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있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이다. 1986년 9월 6일에 청사가 준공되었으며, 같은 날 대사관이 설립되었다. 2017년에는 북한 방문객을 위한 호텔을 건설하여 2018년 초에 완공된 것으로 알려졌다. 역대 주중 북한 대사들은 북중 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으며, 이주연, 권오직, 최일, 리영호, 박세창, 현준극, 전명수, 신인하, 주창준, 최진수, 최병관, 지재룡, 리룡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 공관 -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러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러시아에 주재하는 북한의 외교 공관으로, 주영하, 이상조, 리신팔, 김충원, 정두환, 염태준, 권희경, 김재봉, 손성필, 박의춘, 김영재, 김형준, 신홍철 등의 역대 대사들이 북소 및 북러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교 활동에 참여했다.
  • 베이징 주재 공관 -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주재하며, 1992년 한중 수교와 함께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 역대 공관장과 관련 사건들이 존재한다.
  • 베이징 주재 공관 - 주중국 키프로스 대사관
    주중국 키프로스 대사관은 키프로스 공화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위해 베이징에 설치한 대사관으로, 1971년 양국 수교 후 1981년 정식 개관하여 베이징시 차오양구 량마허난루에 위치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조중 변계 조약
    조중 변계 조약은 1962년 북한과 중국이 6.25 전쟁 이후 국경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백두산 천지의 경계를 획정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의 귀속을 결정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 - 고구려 역사 논쟁
    고구려 역사 논쟁은 고구려의 역사를 두고 중국, 한국, 북한 등 주변 국가 간에 벌어지는 해석상의 갈등이며, 영토 주권, 민족 정체성, 역사적 정통성과 관련되어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주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이징에 설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전경
베이징에 설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전경
현지어 이름朝鲜民主主义人民共和国驻中华人民共和国大使馆 / 朝鲜驻华大使馆 (Cháoxiǎn Mínzhǔ Zhǔyì Rénmín Gònghéguó zhù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Dàshǐguǎn / Cháoxiǎn zhù Huá Dàshǐguǎn)
다른 이름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조선 주화 대사관
위치차오양구, 베이징
주소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차오양구 리탄베이루 11
외교 관계
개관일1986년 9월 6일
대사리룡남
관할중화인민공화국
상급 기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2. 역사

대사관은 1986년 9월 6일에 설립되어 현재의 청사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9][4]

2. 1. 대사관 시설 확장

2017년 NK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대사관북한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한 호텔을 건설하고 있다고 한다.[7][2] 이 호텔은 2018년 초에 거의 완공된 것으로 알려졌다.[10][5]

3. 역대 주중 북한대사

역대 주중 북한대사들은 북중 관계의 발전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3. 1. 역대 대사 목록

대수이름임기
1이주연초대
2권오직2대
3최일3대
4리영호4대
5박세창5대
6현준극6대
7전명수[11]7대
8신인하8대
9주창준[12]9대
10최진수[13]10대
11최병관[14]11대
12지재룡12대
13리룡남13대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 웹사이트 North Korean embassy in Beijing building "hotel" for visiting citizens https://www.nknews.o[...] 2019-08-07
[3] 웹사이트 Could North Korea's criminal embassies endanger the regime? https://apnews.com/c[...] 2019-08-07
[4] 웹사이트 Embassy of North Korea in China, Beijing https://www.travelch[...] 2019-08-07
[5] 웹사이트 N. Korean embassy "hotel" nears completion in Beijing, pictures show https://www.nknews.o[...] 2019-08-07
[6] 웹인용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7] 웹인용 North Korean embassy in Beijing building "hotel" for visiting citizens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s://www.nknews.o[...] 2019-08-07
[8] 웹인용 Could North Korea's criminal embassies endanger the regime? https://apnews.com/c[...] 2019-08-07
[9] 웹인용 Embassy of North Korea in China, Beijing https://www.travelch[...] 2019-08-07
[10] 웹인용 N. Korean embassy "hotel" nears completion in Beijing, pictures show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s://www.nknews.o[...] 2019-08-07
[11] 웹인용 북한에도 거대 자산가 출현? https://www.busan.co[...] 2024-05-11
[12] 웹인용 최장수 중국 주재 前 북한 대사 주창준 사망 https://news.sbs.co.[...] 2024-05-11
[13] 웹인용 최병관 주중북한대사 전격 교체, 새판짜기 나서나 https://news.sbs.co.[...] 2024-05-11
[14] 웹인용 “주중 북한 대사에 최병관 전 영사국장” https://news.kbs.co.[...] 2024-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