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주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주석은 1972년 헌법에 따라 설치되어 1998년 폐지될 때까지 존재했던 직책이다. 총 9명이 임명되었으며, 이들은 조선로동당 또는 조선사회민주당 소속으로 김일성 주석을 보좌하며 일당 독재 체제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관한 목록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관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관저는 김씨 일가를 포함한 북한 지도자들이 사용하는 평양, 신의주, 원산 등 북한 전역에 위치한 여러 관저들을 통칭하며, 룡성 관저, 락원 관저, 장경 관저, 단청 관저, 진달래 관저 등이 있고, 지도자들의 휴식, 회의, 외빈 접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역직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역직 - 의장
의장은 입법 기관, 회의, 단체 등에서 회의를 주재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국회, 지방 의회, 법인 등 다양한 조직에서 사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주석 | |
|---|---|
| 직위 정보 | |
| 직위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부주석 |
| 종류 | 폐지된 직위 |
| 최종 부임 | 김영주 |
| 폐지일 | 1998년 9월 5일 |
| 역사 | |
| 설치 | 1972년 12월 28일 |
| 초대 | 최용건 |
| 마지막 | 김영주 |
| 폐지 | 1998년 9월 5일 |
2. 역대 부주석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副主席중국어은 1972년 1972년 헌법에 따라 설치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국가 부원수 직책이다. 부주석은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었으며, 1998년 헌법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1972년부터 1998년까지 총 9명이 부주석에 임명되었다.[3][4][5][6][7][8][9][10][11]
부주석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임기 |
|---|---|
| 최용건 | 1972년 ~ 1976년 |
| 강량욱 | 1972년 ~ 1983년 |
| 김일 | 1972년 ~ 1984년 |
| 김동규 | 1974년 ~ 1977년 |
| 박성철 | 1977년 ~ 1998년 |
| 림춘추 | 1983년 ~ 1988년 |
| 리종옥 | 1984년 ~ 1998년 |
| 김영주 | 1993년 ~ 1998년 |
| 김병식 | 1993년 ~ 1998년 |
2. 1. 부주석 명단
| 이름 | 임기 |
|---|---|
| 최용건 | 1972년 ~ 1976년 |
| 강량욱 | 1972년 ~ 1983년 |
| 김일 | 1972년 ~ 1984년 |
| 김동규 | 1974년 ~ 1977년 |
| 박성철 | 1977년 ~ 1998년 |
| 림춘추 | 1983년 ~ 1988년 |
| 리종옥 | 1984년 ~ 1998년 |
| 김영주 | 1993년 ~ 1998년 |
| 김병식 | 1993년 ~ 1998년 |
부주석은 주석을 보좌하며, 주석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유고 시) 그 권한을 대행하는 직책이었다.[3] 197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제정 당시 신설되었으며, 1998년 헌법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헌법에 명시된 부주석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
3. 부주석의 역할과 권한
4. 부주석직 폐지 배경
199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개정으로 주석제가 폐지되면서 부주석직도 함께 폐지되었다.[7],[9],[10],[11] 이는 김일성 사망 이후 김정일 체제가 확립되면서, 김일성을 '영원한 주석'으로 추대하고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으로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체제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주석직 폐지와 함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국가 주권을 대표하는 최고 기관으로 격상되었으며, 내각 총리가 행정부를 총괄하는 체제로 변경되었다.
5. 같이 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참조
[1]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1998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2-01
[2]
서적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https://hdl.handle.n[...]
2003
[3]
웹사이트
Choe Yong-gon
http://www.yonhapnew[...]
2019-01-29
[4]
웹사이트
Translations On North Korea
https://apps.dtic.mi[...]
2023-03-30
[5]
웹사이트
Kim Il
http://www.yonhapnew[...]
2019-01-29
[6]
서적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2003
[7]
웹사이트
Pak Song-chol
http://www.yonhapnew[...]
2019-01-29
[8]
뉴스
Rim Chun Chu, North Korean Official
https://www.nytimes.[...]
1988-04-28
[9]
웹사이트
Ri Jong-ok
http://www.yonhapnew[...]
2019-01-29
[10]
웹사이트
Kim Pyong-sik
http://www.yonhapnew[...]
2019-01-29
[11]
웹사이트
Kim Il Sung's brother elected North Korean vice president
https://www.up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