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49년 5월 1일 영국령 홍콩에 개설된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 공관 중 하나이다. 1949년 11월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 홍콩과 마카오를 관할했다. 1980년대에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 과정에서 중요한 소통 채널 역할을 수행했고,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도 총영사관 유지를 위한 협정을 체결하여 홍콩에 계속 주재하고 있다. 2009년 문화관 개관과 공관 개관 60주년 기념 행사를 가졌으며, 2014년에는 한국 자료실을 개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중 - 감중역
감중역은 1980년 췬완선 개통과 함께 운영을 시작하여 현재 홍콩섬 북부와 중국 대륙을 잇는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하는, 지하 6층 규모의 환승역이다. - 홍콩 주재 공관 - 주홍콩 일본 총영사관
주홍콩 일본 총영사관은 홍콩에 위치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요시다 켄이치가 총영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센트럴 역과 애드미럴티 역 인근의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홍콩 주재 공관 -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홍콩과 대만 간 경제·문화 교류 증진 및 홍콩, 마카오 거주 중화민국 국민의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명칭 변경, 외교관 철수, 사무실 이전 등 양안 관계 변화와 관련된 사건들을 겪었으며 문화 행사 개최, 영사 서비스 제공, 경제·무역 관계 증진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홍콩 관계 - 수지 김 사건
수지 김 사건은 1987년 홍콩에서 발생한 김옥분 살해 사건으로, 남편 윤태식이 아내를 살해 후 북한 공작원에게 납치됐다고 주장했으나, 이는 안기부의 은폐 시도와 5공 정권의 정치적 목적이 결합되어 '북한 여간첩 사건'으로 조작된 사건이다. - 대한민국-홍콩 관계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대한민국에 설치한 공식 대표 기관으로, 홍콩과 한국 간의 경제, 무역, 투자 관계 증진 및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한다.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애드미럴티 |
주소 | 16 Harcourt Road, Far East Finance Center 5-6F |
웹사이트 |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웹사이트 |
좌표 | 22°16′48.7″N 114°09′50.4″E |
한국어 명칭 |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
한자 명칭 | 大韓民國駐香港總領事館 |
로마자 표기 | Ju Hongkong Daehanminguk Chongyeongsagwan |
주요 업무 | 홍콩 및 마카오 지역의 대한민국 재외공관 업무 |
외교 관계 | |
상위 기관 | 대한민국 외교부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
관할 지역 | |
총영사 | 김원진 |
역사 | |
설립일 | 1949년 5월 1일 |
2. 연혁
1949년 5월 1일 영국령 홍콩에 영사관이 개설되었다.[19] 이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의 최초 해외 공관 5곳 중 하나였다.[3] 1949년 2월 8일, 영국 정부는 대한민국 외교부에 영사관 설립을 승인하는 서한을 보냈으며,[5] 당시 외무부 조사국장이었던 차경찬이 초대 홍콩 총영사로 임명되어 4월 9일 비행기로 부임했다.[4] 같은 해 11월 29일, 영사관은 총영사관으로 승격되었으며,[19][6] 중화민국 주재 한국 대사관의 참사관이었던 이정방이 한국 외교부의 임명으로 초대 총영사가 되었다.[7] 총영사관은 홍콩과 마카오를 관할했으며,[8] 영국 식민지 시대 동안 여러 차례 이전을 거쳤다.[9][10][11]
주 홍콩 대한민국 공관의 역대 공관장은 다음과 같다.[19]
1980년대에는 중국민항 296편 납치 사건(1983년)과 중국 해군 어뢰정 3213호의 한국 귀순 사건(1985년) 이후, 한국 총영사관과 중국 신화통신 홍콩 지국 간의 핫라인이 서울과 베이징 간의 중요한 소통 채널이 되었다.[12] 1985년, 경제 분야에서 중국과의 접촉에 대응하여, 한국은 영사관의 조직, 기능[13] 및 파견 외교관 규모를 확대했다.[12][20][21]
1997년 4월 24일, 한·중국 정부 간 주홍콩특별행정구 대한민국 총영사관 유지 협정이 체결되었다.[22] 4월 15일, 대한민국 국무회의에서 총영사관 유지에 대한 결의가 이루어졌고,[14] 4월 24일 양국은 합의에 도달하여,[8] 총영사관이 새로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에 계속 주재할 수 있게 되었다.[8]
2009년에는 총영사관 문화관이 개설되었고(6월 30일)[23], 공관 개관 60주년 기념식이 개최되었다(10월 6일).[23] 2009년 10월 6일, 한국 총영사관은 개설 6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 요리의 세계화를 증진하기 위한 만찬을 개최했다.[15] 같은 해 6월 30일, 총영사관 강당 및 민원실 내부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문화 교류를 위한 전시 공간과 다양한 IT 장비를 갖춘 새로운 문화관을 설치했다.[15][2] 2014년 2월에는 총영사관 한국 자료실이 개설되었다.[16]
3. 역대 공관장
; 영사대수 이 름 임기 개시 임기 종료 비고 1 차균찬(車均燦/차균찬한국어) 1949년 4월 16일 1949년 5월 11일 2 김용식(金溶植/김용식한국어) 1949년 8월 11일 1949년 11월 27일
; 총영사대수 이 름 임기 개시 임기 종료 비고 1 이정방(李鼎邦/이정방한국어) 1949년 11월 27일 1952년 12월 20일 2 박창준(朴昌俊/박창준한국어) 1952년 12월 20일 1956년 8월 23일 3 강춘희(姜春熙/강춘희한국어) 1956년 8월 23일 1960년 11월 12일 4 최문경(崔文卿/최문경한국어) 1961년 3월 8일 1962년 7월 11일 5 문덕주(文德周/문덕주한국어) 1962년 7월 11일 1964년 10월 19일 6 진필식(陳弼植/진필식한국어) 1964년 11월 1일 1966년 11월 3일 7 장상문(張相文/장상문한국어) 1966년 11월 4일 1967년 10월 31일 8 윤경도(尹慶道/윤경도한국어) 1967년 11월 5일 1972년 1월 9일 9 박창남(朴昌南/박창남한국어) 1972년 1월 10일 1974년 2월 14일 10 이수우(李秀佑/이수우한국어) 1974년 2월 15일 1977년 8월 30일 11 이창수(李昌洙/이창수한국어) 1977년 9월 1일 1980년 12월 20일 12 김태지(金太智/김태지한국어) 1981년 3월 31일 1984년 5월 20일 13 김정훈(金正勳/김정훈한국어) 1984년 6월 1일 1985년 10월 18일 14 김재춘(金在春/김재춘한국어) 1985년 10월 18일 1987년 10월 29일 15 김이명(金以銘/김이명한국어) 1987년 11월 5일 1990년 6월 30일 16 정민길(鄭旼吉/정민길한국어) 1990년 7월 5일 1993년 4월 30일 17 남홍우(南洪祐/남홍우한국어) 1993년 5월 5일 1996년 3월 15일 18 박양천(朴楊千/박양천한국어) 1996년 3월 20일 1998년 4월 15일 19 신두병(申斗柄/신두병한국어) 1998년 5월 4일 2000년 12월 31일 20 김광동(金光東/김광동한국어) 2001년 2월 14일 2002년 1월 19일 21 강근택(姜根鐸/강근택한국어) 2002년 2월 26일 2004년 9월 6일 22 조환복(趙煥復/조환복한국어) 2004년 9월 13일 2007년 3월 2일 23 석동연(石東演/석동연한국어) 2007년 3월 21일 2010년 3월 6일 24 전옥현(全玉鉉/전옥현한국어) 2010년 3월 8일 2012년 9월 16일 25 조용천(趙鏞天/조용천한국어) 2012년 9월 19일 2015년 3월 25일 26 김광동(金光東/김광동한국어) 2015년 4월 18일 2017년 9월 19일 27 김원진(金元辰/김원진한국어) 2018년 1월 10일 2020년 12월 1일 28 백용천(白龍天/백용천한국어) 2020년 12월 8일 2023년 5월 19일 29 유형철 2023년 5월 26일
3. 1. 영사
No. | 이름 | 한글/한자 표기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참고 |
---|---|---|---|---|---|
1 | 차균찬 | 車均燦/차균찬한국어 | 1949년 4월 16일 | 1949년 5월 11일 | |
2 | 김용식 | 金溶植/김용식한국어 | 1949년 8월 11일 | 1949년 11월 27일 |
3. 2. 총영사
No. | 이름 | 한글/한자 표기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참고 | |
---|---|---|---|---|---|---|
1 | 차균찬 | 車均燦/차균찬한국어 | 1949년 4월 16일 | 1949년 5월 11일 | ||
2 | 김용식 | 金溶植/김용식한국어 | 1949년 8월 11일 | 1949년 11월 27일 | ||
1 | 이정방 | 李鼎邦/이정방한국어 | 1949년 11월 27일 | 1952년 12월 20일 | ||
2 | 박창준 | 朴昌俊/박창준한국어 | 1952년 12월 20일 | 1956년 8월 23일 | ||
3 | 강춘희 | 姜春熙/강춘희한국어 | 1956년 8월 23일 | 1960년 11월 12일 | ||
4 | 최문경 | 崔文卿/최문경한국어 | 1961년 3월 8일 | 1962년 7월 11일 | ||
5 | 문덕주 | 文德周/문덕주한국어 | 1962년 7월 11일 | 1964년 10월 19일 | ||
6 | 진필식 | 陳弼植/진필식한국어 | 1964년 11월 1일 | 1966년 11월 3일 | ||
7 | 장상문 | 張相文/장상문한국어 | 1966년 11월 4일 | 1967년 10월 31일 | ||
8 | 윤경도 | 尹慶道/윤경도한국어 | 1967년 11월 5일 | 1972년 1월 9일 | ||
9 | 박창남 | 朴昌南/박창남한국어 | 1972년 1월 10일 | 1974년 2월 14일 | ||
10 | 이수우 | 李秀佑/이수우한국어 | 1974년 2월 15일 | 1977년 8월 30일 | ||
11 | 이창수 | 李昌洙/이창수한국어 | 1977년 9월 1일 | 1980년 12월 20일 | ||
12 | 김태지 | 金太智/김태지한국어 | 1981년 3월 31일 | 1984년 5월 20일 | ||
13 | 김정훈 | 金正勳/김정훈한국어 | 1984년 6월 1일 | 1985년 10월 18일 | ||
14 | 김재춘 | 金在春/김재춘한국어 | 1985년 10월 18일 | 1987년 10월 29일 | ||
15 | 김이명 | 金以銘/김이명한국어 | 1987년 11월 5일 | 1990년 6월 30일 | ||
16 | 정민길 | 鄭旼吉/정민길한국어 | 1990년 7월 5일 | 1993년 4월 30일 | ||
17 | 남홍우 | 南洪祐/남홍우한국어 | 1993년 5월 5일 | 1996년 3월 15일 | ||
18 | 박양천 | 朴楊千/박양천한국어 | 1996년 3월 20일 | 1998년 4월 15일 | ||
19 | 신두병 | 申斗柄/신두병한국어 | 1998년 5월 4일 | 2000년 12월 31일 | ||
20 | 김광동 | 金光東/김광동한국어 | 2001년 2월 12일 | 2002년 1월 19일 | ||
21 | 강근택 | 姜根鐸/강근택한국어 | 2002년 2월 26일 | 2004년 9월 6일 | ||
22 | 조환복 | 趙煥復/조환복한국어 | 2004년 9월 13일 | 2007년 3월 2일 | ||
23 | 석동연 | 石東演/석동연한국어 | 2007년 3월 21일 | 2010년 3월 6일 | ||
24 | 전옥현 | 全玉鉉/전옥현한국어 | 2010년 3월 8일 | 2012년 9월 16일 | ||
25 | 조용천 | 趙鏞天/조용천한국어 | 2012년 9월 19일 | 2015년 3월 25일 | ||
26 | 김광동 | 金光東/김광동한국어 | 2015년 4월 18일 | 2017년 9월 19일 | ||
27 | 김원진 | 金元辰/김원진한국어 | 2018년 1월 10일 |
4. 주요 활동 및 역할
4. 1. 중국과의 관계에서 역할
198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이하 중국)과의 관계 개선 과정에서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이하 총영사관)과 신화통신 홍콩 지국 간의 핫라인은 대한민국(이하 한국)과 중국 간의 중요한 소통 채널이 되었다.[12] 1983년 중국민항 296편 납치 사건과 1985년 중국 해군 어뢰정 3213호의 한국 귀순 사건[12] 등 양국 간의 주요 현안 발생 시, 총영사관은 협의 및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1985년, 한국은 경제 분야에서 중국과의 접촉에 대응하여 총영사관의 조직, 기능[13] 및 파견 외교관 규모를 확대하였다.[12] 이를 통해 홍콩에 있는 한국 기업과 국민들이 중국과 무역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13] 더 높은 직급의 한국 외교관들이 공관장으로 홍콩에 파견되기도 했다.[12]
1997년 홍콩 반환을 앞두고, 한국은 중국과 총영사관 유지에 대해 협의했다. 1997년 4월 15일, 대한민국 국무회의에서 총영사관 유지에 대한 결의가 이루어졌고,[14] 4월 24일 양국은 합의에 도달하여,[8] 총영사관이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에 계속 주재할 수 있게 되었다.[8]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업무 및 주소, 연락처
http://hkg.mofa.go.k[...]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
2016-06-29
[2]
뉴스
韓國文化館歡迎香港市民
Ta Kung Pao
2009-08-14
[3]
뉴스
Ties between Korea, H.K. robust
http://www.koreahera[...]
2010-07-04
[4]
뉴스
香港總領事에 車均燦氏任命
Dong-A Ilbo
1949-04-08
[5]
뉴스
香港에領事舘設置 英國政府서同意書翰
Dong-A Ilbo
1949-02-10
[6]
웹사이트
총영사관약사
http://overseas.mofa[...]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
2018-08-11
[7]
뉴스
香港의領事舘 總領事舘으로
Kyunghyang Shinmun
1949-11-19
[8]
간행물
关于我与大韩民国就韩国在香港特区保留总领事馆问题换文的备案函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97-05-28
[9]
서적
Korea Annual 1966
Hapdong News Agency
1966
[10]
서적
Korea Annual 1970
Hapdong News Agency
1970
[11]
서적
Korea Annual 1972
Hapdong News Agency
1972
[12]
서적
Between Ally and Partner: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United Stat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13]
뉴스
加強與中共貿易 韓決大幅擴充駐香港領事館
Economic Daily News
1985-03-30
[14]
뉴스
홍콩반환뒤에도 총영사관 유지
Dong-A Ilbo
1997-04-16
[15]
웹사이트
주홍콩총영사관 부임자 안내서
http://mofaspouse.or[...]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
2016-06-30
[16]
뉴스
주홍콩총영사관, ‘한국 자료실’ 개설
http://www.dongponew[...]
Dongponews.net
2014-02-26
[17]
뉴스
韓國文化館歡迎香港市民
대공보
2009-08-14
[18]
뉴스
보관된 사본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6-07-03
[19]
웹인용
총영사관 약사
http://overseas.mofa[...]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8-08-11
[20]
서적
Between Ally and Partner: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United Stat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21]
뉴스
加強與中共貿易 韓決大幅擴充駐香港領事館
경제일보
1985-03-30
[22]
인용
关于我与大韩民国就韩国在香港特区保留总领事馆问题换文的备案函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1997-05-28
[23]
웹인용
주홍콩총영사관 부임자 안내서
http://mofaspouse.or[...]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6-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