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이란 미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이란 미국 대사관은 1948년에 설계되어 1979년 이란 혁명 이전까지 테헤란에 위치했다. 1979년 11월, 이란 혁명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대사관을 점거하고 52명의 미국인을 444일 동안 인질로 억류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미국과 이란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후 대사관 건물은 이란 혁명 수비대의 훈련소로 사용되었으며, 반미주의 벽화와 박물관이 들어섰다. 현재는 미국이 아닌 스위스 대사관의 미국 이익대표부를 통해 미국의 이익이 대표되고 있으며, 2017년부터 일반에 개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헤란 주재 공관 - 주이란 대한민국 대사관
주이란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정부가 이란에 파견한 외교 공관이며, 23명의 대사가 공관장을 역임했다. - 테헤란 주재 공관 - 주이란 영국 대사관
주이란 영국 대사관은 이란 테헤란에 위치하며 1821년 설립되어 역사적 사건의 중심에 있었고, 이란 혁명 이후 여러 차례 폐쇄와 재개관을 반복하다 2015년 재개관했다. - 미국의 없어진 외교 공관 -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
주사이공 미국 대사관은 1907년 영사관으로 시작하여 남베트남 주재 대사관으로 운영되었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폐쇄되었다가, 1995년 미-베트남 외교 관계 정상화 이후 철거되었다. - 미국의 없어진 외교 공관 - 주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
주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위치했던 미국 외교 공관으로, 과거 미국의 이익을 대표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인력 부족으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 미국-이란 관계 - 이란-콘트라 사건
이란-콘트라 사건은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에서 미국이 이란에 무기를 판매하고 그 수익금을 니카라과의 콘트라 반군에게 불법 지원한 정치 스캔들이다. - 미국-이란 관계 -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1979년 이란 학생 시위대가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여 52명의 미국인이 444일간 인질로 억류된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은 팔레비 왕조의 친미 정책, 이란 이슬람 혁명, 팔레비 국왕의 미국 입국 허용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이란 혁명 정부의 요구와 미국의 외교적 노력 실패, 국제 정세 변화와 알제리 중재를 거쳐 인질이 석방되었으나, 미국-이란 관계 악화와 중동 지역 정세 불안 등 국제적 파장을 남겼다.
주이란 미국 대사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테헤란, 이란 |
개관 | 1951년 |
폐쇄 | 1979년 |
초대 대사 | 로이 W. 헨더슨 |
마지막 대사 | 브루스 레인겐 |
명칭 | |
한국어 | 주이란 미국 대사관 |
영어 |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ehran |
페르시아어 | سفارت ایالات متحده آمریکا، تهران (Sefārat-e Īālāt-e Mottaḥedeh-ye Āmrīkā, Tehrān) |
추가 정보 | |
관련 기사 | The New York Times, "Former American Embassy in Iran Attracts Pride and Dust" (2013-10-31) CNN, "Former U.S. Embassy in Iran: mistrust endures where hostages held" (2014-01-30) |
2. 역사
주이란 미국 대사관 청사는 1948년 이데스 반 데르 그라흐트에 의해 설계되었다. 그는 튀르키예 앙카라 주재 미국 대사관도 설계한 건축가였다. 1930년대와 1940년대 미국의 고등학교와 비슷한 양식으로 지어져, 1951년 완공 직후 주이란 미국 대사로 임명된 로이 W. 헨더슨의 이름을 따 "헨더슨 고등학교"(Henderson High영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31]
2. 1. 이란 혁명과 인질 사태
1979년 11월 4일, 루홀라 호메이니가 주도한 이란 혁명을 지지하던 테헤란 시위대가 주이란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고 미국인 52명을 444일 동안 인질로 억류했다.[32][33][34] 이 사건으로 미국과 이란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고, 이란 주재 미국 외교 사절단도 철수했다.[35] 대사관 점거 이후, 이란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해당 건물을 훈련장으로 활용해왔다.[42] 시위대는 대사관을 "간첩의 소굴", "첩보의 소굴", "간첩의 둥지" 등으로 불렀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많은 이란인들이 사용하는 이름이다.[36][37][38][39][40][41]이맘 노선의 무슬림 학생 추종자들은 대사관에서 압수한 문서(파쇄된 문서 포함)를 《미국의 간첩 소굴에서 온 문서들》(اسناد لانه جاسوس امریكا|아스나드-에 라네-예 자수시 암리카fa)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45] 이 책에는 미국 국무부와 중앙정보부(CIA)의 전보, 통신, 보고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는 현재까지도 기밀로 남아 있다.
2. 2. 인질 사태 이후
1979년 11월 4일, 이란 혁명을 지지하던 테헤란의 시위대가 주이란 미국 대사관을 점거하고 444일 동안 미국인 52명을 인질로 억류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2][33][34] 이 사건으로 미국과 이란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고 이란에 주재하던 미국 외교 사절단도 철수했다. 주이란 미국 대사관 청사는 더 이상 미국 정부에서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테헤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 산하 공관인 미국 이익대표부가 이란에서 미국 정부의 이익을 대표하고 있다.[35] 대사관을 점령했던 시위대가 영내에 부여한 "간첩의 소굴", "첩보의 소굴", "간첩의 둥지"는 아직도 많은 이란 국민들이 사용하는 이름이다.[36][37][38][39][40][41]대사관 청사가 함락된 이후, 이란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해당 건물을 훈련장으로 활용했으며 지금도 건물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42] 대사관 부지(도시 블록 크기)를 둘러싼 벽돌 담장에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 정부가 의뢰하여 제작한 수많은 반미주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42] 이곳에는 서점과 박물관도 있다.[43] 대사관의 일부는 반미주의 박물관으로 바뀌었고 몇몇 학생 단체들은 옛 대사관 청사에 사무실을 유지하고 있다.[44] 2017년 1월 기준으로 주이란 미국 대사관 청사는 이란 국민과 외국인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미국의 국장이 새겨져 있는 담장은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여전히 진입로에서 볼 수 있다.
2. 3. 압수된 문서 공개
루홀라 호메이니를 지지한 이맘 계열의 무슬림 학생 추종자들은 주이란 미국 대사관에서 압수한 문서(파쇄된 문서 포함)를 《미국의 간첩 소굴에서 온 문서들》(اسناد لانه جاسوس امریكاfa)이라는 책으로 출판했다.[45] 이 책에는 미국 국무부와 중앙정보부의 전보, 통신, 보고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부는 현재까지도 기밀로 남아 있다.3. 주이란 스위스 대사관 산하 미국 이익대표부
미국 정부는 이란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된 이후에 스위스를 이란에서의 이익대표국으로 지정했다. 따라서 미국과 이란 간의 비공식적인 관계에 관한 임무는 주이란 스위스 대사관 산하 미국 이익대표부를 통해 수행된다. 미국 시민들을 위한 서비스는 제한적이다. 해당 공관에서는 미국 사증, 영주권, 이민 관련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44] 2024년 현재, 이란 시민에 대한 미국 비자/그린카드 서비스 및 인터뷰는 앙카라, 두바이, 예레반 등 다른 지역의 미국 대사관 및 영사관에서 진행되며, 이들 미국 대사관 및 영사관에는 페르시아어를 구사하는 영사관 직원이 배치되어 있다.[12]
2009년 2월, 이란 경찰은 미국 이익대표부 제1비서 역할을 하던 스위스 외교관 마르코 켐프(Marco Kämpfde)가 자신이 타고 있던 공식 외교 의전 차량 운전석에서 이란 국적을 가진 여성과 마주보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를 체포했다. 켐프는 즉시 스위스로 소환되었다.[46][47]
4. 구 주미국 이란 대사관
미국 국무부는 1979년부터 1980년까지 발생한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 점거에 대한 보복으로 워싱턴 D.C., 매사추세츠 애비뉴 3003-3005 N.W.에 위치한 전 이란 대사관을 압류했다.[48][49] 미국 내 모든 활동을 위한 이란 이익 대표부는 파키스탄 대사관에서 운영된다.[15][16]
참조
[1]
뉴스
Former American Embassy in Iran Attracts Pride and Dust
https://www.nytimes.[...]
2017-02-26
[2]
뉴스
Former U.S. Embassy in Iran: mistrust endures where hostages held
http://www.cnn.com/2[...]
CNN
2014-06-17
[3]
서적
The architecture of diplomacy: building America's embassies ADST-DACOR diplomats and diplomacy serie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4]
웹사이트
Embassy of Switzerland in Iran – Foreign Interests Section
https://www.eda.admi[...]
2015-04-04
[5]
웹사이트
Into the Den of Spies
https://www.theatlan[...]
2022-07-26
[6]
뉴스
In Death of Spy Satellite Program, Lofty Plans and Unrealistic Bids
https://www.nytimes.[...]
2013-04-29
[7]
웹사이트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on the Espionage Den
https://fas.org/sgp/[...]
2015-12-12
[8]
뉴스
The Great Satan's Old Den: Visiting Tehran's U.S. Embassy
http://content.time.[...]
2014-06-17
[9]
웹사이트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In Tehran, Iran
http://thecitylane.c[...]
2015-07-05
[10]
뉴스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in Tehran
https://edition.cnn.[...]
2017-12-04
[11]
문서
Documents from the U.S. Espionage Den
https://archive.org/[...]
[12]
웹사이트
NONIMMIGRANT VISAS
https://ir.usembassy[...]
[13]
뉴스
Swiss call diplomat home--but is there a scandal?
https://www.thefreel[...]
2009-02-20
[14]
뉴스
Schweizer Diplomat nicht mehr im Iran tätig
http://www.20min.ch/[...]
2016-12-29
[15]
뉴스
Despite Lack of Diplomatic Ties, Door to Iran is Slowly Opening
http://www.luxner.co[...]
2017-12-04
[16]
뉴스
Congressmen Pay A Visit to the Iranian Interest Section
http://www.weeklysta[...]
2016-02-04
[17]
뉴스
Former American Embassy in Iran Attracts Pride and Dust
https://www.nytimes.[...]
2013-10-31
[18]
뉴스
Former U.S. Embassy in Iran: mistrust endures where hostages held
https://edition.cnn.[...]
CNN
2014-01-30
[19]
서적
The architecture of diplomacy: building America's embassies ADST-DACOR diplomats and diplomacy serie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
웹사이트
Embassy of Switzerland in Iran – Foreign Interests Section
https://www.eda.admi[...]
2015-04-04
[21]
뉴스
In Death of Spy Satellite Program, Lofty Plans and Unrealistic Bids
https://www.nytimes.[...]
2013-04-29
[22]
웹사이트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on the Espionage Den
https://fas.org/sgp/[...]
[23]
뉴스
The Great Satan's Old Den: Visiting Tehran's U.S. Embassy
http://content.time.[...]
2009-07-14
[24]
웹사이트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In Tehran, Iran
http://thecitylane.c[...]
[25]
뉴스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in Tehran
https://edition.cnn.[...]
2015-07-01
[26]
문서
Documents from the U.S. Espionage Den
https://archive.org/[...]
[27]
뉴스
Swiss call diplomat home--but is there a scandal?
2009-02-20
[28]
뉴스
Schweizer Diplomat nicht mehr im Iran tätig
http://www.20min.ch/[...]
2016-12-29
[29]
뉴스
Despite Lack of Diplomatic Ties, Door to Iran is Slowly Opening
http://www.luxner.co[...]
2017-12-04
[30]
뉴스
Congressmen Pay A Visit to the Iranian Interest Section
http://www.weeklysta[...]
2016-02-04
[31]
서적
The architecture of diplomacy: building America's embassies ADST-DACOR diplomats and diplomacy series
https://archive.org/[...]
Publisher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32]
뉴스
Former American Embassy in Iran Attracts Pride and Dust
https://www.nytimes.[...]
2013-10-31
[33]
뉴스
Former U.S. Embassy in Iran: mistrust endures where hostages held
http://www.cnn.com/2[...]
2014-01-30
[34]
뉴스
444일간의 '스파이 소굴' 사태 미국에 치명타
https://www.hani.co.[...]
2022-11-05
[35]
웹인용
Embassy of Switzerland in Iran – Foreign Interests Section
https://www.eda.admi[...]
2015-04-04
[36]
웹인용
Into the Den of Spies
https://www.theatlan[...]
2022-07-26
[37]
뉴스
In Death of Spy Satellite Program, Lofty Plans and Unrealistic Bids
https://www.nytimes.[...]
2013-04-29
[38]
웹인용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on the Espionage Den
https://fas.org/sgp/[...]
1997-09
[39]
뉴스
"<테헤란 르포> ① 이란 反美의 심장부 옛 미 대사관"
https://n.news.naver[...]
2022-11-03
[40]
뉴스
"[르포] 1979년에 멈춘 시간…"여긴 간첩 소굴" 테헤란 美대사관"
https://www.yna.co.k[...]
2022-11-18
[41]
뉴스
'"美 제재 이겨내자"…제재 전날 테헤란서 미 대사관 점거 집회'
https://www.yna.co.k[...]
2022-11-03
[42]
뉴스
The Great Satan's Old Den: Visiting Tehran's U.S. Embassy
http://content.time.[...]
[43]
웹인용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In Tehran, Iran
http://thecitylane.c[...]
[44]
뉴스
Inside the former U.S. Embassy in Tehran
http://www.cnn.com/2[...]
[45]
웹인용
Documents from the U.S. Espionage Den
https://archive.org/[...]
[46]
뉴스
Swiss call diplomat home--but is there a scandal?
https://www.thefreel[...]
[47]
뉴스
Schweizer Diplomat nicht mehr im Iran tätig
https://web.archive.[...]
2016-12-29
[48]
뉴스
Despite Lack of Diplomatic Ties, Door to Iran is Slowly Opening
https://web.archive.[...]
2017-12-04
[49]
뉴스
Congressmen Pay A Visit to the Iranian Interest Section
http://www.weeklysta[...]
2022-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