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시드니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시드니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위치한 홍콩의 대표부이다. 1960년 처음 설립되었으나 재정 문제로 1966년 폐쇄되었고, 1980년대 후반 홍콩과 오스트레일리아의 무역 관계가 강화되면서 1995년 재설립되었다. 홍콩의 경제 및 무역 이익 보호,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관계 증진을 목표로 하며, 홍콩 하우스에 위치하여 인베스트 홍콩, 홍콩 무역발전국, 홍콩 관광진흥청 시드니 대표부와 같은 기관들과 함께 운영된다. 1997년 홍콩 반환을 앞두고 대표부의 지위와 직원 문제 등을 처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드니 주재 공관 -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53년 설치되어 한때 대사관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총영사관으로서,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노던 준주를 관할하며 대한민국과 해당 지역 간의 정치·경제 관계 증진, 영사 업무, 문화 교류,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소재 대한민국 정부의 외교 공관이다.
  • 1966년 폐지 - 중앙동 (포항시)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중앙동은 1931년 천구정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교육 및 공공, 금융, 의료 기관이 위치하고 주요 도로망을 통해 교통이 연결된다.
  • 1966년 폐지 - 세류동
    세류동은 수원시의 법정동으로,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의 3개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세류2동은 장지동을 관할하고 수원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경부선 세류역과 국도 제1호선이 지나간다.
주시드니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콩 지역 문장
홍콩 지역 문장
현지어 이름
약칭알 수 없음
설립일1960년 (1차 설립)
1995년 (2차 설립)
설립 근거알 수 없음
전신알 수 없음
해산일1966년 (폐쇄)
후신알 수 없음
소재지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드루잇가 80번지
직원알 수 없음
예산알 수 없음
모토알 수 없음
기관장알 수 없음
기관장 이름알 수 없음
기관장2알 수 없음
기관장2 이름알 수 없음
상급 기관상무경제발전국
산하 기관알 수 없음
웹사이트주시드니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웹사이트
관할
관할 국가 및 지역

2. 역사

오스트레일리아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홍콩의 중요한 영연방 무역 시장이었다.[2] 영국령 홍콩 정부는 자문 회의를 통해 1956년 멜버른 하계 올림픽을 계기로 무역 및 선전 활성화 차원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홍콩 정부 대표부 설립을 건의했다.[2] 홍콩 정부는 1958년에 영국 영연방관계부에 대표부 설립을 위한 협상을 요청했고 1959년 6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홍콩 정부 대표부 설립을 승인했다.[2][3] 하지만 홍콩 정부의 재정적 여유와 상업적 이미지 부족으로 인하여 오스트레일리아 현지에서 사무실 운영 유지에 필요한 직원을 구하기 어려웠고 시드니 주재 대표부도 예정대로 운영할 수 없었다.[2]

영국령 홍콩 정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와 의회에서 적극적인 로비 활동을 전개하면서 시드니 주재 대표부 사무실을 마련했고 1960년 12월 1일에 '''주시드니 홍콩 정부 대표부'''(香港政府駐悉尼辦事處중국어, Sydney Office, the Hong Kong Government영어)를 설립했다.[3] 그러나 재정 문제로 인하여 사무소 직원들에게 낮은 급여가 지급되었고 새 직원을 구하는 것조차 어려워졌다.[4] 이에 홍콩 정부는 1966년 6월 22일에 시드니 주재 대표부를 폐쇄하게 된다.[4][5]

1980년대 후반부터 무역에서 "아시아 우선" 정책을 채택한 오스트레일리아가 홍콩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에 더 많은 수출을 유치하면서 홍콩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졌다.[6] 1992년 이후에 홍콩과 오스트레일리아 간의 교역량은 매년 평균 10% 이상 증가했다. 크리스 패튼 영국령 홍콩 총독은 오스트레일리아를 방문한 이후에 홍콩 정부에 시드니 주재 대표부를 재설립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홍콩의 경제 및 무역 이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홍콩의 부패, 언론의 자유 열악, 당시 높은 생산 비용에 대한 오스트레일리아 국민의 부정적인 인상을 바꾸기 위한 목적이었다.[6][7]

주시드니 홍콩 정부 대표부는 1995년 10월에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홍콩 간의 관계를 처리하기 위해 문을 열었다.[1][8] 1990년대 오스트레일리아의 부동산 시장 침체를 틈타 홍콩 정부는 1980년대 후반에 시드니 중심업무지구로 이전한 오래된 그리셤 호텔을 전량 매입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인수받았다. "홍콩 하우스"(Hong Kong House)라고 명명된 이 건물에는 인베스트 홍콩, 홍콩 무역발전국, 홍콩 관광진흥청 시드니 대표부와 같은 건물을 사용한다.[7][9][10]

그러나 대표부는 1997년 7월 1일로 예정된 홍콩 반환과 관련된 문제에 직면했다. 홍콩 정부는 대표부와 특권과 면책 특권 문제를 대외적으로 처리하는 한편 보수를 포함한 직원의 근무 조건을 조정해야 했다. 이러한 내부 절차는 1996년 11월부터 1997년 5월 사이에 완료되었다.[11][12]

2. 1. 설립 배경 (1956년 ~ 1966년)

오스트레일리아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홍콩의 중요한 영연방 무역 시장이었다.[2] 영국령 홍콩 정부는 자문 회의를 통해 1956년 멜버른 하계 올림픽을 계기로 무역 및 선전 활성화 차원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홍콩 정부 대표부 설립을 건의했다.[2] 홍콩 정부는 1958년에 영국 영연방관계부에 대표부 설립을 위한 협상을 요청했고 1959년 6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홍콩 정부 대표부 설립을 승인했다.[2][3] 하지만 홍콩 정부의 재정적 여유와 상업적 이미지 부족으로 인하여 오스트레일리아 현지에서 사무실 운영 유지에 필요한 직원을 구하기 어려웠고 시드니 주재 대표부도 예정대로 운영할 수 없었다.[2]

영국령 홍콩 정부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와 의회에서 적극적인 로비 활동을 전개하면서 시드니 주재 대표부 사무실을 마련했고 1960년 12월 1일에 '''주시드니 홍콩 정부 대표부'''(香港政府駐悉尼辦事處중국어, Sydney Office, the Hong Kong Government영어)를 설립했다.[3] 그러나 재정 문제로 인하여 사무소 직원들에게 낮은 급여가 지급되었고 새 직원을 구하는 것조차 어려워졌다.[4] 이에 홍콩 정부는 1966년 6월 22일에 시드니 주재 대표부를 폐쇄하게 된다.[4][5]

2. 2. 재설립과 발전 (1980년대 ~ 현재)

1980년대 후반부터 오스트레일리아가 무역에서 "아시아 우선" 정책을 채택하면서 홍콩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관계가 긴밀해졌다.[6] 1992년 이후 홍콩과 오스트레일리아 간의 교역량은 매년 평균 10% 이상 증가했다. 크리스 패튼 영국령 홍콩 총독은 오스트레일리아 방문 이후 홍콩 정부에 시드니 주재 대표부 재설립을 지시했다. 이는 홍콩의 경제 및 무역 이익을 보호하고, 홍콩의 부패, 언론 자유 열악, 높은 생산 비용에 대한 오스트레일리아 국민의 부정적인 인상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었다.[6][7]

1995년 10월, 주시드니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홍콩 간의 관계를 처리하기 위해 다시 문을 열었다.[1][8] 1990년대 오스트레일리아의 부동산 시장 침체를 틈타 홍콩 정부는 1980년대 후반에 시드니 중심업무지구로 이전한 오래된 그리셤 호텔을 전량 매입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인수받았다. "홍콩 하우스"(Hong Kong House)라고 명명된 이 건물에는 인베스트 홍콩, 홍콩 무역발전국, 홍콩 관광진흥청 시드니 대표부와 같은 기관들이 입주해 있다.[7][9][10]

1997년 홍콩 반환을 앞두고 대표부는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홍콩 정부는 대표부의 특권과 면책 특권 문제를 대외적으로 처리하고, 직원의 근무 조건을 조정해야 했다. 이러한 내부 절차는 1996년 11월부터 1997년 5월 사이에 완료되었다.[11][12]

3. 역대 대표

wikitable

이름임기
죽긴판/祝建勳중국어1995년 10월 2일 ~ 1998년 10월 18일
제니 월리스/Jenny Wallis영어 (화진진니/華陳真妮중국어)1998년 10월 19일 ~ 2007년 9월 19일
웡롱시/黃浪詩중국어2007년 9월 20일 ~ 2010년 7월 11일
팍가라이/柏嘉禮중국어2010년 7월 12일 ~ 2014년 8월 4일
커이충팍/區松柏중국어2014년 8월 5일 ~ 2018년 1월 8일
판와이밍/范偉明중국어2018년 1월 9일 ~ 2020년 12월
찬초윙/陳楚穎중국어2021년 1월 ~ 2021년 6월
람메이이/林美儀중국어2021년 7월 ~ 현재


3. 1. 역대 대표 목록

이름임기
죽긴판/祝建勳중국어1995년 10월 2일 ~ 1998년 10월 18일
제니 월리스/Jenny Wallis영어 (화진진니/華陳真妮중국어)1998년 10월 19일 ~ 2007년 9월 19일
웡롱시/黃浪詩중국어2007년 9월 20일 ~ 2010년 7월 11일
팍가라이/柏嘉禮중국어2010년 7월 12일 ~ 2014년 8월 4일
커이충팍/區松柏중국어2014년 8월 5일 ~ 2018년 1월 8일
판와이밍/范偉明중국어2018년 1월 9일 ~ 2020년 12월
찬초윙/陳楚穎중국어2021년 1월 ~ 2021년 6월
람메이이/林美儀중국어2021년 7월 ~ 현재


참조

[1] 웹인용 立法會CB(1)173/18-19(05)號文件 https://www.legco.go[...] 2020-12-25
[2] 저널 Annual Departmental Report
[3] 저널 Annual Departmental Report
[4] 저널 Annual Departmental Report
[5] 저널 Annual Departmental Report
[6] 웹인용 臨立會文件CB(1)621號 https://www.legco.go[...] 2020-12-16
[7] 서적 四個葬禮及一個婚禮 - 葉劉淑儀回憶錄 明報
[8] 웹인용 立法局會議過程正式紀錄 一九九六一年月十日星期三 https://www.legco.go[...] 2020-12-16
[9] 웹인용 About Hong Kong House http://www.hketosydn[...] 2020-12-29
[10] 뉴스 Sites to meet our business needs https://search.proqu[...] 2020-12-30
[11] 웹인용 立法局憲制事務委員會 資料文件 聯合聯絡小組 第三十八次會議工作成果(一九九六年十二月四至六日) https://www.legco.go[...] 2020-12-16
[12] 웹인용 立法局文件FCR(97-98)11號 https://www.legco.go[...] 202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