학 석좌 교수를 역임했다.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1970년에는 구겐하임 펠로우십을 수상했으며, 고대 및 기독교 연구소의 소장직을 맡기도 했다.
2. 2. 가족 관계
아버지는 William Childs Robinsoneng(윌리엄 차일즈 로빈슨, 1897-1982)으로, 컬럼비아 신학대학원에서 교회 역사와 변증학을 가르쳤다. 형제 Williameng(윌리엄)은 퍼킨스 신학대학과 앤도버 뉴턴 신학대학에서 신약성서를 가르쳤다.2. 3.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와의 논쟁
제임스 M. 로빈슨은 예수의 부활 현현에 대한 견해로 철학자이자 변증가인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로빈슨은 이러한 부활 현현이 2세기 영지주의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크레이그는 로빈슨이 언급한 경험들이 모두 빛을 동반했다는 증거가 없으며,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그것이 반드시 비물질적인 현현으로 해석된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제임스 M. 로빈슨은 20세기 후반 성서비평학, 특히 역사적 예수 연구와 나그 함마디 문서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족적을 남긴 학자이다. 그는 루돌프 불트만 이후 침체되었던 역사적 예수 연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은 '제2의 탐구'(Second Quest)를 이끈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또한, 나그 함마디 문서의 발견과 해독, 출판 과정에 깊이 관여하며 초기 기독교 및 영지주의 연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그의 연구는 Q 문서, 토마스 복음서 등 정경 외 문헌에 대한 관심을 높였으며, 이를 통해 초기 기독교의 다양한 모습과 예수의 원 가르침을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3. 1. [[역사적 예수]] 연구
제임스 M. 로빈슨은 역사적 예수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학문적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는 1959년에 출간한 저서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탐구"(A New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eng)를 통해 루돌프 불트만 이후 다소 회의적인 분위기였던 역사적 예수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 저서는 예수의 실제 삶과 가르침에 대한 역사적이고 비평적인 탐구를 다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흔히 '제2의 탐구'(Second Quest)라고 불리는 흐름을 주도한 것으로 여겨진다.로빈슨의 연구는 단순히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모습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그는 마가복음이 가진 역사적 문제점들을 분석하고(The Problem of History in Markeng, 1957), 헬무트 코스터와 함께 초기 기독교가 거쳐온 다양한 경로와 발전 과정을 탐구하기도 했다(Trajectories Through Early Christianityeng, 1971).
나아가 로빈슨은 Q 복음서(The Sayings Gospel Q: Collected Essayseng, 2005)나 토마스 복음서(The Fifth Gospel: The Gospel of Thomas Comes of Ageeng, 1998)와 같이 신약성경 정경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초기 예수 운동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에 주목했다. 그는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예수의 원 가르침, 즉 '오리지널 좋은 소식'(The Gospel of Jesus: In Search of the Original Good Newseng, 2005)을 찾고자 노력했으며, 가장 초기의 증언들을 바탕으로 예수의 모습을 재구성하려는 시도를 계속했다(Jesus according to the Earliest Witnesseng, 2007). 또한 논쟁적인 문헌인 유다 복음서에 대한 연구(The Secrets of Judas: The Story of the Misunderstood Disciple and His Lost Gospeleng, 2006)를 통해 기존의 이해에 도전하기도 했다.
이러한 로빈슨의 폭넓은 연구 활동은 성서비평학과 초기 기독교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나그 함마디 문서의 발견과 출판 과정에 대한 그의 기록(The Nag Hammadi Story: From the Discovery to the Publicationeng, 2014)은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4. 저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제공된 원본 소스가 없어 개괄적인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단독 저서
- 마가복음의 역사적 문제 (The Problem of History in Markeng). 성서 신학 연구 1/21. SCM Press, 1957.
- 역사적 예수에 대한 새로운 탐구 (A New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eng). 성서 신학 연구 1/25. SCM Press, 1959.
- 헬무트 코스터와 공저. 초기 기독교를 관통하는 궤적 (Trajectories Through Early Christianityeng). Fortress, 1971.
- 스티븐 J. 패터슨과 공저. 다섯 번째 복음서: 토마스 복음서의 성숙 (The Fifth Gospel: The Gospel of Thomas Comes of Ageen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8.
- [https://archive.org/details/gospelofjesusins0000robi 예수의 복음: 오리지널 좋은 소식을 찾아서] (The Gospel of Jesus: In Search of the Original Good Newseng). HarperSanFrancisco, 2005.
- Q 복음서: 수집된 에세이 (The Sayings Gospel Q: Collected Essayseng). 루뱅 신학지 189. Peeters, 2005.[7]
- [https://archive.org/details/secretsofjudasth00robi 유다의 비밀: 오해받는 제자와 그의 잃어버린 복음서 이야기] (The Secrets of Judas: The Story of the Misunderstood Disciple and His Lost Gospeleng). HarperSanFrancisco, 2006.
- 가장 초기의 증언에 따른 예수 (Jesus according to the Earliest Witnesseng). Fortress, 2007.
- 언어, 해석학, 그리고 역사: 바르트와 불트만 이후의 신학 (Language, Hermeneutic, and History: Theology after Barth and Bultmanneng). Cascade Books, 2008.
- 보드머 파피루스 이야기: 상부 이집트의 첫 번째 수도원 도서관에서 제네바와 더블린까지 (The Story of the Bodmer Papyri: From the First Monastery's Library in Upper Egypt to Geneva and Dublineng). Cascade Books, 2010.
- 메디네트 마디의 마니교 사본 (The Manichaean Codices of Medinet Madieng). Cascade Books, 2013.
- 나그 함마디 이야기: 발견에서 출판까지 (The Nag Hammadi Story: From the Discovery to the Publicationeng). 나그 함마디 및 마니교 연구 86 (2 vols.). Brill, 2014.
4. 2. 편집
연도 | 제목 | 공동 편집자 | 출판사 |
---|---|---|---|
1971 | 우리 종교 과거의 미래: 루돌프 불트만 기념 에세이 | Harper & Row (뉴욕) | |
1977 | 영어로 된 나그 함마디 문서 | Brill (라이덴) | |
2000 | Q의 비평판 (Hermeneia Supplements 시리즈) | 폴 호프만, 존 S. 클로펜보르그 | Fortress (미네아폴리스) |
2002 | 그리스어 및 영어로 된 Q 복음 어록: 마가 복음과 도마 복음의 병행 구절 포함 | 폴 호프만, 존 S. 클로펜보르그 | Fortress (미네아폴리스) |
참조
[1]
서적
From Quest to Q: Festschrift James M. Robinson
2000
[2]
웹사이트
James M. Robinson
https://www.harperco[...]
[3]
서적
The Manichaean Codices of Medinet Madi
James Clarke & Company
2015
[4]
서적
The Medinet Madi Library of Manichaean Codices at 90: Papers from the Symposium at the Chester Beatty Library in Dublin, 18-19 October 2019
https://brill.com/di[...]
Brill
2023
[5]
간행물
From Easter to Valentinus and the Apostles' Creed once More
1993
[6]
웹사이트
In Memoriam: James M. Robinson
http://simonjjoseph.[...]
2016-03-24
[7]
서적
The Sayings Gospel Q: Collected Essays online
https://books.google[...]
2018-11-06
[8]
서적
From Quest to Q: Festschrift James M. Robinso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