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졸업증명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졸업 증명서는 학교 또는 지정 자동차 교습소에서 발급하는 졸업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학교 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경우, 졸업증명서는 졸업장이나 학위기와 유사하게 졸업 사실을 증명하며, 재발급이 가능하다. 지정 자동차 교습소의 경우, 졸업 검정에 합격한 사람에게 발급되며, 운전면허 기능 시험 면제 혜택을 제공한다. 졸업 증명서는 학교 통합이나 폐교 시, 관련 기관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유사 서류로는 졸업장, 학위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졸업 - 졸업장
    졸업장은 교육 기관에서 특정 교육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 수여 증명 문서로, 학위가 수여되지 않는 수료증과는 구별되며 국가별 교육 제도 및 기관에 따라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다.
  • 졸업 - 학사모
    학사모는 사각형 챙과 술이 달린 모자로, 술 색상은 전공을 나타내고 졸업식 등에서 기념으로 활용되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는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졸업증명서
졸업증명서
졸업 증명서 견본
졸업 증명서 견본
개요
종류증명서
용도졸업 사실 증명
발급 기관졸업한 학교
발급 대상졸업생
관련 법규고등교육법 제34조
상세 정보
정의졸업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
기재 내용졸업생의 인적 사항 (성명, 생년월일 등)
졸업한 학교 및 학과
졸업 연월일
증명서 발급 번호
발급 기관 직인
발급 절차학교 행정실 또는 온라인 발급 시스템을 통해 신청
신분증 제시 (본인 확인)
발급 수수료 납부 (학교마다 상이)
온라인 발급정부24, 학교 홈페이지 등
추가 정보졸업증명서는 학력 증명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됨
위조 또는 변조 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음

2. 발급 주체에 따른 차이점

졸업증명서는 일반적으로 발급하는 주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학교교육법에 따라 학교에서 발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정 자동차 교습소에서 발급하는 것이다.

2. 1. 학교교육법에 따른 학교의 졸업증명서

학교교육법에 규정된 학교에서 발행하는 졸업증명서는 학생의 졸업 사실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서류이다. 일반적으로 성명, 학번, 학과, 졸업 연도 등이 기재된다.

이 증명서는 졸업장이나 학위기와는 달리, 한 번만 발급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신청하여 여러 통을 발급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진학이나 취업 등 졸업 사실을 외부 기관에 증명해야 할 때 주로 사용되며, 제출 후에는 보통 반환되지 않는다.[1][2][3][4][5][6] 졸업증명서의 구체적인 발급 절차, 수수료, 형태, 유사 서류, 학교 통폐합 및 폐교 시 발급 방법 등은 학교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1. 1. 초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중학교의 졸업증명서는 의무교육에 해당하므로, 발급 수수료는 실비 외에는 요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의무 교육의 취지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 무료로 발급된다. 다만, 일부 사립학교에서는 자체 규정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를 받는 경우도 있다.[3]

학교가 통합되거나 폐교된 경우에도 졸업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폐교된 학교의 졸업장 수여 대장이나 학적부 등의 학적 기록은 관할 교육청이나 업무를 인수한 학교에서 보관하게 되므로, 해당 기관을 통해 증명서를 발급받으면 된다.[4][5]

2. 1. 2. 고등학교, 대학교 등

졸업증명서에는 일반적으로 성명, 학번, 학과, 졸업 연도 등이 기재된다. 학교교육법에 따라 학교가 발행하는 졸업증명서는, 한 번만 발급되고 재발급이 어려운 졸업장이나 학위기(대학에 따라 별도로 발행하거나 한 장에 졸업 증명과 학위 수여 내용이 모두 포함되는 등 다양함)와 달리, 필요할 때마다 신청하여 매수 제한 없이 발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진학이나 취업 시 졸업 사실을 공식적으로 증명해야 할 때(상대방에게 제출 후 반환되지 않는 경우) 주로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졸업증명서가 밀봉되어 있으며, 이를 개봉하면 효력을 잃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또한, 밀봉 여부와 관계없이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복사기로 복사하면 "복사 무효"나 "''unofficial''" 같은 문구가 나타나는 특수 용지를 사용하는 학교도 많다. 이러한 변조 방지 처리가 된 증명서를 발급하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가 있으며, 성적증명서 등과 달리 변조 방지 처리를 하지 않거나 발행자 밀봉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졸업을 앞둔 학생이 졸업 예정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졸업 예정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퇴학 증명서'''나 '''재적(기간) 증명서'''[2] 등 특정 기간 동안 학교에 재적했음을 증명하는 서류도 발급 가능하다.

대학원의 경우 졸업증명서 대신 "'''수료 증명서'''"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통신 교육 과정을 이수한 경우에는 학교 규정에 따라 증명서에 "'''통신 교육 과정'''"이라고 표기될 수 있다.

증명서 발급 수수료는 초등학교중학교의 경우, 의무 교육의 취지를 고려하여 실비 외에는 비용을 받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는 논의에 따라 대부분 무료이다(일부 사립학교 제외). 반면, 고등학교, 전수학교, 고등전문학교, 대학교(단기대학 포함)에서는 대부분 유료[3]이며, 금액은 각 학교의 규정에 따라 다르다.

학교가 통합되거나 폐교되어 원래 재적했던 학교가 없어진 경우에도, 졸업장 수여 대장이나 학적부의 보관 및 증명서 발급 업무를 인수한 학교가 있다면 해당 학교에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경영난으로 학교법인이 파산하는 등 특수한 상황에서는 문부과학성이나 각 도도부현의 교육 관련 부서(한국의 경우 교육부나 교육청 해당)가 관련 업무를 인수하기도 한다.[4][5]

학교에 따라 졸업증명서(수료 증명서)에 기재되는 내용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위명[6]이 기재되지 않거나(보통 학위기에만 기재됨), 졸업(수료) 연월은 있지만 정확한 '일'까지는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는 기관에서 추가적인 증명을 요구하거나, 증명서 자체의 문제(이는 제출자의 잘못이 아닌 발행 학교 측의 문제임)로 인해 서류가 반송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2. 1. 3. 학교 통폐합 및 폐교 시

학교가 통합되거나 폐교되어 원래 다니던 학교가 없어진 경우에도 졸업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졸업장 수여 대장이나 학적부 같은 기록 보관 및 증명서 발급 업무를 이어받은 학교(계승 학교)가 있다면, 해당 학교에서 발급받으면 된다.

만약 학교를 운영하던 학교법인이 파산하는 등[4] 특수한 상황이 발생하면, 교육부나 해당 지역의 교육청과 같은 교육 관련 행정 기관이 관련 업무를 인계받아 처리하기도 한다.[5]

2. 2. 지정 자동차 교습소의 졸업증명서

지정 자동차 교습소 졸업 증명서 예시


일본의 경우, 도로 교통법에 따라 지정 자동차 교습소에서 교습 과정을 모두 마친 사람은 졸업 검정에 응시하게 된다. 졸업 검정의 과제 및 채점 방식은 자동차 운전 면허 시험의 기능 시험 기준에 맞춰 실시된다. 따라서 졸업 검정에 합격하고 지정 자동차 교습소를 졸업했다는 것은 기능 시험 합격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한다. 교습소 졸업 후 운전 면허 시험장에서 운전 면허 시험에 응시할 때, 이 졸업 증명서를 제출하면 운전 면허 시험장에서 치르는 기능 시험과 취득 시 강습이 면제된다. 졸업 증명서의 유효 기간은 졸업 검정 합격일로부터 1년이다.

이 졸업 증명서는 다른 증명서와 달리 원칙적으로 재발급되지 않으므로 분실 등에 주의해야 한다. 다만, 분실, 도난, 사고 등의 부득이한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는 졸업한 교습소를 통해 일본의 공안 위원회에 재발급 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공안 위원회에서 사유를 인정하면 졸업한 교습소에서 재발급이 이루어진다. 재발급된 증명서의 유효 기간은 최초 졸업 검정 합격일로부터 1년으로 동일하며, 재발급된 증명서 오른쪽 위에는 붉은 글씨로 "재발급"이라고 표시된다[7].

3. 유사 서류

졸업을 증명하는 동일한 역할을 하는 서류로는 졸업장이나 학위기가 있다. 보육원이나 유치원에서는 졸업 증명서라고 불린다.

4. 관련 서류


  • 학력에 관한 증명서: 2009년 4월 이후 법으로 정해진 서류로, 교원 면허증 수여 신청 등에 필요하다. 특정 신청(별표 1, 2, 2-2)의 경우, 이 증명서에 졸업 증명서로 증명해야 할 내용, 즉 기초 자격이 기재된다. 따라서 단위 취득 기관과 기초 자격 성립 기관이 동일하다면, 졸업 증명서를 별도로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8]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서적 経営難で大学が閉鎖 卒業生履歴のゆくえは? オールアバウトブックス 2013
[5] 블로그 文部科学省が破綻した大学の学籍簿の管理及び証明書発行の業務を大学評価・学位授与機構へ移管 https://high190.hate[...] 2013-04-09
[6] 문서
[7] 웹사이트 指定自動車教習所業務指導の標準について - 警察庁 第6 卒業証明書等の記載方法 1 卒業証明書(法第99条の5第5項及び゙府令第34条の2第2項) (2) 再発行の場合の記載要領 https://www.npa.go.j[...] 警視庁 2014-04-22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