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재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재룡은 김일성종합대학 외국어문학부를 졸업하고, 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다. 1982년 체코슬로바키아 대사, 1986년 유고슬라비아 대사를 거쳐 1993년부터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을 지냈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북한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했으며, 2021년 대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귀국하지 못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지재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씨명 | 지재룡 |
한글 표기 | 지재룡 |
로마자 표기 | Ji Jaeryong |
한자 표기 | 池在龍 |
출생일 | 1942년 5월 10일 |
출생지 | 함경남도 |
정당 | 조선로동당 |
출신 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
공직 정보 | |
직책 | 주재 체코슬로바키아 대사 |
임기 시작 | 1982년 |
임기 종료 | 1986년 |
전임 | 김광섭 |
직책 | 주재 중국 대사 |
임기 시작 | 2010년 |
임기 종료 | 2021년 |
전임 | 최병관 |
후임 | 리룡남 |
기타 정보 |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학력 | 김일성종합대학 |
수상 | 김일성훈장 |
2. 생애
지재룡은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를 역임했다.[2]
2. 1. 초기 생애 및 정치 경력
김일성종합대학 외국어문학부를 졸업했다. 1972년 12월, 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현 김일성-김정일주의청년동맹)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4년부터 1981년 1월까지 사회주의청년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위원장을 역임했다. 1977년 12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9년 7월 이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다.[1]2. 2. 외교 경력
1982년 10월, 주 체코슬로바키아 대사를 역임했다.[2] 1986년 9월, 주 유고슬라비아 대사로 전임되었다.[2] 1993년부터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을 역임하며 공산권 국가와의 "당 대 당" 외교를 담당했다.[2] 장성택과 가까웠으며, 2004년 장성택이 "분파 행위"를 이유로 직무 정지 처분을 받았을 때 함께 지방으로 좌천되었다.[2] 그러나 2006년에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으로 복귀했다.[2] 2010년 10월, 주중국 대사로 베이징에 부임했으며, 2013년 12월 장성택 숙청 당시 장성택의 추천으로 대사가 되었기에 연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4년 3월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2]2020년 1월 18일, 북한의 각국 대사들이 일제히 본국으로 귀국했으며, 지재룡도 베이징에서 항공편으로 북한으로 돌아갔다.[2]
2021년 2월, 주중국 대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국경 폐쇄 때문에 본국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있다.[2]
2. 3. 장성택과의 관계 및 복권
장성택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다.[1] 2004년 장성택이 "분파 행위"를 이유로 직무 정지 처분을 받았을 때 함께 지방으로 좌천되었다.[1] 2006년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부장으로 복귀했다.[1] 2002년 4월 김일성 훈장을 수상했다.[1]2. 4. 주중국 대사
2010년 9월, 제3차 조선로동당 대표자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2] 2010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특명전권대사로 베이징에 부임했다. 2013년 12월 장성택 숙청 당시 장성택의 추천으로 대사가 되었기에 연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4년 3월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대의원으로 선출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2]2020년 1월 18일, 북한의 각국 대사들이 일제히 본국으로 귀국할 때 지재룡도 베이징에서 항공편으로 북한으로 돌아갔다.[2]
2021년 2월, 주중국 대사직에서 해임되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국경 폐쇄 때문에 본국으로 귀국하지 못하고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北朝鮮の各国大使ら一斉に平壌へ 今後の外交方針協議か
https://www.fnn.jp/p[...]
FNN
2020-01-19
[2]
웹인용
북한인물 - 지재룡
https://web.archive.[...]
북한자료센터
201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