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는 1972년 설치되어 북한의 군사 및 국방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국가 기구였다. 1972년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기구로 시작하여, 1992년 독립된 국가 직할 기관으로 승격되었으며, 1998년 이후에는 북한의 최고 통치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2009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국가 권력의 최고 국방 지도 기관'으로 규정되었으며, 김정일 사망 이후 2012년 김정은이 제1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국방위원회는 2016년 국무위원회로 개편되면서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방위원회 -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는 국회법에 따라 설치된 상임위원회로 국방부 소관 의안 및 청원 심사, 국방 관련 기관 감독, 국방부 장관 및 합동참모본부 의장 인사청문회 등을 담당하며 현재 17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세 개의 소위원회를 운영한다. - 국가안전보장회의 -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1947년 냉전 시대에 창설되어 대통령을 보좌하여 외교 및 안보 정책을 결정하고, 국제 전략, 군사 옵션 등을 준비하며, 다양한 부처 간 조정을 통해 정책을 수립하는 기구이다. - 국가안전보장회의 -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총리 주도하에 외교 및 안보 정책 중앙 집중화를 목표로 2013년 설립된 내각의 비상근 기구로, 국가안전보장전략 등 주요 안보 정책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관저 주도의 의사결정과 군사력 강화에 대한 우려 등 논란도 있다. - 국방부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는 1954년 설립되어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 아래 군사 행정, 장비 조달, 훈련, 무기 연구 개발, 외국 군대와의 군사 교류 및 협력 등을 담당하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행정 기관이다. - 국방부 - 캐나다 국방부
캐나다 국방부는 1922년 국가방위법에 따라 설립된 캐나다 정부 부처로서, 캐나다군의 운영을 지원하며 국방 정책 수립, 예산 관리, 물자 조달, 인적 자원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
한자 표기 |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國防委員會 |
로마자 표기 | Joseon minjujuui inmin gonghwaguk gukbang wiwonhoe |
영어 표기 | National Defence Com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조직 | |
유형 | 위원회 |
설립 | 1972년 12월 27일 |
해산 | 2016년 6월 29일 |
승계 | 국무위원회 |
관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
소재지 | 평양시 보통강구역 봉화동 국무위원회 청사 |
지휘부 | |
제1위원장 | 김정은 |
부위원장 | 황병서 |
부위원장 | 리용무 |
부위원장 | 오극렬 |
상위 기관 | |
소속 | 중앙인민위원회 |
기타 | |
2. 연혁
- 1972년 1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채택으로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중앙 군사 행정기관으로 설치. 초대 위원장은 김일성, 초대 제1부위원장은 김정일, 부위원장은 김영주.
- 1992년 4월 9일: 헌법 개정으로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 국가주석과 국방위원장의 겸직 규정 삭제.
- 1993년 4월 9일: 김정일이 제6대 국방위원장으로 취임.
- 1998년: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회는 인민무력부를 중심으로 하는 국방·군사계의 중앙 기관을 설치·폐지하거나 중요 군사 간부를 임명하고, 전시 상태의 포고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됨. 국방위원장은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규정.
- 2009년: 헌법 개정에서 국방위원장의 권한 확대. ‘국가의 전반 사업을 지도’, ‘외국과의 중요 조약을 비준 또는 폐기’, ‘특사권을 행사’ 등의 규정 추가, 위원장이 헌법상의 국가원수가 됨.
- 2010년 6월: 제1부위원장 조명록이 심장병으로 와병하면서 부위원장 역할 수행이 불가능해지자 김정일 위원장은 자신의 셋째 아들 김정은을 제1위원장에 임명.
- 2012년 4월 1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5차 회의에서 김정일을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24]
3. 기능 및 권한
1998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국방위원회는 인민무력부를 중심으로 하는 국방·군사계의 중앙 기관을 설치·폐지하거나 중요 군사 간부를 임명하고, 전시 상태를 포고할 수 있게 되었다. 국방위원장은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모든 무력을 지휘·통솔하고 국방 사업 전반을 지도한다고 헌법에 규정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모든 권력을 무제한하게 잡는다’라고 할 수도 있다.
2009년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회는 "국가 권력의 최고 국방 지도 기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었다.
- 군사 우선 혁명 노선(선군정치)을 수행하기 위한 국가의 중요 정책 수립
- 국가의 전반적인 무력 및 국방 건설 사업 지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의 명령, 국방위원회의 결정 및 지시 집행 상태 감독 및 관련 조치 수립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의 명령 및 국방위원회의 결정과 지시에 위배되는 국가 기관의 결정 및 지시 취소
- 국방 부문의 중앙 기구 설치 또는 폐지
- 군 직함 제정 및 장성급 이상 군 직함 수여
- 결정 및 지시 발령
2010년 6월 제1부위원장 조명록이 심장병으로 와병하면서 부위원장 역할 수행이 불가능해지자 김정일 위원장은 자신의 셋째 아들 김정은을 제1위원장에 임명했다. 2012년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는 제12기 제5차 회의에서 김정일을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했다.[24]
국방위원회는 최고인민회의에 책임을 지며, 조선인민군, 인민무력부, 국가안전보위부, 사회안전부 등의 북한 보안 기관이 국방위원회에 종속된다.
2016년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회는 폐지되었고, 국무위원회가 설치되었다.[4]
3. 1. 1972년 헌법
1972년 12월 27일에 채택된 사회주의 헌법에 의해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중앙 군사 행정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초대 위원장은 김일성이었다. 1992년 4월 헌법 개정으로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되었다.[5] 1972년 헌법은 국방위원회가 중앙인민위원회에 소속되어 그 사업을 보좌하는 위원회 중 하나로 규정했다.3. 2. 1992년 헌법
1990년 5월 24일에 개최된 제9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 결의에 따라 국방위원회는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되어 독립 기관으로 격상되었고, "중앙인민위원회 국방위원회"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로 개편되었다.[5] 같은 날 최고인민회의에서는 국가주석·국가부주석에 이어 국방위원회, 그리고 중앙인민위원회 구성원 순으로 선출되어 국방위원회가 중앙인민위원회보다 상위 기관임을 나타냈다. 국방위원장은 헌법 규정에 의해 국가주석 김일성이 겸임했으나, 1992년 4월 9일 헌법 개정으로 국가주석과 국방위원장의 겸직 규정이 삭제되었고, 이듬해 4월 9일, 김일성을 대신하여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에 취임했다. 이 헌법 개정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조항이 신설되었고, 국방위원회는 "국가 주권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으로 규정되었다.1992년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회는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되고, "국가 권력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 국가의 전반적인 무력 및 국방 건설 사업 지도
- 주요 군사 간부의 임명 또는 해임
- 군 계급 제정 및 장성급 이상 장교 진급
- 비상사태 및 동원령 선포
- 결정 및 명령 발령
3. 3. 1998년 헌법
1998년 9월 5일 제10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헌법이 개정되어, 국방위원회는 "국가 주권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 및 전반적 국방 관리 기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인민무력부(국방성에 해당)를 중심으로 하는 국방 부문의 중앙 기관 설치·폐지, 중요 군사 간부 임면, 전시 상태와 동원령 포고 등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었다. 국방위원장은 헌법상 직권으로 국가의 모든 무력을 지휘·통솔하여 국방 사업 전반을 지도하도록 정해졌다.국방위원장의 직권은 헌법상 군사 부문에 한정되었으나, 같은 날 회의에서 국방위원장 선출은 헌법 개정으로 대외적인 국가원수로 자리매김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다른 국가 간부 선출에 앞서 이루어졌다. 대의원 김영남 (같은 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 취임)은 김정일을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하는 연설에서 국방위원장을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선언하고 "국가의 정치·군사·경제력의 전반을 건설, 지휘한다"고 규정했다.[7] 그리하여 국방위원장은 헌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실질적인 국가 원수로 자리매김되었다.
3. 4. 2009년 헌법
2009년 헌법 개정에서는 국방위원장의 권한이 확대되어 ‘국가의 전반 사업을 지도한다’, ‘외국과의 중요 조약을 비준 또는 폐기한다’, ‘특사권을 행사한다’라는 규정 등이 추가되었고, 위원장이 헌법상의 국가원수가 되었다.[24]3. 5. 국방위원장의 권한 (2009년 헌법)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로서 국가의 사업 전반을 지도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반적 무력의 최고 사령관이 되어 국가의 일체 무력을 지휘·통솔한다.
- 국방위원회의 사업을 직접 지도한다.
- 국방 부문의 중요 간부를 임명 또는 해임한다.
- 외국과 체결한 중요 조약을 비준 또는 폐기한다.
- 특사권을 행사한다.
- 국가의 비상사태 및 전시 상태, 동원령을 선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 명령을 발령한다.
국방위원장은 그 직무에 대해 최고인민회의에 책임을 진다.[24]
4. 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는 1972년 12월 27일 사회주의 헌법 채택과 함께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중앙 군사 행정기관으로 설치되었다. 초대 위원장은 김일성이었고, 초대 제1부위원장은 김정일, 부위원장은 김영주였다. 1992년 4월 헌법 개정으로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되었고, 국가주석과 국방위원장의 겸직 규정이 삭제되면서 1993년 4월 9일 김정일이 제6대 국방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1998년 헌법 개정을 통해 국방위원회는 인민무력부를 중심으로 국방·군사 관련 중앙 기관을 설치 및 폐지하거나 중요 군사 간부를 임명하고, 전시 상태를 선포하는 등의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국방위원장은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모든 무력을 지휘하고 국방 사업 전반을 지도한다고 헌법에 규정되었지만, 실제로는 ‘모든 권력을 무제한하게 잡는다’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다.
2009년 헌법 개정에서는 국방위원장의 권한이 더욱 확대되어 ‘국가의 전반 사업을 지도한다’, ‘외국과의 중요 조약을 비준 또는 폐기한다’, ‘특사권을 행사한다’라는 규정 등이 추가되면서 헌법상 국가원수가 되었다.
중앙정부 산하의 국방위원회가 군을 일원적으로 지휘하는 것은 소련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체제였다. 그러나 1990년 독립기관이 되면서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만의 독자적인 구조로 변모했다고 볼 수 있다.
2010년 6월, 제1부위원장 조명록이 심장병으로 쓰러지자 김정일 위원장은 셋째 아들 김정은을 제1위원장에 임명했다. 2012년 4월 1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는 제12기 제5차 회의에서 김정일을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했다.[24]
제1위원장을 비롯한 국방위원은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하며 임기는 5년이고 재선 제한은 없다. 2014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1차 회의에서 위원 전원을 재선출하였다.[25]
2012년까지 국방위원회는 위원장, 제1부위원장, 부위원장 및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국방위원회 위원장은 위원회의 수장이었으며, 1998년부터 2009년까지 북한의 실질적인 최고 직책이었고, 2009년부터 2012년까지는 북한의 명목상 최고 지도자였다. 또한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을 겸임했다. 1992년부터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주석일 필요는 없어졌으며,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었다.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부위원장 및 위원은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주석의 제청으로, 1992년부터 2012년까지 국방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었다.
2012년, 헌법 개정을 통해 김정일이 2011년 사망 후 국방위원회 영원한 위원장으로 칭해짐에 따라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직책이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대체했다. 같은 개정을 통해 국방위원회는 부위원장 및 위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제청으로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도록 규정했다.
2016년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방위원회는 폐지되었고, 대신 국무위원회가 설치되었다.[4]
직책 | 이름 | 비고 |
---|---|---|
제1위원장 | 김정은 |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조선로동당 제1비서[25] |
부위원장 | 황병서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
부위원장 | 리용무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겸 중앙위원 |
부위원장 | 오극렬 | 조선로동당 작전부장 |
위원 | 박도춘 | 조선로동당 중앙정치국 후보위원 겸 비서 |
위원 | 김원홍 | 국가안전보위부장, 인민군 대장 |
위원 | 최부일 | 인민보안부장[26] |
위원 | 장정남 | 인민무력부장[25] |
위원 | 조춘룡 |
4. 1. 소속 기관
부서 |
---|
행정부 |
외교부 |
정찰총국 |
정책부 |
소속 기관 및 조직 |
---|
인민무력성(북한) |
사회안전성(북한) |
조선인민군 |
국가보위성(북한) |
5. 역대 구성원
1972년 1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채택으로 국방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중앙인민위원회 산하 위원회였으며, 국방위원장은 국가주석이 겸임했다.
1990년 5월 24일, 제9기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되어 독립 기관으로 격상되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2년 4월 9일 헌법 개정으로 국가주석과 국방위원장의 겸직 규정이 삭제되었고, 1993년 4월 9일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에 취임했다.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김정일은 국방위원회를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1998년 9월 5일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회는 "국가 주권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 및 전반적 국방 관리 기관"으로, 국방위원장은 헌법상 "국가의 모든 무력을 지휘·통솔"하는 권한을 가지게 되었으며, 실질적인 국가 원수로 간주되었다.
2009년 4월 9일 헌법 개정에서 국방위원장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로 규정되었고, 국방위원회는 국가의 중요 정책 결정권을 부여받았다.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사망 이후, 2012년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는 김정일을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김정은을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추대했다.
2016년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는 국방위원회를 폐지하고 국무위원회를 신설했다.[4]
국방위원장을 포함한 구성원은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며, 임기는 최고인민회의와 동일하게 통상 5년이다. 연임 제한은 없다.
5. 1. 국방위원회 위원장/제1위원장
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비고 |
---|---|---|---|---|---|
1 | ![]() | 김일성 | 1972년 12월 27일 | 1993년 4월 9일 | 국가주석 겸임 1977년 재선 1982년 3선 1986년 4선 1990년 5선 |
2 | ![]() | 김정일 | 1993년 4월 9일 | 2011년 12월 17일 | 1998년 재선 2003년 3선 2009년 4선 2012년 영원한 국방위원장 추대 |
3 | ![]() | 김정은 | 2012년 4월 13일 | 2016년 6월 29일 | 2012년 제1위원장직 신설 2014년 재선 2016년 국방위원회 해체 |
1972년 1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채택으로 국방위원회가 설치될 당시, 헌법 규정에 따라 국가 주석이 국방위원장을 겸직했다.[1] 1992년 헌법 개정으로 국가 주석과 국방위원장 겸직 규정이 삭제되어 국방위원장은 독립된 직위가 되었다. 1993년 4월 9일, 김일성을 대신하여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에 취임했다.[5]
1998년 9월 5일 헌법 개정에서 국방위원장 권한이 확대되었고, 헌법상 규정은 아니었지만 "국가의 최고 직책"으로 규정되었다.[7] 2009년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장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로 규정되었다.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사망으로 국방위원장은 공석이 되었고, 2012년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 결의로 김정일이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되면서 해당 직책은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후 국방위원회 최고 직책으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직이 신설되었고, 김정일의 셋째 아들인 김정은이 이 직책을 맡았다.
; 국방위원회 위원장
;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5. 2.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오진우는 1972년 12월 27일부터 1990년 5월 22일까지, 김정일은 1990년 5월 23일부터 1993년 4월 9일까지 제1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1] 오진우는 김정일이 위원장으로 취임한 후인 1993년 4월 9일에 다시 제1부위원장으로 임명되어 1995년 2월까지 재임하였다.[1] 조명록은 1998년 9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제1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1]1972년부터 2012년까지 국방위원회는 위원장, 제1부위원장, 부위원장 및 위원으로 구성되었다.[1]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부위원장 및 위원은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주석의 제청으로, 1992년부터 2012년까지 국방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었다.[1]
2012년 헌법 개정을 통해 김정일이 사망 후 국방위원회 영원한 위원장으로 칭해짐에 따라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직책이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대체했다.[1]
역대 제1부위원장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오진우 | 1972년 12월 27일 | 1990년 5월 22일 |
김정일 | 1990년 5월 23일 | 1993년 4월 9일 |
오진우 | 1993년 4월 9일 | 1995년 2월 |
조명록 | 1998년 9월 | 2010년 11월 |
5. 3.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재임 기간 | 이름 |
---|---|
1990년 5월 23일 ~ 1993년 4월 9일 | 김영주 |
1990년 5월 23일 ~ 1997년 2월 21일 | 최광 |
1997년 2월 21일 ~ 1998년 9월 | 조명록 |
2007년 4월 11일 ~ 2012년 12월 3일 | 김영춘 |
2007년 4월 11일 ~ 2016년 6월 29일 | 리용무 |
2009년 4월 9일 ~ 2016년 6월 29일 | 오극렬 |
2009년 6월 7일 ~ 2013년 12월 3일 | 장성택 |
2014년 4월 9일 ~ 2016년 6월 29일 | 최룡해 |
2014년 9월 25일 ~ 2016년 6월 29일 | 황병서 |
1972년부터 1992년까지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은 주석의 제청으로, 1992년부터 2012년까지는 국방위원회 위원장의 제청으로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었다.[1] 2012년 헌법 개정 이후에는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제청으로 최고인민회의에서 선출되도록 변경되었다.[1]
5. 4. 국방위원회 위원 (2016년 6월 해산 당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 ||||
---|---|---|---|---|
제1위원장 | 소속 정당 | 위원 임명일 | ||
![]() | 김정은 김정은 (출생 1984) | 조선로동당 | 2012년 4월 11일[2] | |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 ||||
부위원장 | 소속 정당 | 위원 임명일 | ||
리용무 리용무 (1925-2022) | 조선로동당 | 1998년 9월 5일 | ||
오극렬 오극렬 (1930-2023) | 조선로동당 | 2009년 2월 19일 | ||
![]() | 황병서 황병서 (출생 1949) | 조선로동당 | 2014년 9월 25일 | |
국방위원회 위원 | ||||
위원 | 소속 정당 | 위원 임명일 | ||
김원홍 김원홍 (출생 1945) | 조선로동당 | 2012년 4월 13일 | ||
최부일 최부일 (출생 1944) | 조선로동당 | 2014년 4월 9일 | ||
조춘룡 조춘룡 | 조선로동당 | 2014년 4월 9일 | ||
리병철 리병철 (출생 1948) | 조선로동당 | 2014년 9월 25일 | ||
김춘섭 김춘섭 | 조선로동당 | 2015년 4월 9일 |
6. 평가 및 비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는 197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에 의해 처음 설치되었을 때는 중앙인민위원회 산하의 부문별 위원회 중 하나였고, 국방위원장은 국가주석이 겸임했다.[5] 1990년 중앙인민위원회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기관이 되었고, 1992년 헌법 개정으로 국가주석과 국방위원장의 겸직 규정이 삭제되면서 김정일이 국방위원장에 취임했다.[5]
김정일 시대에 국방위원회는 "국가 주권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 및 전반적 국방 관리 기관"으로 그 위상이 강화되었고,[6] 국방위원장은 헌법상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인 국가 원수로 간주되었다.[7] 일본의 언론인 히라이 히사시는 김정일이 당 정치국원과 국방위원회 구성원으로 '비상 평의 위원회'를 구성해 국정을 운영했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국방위원회가 사실상 북한의 정책 결정 기관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8] 2009년 헌법 개정에서는 국방위원장이 "국가의 최고 지도자"로 명시되면서 권한이 더욱 확대되었다.[9]
김정은 시대에는 군사적 결정이 국방위원회보다 당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주로 이루어지면서 당의 역할이 다시 강화되었다는 평가가 있다.[12] 2016년 국방위원회는 폐지되고, 비군인도 참여하는 국무위원회가 신설되었다.[4]
참조
[1]
간행물
CORI Country Report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RI
2012-10
[2]
웹사이트
As Rocket Launching Nears, North Korea Continues Shift to New 'Supreme Leader'
https://www.nytimes.[...]
2012-04-11
[3]
웹사이트
「保衛部が金正恩肖像画を掲げさせて欲しいと」人民武力部が保衛部よりも先手…機関の忠誠競争に火
http://japan.dailynk[...]
2011-12-27
[4]
웹사이트
金正恩氏「国務委員長」に=国家機関の国防委を改編—北朝鮮
https://megalodon.jp[...]
2016-06-29
[5]
서적
平井(2010年)
[6]
문서
1998年憲法制定による国家機構の再編により、国防委員会は中央人民委員会(同憲法制定により廃止)に所属していた人民武力部を傘下に収めた。
[7]
서적
平井(2010年)
[8]
서적
平井(2010年)
[9]
서적
平井(2010年)
[10]
서적
平井(2010年)
[11]
웹사이트
正恩氏、国防委第1委員長に就任=金総書記は『永遠の国防委員長』-北朝鮮
http://www.jiji.com/[...]
2012-04-13
[12]
웹사이트
朝鮮労働党大会「設計図なき戴冠式」(4) 金与正「中央委員」人事の意味
https://www.huffingt[...]
2016-05-21
[13]
문서
1995년 2월 25일, 사망
1995-02-25
[14]
문서
1997년 2월 21일, 사망
1997-02-21
[15]
문서
1997년 2월 27일, 사망
1997-02-27
[16]
문서
2005년 10월 22일, 사망
2005-10-22
[17]
문서
2010년 5월 13일, 고령으로 인해 해임
2010-05-13
[18]
문서
2011년 5월, "신변 관계"를 이유로 해임
2011-05
[19]
문서
2013년 12월 8일 해임
2013-12-08
[20]
뉴스
北朝鮮が人事刷新 外相起用 近さと信頼 “張成沢色”一掃 敬老人事も踏襲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4-04-11
[21]
문서
2015년 4월 공개 처형
2015-04
[22]
웹사이트
正恩新体制、世代交代を見送る…古参幹部留任
https://web.archive.[...]
2012-04-14
[23]
뉴스
北최고인민회의 개최…김정은 국무위원장 추대(4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6-29
[24]
뉴스
北,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 신설추대(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04-13
[25]
웹인용
고령 김영남·박봉주 유임… 김정은, 변화보다 안정 택했다(北 최고인민회의로 본 통치체제)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4-04-10
[26]
뉴스
北, 인민보안부장에 최부일 임명 확인
http://news.sbs.co.k[...]
서울방송
2013-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