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영주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영주권은 특정 국가에서 외국인이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영주권 제도는 국가별로 상이하다. 유럽 연합, 홍콩, 마카오, 일본,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에서 영주권 제도를 운영하며, 각 국가의 법률에 따라 영주권 취득 요건, 종류, 권리와 의무, 상실 조건 등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영주권자는 투표권, 공직 출마, 공공 부문 취업 등 일부 권리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거주 후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민법 - 출입국관리
    출입국 관리는 국가의 안보, 경제 보호, 보건 등을 위해 여권, 비자 발급, 출입국 심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국경을 통제하는 행위이다.
  • 이민법 - 복수국적
    복수국적은 개인이 두 개 이상의 국적을 동시에 가지는 상태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취득이 가능하며, 개인의 권리 확대와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법적, 사회적 논쟁과 우려를 야기하기도 한다.
  • 외국인 - 귀화
    귀화는 한 국가의 국민이 아닌 사람이 그 국가의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발적 또는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국은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귀화를 허용한다.
  • 외국인 - 출입국관리
    출입국 관리는 국가의 안보, 경제 보호, 보건 등을 위해 여권, 비자 발급, 출입국 심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국경을 통제하는 행위이다.
영주권
영주권 정보
정의다른 나라에 외국인으로서 영구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권리.
부여 기준해당 국가의 이민법에 따름.
일반적으로 일정 기간 거주, 투자, 고용 등의 요건 충족 필요.
권리해당 국가에서 영구적으로 거주할 권리.
해당 국가에서 일할 권리.
해당 국가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
해당 국가에서 사회 보장 혜택을 받을 권리 (일부 제한될 수 있음).
의무해당 국가의 법률 준수.
해당 국가의 세금 납부.
시민권과의 차이영주권자는 해당 국가의 국적을 보유하지 않음.
시민권자는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짐.
영주권자는 여권 발급 권한이 없을 수 있음 (시민권자는 여권 발급 권한을 가짐).
영주권 유지 요건영주권은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유지 가능함.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에 일정 기간 이상 거주해야 함.
범죄를 저지르거나 이민법 위반 시 영주권이 박탈될 수 있음.
영주권 카드대부분의 국가에서 영주권자에게 영주권 카드를 발급함.
영주권 카드는 영주권자의 신분을 증명하는 데 사용됨.
발급 기관각 국가의 이민 담당 기관에서 발급함.
한국의 경우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서 발급함.
대한민국 영주권 (F-5 비자)
대상대한민국에 합법적으로 체류 중인 외국인.
일정 요건을 갖춘 외국인 (투자, 고용, 결혼, 재외동포 등).
종류투자 영주권
고용 영주권
결혼 이민 영주권
재외동포 영주권
특별 영주권
자격 요건대한민국에 합법적으로 일정 기간 이상 체류.
한국어 능력 (일정 수준 이상)
소득 요건 충족
범죄 경력 없음
기타 이민법에서 정한 요건 충족.
주요 권리대한민국에서 영구적으로 거주할 권리.
대한민국에서 일할 권리.
대한민국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
대한민국에서 사회 보장 혜택을 받을 권리 (일부 제한될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가입 가능.
주요 의무대한민국 법률 준수.
대한민국 세금 납부.
유지 요건대한민국에서 일정 기간 이상 거주해야 함.
대한민국 법률 위반 시 영주권이 취소될 수 있음.
F-5 비자대한민국의 영주 자격으로 외국인이 받을 수 있는 비자의 종류.
주요 국가별 영주권
미국공식 명칭: 영주권자
일반적으로 그린카드를 발급받음.
캐나다공식 명칭: 영주권자
영주권 카드 발급.
일본공식 명칭: 영주자
재류 카드에 영주권 표기.

2. 영주권 제도를 시행하는 국가

영주권 제도를 시행하는 국가 및 지역은 다음과 같다.



유럽 연합(EU) 회원국들은 모두 영주권 취득 절차를 갖추고 있다.

EU 국가


2. 1. 일반적인 영주권 제도

모든 국가가 영주권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 영주권 취득 권리와 신청 방법은 국가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

모든 유럽 연합 국가는 영주권 취득을 위한 절차를 갖추고 있다. EU 법률에 따라 다른 EU 국가로 이주한 EU 시민은 5년간 거주 후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유럽 연합은 또한 지침 (2003/109/EC)에 따라 장기 거주자 제3국 국민의 영주권을 규정하고 있다. 새로운 접근 방식은 지침을 준수하는 국가의 국경을 넘어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었다.

홍콩마카오의 경우, 두 지역 모두 중국의 특별행정구이므로 자체 시민권 법률이 없으며, "영주민"이라는 용어는 이들 지역에 거주권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중국계 영주민은 중국 국적법에 따라 중국 시민이다.

다른 국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거주 허가와 영주권에 관한 다른 국가와의 관계를 갖고 있다.

2011년 프랑스 여권에 발급된 일본의 ''영주 허가''


다음은 영주권 제도를 가진 국가 및 지역의 일부 예시이다.

국가/지역설명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영주권
캐나다영주민, 이전에는 착륙 이민자로 알려짐
중국이라고 하며, 2004년부터 프로그램이 시작됨[1]
일본永住許可|eijūkyoka|에이쥬쿄카일본어라고 함
대한민국영주권|yeongjugwon|영주권한국어이라고 함
미국영주권[59], 미국의 영주권 및 그 증명서(영주자 카드, , 과거에는 또는 )는, 최초의 증명서가 녹색이었던 것에서 "그린 카드"라는 속칭이 있다.
홍콩시민권과 관계없이 거주권을 통한 영주권
마카오시민권과 관계없이 상주 거주자라고 함


2. 2. 특수한 형태의 영주권 제도

모든 국가가 영주권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며, 각 국가마다 권리와 신청 방법이 다를 수 있다. 홍콩과 마카오는 중국의 특별행정구로 자체 시민권 법률이 없어 "영주민"은 거주권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중국계 영주민은 중국 국적법에 따라 중국 시민이다.

다음은 영주권 제도를 가진 국가 및 지역의 예시이다.

국가/지역설명
중국, 2004년부터 프로그램이 시작됨[1]
홍콩시민권과 관계없이 거주권을 통한 영주권
일본永住許可|eijūkyoka|에이쥬쿄카일본어
마카오시민권과 관계없이 상주 거주자
대한민국영주권|yeongjugwon|영주권한국어



유럽 연합(EU)의 경우, 모든 EU 국가들은 영주권 취득 절차를 갖추고 있다. EU 법률에 따라 다른 EU 국가로 이주한 EU 시민은 5년간 거주 후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EU는 지침 (2003/109/EC)에 따라 장기 거주자 제3국 국민의 영주권을 규정하고 있으며, 지침을 준수하는 국가의 국경을 넘어 권리를 부여한다.

EU 국가설명
오스트리아[3]
프랑스titre de séjour|티트흐 드 세주흐프랑스어의 일부 유형, 예: carte de résident|꺄흐뜨 드 헤지덩프랑스어[12][13]
독일Niederlassungserlaubnis|니덜라숭스에얼라웁니스de[14]
그리스Πράσινη Κάρτα|프라시니 카르타el[15]
스웨덴Permanent Uppehållstillstånd|페르마넨트 우페홀스틸스통sv[27]



이 외에도 다양한 국가들이 영주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전 국민 또는 국적 출신자에게 거주권 및 기타 특정 권리를 부여한다.


  • 인도는 이중 국적을 허용하지 않지만, 전 인도 국민과 인도계 국민은 해외시민권(Overseas Citizen of India, OCI) 카드를 통해 특정 정치직 및 헌법상 직책을 제외하고 인도에서 자유롭게 거주하고 일할 수 있다.
  • 터키는 이중 국적을 허용하며, 터키 국적을 포기한 출생 시 터키 국민과 그들의 후손은 블루 카드(Mavi Kart|마비 카르트tr)를 통해 대부분의 시민권을 회복할 수 있다.


일부 국가들은 여행과 고용 시장 접근(비정부/비군사 관련 업무)을 규제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 EU 국가 시민은 다른 EU 국가와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스위스에서 무기한으로 거주하고 일할 수 있으며, 5년 거주 후 자동으로 영주권을 취득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간의 트랜스 태즈먼 여행 협정(Trans-Tasman Travel Arrangement)에 따라 두 국가의 시민은 상대 국가에서 무기한으로 거주하고 일할 수 있다.
  • 걸프 협력 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CC) 회원국 시민은 다른 회원국에서 거주하고 일할 수 있다.


하지만 투표, 피선거권, 공공 부문 또는 국가 안보 관련 업무는 거의 항상 해당 국가의 시민권이 요구된다.

3. 대한민국의 영주권 제도

골든 비자는 부동산 매입 등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개인에게 발급되는 영주권 비자이다. 1980년대에 시작된 골든 비자는 21세기에 들어와 더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골든 비자는 도미니카의 10만달러부터 영국의 200만 파운드까지 다양한 투자 금액을 요구한다. 골든 비자를 얻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최소 금액 이상의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이다.[40] 키프로스몰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개인에게 “골든 여권”도 제공한다.[41] 소위 “골든 비자” 발급은 여러 국가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42][43]

대한민국의 영주권(F-5) 취득에는 여러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 상세한 내용은 #영주권(F-5) 취득 요건 하위 섹션을 참조.

제주도에는 "부동산 투자 이민 제도"가 있어 5억 (50만달러)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면 F-2 비자를 발급하고, 5년간 부동산을 계속 보유하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2014년경 이 제도를 이용하여 영주권 취득을 목적으로 한 중국인의 부동산 취득이 급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78]

3. 1. 영주권(F-5) 취득 요건

대한민국 영주권(F-5)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74]

  • 소득 요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국민소득의 4배 이상의 소득이 있거나, 7년 이상 거주하여 거주(F-2)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더 거주하고 대한민국 국민 1인당 국민소득 이상의 소득이 있는 외국인.[75][76] 3000만 이상의 재산 관련 증명 서류도 필요하다. 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에 입국한 재한 화교와 그 직계비속, 2002년 4월 18일 이전에 거주 자격을 취득한 한국인 배우자(일본인)는 신원 보증 및 재산 관련 증명 서류 제출이 면제된다.[77]
  • 투자 요건: 200만달러 이상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로서, 대한민국 국민 5명 이상을 고용한 외국인.
  • 투자 및 고용 요건: 50만달러 이상 투자한 외국인으로, 기업투자(D-8) 자격으로 3년 이상 대한민국에 계속 거주하면서 대한민국 국민 3명 이상을 고용한 외국인.
  • 고급 기술 인력: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로, 영주(F-5) 자격 신청 시 국내 기업에 고용되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4배 이상의 임금을 받는 외국인. 또는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분야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또는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자격을 소지한 자로, 대한민국 체류 기간이 3년 이상이며, 영주(F-5) 자격 신청 시 국내 기업에 고용되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4배 이상의 임금을 받는 외국인.
  • 과학 기술, 경영, 교육, 문화예술, 체육 분야:

분야조건추천
과학 기술일정 수준의 논문 인용 횟수나 수상 경력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경영상시 종업원 수 300명 이상 및 자본금 80억을 초과하는 국내외 기업의 상근 이사 또는 고문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 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세계적인 경제지(FORTUNE 등)가 선정한 최근 3년 이내 세계 500대 기업에서 지점장이나 경영 간부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중, 대한민국 국내 지사 등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는 외국인(해당 없음)
교육논문 인용 정도 또는 연구 실적교육부 장관
문화예술국제적으로 명성이 있는 예술가, 감독, 성악가 등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체육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의 대회에서 동메달 이상을 수상한 선수와 그 지도자, 월드컵 축구 대회에서 16강 이상의 성적을 거둔 선수와 그 지도자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대한민국 발전 기여: 훈장 등을 받은 대한민국의 독립 또는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자로 법무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 사회 공헌: 성직자로서 사회복지 활동에 현저히 기여하고 대한민국에 특별한 공헌이 있다고 법무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 고령자 연금 수령: 대한민국 국외에서 연금을 받는 60세 이상으로, 연간 연금액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2배를 초과하는 외국인.
  • 장기 체류자: 대한민국 민법에 의한 성인으로, 생활 유지 능력, 소행, 대한민국 거주에 필요한 기본 소양 등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조건을 충족하고, 주재(D-7), 기업투자(D-8), 무역경영(D-9), 교수(E-1), 회화지도(E-2), 연구(E-3), 기술지도(E-4), 전문직(E-5), 특정활동(E-7), 거주(F-2) 자격으로 5년 이상 대한민국에 체류한 외국인.
  • 영주권자 가족: 영주(F-5) 자격을 가진 자의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로, 대한민국에 2년 이상 체류하고 대한민국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외국인.


제주도에는 "부동산 투자 이민 제도"가 있어 50만달러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면 F-2 비자를 발급하고, 5년간 부동산을 계속 보유하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2014년경 이 제도를 이용해 영주권 취득을 목적으로 한 중국인의 부동산 취득이 급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78]

3. 2. 영주권자의 권리와 의무

국가에 따라 영주권자는 일반적으로 시민과 거의 동등한 권리를 가지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을 수 있다.

  • 선거권 및 공직 출마 제한: 일부 국가에서는 영주권자에게 투표권이나 공직 출마 자격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영국의 영연방 시민이나 뉴질랜드에서는 투표가 허용되기도 하며, 홍콩마카오는 국적과 관계없이 영주권자에게 투표를 허용한다. 유럽 연합 시민이 다른 EU 회원국에 영주하는 경우 지방 및 유럽 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예외도 있다.[46]
  • 공공 부문 취업 제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영주권자는 공공 부문에 취업하는 데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캐나다뉴질랜드는 이를 허용하며, 브라질포르투갈 등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국가 시민권을 소지한 영주권자에게만 공공 부문 취업을 허용한다.[46]
  • 국가 안보 관련 직업 제한: 일반적으로 영주권자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직업에 지원할 수 없다.
  • 병역 의무: 싱가포르에서는 18세 미만에 영주권을 받은 남성 영주권자는 병역을 이행해야 한다. 다만, 대부분의 1세대 남성은 면제된다.[49] 미국은 징병제를 통해 18세에서 26세 사이의 모든 남성 시민과 영주권자에게 군 복무 등록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는 불법 체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50]
  • 부동산 소유 제한: 특정 유형의 부동산을 소유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여권 및 영사 보호 제한: 해당 국가의 여권을 발급받지 못하거나 영사 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 등 일부 국가는 영사 보호를 허용한다.[47][48]
  • 시민권 신청: 특정 거주 기간을 충족하면 시민권 신청 자격이 주어질 수 있다.


영주권자는 영주권 유지를 위해 특정 거주 의무를 이행해야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특정 유형의 고용 또는 사업 유지를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영주권자는 세금과 관련하여 시민과 동일한 의무를 진다.

대한민국(韓國)의 영주권(F-5) 취득 조건은 다음과 같다.[74]

구분상세 조건
소득 요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국민소득의 4배 이상 소득이 있는 외국인[75][76]
투자 요건200만달러 이상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로서, 대한민국 국민 5명 이상 고용
투자 및 고용 요건500000USD 이상 투자한 외국인으로, 기업투자(D-8) 자격으로 3년 이상 대한민국에 계속 거주하면서 대한민국 국민 3명 이상 고용
고급 기술 인력*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로, 국내 기업에 고용되어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4배) 이상 임금 수령
과학 기술 분야과학 분야에서 일정 수준의 논문 인용 횟수나 수상 경력이 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경영 분야* 상시 종업원 수 300명 이상 및 자본금 8000000000KRW을 초과하는 국내외 기업의 상근 이사 또는 고문으로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 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의 추천
교육 분야논문 인용 정도 또는 연구 실적에 따라 교육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문화예술 분야국제적으로 명성이 있는 예술가, 감독, 성악가 등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체육 분야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의 대회에서 동메달 이상을 수상한 선수와 그 지도자, 월드컵 축구 대회에서 16강 이상의 성적을 거둔 선수와 그 지도자 중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대한민국 발전 기여훈장 등을 받은 대한민국의 독립 또는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자로 법무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사회 공헌성직자로서 사회복지 활동에 현저히 기여하고 대한민국에 특별한 공헌이 있다고 법무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고령자 연금 수령대한민국 국외에서 연금을 받는 60세 이상으로, 연간 연금액이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2배)을 초과하는 외국인
장기 체류자대한민국 민법에 의한 성인으로 본인 또는 동반 가족이 생활을 유지할 능력이 있고, 소행에 문제가 없으며, 대한민국에 계속 거주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등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조건을 충족한 자로, 주재(D-7), 기업투자(D-8), 무역경영(D-9), 교수(E-1), 회화지도(E-2), 연구(E-3), 기술지도(E-4), 전문직(E-5), 특정활동(E-7), 거주(F-2) 자격으로 5년 이상 대한민국에 체류한 외국인
영주권자 가족영주(F-5) 자격을 가진 자의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로, 대한민국에 2년 이상 체류하고 대한민국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외국인



제주도에는 "부동산 투자 이민 제도"를 통해 500000000KRW 또는 500000USD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면 F-2 비자를 발급하고, 5년간 부동산을 계속 보유하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2014년경 이 제도를 이용한 중국인의 부동산 취득 급증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다.[78]

3. 3. 영주권 제도의 한계

영주권자는 일반적으로 시민과 거의 동등한 권리를 가지지만, 몇 가지 제한이 따른다.

  • 선거권 및 공직 출마 제한: 영주권자는 투표권이 없을 수 있으며, 공직에 출마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일부 국가(영국, 뉴질랜드, 홍콩, 마카오 등)에서는 예외적으로 투표를 허용하기도 한다. 유럽 연합(EU) 내에서는 다른 EU 회원국에 영주하는 경우 지방 및 유럽 선거 출마가 가능하다.
  • 공공 부문 취업 제한: 대부분의 경우 공공 부문에 취업할 수 없지만, 캐나다와 뉴질랜드 등 일부 국가에서는 허용한다. 브라질과 포르투갈 같은 국가에서는 특정 국가 시민권을 소지한 영주권자에게만 공공 부문 취업을 허용하기도 한다.[46]
  • 국가 안보 관련 직업 제한: 일반적으로 국가 안보와 관련된 직업에는 지원할 수 없다. 싱가포르에서는 18세 미만으로 영주권을 받은 남성은 병역 의무를 이행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1세대 남성은 면제된다.
  • 특정 유형 부동산 소유 제한: 특정 유형의 부동산을 소유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 여권 및 영사 보호 제한: 해당 국가의 여권을 발급받지 못하며, 영사 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다. 다만, 호주 등 일부 국가에서는 영사 보호를 허용하기도 한다.[47][48]
  • 거주 의무: 영주권자는 영주권 유지를 위해 특정 거주 의무를 이행해야 할 수 있으며, 특정 유형의 고용 또는 사업 유지를 조건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 병역 의무: 많은 국가에서 시민에게 병역을 의무화하며, 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는 이를 영주권자에게까지 확대한다. 싱가포르에서는 대부분의 1세대 영주권자는 면제되지만, 그들의 아들은 병역 의무를 진다.[49]
  • 미국의 징병제: 미국은 징병제를 통해 18세에서 26세 사이의 모든 남성 시민과 영주권자에게 군 복무 등록을 의무화하며, 이는 불법 체류자에게도 이론적으로 적용된다.[50]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시민권 신청이 거부되거나 방해받을 수 있다.
  • 세금 의무: 영주권자는 세금과 관련하여 시민과 동일한 의무를 진다.


대한민국(韓国)의 경우, 영주권(F-5) 취득을 위해서는 소득, 투자, 고급 기술 인력, 과학 기술, 경영, 교육, 문화예술, 체육, 대한민국 발전 기여, 사회 공헌, 고령자 연금 수령, 장기 체류, 영주권자 가족 등의 다양한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74]

제주도에는 "부동산 투자 이민 제도"가 있어, 5억원 또는 50만달러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면 F-2 비자를 받고, 5년 후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2014년경 이 제도를 악용한 중국인의 부동산 취득 급증으로 문제가 되기도 했다.[78]

4. 영주권 상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영주권을 상실할 수 있다.


  • 특별한 이유 없이 장기간(재입국 허가 없이 1년 이상) 미국을 떠나 미국 거주 실태 및 의지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71]
  • 재입국 허가(I-131)를 신청한 경우, 최장 허가증 발급일로부터 2년간은 해외 체류가 가능하지만 연장은 불가능하다(유효기간 만료 후 재신청은 가능). I-131의 유효기간을 초과하여 해외 체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거주 실태 및 의지가 없다고 판단된다.[71]
  • 소득세 신고를 게을리한 경우[71]
  • 중죄를 저질러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71]

5. 영주권과 시민권 (귀화)

일반적으로 영주권자는 해당 국가에서 일정 기간(보통 5년) 영주권 생활 후 귀화를 통해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다. 이중/복수 국적은 허용될 수도 있고 허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많은 국가에서 귀화 신청은 인격적 결함을 이유로 거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 국가에 거주(비거주자로서)할 수는 있지만 시민이 되지는 못하는 경우가 있다. 미국에서는 시민권 취득을 위한 거주 요건이 일반적으로 5년이지만, 미국 시민과 3년 이상 결혼한 영주권자는 3년 만에 신청할 수 있다. 군 복무를 한 사람은 1년 후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신속 처리 자격을 얻거나, 거주 요건 없이도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다.[51]

다음 국가들 간에는 완전한 영주권이 자동으로 부여된다.



어떤 경우(예: 유럽 연합 회원국)에는 참여 국가의 시민들이 서로의 국가에서 자유롭게 거주하고 일할 수 있지만, 영주권자와 완전히 동등한 지위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트랜스 태즈먼 여행 협정에 따라 호주뉴질랜드는 서로의 시민에게 각 국가에 영구 거주하고 일할 권리를 부여한다. 하지만, 이 협정(소위 특별 카테고리 비자)에 따라 호주에 거주하는 뉴질랜드인의 권리와 자격은 호주 영주권자의 권리와 자격보다 다소 부족하다. 특히 실업 급여 및 유사한 혜택 측면에서 그렇다.

미국 연방 정부가 발행하는 미국의 영주권 및 그 증명서(영주자 카드)는, 최초의 증명서가 녹색이었던 것에서 "그린 카드"라는 속칭이 있다.

영주자 카드(그린 카드)의 갱신은 10년마다 이루어진다(영주권에 대해 재심사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단, 신혼을 기반으로 한 그린 카드는 2년의 유효기간이 있으며, 만료 시 10년 그린 카드로 전환해야 한다.[71] 영주권 취득 5년 후(미국 시민과 결혼한 경우 3년 후, 미국군에 지원·입영한 경우 2년 후)부터 귀화(미국 시민권 취득) 신청이 가능하다.[72]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영주권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잃을 수 있다(시민권은 허위 신고·불이익한 사실의 은폐로 귀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박탈되지 않는다).
  • 특별한 이유 없이 장기간(재입국 허가 없이 1년 이상) 미국을 떠나 미국 거주 실태 및 의지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 재입국 허가(I-131)를 신청한 경우, 최장 허가증 발급일로부터 2년간은 해외 체류가 가능하지만 연장은 불가능하므로(유효기간 만료 후 재신청은 가능), I-131의 유효기간을 초과하여 해외 체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거주 실태 및 의지가 없다고 판단된다.
  • 소득세 신고를 게을리한 경우
  • 중죄를 저질러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 공무원 및 보안 자격을 요하는 직업에 취업하는 데 제한이 있다.
  • 연방, 주, 군, 시·군·구 어느 레벨에서든 참정권(선거권·피선거권)이 없다. 다만, 극히 일부 시·군·구에서는 선거권을, 일부 학군에서는 자녀가 있는 외국인에게 교육 위원 선거의 선거권·피선거권을 인정하고 있다.
  • 배심원이 될 수 없다.
  • 장기 체류 자격을 가진 모든 미국 체류 외국인은 주소 변경을 시민 이민국(USCIS)에 신고해야 한다.
  • 배우자 간의 증여세 및 상속세 처리에 차이가 있다(양쪽 모두 미국 시민인 경우 비과세).
  • 병역(현재는 징병 제도 중단 중)을 거부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시민권 취득 심사를 받을 수 없다.


대한민국의 영주권(F-5) 취득에는 다음과 같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74]

  • 소득 요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국민소득의 4배 이상의 소득이 있는 외국인, 또는 7년 이상 거주하여 거주(F-2)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더 거주하고 대한민국 국민 1인당 국민소득 이상의 소득이 있는 외국인.[75][76] 3000만 이상의 재산 관계 증명 서류도 요구되며, 이를 제출할 수 있는 외국인. 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에 입국한 재한 화교와 그 직계비속, 그리고 2002년 4월 18일 이전에 거주 자격을 취득한 한국인 배우자(일본인)는 신원 보증 및 재산 관계 증명 서류 제출이 면제된다.[77]
  • 투자 요건: 200만달러 이상 투자한 외국인 투자자로서, 대한민국 국민 5명 이상을 고용한 외국인.
  • 투자 및 고용 요건: 50만달러 이상 투자한 외국인으로, 기업투자(D-8) 자격으로 3년 이상 대한민국에 계속 거주하면서 대한민국 국민 3명 이상을 고용한 외국인.
  • 고급 기술 인력: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로, 영주(F-5) 자격 신청 시 국내 기업에 고용되어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4배) 이상의 임금을 받는 외국인.
  • 고급 기술 인력: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분야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또는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첨단 기술 자격을 소지한 자로, 대한민국 체류 기간이 3년 이상이며, 영주(F-5) 자격 신청 시 국내 기업에 고용되어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4배) 이상의 임금을 받는 외국인.
  • 과학 기술 분야: 과학 분야에서 일정 수준의 논문 인용 횟수나 수상 경력이 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 경영 분야: 상시 종업원 수 300명 이상 및 자본금 80억을 초과하는 국내외 기업의 상근 이사 또는 고문으로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 또는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또는 세계적인 경제지(FORTUNE 등)가 선정한 최근 3년 이내 세계 500대 기업에서 지점장이나 경영 간부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중, 대한민국 국내 지사 등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는 외국인.
  • 교육 분야: 논문 인용 정도 또는 연구 실적에 따라 교육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 문화예술 분야: 국제적으로 명성이 있는 예술가, 감독, 성악가 등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 체육 분야: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의 대회에서 동메달 이상을 수상한 선수와 그 지도자, 월드컵 축구 대회에서 16강 이상의 성적을 거둔 선수와 그 지도자 중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추천을 받은 외국인.
  • 대한민국 발전 기여: 훈장 등을 받은 대한민국의 독립 또는 발전에 특별히 공로가 있는 자로 법무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 사회 공헌: 성직자로서 사회복지 활동에 현저히 기여하고 대한민국에 특별한 공헌이 있다고 법무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인.
  • 고령자 연금 수령: 대한민국 국외에서 연금을 받는 60세 이상으로, 연간 연금액이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대한민국 국민 1인당 GNI의 2배)을 초과하는 외국인.
  • 장기 체류자: 대한민국 민법에 의한 성인으로 본인 또는 동반 가족이 생활을 유지할 능력이 있고, 소행에 문제가 없으며, 대한민국에 계속 거주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등 법무부 장관이 정하는 조건을 충족한 자로, 주재(D-7), 기업투자(D-8), 무역경영(D-9), 교수(E-1), 회화지도(E-2), 연구(E-3), 기술지도(E-4), 전문직(E-5), 특정활동(E-7), 거주(F-2) 자격으로 5년 이상 대한민국에 체류한 외국인.
  • 영주권자 가족: 영주(F-5) 자격을 가진 자의 배우자나 미성년 자녀로, 대한민국에 2년 이상 체류하고 대한민국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외국인.


이 외에도 제주도 특유의 제도로 "부동산 투자 이민 제도"가 있어 5억 또는 50만달러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면 F-2 비자를 발급하고, 이후 5년간 부동산을 계속 보유하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2014년경에는 이 제도를 이용하여 영주권 취득을 목적으로 한 중국인의 부동산 취득이 급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78]

참조

[1] 웹아카이브 Unofficial translation of the “Administrative Measures for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Permanently in China” http://lawandborder.[...] 2013-08-07
[2] 웹사이트 Sedula Curaçao https://www.vergunni[...] 2020-04-29
[3] 웹사이트 Settlement of Austria https://www.bmi.gv.a[...]
[4] 웹사이트 Belgian Immigration Office: Right of permanent residence https://dofi.ibz.be/[...]
[5] 웹사이트 Cyprus permanent residency Andreas Demetriades & Co LLC https://www.demetria[...]
[6] 웹사이트 Cyprus permanent residency GEORGE K. KONSTANTINOU LAW FIRM https://gk-lawfirm.c[...]
[7]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ce: Czech Ministry of the Interior https://www.mvcr.cz/[...]
[8] 웹사이트 New to Denmark: You want to apply for a permanent residence permit https://www.nyidanma[...]
[9] 웹사이트 Estonia: Right of residence and residence permit for foreign nationals https://www.eesti.ee[...]
[10] 웹사이트 Finnish Immigration Service: Fact Sheet:Redidence permit for Finland Other than EU/EAA citizen (pdf) http://www.migri.fi/[...]
[11] 웹사이트 EU residence permit (P-EU) https://migri.fi/en/[...]
[12] 웹사이트 Étranger en France : carte de résident de 10 ans http://vosdroits.ser[...] 2010-02-15
[13] 웹사이트 Welcome to France: Resident card https://www.welcomet[...]
[14] 웹사이트 Settling in Germany https://www.bamf.de/[...]
[15] 웹사이트 Greek Visas and Residency Permits for U.S. Citizens https://gr.usembassy[...]
[16] 웹사이트 Residence Permits Embassy of Hungary in Washington https://washington.m[...]
[17] 웹사이트 Residency and Citizenship https://www.citizens[...]
[18] 웹사이트 How to Obtain Permanent Residence in Italy: Lexia Avvocati https://immigration-[...]
[19] 웹사이트 Office of Citizenship and Migration Affairs https://www.pmlp.gov[...]
[20]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ce Permit https://www.renkuosi[...]
[21] 웹사이트 Wanneer heb ik recht op een verblijfsvergunning voor onbepaalde tijd? http://www.consilium[...]
[22] 웹사이트 Pobyt stały- małżonek obywatela polskiego https://www.gov.pl/w[...]
[23] 웹사이트 EGovernment Portugal: Residency for non EU Citizens https://eportugal.go[...]
[24] 웹사이트 Permisul de sedere https://www.euraxess[...]
[25] 웹사이트 Slovenia: Entry and Residence https://www.gov.si/e[...]
[26]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ce (more than five years) https://administraci[...]
[27] 웹사이트 Kunskapskrav för permanent uppehållstillstånd https://www.regering[...]
[28]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ce permit https://island.is/en[...]
[29] 웹사이트 Permanent Residency Status to Foreign Investors Embassy of India- Seoul https://www.indembas[...]
[30] 웹사이트 Residence Permit http://www.mfa.gov.i[...] 2009-12-16
[31] 웹사이트 United States Embassy: Nicaraguan Immigration Laws https://ni.usembassy[...]
[32] 웹사이트 Want to apply: Permanent residence – UDI http://www.udi.no/te[...]
[33] 웹사이트 Dirección Nacional de Migración y Naturalización http://www.migracion[...] 2007-01-02
[3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igemin.g[...] 2022-01-14
[35] 웹사이트 Qatar Ministry of the Interior: Permanent Residency https://portal.moi.g[...]
[36] 웹사이트 中華民國內政部移民署全球資訊網 NATIONAL IMMIGRATION AGENCY http://www.immigrati[...]
[37] 웹사이트 Permit C (settlement permit) – Federal Office for Migration http://www.bfm.admin[...]
[38] 웹사이트 Ministry of National Security – Immigration Division https://nationalsecu[...]
[39] 웹사이트 Live permanently in the UK https://www.gov.uk/b[...]
[40] 웹사이트 Want To Live In Europe? "Buy" A Residency Permit https://www.forbes.c[...] 2016-12-21
[41] 뉴스 Where is the cheapest place to buy citizenship? https://www.bbc.com/[...] 2023-08-11
[42] 뉴스 Canada kills investor visa popular with Chinese https://money.cnn.co[...] CNN 2014-03-25
[43] 뉴스 Buying their way in https://www.economis[...] 2021-07-29
[4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itizenship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45] 뉴스 Malta’s golden passport scheme draws fresh criticism https://www.ft.com/c[...] 2023-08-11
[46] 웹사이트 D70391 http://www.planalto.[...] 2016-12-21
[47] 웹사이트 Consular Services Charter | Smartraveller: The Australian Government's travel advisory and consular assistance service http://www.smartrave[...] 2011-11-27
[48] 웹사이트 Embassies | New Zeal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http://www.nzembassy[...] 2016-12-21
[49] 웹사이트 Singapore Permanent Residency http://www.expatexpe[...] 2015-02-15
[50] 웹사이트 Selective Service Systems > Home http://www.sss.gov/Q[...] 2016-12-21
[51] 웹아카이브 General Naturalization Requirements https://www.uscis.go[...] 2016-03-07
[52] 웹사이트 El Registro Nacional de las Personas (RENAPER) eliminará el sello "extranjero" del DNI http://folweb.com.ar[...] 2022-06-04
[53] PDF (Title not specified in the input) https://www.argentin[...]
[54] 웹사이트 Check visa details and conditions https://www.homeaffa[...]
[55] 웹사이트 LISSA Permanent Residence Permit - Legal Migration Services https://web.archive.[...] 2013-09-01
[56] 웹사이트 UK Border Agency - Settling in the UK https://web.archive.[...] Home Office 2014-03-07
[57] 웹사이트 nb Waiouru: No need to hide http://www.narrowboa[...] Thomas Everard Jones 2014-03-07
[58] 웹사이트 Green Card https://www.uscis.go[...] United States Citizenship and Immigration Services (USCIS) 2018-02-22
[59] 웹사이트 Lawful Permanent Residents (LPR) https://www.dhs.gov/[...] U.S. Dept. of Homeland Security (DHS) 2018-10-02
[60] 웹사이트 Apply to the EU Settlement Scheme (settled and pre-settled status) https://www.gov.uk/s[...] UK Government 2019-11-02
[61] 웹사이트 Maintaining Permanent Resident Status https://jp.usembassy[...] 2024-05-15
[62] 웹사이트 Understand PR Status https://www.canada.c[...] 2017-12-13
[63] 웹사이트 米国永住者 https://jp.usembassy[...] 2024-05-15
[64] 웹사이트 永住資格の維持 https://jp.usembassy[...] 2024-05-20
[65] 웹사이트 Maintaining Permanent Resident Status https://jp.usembassy[...] 2024-05-20
[66] 서적 アメリカ国籍取得テストでアメリカの一般教養と英語を学ぶ - p10 2023
[67] 서적 移住者たちのリアルな声でつくった 海外暮らし最強ナビ【ヨーロッパ編】 2021
[68] 웹사이트 永住許可(入管法第22条) - 入国管理局ホームページ http://www.immi-moj.[...]
[69] 웹사이트 永住資格(えいじゅうしかく)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15
[70] 웹사이트 永住許可(入管法第22条) 出入国在留管理庁 https://www.moj.go.j[...] 2024-05-15
[71] 웹사이트 アメリカ人との国際結婚を通しての移住 – Law Office of D. J. Jones PLLC https://djjon.es/?p=[...] 2021-08-31
[72] 웹사이트 アメリカ市民権の申請・取得の流れと方法 https://www.us-light[...] 2021-08-31
[73] 웹사이트 Green Card (Permanent Residence) http://www.uscis.gov[...]
[74] 웹사이트 永住(F-5) http://www.immigrati[...] 2010-03-13
[75] 뉴스 지방선거…외국인 투표는 '화교'만 해라? http://www.pressian.[...] PRESSian 2006-05-19
[76] 뉴스 6月の韓国統一地方選、外国人1万1680人が投票 http://news.onekorea[...] 統一日報 2010-03-10
[77] 웹사이트 영주(F-5) — 국민 또는 영주(F-5)자격을 가진 자의 배우자 등 http://www.immigrati[...] 2007-02-22
[78] 뉴스 中国人が済州都心のモーテルやマンションまで買い占め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4-10-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