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은 1979년 11월 4일, 이란 혁명 이후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이 이란 학생 시위대에 의해 점거되어 52명의 미국 외교관이 444일 동안 인질로 억류된 사건이다. 이 사건은 팔레비 왕조 시절부터 이어진 미국의 이란 내 영향력, 특히 1953년 이란 쿠데타 지원에 대한 반감과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전 국왕의 미국 입국 허용이 배경이 되었다. 인질 사태는 미국의 경제 제재와 이란의 반발을 초래했고, 군사 작전 실패와 알제리 중재를 통한 협상 끝에 1981년 1월 인질들이 석방되었다. 이 사건은 미국 국내의 애국심을 고취하고 이란 혁명 세력의 강경 노선을 강화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과 이슬람권의 분열을 초래하는 등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이란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 이란의 인질극 - 2017년 테헤란 테러
    2017년 6월 7일, 이란 국회의사당과 루홀라 호메이니 영묘에서 ISIL의 테러 공격이 발생하여 이란 정부가 사우디아라비아를 배후로 지목하고 보복을 다짐했으며, 국제 사회는 테러를 규탄했다.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사건 명칭이란 인질 위기
날짜1979년 11월 4일 – 1981년 1월 20일 (444일)
일부이란 혁명의 공고화
장소테헤란, 이란
결과알제리 협정에 의해 인질 석방
이란-미국 관계 단절 (및 종료)
메흐디 바자르간 총리와 그의 내각 사임
대이란 제재 부과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
이맘의 노선을 따르는 무슬림 학생
인민무자헤딘
교전 세력 2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루홀라 호메이니
모하마드 무사비 코에이니하
마수드 라자비
지휘관 2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제임스 B. 보트
조 클라크
전력
전력 1알 수 없음
사상자 1인질 구출 작전 중 사망한 미군 8명과 이란 민간인 1명
추가 정보
이란 학생들이 테헤란의 미국 대사관에 진입하는 모습
1979년 11월 4일 테헤란의 미국 대사관에 몰려든 이란 학생들
사건 개요
사건명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장소이란 테헤란 미국 대사관
날짜1979년 11월 4일 - 1981년 1월 20일
주요 사건이슬람 혁명 수비대가 주도한 이슬람법학 학교 학생들이 테헤란 미국 대사관 점거
원인이란 전 황제의 망명을 미국 정부가 받아들인 것에 대한 항의
수단권총 등
공격 인원수백 명
표적미국 대사관과 직원, 미국 해병대원 및 그 가족
사망자없음
부상자알 수 없음
행방불명자알 수 없음
피해자인질 52명
손해미국과 이란의 단교
범인알 수 없음
용의자알 수 없음
동기이란 전 황제의 망명을 미국 정부가 받아들인 것에 대한 항의
관여 세력이슬람 혁명 수비대와 혁명 정부의 보수
방어알 수 없음
대처알 수 없음
사과없음
배상없음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소련이란을 침공 및 점령하여 파흘라비 왕조의 레자 팔레비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그의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를 왕위에 앉혔다.[18] 이들은 레자 팔레비가 석유가 풍부한 이란을 나치 독일과 결탁하는 것을 막기 위해 먼저 행동했다고 주장했지만, 샤의 중립 선언과 이란 영토를 적군 훈련 또는 보급에 사용하지 않겠다는 거부가 실제 이유였을 가능성이 크다.[19]

미국은 침공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전쟁이 끝난 후 소련에 대한 강력한 외교적 압력을 행사하여 1946년 소련의 이란 철수를 강제함으로써 이란의 독립을 확보하였다.(1946년 이란 위기)

1950년대에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는 카자르 왕조의 후손인 모하마드 모사데그 총리와 권력 다툼을 벌였다. 모사데그는 영국-이란 석유회사로부터 국가 석유 수익 증가를 요구하며 총파업을 주도했고, 영국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이란 정부가 받는 수익을 감소시켰다.[20] 1953년, CIA와 MI6는 1953년 이란 쿠데타를 통해 이란 왕당파가 모사데그를 축출하도록 지원하여 샤의 권력을 확장시켰다. 이후 20년 동안 샤는 절대 군주로 통치하며, 국가 내 "반역적인" 세력들을 숙청했다.[21][22][23] 미국은 쿠데타 이후에도 샤를 계속 지원했으며, CIA는 (이란 비밀경찰)을 훈련시켰다. 이후 냉전 시대 수십 년 동안 다양한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문제들이 이란의 반대 세력을 샤에 맞서게 했고, 결국 그의 몰락으로 이어졌다.[24][25][26]

최근 수십 년 동안 이란 최고 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는 미국의 이란에 대한 적대 행위가 미국 대사관 점거가 아니라 1953년 쿠데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반복적으로 말해왔다.

2. 1. 팔라비 왕조와 미국의 관계

1953년 이란 쿠데타를 통해 미국은 모하마드 모사데그 총리를 축출하고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의 권력을 강화하는데 지원했다.[21][22][23] 이는 이란 국민들의 반미 감정을 고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18]

미국 방문 당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과 리처드 닉슨 대통령 부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은 미국의 지원을 바탕으로 친미 정책과 개발 독재를 추진했다.[184][185] 그는 백색혁명을 통해 토지 개혁, 국영 기업 민영화, 여성 참정권 확립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서구화 정책과 독재 정치에 대한 반발로 루홀라 호메이니를 비롯한 이슬람 법학자들과 민중들의 반체제 운동이 격화되었다.[186]

2. 2. 이란 혁명

미국팔라비 제국 지원은 오래전부터 이란 민중들에게 반미 감정을 확산시키고 있었다. 이슬람 혁명으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왕정이 타도되고 루홀라 호메이니의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자 마침내 반미 감정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1979년 1월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은 휴양을 이유로 출국(사실상은 망명이었다)하고, 2월 루홀라 호메이니가 귀국, 샤푸르 바크티아르 과도 정부를 붕괴시키고 6월 신권적(神權的) 지배 곧 종교가 다스리는 나라(신정국가)인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이란은 팔레비 왕정의 전제 공포 정치에 항거한 민주주의 세력, 외세 결탁의 집권층 부패를 타도하려는 민족주의 세력, 소위 '백색혁명'으로 불리는 서구식 근대화 개혁 조치에 반대하는 교조적(敎條的) 이슬람 세력 등 3파가 헤게모니 쟁탈전을 벌일 수밖에 없었다. 이란 혁명의 성격상 호메이니를 정신적 지주로 한 이슬람 세력이 그 중에서도 급진 강경파가 권력의 전면에 부상하였고, 그들은 모든 서구식 제도·관습·양태를 부정함으로써 '이슬람 원점으로의 회귀'라는 본래의 명분을 내세웠다.

테헤란에 도착한 호메이니


루홀라 호메이니를 지도자로 하는 이슬람교 십이이맘파(시아파)의 이슬람 법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반체제 세력이 제정 타도를 목표로 활동하여 1979년 1월 이란 혁명이 발생했다. 그 결과, 1월 16일 팔레비 샤는 이집트로 망명했다.[186] 2월 1일 호메이니는 망명지 파리에서 테헤란으로 돌아와 즉시 이슬람 혁명 평의회를 조직했다. 2월 11일 평의회는 권력을 장악하고 혁명은 성공했다.

2. 3. 미국의 오판과 인질 사태의 발발

미국팔라비 제국 지원은 오래전부터 이란 민중들에게 반미 감정을 확산시키고 있었다. 이슬람 혁명으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왕정이 타도되고 루홀라 호메이니의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자 반미 감정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이란 과격파 학생 시위대의 테헤란 주재 주이란 미국 대사관 난입·점거는 이러한 반미 감정의 표출이었다. '이슬람 원점으로의 회귀'를 내건 이슬람 혁명 세력은 미국을 부정적으로 여겼고, 미국은 명예를 고수하려 하면서 갈등이 커졌다.[18]

카터 행정부는 이란 혁명 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잘못 판단하여 팔라비 전 국왕의 신병 치료를 위한 미국 입국을 허가했고, 이는 이란 급진 강경파의 분노를 일으켰다. 호메이니는 팔라비 송환을 강하게 요구하며 의사단 파견을 제안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18]

1979년 11월 4일, 테헤란에서 팔라비 신병 인도를 요구하던 과격파 학생 시위대가 미대사관을 점거하고 약 70여 명의 외교관을 인질로 억류하면서 인질 사태가 시작되었다. 이란 이슬람 정부는 급진 강경파 주도로 미국에 강경하게 대응했다. 미국이 이란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자 이란은 대미 석유 금수 조치, 재미 예금 전액 인출, 재이란 미국 투자 국유화 조치로 맞섰고, 미국은 재미 이란 공적 자산 동결 조치와 아라비아해, 인도양에서의 해군력 무력 시위로 대응하는 등 첨예하게 대립했다.[18]



이집트에 도착한 파레비


대사관 앞에서 성조기를 거꾸로 펼치는 학생 단체


1979년 11월 5일자 이란 신문


슈레더에 걸린 대사관의 기밀 서류


파레비 전 황제와 그의 가족, 측근들은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의 승인 하에 카이로로 망명한 후, 모로코, 바하마, 멕시코를 거쳐 멕시코에서 “ 치료” 명목으로 미국 입국(사실상 망명)을 요청했다. 지미 카터 대통령은 이란 신정부와의 마찰을 우려하여 거절하려 했지만,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 등의 주선으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10월 22일 입국을 허가했다.[186]

이란 혁명 정부는 이에 격분하여 미국 정부에 항의했고, 테헤란의 미국 대사관 앞에서는 매일 반미 시위가 벌어졌다. 10월 22일 이후, 이슬람 법학 대학생들이 미국 대사관을 에워싸고 항의 시위를 벌였다. 미국 대통령, 국무부, CIA, 미국 대사관은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했고, 이는 점거 사건 발생 후 미국 내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

혁명수비대와 보수파가 배후에서 학생과 폭도들의 행동을 조종했기 때문에, 온건파 메흐디 바자르간 (총리) 등 정부 각료와 경찰은 이를 제지할 수 없었다. 시위 참가자는 계속 늘어 11월 4일 오전에 학생과 폭도 일부가 담을 넘어 대사관 구내에 침입했다.

3. 사태의 전개

1979년 11월 4일, 루홀라 호메이니를 따르는 이란 학생 단체 '이맘의 계열을 따르는 무슬림 학생들'이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했다. 이들은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전 국왕의 신병 인도와 미국이 과거 이란에 간섭한 것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186] 이란 학생들은 이슬람 혁명 직후 미국이 팔라비를 받아들인 것에 반발, 대사관을 포위하고 시위를 벌였다. 미국 대통령, 국무부, CIA는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점거 사건 이후 미국 내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186]

이란 인질 사태 당시 미국 인질들


11월 4일 오전, 학생들과 시위대 일부가 대사관 담을 넘어 침입했다. 대사관을 경비하던 해병대원들은 상황 악화를 우려해 제지하거나 발포하지 않았다. 결국 학생들과 시위대는 대사관 건물 내부를 점거하고, 미국 외교관, 해병대원, 가족 등 52명을 인질로 잡았다.[186]

인질 사태 관련 뉴스릴에서 발췌한 2분 분량의 클립 (1980)


메흐디 바자르간 총리 등 온건파 정부 각료와 경찰은 이들을 제지할 수 없었다. 이란 혁명 정부의 보수파와 혁명수비대가 학생들과 시위대의 배후에 있었기 때문이다. 호메이니는 점거를 지지하며 "두 번째 혁명"이라고 칭하고, 대사관을 "테헤란의 미국 스파이 소굴"이라고 불렀다.[54]

점거자들은 해병대와 대사관 직원들의 눈을 가리고 행진시켰다. 처음 며칠 동안, 건물에서 빠져나가거나 점거 당시 건물에 없었던 많은 대사관 직원들이 체포되어 인질로 돌아왔다.[55] 6명의 미국 외교관은 체포를 피해 캐나다 대사관에 피신했고, 캐나다 작전을 통해 캐나다 정부와 CIA의 도움으로 이란을 탈출했다.[56]

대사관 직원들은 점거 전에 기밀 문서와 미국 달러 지폐를 파쇄하거나 소각했지만, 상당수의 문서가 이란 당국에 의해 복원되어 기밀 정보가 유출되었다.[186] 이란의 이러한 행동은 외교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을 위반한 것이었지만, 이란 혁명 정부와 학생들은 국제사회의 비난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

1979년 11월 20일, 사우디아라비아메카 카바 신전이 무장 괴한들에게 점거되고 수백 명이 인질로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4] 이 사건은 다음날인 11월 21일이 이슬람력(曆)으로 1400년 원단(元旦)이었기 때문에 이슬람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이 습격사건의 배후에는 이스라엘과 미국이 있다"는 소문이 퍼져 이슬람권 각국에서 격렬한 반미운동이 일어났다.[44]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 경비대를 동원해 진압에 나섰고, 유혈참사 끝에 사태를 진정시켰다. 카바 신전을 점거했던 괴한들은 서구식 근대화를 부정하고 이란식 이슬람 혁명을 추종하는 광신도들로 밝혀졌다.[44] 이 사건은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악재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친미 국가들과 이란의 정치적 대립을 야기했다.[44]

이후 이란은 팔라비 전 국왕의 송환뿐만 아니라 미국의 이란에 대한 "죄상" 조사와 사과까지 요구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미국은 이란의 요구가 국제법 질서와 미국의 명예에 어긋난다고 판단하여 거부했다. 이란에서는 온건파가 일시적으로 집권하여 협상 가능성이 보였으나, 루홀라 호메이니의 강경 선언으로 다시 경색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미국은 보복을 선언하고 서방 국가들과 함께 이란과의 국교 단절 및 경제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유엔의 중재 노력도 실패했다.

1980년 4월 24일부터 4월 25일까지, 지미 카터 대통령은 인질 구출을 위해 이글 클로 작전을 발령하고 군사력을 동원했다.[186] 그러나 작전 시작 후, 사용 중이던 RH-53D 시 스탤리온 헬리콥터가 고장나고, 록히드C-130 수송기와 헬리콥터가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하면서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186] 이 사고로 미군 8명이 사망했다.

이글 클로 작전 중 사고를 일으킨 수송기의 잔해


작전 실패 이후, 이란 정부는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인질들은 이란 국내에 분산되어 감금되면서 사태는 장기화되었다. 미국에서는 카터 대통령의 정치적 인기가 더욱 하락했다. 이 실패는 제160 특수작전항공연대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

3. 1. 미국 대사관 점거

1979년 11월 4일, 루홀라 호메이니를 따르는 이란 학생 단체인 '이맘의 계열을 따르는 무슬림 학생들'이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을 점거했다. 이들은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전 국왕의 신병 인도와 미국이 과거 이란에 간섭한 것에 대해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186]

이란 학생들은 이슬람 혁명 직후 미국이 팔라비를 받아들인 것에 반발하며 대사관을 포위하고 시위를 벌였다. 미국 대통령, 국무부, CIA는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점거 사건 이후 미국 내에서 큰 비판을 받았다.[186]

11월 4일 오전, 학생들과 시위대 일부가 대사관 담을 넘어 침입했다. 대사관을 경비하던 해병대원들은 상황 악화를 우려해 제지하거나 발포하지 않았다. 결국 학생들과 시위대는 대사관 건물 내부를 점거하고, 미국 외교관, 해병대원, 가족 등 52명을 인질로 잡았다.[186]

메흐디 바자르간 총리 등 온건파 정부 각료와 경찰은 이들을 제지할 수 없었다. 이란 혁명 정부의 보수파와 혁명수비대가 학생들과 시위대의 배후에 있었기 때문이다. 호메이니는 점거를 지지하며 "두 번째 혁명"이라고 칭하고, 대사관을 "테헤란의 미국 스파이 소굴"이라고 불렀다.[54]

점거자들은 해병대와 대사관 직원들의 눈을 가리고 행진시켰다. 처음 며칠 동안, 건물에서 빠져나가거나 점거 당시 건물에 없었던 많은 대사관 직원들이 체포되어 인질로 돌아왔다.[55] 6명의 미국 외교관은 체포를 피해 캐나다 대사관에 피신했고, 캐나다 작전을 통해 캐나다 정부와 CIA의 도움으로 이란을 탈출했다.[56]

대사관 직원들은 점거 전에 기밀 문서와 미국 달러 지폐를 파쇄하거나 소각했지만, 상당수의 문서가 이란 당국에 의해 복원되어 기밀 정보가 유출되었다.[186]

이란의 이러한 행동은 외교 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을 위반한 것이었지만, 이란 혁명 정부와 학생들은 국제사회의 비난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

3. 2. 사우디아라비아 카바 신전 점거 사건

1979년 11월 20일, 사우디아라비아메카 카바 신전이 무장 괴한들에게 점거되고 수백 명이 인질로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44] 이 사건은 다음날인 11월 21일이 이슬람력(曆)으로 1400년 원단(元旦)이었기 때문에 이슬람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이 습격사건의 배후에는 이스라엘과 미국이 있다"는 소문이 퍼져 이슬람권 각국에서 격렬한 반미운동이 일어났다.[44]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 경비대를 동원해 진압에 나섰고, 유혈참사 끝에 사태를 진정시켰다. 카바 신전을 점거했던 괴한들은 서구식 근대화를 부정하고 이란식 이슬람 혁명을 추종하는 광신도들로 밝혀졌다.[44]

이 사건은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악재로 작용했을 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친미 국가들과 이란의 정치적 대립을 야기했다.[44]

3. 3. 이슬람권의 분란

1979년 11월 20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이슬람 성지인 메카 카바 신전이 무장 괴한들에게 점거당하고 수백 명이 인질로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이슬람력 1400년 원단(元旦) 바로 전날 발생하여 이슬람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습격사건 배후에 이스라엘과 미국이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이슬람권 각국에서 격렬한 반미 운동이 일어났다.[44]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 경비대를 동원해 유혈 진압으로 사태를 진정시켰으나, 카바 신전을 점거한 괴한들은 서구식 근대화를 부정하고 이란식 이슬람 혁명을 추종하는 광신도들로 밝혀졌다.

이 사건은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악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등 친미, 온건 성향의 이슬람 국가들과 이란의 정치적 대립을 심화시켰다. 이란은 팔라비 전 국왕의 송환뿐만 아니라 미국의 이란에 대한 "죄상" 조사와 사과까지 요구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미국은 이란의 요구가 국제법 질서와 미국의 명예에 어긋난다고 판단하여 거부했다. 이란에서는 온건파가 일시적으로 집권하여 협상 가능성이 보였으나, 루홀라 호메이니의 강경 선언으로 다시 경색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미국은 보복을 선언하고 서방 국가들과 함께 이란과의 국교 단절 및 경제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유엔의 중재 노력도 실패한 가운데, 1980년 4월 미국은 특공대를 투입해 인질 구출 작전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8명의 특공대원이 사망했다.[44]

3. 4. 인질 구출 작전 실패

1980년 4월 24일부터 4월 25일까지, 지미 카터 대통령은 인질 구출을 위해 이글 클로 작전을 발령하고 군사력을 동원했다.[186] 이 작전에는 페르시아 만에 배치된 항공모함과 함재기가 동원되었다.

그러나 작전 시작 후, 사용 중이던 RH-53D 시 스탤리온 헬리콥터가 고장나고, 록히드C-130 수송기와 헬리콥터가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하면서 작전은 실패로 끝났다.[186] 이 사고로 미군 8명이 사망했다.

작전 실패 이후, 이란 정부는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인질들은 이란 국내에 분산되어 감금되면서 사태는 장기화되었다. 미국에서는 카터 대통령의 정치적 인기가 더욱 하락했다.

이 실패는 제160 특수작전항공연대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

4. 인질 석방과 사태의 종결

1980년 9월,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란은 인질 사태를 종결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186] 이 전쟁으로 이란은 국제적 고립, 경제 제재, 군사적 압박에 직면했고,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금과 무기를 얻는 데 인질 사태가 걸림돌이 되었다.

알제리의 중재로 미국과 이란 간 간접 협상이 진행되었고,[186] 미국은 이란의 자산 동결 해제라는 양보를 했다. 이란은 1980년 7월 27일 팔레비 전 황제의 사망으로 대사관 점거 명분을 잃은 상황이었다.

1981년 1월 19일 알제 협정이 체결되었고, 1월 20일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취임식 날 52명의 미국 인질들이 풀려났다.[135][136] 인질 석방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과 음모론이 존재한다.[137][138][139]

인질들은 에어 알제리 항공편으로 테헤란에서 알제로 이동해 워렌 크리스토퍼에게 인도되었고,[140][141] 독일을 거쳐 미국으로 귀환했다. 석방된 인질들은 뉴욕에서 티커테이프 퍼레이드를 통해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44]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로널드 레이건에게 패배한 카터 대통령에게 적대적이던 이란은 1981년 1월 20일 레이건 취임 직후 인질을 석방했다. 이 석방 시점을 두고 이란-콘트라 사건과 관련된 옥토버 서프라이즈 음모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4. 1. 협상의 진전

1980년 9월,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란은 인질 사태를 종결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186] 이 전쟁으로 이란은 국제적으로 고립되었고, 경제 제재와 군사적 압박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란은 전쟁 수행을 위해 자금과 무기가 필요했고, 인질 사태는 이를 얻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알제리의 중재로 미국과 이란 간 간접 협상이 진행되었다.[186] 미국은 협상 타결을 위해 이란의 자산 동결 해제라는 양보를 해야 했다. 이란은 1980년 7월 27일 팔레비 전 황제가 사망하면서 대사관 점거의 주요 명분을 잃은 상황이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협상은 급진전되었다.

4. 2. 인질 석방

1981년 1월 19일 알제 협정이 체결되면서, 1월 20일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하고 취임 연설을 하는 동안 52명의 미국 인질들이 풀려났다.[135][136] 이란이 석방 시점을 그 순간까지 연기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과 음모론이 존재한다.[137][138][139]

인질들은 에어 알제리 보잉 727-200 여객기(등록번호 7T-VEM)를 타고 테헤란에서 알제로 이동하여, 위기 해결에 도움을 준 알제리 정부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미국 대표인 워렌 크리스토퍼에게 공식적으로 인도되었다.[140][141] 이후 인질들은 서독의 라인-마인 공군기지를 거쳐 비스바덴의 공군 병원으로 이동했고, 그곳에서 전 대통령 카터가 특사 자격으로 그들을 맞이했다. 건강 검진과 보고 후, 인질들은 섀넌, 아일랜드에서 급유를 위해 잠시 머물렀고, 그곳에서 많은 군중의 환영을 받았다.[142] 석방된 인질들은 그 후 뉴욕주 뉴버그의 스튜어트 공군주방위 기지로 이동했다. 뉴버그에서 그들은 버스를 타고 미국 육군사관학교가 있는 웨스트포인트로 이동하여 세이어 호텔에 3일 동안 머물렀으며, 이동하는 동안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143] 석방 10일 후, 그들은 뉴욕시의 영웅들의 협곡에서 티커테이프 퍼레이드를 가졌다.[144]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11월 4일 카터가 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에게 패배한 이후, 카터 대통령에게 적대적이던 이란은 중재국과 인질 송환 문제에 대해 미국과 합의를 보았고,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1981년 1월 20일 444일 만에 인질이 석방되었다.

이 인질 석방 시점에 대해서는, 후에 밝혀진 "이란-콘트라 사건"과 관련지어 레이건 진영과 이란 정부 간의 은밀한 거래 음모론(옥토버 서프라이즈)을 주장하는, 민주당 지지자를 중심으로 한 언론인들도 있다.

5. 파장과 영향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은 이란과 미국뿐만 아니라 국제 관계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미국은 인도양과 아라비아해 지역에 군사력을 증강했고, 이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야기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이슬람권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인식과 관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슬람권 내부의 종파 갈등을 심화시켜 이란-이라크 전쟁과 이슬람권 분열로 이어졌다.

1980년 이라크의 선공으로 시작된 이란-이라크 전쟁은 인질 사태를 종식시키는 한 원인이 되었다.[116] 인질 사태는 이란과 이라크의 관계 악화에 영향을 미쳤고, 이슬람권 내부 갈등을 표면화시켰다.[116]

이란 국내에서는 오랫동안 팔라비 제국을 지원했던 미국에 대한 반감이 커져가고 있었다.[132] 이슬람 혁명으로 루홀라 호메이니의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반미 감정이 표출되기 시작했고, 이는 이란 과격파 학생들의 주이란 미국 대사관 난입 및 점거로 이어졌다. 이 사건은 이슬람 혁명 세력이 '이슬람 원점으로의 회귀'라는 명분을 내걸고 미국을 부정하면서 증폭되었다.[132]

1979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 망명 이후, 루홀라 호메이니가 귀국하여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했다. 이란은 민주주의 세력, 민족주의 세력, 이슬람 세력 간의 권력 다툼이 벌어졌고, 이슬람 급진 강경파가 권력을 잡으면서 서구식 제도와 관습을 부정하고 아랍 세계의 지도자를 자처했다.[133]

미국 내에서는 이란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졌고, 이란 대사관과 영사관 앞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미국 거주 이란인 대상 폭력 사건도 발생했다.

미국 시민들의 항의 시위
대사관 직원 및 해병대원들의 대응과 지미 카터 행정부의 군사적 구출 작전 부재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이는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둔 카터 행정부의 국정 운영에 영향을 미쳤다.[122]

5. 1. 국제 관계에 미친 영향

이란의 미국인 인질 사태는 양국에 국한되는 국지분쟁적 외교전의 양상을 나타냈으나 그 파장은 의외로 컸다. 이 과정에서 미국은 인도양·아라비아해 지역에 군사력을 증강했으며, 이는 미국의 세력 확대에 불안을 느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사태를 야기했다. 특히 이슬람권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시각 및 관계에 끼친 영향은 지대했으며, 이슬람권 내부의 해묵은 종파적 갈등이 다시 시작되어 이란-이라크 전쟁과 이슬람권의 분열로 이어졌다.

5. 2.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

1980년 9월 22일 이라크의 선공으로 시작된 이란-이라크 전쟁은 이란이 인질 사태를 종식해야 하는 원인이 되었다.[116] 이란 인질 사태는 이란과 이라크 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였으며, 이슬람권 내부의 종파 갈등이 이란-이라크 전쟁과 이슬람권의 분열로 표면화되었다.[116]

5. 3. 이란 국내 정치에 미친 영향

미국의 팔라비 제국 지원은 오래전부터 이란 민중들에게 반미 감정을 확산시키고 있었다. 이슬람 혁명으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왕정이 타도되고 루홀라 호메이니의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자 마침내 반미 감정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이란 과격파 학생 시위대의 테헤란 주이란 미국 대사관 난입·점거는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의 첫걸음이었다. 이 사건은 이란 민중들의 반미 감정이 원인이었지만, '이슬람 원점으로의 회귀'라는 대의명분을 내건 이슬람 혁명 세력의 상징적 의미로서의 미국에 대한 부정과 그에 대한 미국의 명예 고수 의지가 충돌함으로써 증폭되었다.[132]

1979년 1월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은 휴양을 이유로 출국(사실상은 망명)하고, 2월 아야톨라 호메이니가 귀국, 샤푸르 바크티아르 과도 정부를 붕괴시키고 6월 신권적(神權的) 지배, 곧 종교가 다스리는 나라(신정국가)인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였다. 이란은 팔레비 왕정의 전제 공포 정치에 항거한 민주주의 세력, 외세 결탁의 집권층 부패를 타도하려는 민족주의 세력, 소위 '백색혁명'으로 불리는 서구식 근대화 개혁 조치에 반대하는 교조적(敎條的) 이슬람 세력 등 3파가 헤게모니 쟁탈전을 벌일 수밖에 없었다. 이란 혁명의 성격상 호메이니를 정신적 지주로 한 이슬람 세력, 그 중에서도 급진 강경파가 권력의 전면에 부상하였고, 그들은 모든 서구식 제도·관습·양태를 부정함으로써 '이슬람 원점으로의 회귀'라는 본래의 명분과 아랍 세계의 지주임을 자처하고 나섰다.[133]

5. 4. 미국 국내 정치에 미친 영향

사건 발생과 동시에 미국 내에서는 이란과 이란 정부에 대한 강한 비난 여론이 들끓었고, 미국 내 이란 대사관과 영사관 앞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또한 미국에 거주하는 이란인들(대부분 구체제 시절 미국으로 건너가 혁명으로 인해 귀국하지 못했고, 혁명 정권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계층)을 대상으로 한 폭력 사건이 발생했다.

"학생들의 난입에 대해 무력으로 반격하지 않고 대사관을 넘겨줬다"는 이유로 대사관 직원 및 해병대원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고, 카터 행정부가 군사적 수단을 동원한 인질 구출 작전을 펼치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도 쏟아졌다. 이는 다가오는 선거를 앞두고 있던 카터 행정부의 국정 운영에 영향을 미쳤다.[122]

6. 추가 정보

합동 작전을 위해 제작된 영화 「아르고」 포스터


작전 성공 후 안토니오 J. 멘데스를 축하하는 카터 대통령


“캐나다 감사합니다”라고 적힌 현수막을 든 미국인

  • '''캐나다의 역할 (캐나다 작전)'''


1979년 11월 4일, 인질 사건 당시 영사부 직원 여러 명이 대사관에서 탈출하여 테헤란 시내 안전가옥에 숨었다.[41][42][43] 이들은 캐나다 대사관저에 모여 79일 동안 은신했다. 캐나다 정부추밀원령을 통해 6명과 미국 중앙정보국(CIA) 작전 그룹에 캐나다 여권을 발급했고, 미국 정부와 협력하여 이들을 영화 촬영 스태프로 위장시켜 탈출시키는 작전을 세웠다. 이 작전에는 『아르고』라는 SF 영화를 제작하는 설정이 포함되었다. 1980년 1월 27일, 이들은 스위스 항공기를 통해 탈출에 성공했다. 이 작전은 2012년에 『아르고』로 영화화되어 작품상 등 3개 부문을 수상했다.

  • '''인질들의 생활'''


인질들은 초기에는 대사관에 감금되었으나, 이후 이란 전역으로 분산 수용되었다.[37] 이들은 폭행, 수갑, 장기간 독방 감금, 냉동고 감금 등의 가혹 행위를 당했다.[37] 1979년 11월, 흑인 남성 2명과 백인 여성 1명이 석방되었고, 같은 달에 또 다른 흑인 남성 직원이 석방되었다.[37] 1980년 7월에는 한 직원이 중증 다발성 경화증 진단을 받아 석방되었다.[37] 1980년 여름 이후, 인질 일부는 테헤란 근교 교도소로 이감되었다.[37] 캐나다서독 등 중립국 외교관들은 인질들을 접견하여 미국 국무부와 비밀 연락을 할 수 있었다.[37]

  • '''1980년 10월의 서프라이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선거 운동 관계자들이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까지 인질 석방을 지연시키기 위해 이란과 비밀리에 협상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75] 이는 지미 카터 대통령의 재선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개리 시크 전 국가안보보좌관,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전 이란 대통령 등이 이러한 주장을 반복했다.[175] 그러나 미국 의회 상하원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신뢰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176]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카터는 로널드 레이건에게 패배했고, 인질은 1981년 1월 20일 레이건 취임 당일에 석방되었다.

6. 1. 캐나다의 역할 (캐나다 작전)

1979년 11월 4일,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당시 영사부 직원 여러 명이 대사관에서 탈출했다. 이들 중 6명은 영국 대사관으로 가지 못하고, 태국인 미국 대사관 주방장과 미국 공사의 도움으로 테헤란 시내 안전가옥에 며칠 동안 숨었다. 이들은 집을 옮겨 다니며 영국 민간인 주택, 캐나다 대사 및 캐나다 출입국 관리국 고위 관리의 관저, 스웨덴 대사관과 스웨덴 영사의 아파트 등에 분산되어 은신했다.[41][42][43]

메흐디 바자르간의 친서방 정권이 무너지자, 이들은 사태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을 직감했다. 이후 캐나다 외교관 존 셰어다운을 통해 켄 테일러 대사가 이끄는 캐나다 대사관저에 모여 79일 동안 숨어 지냈다.

테일러 대사는 본국 외무부에 6명의 구출을 요청했고, 캐나다 정부는 즉시 미국 정부에 이 사실을 알렸다. 탈출 계획 요청을 받은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안토니오 J. 멘데스 등은 이들을 캐나다에서 파견된 농업 조사원, 영어 교사, 또는 영화 촬영 스태프로 위장시켜 탈출시키는 계획을 세웠다.

캐나다 정부추밀원령을 통해 6명과 멘데스 등 CIA 작전 그룹에 캐나다 여권을 발급했다. 캐나다 정부와 미국 정부는 긴밀히 협력하여 작전을 진행했다. 멘데스 등은 테헤란에 도착하여 캐나다 대사관저에서 6명과 합류했고, “영화 촬영 스태프로 위장한다”는 시나리오를 선택했다.

이 작전에는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아르고』(Argo)라는 SF 영화를 제작하는 설정이 포함되었다. 영화의 각본은 『빛의 왕』이라는 SF 소설을 원작으로 했다.

존 챔버스의 지원을 받아 할리우드에 “Studio Six”(6명의 스튜디오라는 의미)라는 사무실을 설립하고, 로스앤젤레스에서 전화 응대가 가능하도록 했다. 할리우드에는 “Studio Six”라는 광고가 게재되었고, 관련 기사가 신문에 실려 위장 문서로 활용되었다.

멘데스 등은 6명에게 “캐나다인 영화 촬영 스태프”로 위장 작업을 했고, 테일러 대사는 거짓 용무를 꾸며 이들의 이동 이유를 만들었다. 대사관저에 수상한 전화가 걸려오는 등 은신 사실이 발각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1980년 1월 27일, 6명의 관원과 멘데스 등 작전 그룹은 이란 당국자들의 눈을 피해 테헤란의 메흐라바드 국제공항에서 취리히 공항행 스위스항공기에 탑승하여 탈출에 성공했다.

이 작전은 계획 단계에서 캐나다 일부 언론에 누출되었지만, 6명이 무사히 탈출할 때까지 기자들이 보도를 자제했다. 6명 귀국 후 이 사실이 공개되면서, 플로리다주 정부 시설에 이들을 비밀리에 숨기려던 미국 정부의 계획은 무산되었다. 남은 인질의 안전을 고려하여 미·캐나다 양국 정부는 CIA의 역할을 기밀로 유지했다. CIA의 개입은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인 1997년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 작전의 계획과 실행 경위는 2012년에 『아르고』라는 제목으로 벤 애플렉 등에 의해 영화화되어 제85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 등 3개 부문을 수상했다.

6. 2. 인질들의 생활

인질들은 초기에는 대사관에 감금되었으나, 이후 이란 전역으로 분산 수용되었다.[37] 이들은 흥분한 학생과 폭도들에게 폭행, 수갑, 장기간 독방 감금, 냉동고 감금 등의 가혹 행위를 당했다.[37] 심지어 두 명의 해병대원은 눈이 가려진 채 대사관 앞에서 징계 차원의 퍼레이드를 당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혹 행위로 인해 4명의 직원이 탈출을 시도했고, 2명은 자살을 기도했으며, 1명은 단식 투쟁을 벌였다.[37]

이란 외무부에 억류되었던 3명의 대사관 직원들은 대사관 점거 후 수개월 동안 외무부 내에 감금되어 식당에서 잠을 자고 욕실에서 속옷을 세탁해야 했다.[37] 11월 4일, 바자르간 임시 정권 총리가 사임한 후에는 외무부에 감금된 대사관 직원들의 외출이 제한되는 등 행동 범위가 더욱 축소되었다.

1979년 11월에는 "억압받는 소수 민족과 여성에 대한 배려"라는 명목으로 흑인 남성 2명과 백인 여성 1명이 석방되었고, 같은 달에 또 다른 흑인 남성 직원이 석방되었다.[37] 그러나 다른 흑인 남성 직원과 여성 직원은 끝까지 석방되지 못했다. 1980년 7월에는 한 직원이 중증 다발성 경화증 진단을 받아 석방되었다.[37]

1980년 여름 이후, 인질 일부는 테헤란 근교 교도소로 이감되었다.[37] 이는 식량 배급 및 기타 관리 효율 향상이라는 명목이었지만, 사실상 탈출과 미군의 구출을 어렵게 하려는 목적이었다. 1980년 11월부터 석방될 때까지는 1970년 8월 암살당한 전 비밀 경찰국장 테임무르 바크티야르의 저택에 모여 감금되었다. 이 저택에는 욕조, 온수 샤워 시설, 세탁기 등이 갖춰져 있었다.[37]

캐나다서독 등 중립국이자 미국의 우방국 외교관들은 인질들을 접견할 수 있었다.[37] 이 기회를 통해 인질이 된 직원과 미국 국무부 간의 비밀 연락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6. 3. 1980년 10월의 서프라이즈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선거 운동 관계자들이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까지 인질 석방을 지연시키기 위해 이란과 비밀리에 협상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75] 이는 지미 카터 대통령이 "10월 서프라이즈"를 통해 재선에서 승리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개리 시크 전 국가안보보좌관,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전 이란 대통령 등 여러 인물들이 이러한 주장을 반복하고 확대했다.[175] 카터와 레이건 간의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 했다는 이러한 주장은 1980년 10월 서프라이즈 음모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75]

미국 의회 상하원은 각각 조사를 실시했고,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신뢰할 만한 증거가 없거나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176]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11월 4일에 카터는 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에게 패배했다. 이후 카터 대통령을 적대시하던 이란은 중재국과 인질의 송환 문제로 미국과 합의를 보았고,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취임한 1981년 1월 20일에 444일 만에 인질이 석방되었다.

이 인질 석방 시점에 대해서는, 후에 밝혀진 "이란-콘트라 사건"과 관련지어 레이건 진영과 이란 정부 간의 은밀한 거래 음모론을 주장하는, 민주당 지지자를 중심으로 한 언론인들도 있다(옥토버 서프라이즈).

참조

[1] 서적 Microeconomics Routledge
[2] 서적 Days of God: The Revolution in Iran and Its Consequences Simon and Schuster 2013-01-01
[3] 웹사이트 The Bagheri Brothers: One in Operations, One in Intelligence https://iranwire.com[...] 2024-03-11
[4] 웹사이트 What Became of Those Who Seized the US Embassy in Tehran https://www.iranintl[...] 2024-02-06
[5] 웹사이트 444 Days in the Dark: An Oral History of the Iran Hostage Crisis https://www.gq.com/s[...] 2020-01-06
[6] 웹사이트 The Hostage Crisis, 30 Years On https://www.pbs.org/[...] PBS 2020-01-06
[7] 간행물 Inside Iran's Fury http://www.smithsoni[...] 2008-10-01
[8] 간행물 The Long Ordeal of the Hostages http://content.time.[...] 1981-01-26
[9] 간행물 Air Force Magazine http://www.airforce-[...] Air Force Magazine 2016-04-05
[10] 웹사이트 Thirty-five years after Iranian hostage crisis, the aftershocks remain https://www.bostongl[...]
[11] 뉴스 Doing Satan's Work in Iran https://timesmachine[...] 1979-11-06
[12] 서적 All The Shah's Men: An American Coup and the Roots of Middle East Terror John Wiley & Sons
[13] 학술지 All the Shah's Men: An American Coup and the Roots of Middle East Terror
[14] 학술지 A Very Elegant Coup
[15] 뉴스 Reagan's Lucky Day: Iranian Hostage Crisis Helped The Great Communicator To Victory https://web.archive.[...] CBS News 2001-01-21
[16] 서적 The Iranians: Persia, Islam and the Soul of a Nation Dutton
[17] 웹사이트 A Review of US Unilateral Sanctions Against Iran http://www.mafhoum.c[...] 2002-08-26
[18]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19] 웹사이트 Country name calling: the case of Iran vs. Persia. http://goliath.ecnex[...]
[20] 서적 The Persian Puzzle Random House
[21] 서적 Decision Making in U.S. History. The Cold War & the 1950s Social Studies
[22] 서적 Iran: From Royal Dictatorship to Theocracy Greenwood Press
[23] 서적 Iran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08-01-01
[24] 뉴스 Iran's century of upheaval http://news.bbc.co.u[...] BBC 2000-02-02
[25] 뉴스 1979: Shah of Iran flees into exile http://news.bbc.co.u[...] BBC 1979-01-16
[26] 뉴스 January 16 Almanac http://www.cnn.com/a[...] CNN
[27] 웹사이트 Beyond the "Spy Den": Unraveling the true origins of US-Iran tensions https://english.kham[...]
[28] 문서 Bowden
[29] 뉴스 Shah's surgeons unblock bile duct and also remove his gallbladder https://www.nytimes.[...] 1979-10-25
[30] 웹사이트 Daugherty | Jimmy Carter and the 1979 Decision to Admit the Shah into the United States http://www.unc.edu/d[...]
[31] 문서 Farber
[32] 인터뷰 Weak Understanding is Cause of Bad Iran Policies http://www.roozonlin[...]
[33] 뉴스 How a Chase Bank Chairman Helpe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9-12-29
[34] 웹사이트 Stephen Kinzer on US-Iranian Relations, the 1953 CIA Coup in Iran and the Roots of Middle East Terror https://www.democrac[...] Democracy Now! 2008-03-03
[35] 문서 Moin
[36] 문서 Bowden
[37] 웹사이트 Journal of Homeland Security review of Mark Bowden's ''Guests of the Ayatollah'' http://www.homelands[...] 2007-02-25
[38] 서적 US foreign policy and the Iran hostage cris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6-20
[39] 뉴스 Hostage Suit Tells Torture https://news.google.[...] 1981-02-04
[40] 웹사이트 A First Tour Like No Other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10-12
[41] 문서 Bowden
[42] 문서 Farber
[43] 문서 Bowden
[44] 웹사이트 Among the Hostage-Takers https://www.theatlan[...] 2004-12
[45] 서적 The Soul of Iran Norton
[46] 웹사이트 Iran Negah http://irannegah.com[...] Iran Negah 2016-05-05
[47] 문서 Bowden
[48] 뉴스 Radicals Reborn http://www.time.com/[...] 1999-11-15
[49] 문서 Bowden
[50] 간행물 Radicals Reborn http://www.time.com/[...] 1999-11-15
[51] 문서 Bowden
[52] 문서 Bowden
[53] 문서 Bowden
[54] 문서 Bowden
[55] 문서 Bowden
[56] 웹사이트 The Hostages and The Casualties http://www.jimmycart[...]
[57]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Access to Archival Databases (AAD): Central Foreign Policy Files, created 7/1/1973 – 12/31/1979; Electronic Telegrams, 1979 (searchable database) https://aad.archives[...]
[58] 문서 Moin
[59] 문서 Moin
[60] 문서 Moin
[61] 서적 Terrornomics Taylor & Francis
[62]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Iran: Polic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algrave Macmillan
[63] 서적 The Iranian Mojahedin Yale University Press
[64] 학술지 Post-Revolutionary Iranian Exiles: A Study in Impotence 1987-01
[65] 뉴스 Khomeini, the Soviets and U.S.: why the Ayatollah fears America 1980-05-27
[66] 서적 The Secret War with Iran: the 30-Year Clandestine Struggle against the World's Most Dangerous Terrorist Power https://archive.org/[...] Free Press 2008
[67] 서적 Guerrilla Prince: the Untold Story of Fidel Castro Andrews McMeel Universal 2001
[68] 웹사이트 Iran, 1977–1980/Document http://www.gwu.edu/~[...]
[69] 서적 Turban for the Crown: The Islamic Revolution in Iran Oxford University Press
[70] 문서 Moin
[71] 문서 Moin
[72] 문서 Bakhash
[73] 문서 Bakhash
[74] 웹사이트 CIA admits role in 1953 Iranian coup https://www.theguard[...] 2013-08-19
[75] 웹사이트 Iranian Revolution https://www.britanni[...]
[76] 뉴스 7 Years after Embassy Seizure, Iran Still Prints U.S. Secrets https://www.nytimes.[...] 1986-07-10
[77] 웹사이트 Secrecy & Government Bulletin, Issue 70 https://fas.org/sgp/[...] 1997-05-29
[78] 웹사이트 Documents from the U.S. Espionage Den https://archive.org/[...] 2001-03-10
[79] 뉴스 If Shah Not Returned, Khomeini Sets Trial for Other Hostages 1979-11-20
[80] 문서 Farber
[81] 웹사이트 American Ambassador Recalls Israeli Assassination Attempt – With U.S. Weapons https://www.wrmea.or[...] Washington Report on Middle East Affairs 2002-11
[82] 뉴스 Black Hostage Reports Abuse https://www.nytimes.[...] 1981-01-27
[83] 문서 Bowden
[84] 문서 Bowden
[85] 문서 Bowden
[86] 문서 Bowden
[87] 문서 Bowden
[88] 문서 Bowden
[89] 문서 Bowden
[90] 문서 Bowden
[91] 문서 Bowden
[92] 문서 Bowden
[93] 문서 Bowden
[94] 문서 Bowden
[95] 문서 Bowden
[96] 문서 Bowden
[97] 문서 Bowden
[98] 뉴스 Russian roulette played with hostages https://news.google.[...] 1981-01-21
[99] 문서 Bowden
[100] 문서 Bowden
[101] 문서 Bowden
[102] 문서 Bowden
[103] 문서 Bowden
[104] 문서 Bowden
[105] 문서 Bowden
[106] 서적 Bowden
[107] 서적 Bowden
[108] 문서 December 1979
[109] 서적 Bowden
[110] 서적 Bowden
[111] 서적 Bowden
[112] 서적 Bowden
[113] 서적 Bowden
[114] 서적 Bowden
[115] 서적 Bowden
[116] 뉴스 Man of the Year: The Mystic Who Lit The Fires of Hatred http://www.time.com/[...] 1980-01-07
[117] 뉴스 Doing Satan's Work in Iran New York Times 1979-11-06
[118] 방송 America Held Hostage/Nightline
[119] 서적 Jimmy Carter: the 39th President, 1977–81 Times
[120] 웹사이트 Inside Iran http://www.newstates[...] 2008-09-11
[121] 서적 Bowden
[122] 웹사이트 Sittings of the House – Special or Unusual Sittings http://www.parl.gc.c[...]
[123] 논문 CIA Goes Hollywood: A Classic Case of Deception https://www.cia.gov/[...] 1999-12-01
[124] 서적 The Master of Disguise: My Secret Life in the CIA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125] 잡지 The Talk of the Town 1980-05-12
[126] 뉴스 The Lives They Lived; Out of the Loop https://www.nytimes.[...] 2002-12-29
[127] 서적 Holloway
[128] 서적 Holloway
[129] 서적 Holloway
[130] 서적 Holloway
[131] 서적 Iranians
[132] 서적
[133] 웹사이트 C-130 Hercules on Aircraft carrier http://www.defenceav[...] Defence Aviation 2007-05-02
[134] 서적 Counterterrorism [2 volumes]: From the Cold War to the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Abc-Clio
[135] 뉴스 Reagan Takes Oath as 40th President; Promises an 'Era of National Renewal' {{snd}}Minutes Later, 52 U.S. Hostages in Iran Fly to Freedom After 444-Day Ordeal https://archive.nyti[...] 1981-01-21
[136] 웹사이트 Iranian Hostages Released – 1981 Year in Review http://www.upi.com/A[...]
[137] 웹사이트 The Republican myth of Ronald Reagan and the Iran hostages, debunked https://www.vox.com/[...] Vox 2016-01-25
[138] 웹사이트 Did Iran Delay Hostages Release To Ensure Reagan's Election? http://www.wrmea.org[...] WRMEA
[139] 뉴스 New Reports Say 1980 Reagan Campaign Tried to Delay Hostage Release https://www.nytimes.[...] 1991-04-15
[140] 뉴스 Former secretary of state Warren Christopher dies at 85 https://www.washingt[...] 2011-03-19
[141] 뉴스 Reagan Takes Oath as 40th President; Promises an 'Era of National Renewal'- Minutes Later, 52 U.S. Hostages in Iran Fly to Freedom After 444-Day Ordeal https://www.nytimes.[...] 2020-08-25
[142] 뉴스 52 Former Hostages Start Readapting in U.S. Air Force Hospital in Germany https://www.nytimes.[...] 1981-01-22
[143] 뉴스 Newburgh, N.Y. Former Hostages Home from Iran, Families Join Them at West Point; President Leads Nation in Thanks https://www.nytimes.[...] 1981-01-26
[144] 뉴스 Hostages' Parade Set a Record, Didn't It? https://www.nytimes.[...] 1981-02-06
[145] 웹사이트 Inside Iran's Fury https://www.smithson[...] 2008-10-26
[146] 서적 Modern Iran: Roots and Results of Revolu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3
[147] 문서 Bakhash
[148] 서적 Reinventing Khomein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149] 문서 Moin
[150] 뉴스 Iran's pro-democracy protesters to Obama: With us or against us? What a difference 30 years makes http://latimesblogs.[...] 2009-11-04
[151] 뉴스 Safe at Home https://www.washingt[...] 2006-01-20
[152] 뉴스 Seeking Damages From Iran, Ex-Marine Must Battle Bush Administration, Too https://www.nytimes.[...] 2002-02-10
[153] 뉴스 Judge Rules Iran Hostages Can't Receive Compensation https://www.nytimes.[...] 2002-04-19
[154] 웹사이트 In pictures: Iran hostage crisis http://news.bbc.co.u[...]
[155] 뉴스 Iranian group seeks British suicide bombers https://www.theguard[...] 2006-04-19
[156] 문서 Later identified as CIA station chief
[157] 뉴스 The Hostages in Danger http://www.time.com/[...] 1979-12-17
[158] 뉴스 444 days in captivity as the world watched http://www.csmonitor[...] 2006-06-27
[159] 웹사이트 A First Tour Like No Other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160] 문서 Only unreleased African-American hostage
[161] 뉴스 Mainer recalls time as hostage in Iran years ago http://bangordailyne[...] 2009-11-05
[162] 문서 Visiting Tehran at time of embassy seizure
[163] 웹사이트 Tehran American School Transcripts http://tasassociatio[...] 2016-09-22
[164] 문서 One of two unreleased female hostages
[165] 뉴스 Jerry Plotkin, 62, Who Spent 444 Days as a Hostage in Iran https://www.nytimes.[...] 1996-06-08
[166] 뉴스 Mohi Sobhani, 70; Held Hostage at U.S. Embassy in Iran in 1980 https://www.latimes.[...]
[167] 뉴스 Nassry Was Political Prisoner In Iran Red Cross Traces Path To Lost Relatives https://www.mcall.co[...] 1993-03-02
[168] 뉴스 Cynthia Dwyer home https://news.google.[...] 1981-02-12
[169] 뉴스 Canon John Coleman https://www.telegrap[...] 2003-08-29
[170] 뉴스 Around the World; Former Iranian Hostage To Get Early Discharge https://query.nytime[...] 1981-07-01
[171] 문서 Bowden
[172] 뉴스 Former American hostages in Iran will receive compensation https://www.cnn.com/[...] 2015-12-25
[173] 뉴스 Americans in Iran hostage crisis to receive compensation – 36 years later https://www.theguard[...] 2015-12-24
[174] 뉴스 Americans held in Iran waited decades for relief. Now they face a new challenge. https://www.washingt[...] 2019-02-23
[175] 뉴스 The History of the October Surprise https://www.smithson[...] 2016-10-11
[176] 서적 Joint report of the Task Force to Investigate Certain Allegations Concerning the Holding of American Hostages by Iran in 1980 ("October Surprise Task Force")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3-01-03
[177] 뉴스 A Four-Decade Secret: One Man's Story of Sabotaging Carter's Re-election https://www.nytimes.[...] 2024-05-29
[178] 간행물 It's All but Settled: The Reagan Campaign Delayed the Release of the Iranian Hostages https://newrepublic.[...] 2023-05-03
[179] 뉴스 'Argo' helps Iran's dictatorship, harms democracy https://www.csmonito[...] 2024-05-29
[180] 간행물 How Trump's Dictator Pals Might Get Him Back to the White House https://newrepublic.[...] 2024-05-29
[181] 웹사이트 The Hugo Keesing Collection on the Gulf Wars https://www.lib.umd.[...] 2019-08-09
[182] 뉴스 O Superman – Laurie Anderson's experimental hit proved to be uncannily prophetic https://ig.ft.com/li[...] 2019-05-13
[182] 서적 Making Things and Drawing Boundaries: Experiments in the Digital Humanities U of Minnesota Press 2020-11-14
[183] 서적 Alternative Rock: Third Ear – The Essential Listening Companion https://books.google[...] Miller Freeman Books
[184] 웹사이트 Timeline of Turkish-Israeli Relations, 1949–2006 https://www.scribd.c[...]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2018-01-08
[185] 웹사이트 Turkey and Israel http://www.smi.uib.n[...] Smi.uib.no 2018-01-08
[186] 서적 昭和55年 写真生活 ダイアプレス 2017
[187] 방송 The Fall of a Shah BBC 2009-02-27
[188] 문서 160 특수작전항공연대와 101 공수사단의 특수작전용 헬기 개발 및 구출계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