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중화민국(타이완)이 홍콩에 설치한 대표 기구이다. 1945년 중화민국은 홍콩에 총영사관 설치를 추진했으나 영국 측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이후 '중화여행사'로 변경되어 운영되다 201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에는 홍콩 정부의 '하나의 중국' 지지 서약 요구에 반발하여 타이완에서 파견된 직원이 철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주재 공관 -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49년 영국령 홍콩에 개설되어 홍콩과 마카오를 관할하며,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도 유지를 위한 협정을 체결하여 현재까지 주재하고 있다. - 홍콩 주재 공관 - 주홍콩 일본 총영사관
주홍콩 일본 총영사관은 홍콩에 위치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요시다 켄이치가 총영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센트럴 역과 애드미럴티 역 인근의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대만-홍콩 관계 -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는 홍콩 정부가 타이베이에 설립하여 홍콩과 대만 간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고 대만 거주 홍콩 시민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5월 무기한 잠정 폐쇄되었다. - 대만-홍콩 관계 - 2019년 도주범죄인 및 형사법 관련 법률 지원 개정 법안
2019년 홍콩에서 추진된 2019년 도주범죄인 및 형사법 관련 법률 지원 개정 법안은 푼휘잉 피살 사건을 계기로 홍콩과 범죄인 인도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범죄인 인도 협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홍콩 시민들의 거센 반발과 대규모 시위를 야기하여 결국 철회되었으며, 홍콩 사회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화민국의 사실상의 재외 공관 -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는 한중 수교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이 폐쇄된 후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간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서울에 설치된 대만 정부의 대표 기관으로, 경제·문화 교류 및 대한민국 내 대만 국민에 대한 영사 업무를 담당하며 부산에는 부산 사무처가 위치한다. - 중화민국의 사실상의 재외 공관 - 주말레이시아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
주말레이시아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말레이시아에 있는 대만의 대표부로, 1974년 극동 여행 및 무역 센터로 설립되어 경제 및 문화 교류를 지속해오다 1988년 타이베이 경제문화센터로 승격, 199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 - [대사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홍콩 완자이 |
주소 | 스위트 4907, 49/F, 센트럴 플라자, 18 항구 도로, 완자이, 홍콩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관할 지역 | 홍콩 및 파키스탄 |
다른 이름 | 중화 여행사 |
담당자 | |
대사 | 공석 |
명칭 (중국어) | |
정체자 | 臺北經濟文化辦事處 |
간체자 | 台北经济文化办事处 |
월병 | Toih bak ging jai mahn fa baan sih chyu |
광둥어 (예일) | Toi4 bak1 ging1 zai3 man4 faa3 baan6 si6 cyu3 |
표준 중국어 (병음) | Táiběi Jīngjì Wénhuà Bànshìchù |
좌표 |
2. 역사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영국령 홍콩 시기인 1966년에 '''중화여행사'''(中華旅行社중국어, Chung Hwa Travel Service영어)라는 비공식 명칭으로 처음 설립되었다.[7][24] 이는 1950년 영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기존의 중화민국 대표부가 철수한 이후, 양측 간의 실질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영국 당국과의 준외교적 협정에 따라 운영된 것이다.[11][12][25][29]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도 중화여행사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에 공식 등록되지 않은 상태로 활동을 이어갔다.[12][30] 2000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화여행사의 홍콩 내 활동 지속 조건을 제시했으나, 중화민국 대륙위원회는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아 양안 간의 미묘한 긴장 관계를 드러냈다.[13][31] 이후 중화민국 측 인사들의 홍콩 입국이 지연되는 등[14][32][15][33]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2011년 7월 4일, 양안 관계 개선 분위기 속에서 중화여행사는 공식적으로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駐香港臺北經濟文化辦事處중국어)로 명칭을 변경하여, 다른 국가에 있는 대표처들과 명칭을 통일하였다.[17][35] 이는 양안 관계 발전의 중요한 상징으로 평가받았으며, 같은 해 홍콩 정부도 타이완에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를 설립했다.
그러나 2021년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양안 관계가 다시 경색되면서, 홍콩 정부가 판사처 직원들에게 하나의 중국 원칙 지지 서약서 서명을 요구하자 중화민국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타이완 파견 직원들을 철수시켰다.[19][37] 이후 판사처는 홍콩 현지 직원들만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같은 해 12월 사무실을 완자이의 센트럴 플라자로 이전했다.[20][38]
2. 1. 설립 배경 (1945년 ~ 1966년)
1945년 중화민국 정부는 난징의 국민정부 시절 영국과 홍콩 총영사 임명에 관해 협상했지만, 영국 측의 반대로 무산되었다.[8] 대신 중화민국 정부는 식민지에 있던 대표인 곽덕화(T W Kwok, Kuo Teh-hua)를 '''홍콩 특별대표'''로 임명하는 방안을 선택했다.[8] 이는 그의 기존 광둥 및 광시 특별대표 역할에 더해진 직책이었다.[9]그러나 영국 당국과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다. 당시 홍콩 총독이었던 알렉산더 그랜섬은 중화민국 측이 구룡성채 부지에 "광둥 및 광시 성 외교 담당관"을 위한 사무실 건물을 건설하려 하자 이를 반대하는 등 의견 충돌이 발생했다.[10]
1950년, 영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영국은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이에 따라 홍콩 특별대표 사무실은 폐쇄되었으며 곽덕화 대표는 홍콩에서 철수해야 했다.[11]
이후 상당 기간 중화민국과 홍콩 간의 공식적인 외교 창구는 부재했으나, 1966년 영국령 홍콩 시기에 이르러 '''중화여행사'''(中華旅行社중국어, Chung Hwa Travel Service영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기관이 설립되었다.[7] 이 기관은 영국 당국이 일방적으로 연장한 준외교적 협정에 따라 운영되었으며[12], 사실상 중화민국의 홍콩 주재 대표부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2. 2. 중화여행사 시기 (1966년 ~ 2011년)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영국령 홍콩 시기인 1966년에 '''중화여행사'''(中華旅行社중국어, Chung Hwa Travel Service영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다.[7][24] 이는 영국 당국이 일방적으로 연장한 준외교적 협정에 따라 운영되었다.[12][25]1997년 홍콩 반환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주권이 이전된 이후에도, 중화여행사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에 공식적으로 등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업무를 수행했다.[12][30] 2000년에 이르러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화여행사가 홍콩에서 계속 영업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했으나, 중화민국 대륙위원회는 그 상세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13][31] 이는 당시 양안 관계의 민감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2004년에는 새로 임명된 중화여행사 총경리가 홍콩 입국 허가를 받는 데 5개월이나 소요되는 일이 발생했다.[14][32] 또한, 다른 중화민국 정부 관계자들도 홍콩 방문을 위한 비자를 발급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15][33] 양안 관계의 경색 국면을 나타내는 사건들이 있었다.
2009년 중화여행사는 홍콩 국제공항에 비자 발급소를 개설했다.[16][34] 이를 통해 타이완을 방문하려는 중국 본토 여행객들이 감중에 위치한 본사까지 가지 않고도 공항에서 편리하게 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16][34] 이는 양안 간 교류 편의를 증진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받았다.

2. 3.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 시기 (2011년 ~ 현재)
2011년 7월 4일 대륙위원회의 라이싱위안(賴幸媛) 주임위원이 주최한 행사에서 기존의 '중화여행사' 명칭은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駐香港臺北經濟文化辦事處중국어)로 공식 변경되었다.[17] 이 변경은 전 세계 다른 국가에 설치된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들과 명칭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치였다.[18] 또한, 이 명칭 변경은 당시 개선되고 있던 양안 관계의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졌다.[17] 이러한 관계 개선의 흐름 속에서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홍콩 정부가 타이완에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를 설립하기도 했다.2021년 6월 20일,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판사처 직원들에게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는 서약서에 서명할 것을 요구하자, 중화민국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직원들을 본국으로 소환한다고 발표했다.[19][37] 이 조치로 인해 판사처는 타이완 본국에서 파견된 직원 없이 홍콩 현지 직원들만으로 운영되게 되었다.[19] 이는 다시 악화되는 양안 관계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같은 해 12월 20일, 판사처는 기존에 위치했던 감중의 리포 센터에서 완자이의 센트럴 플라자로 사무실을 이전했다.[20][38]
3. 기능 및 역할
처장은 중화민국 행정원의 홍콩 사무국 국장을 겸임한다.[22] 이에 대응하여 홍콩 특별 행정구 정부는 타이베이시에 Hong Kong Economic, Trade and Cultural Office (Taiwan)|홍콩 경제 무역 문화 사무소eng(香港經濟貿易文化辦事處zho)를 두고 있다.
4. 조직
처장은 중화민국 행정원의 홍콩 사무국 국장을 겸임한다. 창설 당시 처장은 장수후이(張樹槐)였다.[22] 과거에는 금종의 리퍼 센터 제1 타워에 위치했었다.[23]
한편, 홍콩 특별 행정구 정부는 타이베이시에 홍콩 경제 무역 문화 사무소(Hong Kong Economic, Trade and Cultural Office (Taiwan)영어 香港經濟貿易文化辦事處중국어)를 두고 있다.
5. 교통
주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홍콩 MTR 완차이역에서 북쪽으로 도보 거리에 있으며, 금종역에서는 서쪽으로 도보 거리에 있다.
참조
[1]
뉴스
Is name change a game changer?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1-07-17
[2]
웹사이트
亞洲
https://www.immigrat[...]
2021-12-29
[3]
웹사이트
Bureau of Consular Affair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Taiwan)
https://www.boca.gov[...]
2017-07-31
[4]
웹사이트
Overseas Offices, Ministry of Culture
https://www.moc.gov.[...]
2021-12-29
[5]
뉴스
Different era and mood for 'little dragons' talk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0-04-20
[6]
웹사이트
Bureau of Consular Affair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Hong Kong
http://www.boca.gov.[...]
Boca.gov.tw
2010-07-14
[7]
웹사이트
Kuomintang News Network
http://www.kmt.org.t[...]
Kmt.org.tw
2011-07-05
[8]
서적
'Democracy shelved: Great Britain, China, and attempts at constitutional reform in Hong Kong, 1945–1952'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1988
[9]
서적
'Hegemonies Compared: State Formation and Chinese School Politics in Postwar Singapore and Hong Kong'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10]
서적
'Britain and China 1945–1950: Documents on British Policy Overseas, Series I, Volume 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1]
서적
'Via Ports: From Hong Kong to Hong Kong'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2
[12]
서적
'The First Decade: The Hong Kong SAR in Retrospective and Introspec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7
[13]
뉴스
Beijing 'sets envoy term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00-03-08
[14]
뉴스
Taiwan's office head gets visa after five-month wait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04-10-08
[15]
뉴스
Visas hard for Taiwanese officials to get, says envoy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08-02-13
[16]
뉴스
Chung Hwa Travel opens visa office at HK airport
http://www.travelwee[...]
Travel Weekly Asia
2009-08-11
[17]
웹사이트
Taiwan's Mainland Affairs Council Chairwoman Lai Shin-yuan poses at a renaming ceremony in Hong Kong Photo 07/20/2011
http://townhall.com/[...]
Townhall.com
2011-07-20
[18]
서적
'Foreign Policy of the New Taiwan: Pragmatic Diplomacy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2
[19]
뉴스
Taiwanese staff to leave Hong Kong office in 'one China' row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6-20
[20]
뉴스
Taiwan office in Hong Kong to relocate to Wan Chai area
https://focustaiwan.[...]
2021-12-13
[21]
뉴스
Is name change a game changer?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1-07-17
[22]
뉴스
Different era and mood for 'little dragons' talk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10-04-20
[23]
웹사이트
Bureau of Consular Affair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Hong Kong
http://www.boca.gov.[...]
Boca.gov.tw
2010-07-14
[24]
웹사이트
Kuomintang News Network
http://www.kmt.org.t[...]
Kmt.org.tw
2011-07-05
[25]
서적
'The First Decade: The Hong Kong SAR in Retrospective and Introspec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7
[26]
서적
'Democracy shelved: Great Britain, China, and attempts at constitutional reform in Hong Kong, 1945–1952'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Incorporated
1988
[27]
서적
'Hegemonies Compared: State Formation and Chinese School Politics in Postwar Singapore and Hong Kong'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
[28]
서적
'Britain and China 1945–1950: Documents on British Policy Overseas, Series I, Volume 8'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9]
서적
'Via Ports: From Hong Kong to Hong Kong'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2
[30]
서적
'The First Decade: The Hong Kong SAR in Retrospective and Introspective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7
[31]
뉴스
Beijing 'sets envoy terms'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00-03-08
[32]
뉴스
Taiwan's office head gets visa after five-month wait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04-10-08
[33]
뉴스
Visas hard for Taiwanese officials to get, says envoy
http://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08-02-13
[34]
뉴스
Chung Hwa Travel opens visa office at HK airport
http://www.travelwee[...]
Travel Weekly Asia
2009-08-11
[35]
웹사이트
Taiwan's Mainland Affairs Council Chairwoman Lai Shin-yuan poses at a renaming ceremony in Hong Kong Photo 07/20/2011
http://townhall.com/[...]
Townhall.com
2011-07-20
[36]
서적
Foreign Policy of the New Taiwan: Pragmatic Diplomacy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2
[37]
뉴스
Taiwanese staff to leave Hong Kong office in ‘one China’ row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6-22
[38]
뉴스
Taiwan office in Hong Kong to relocate to Wan Chai area
https://focustaiwan.[...]
2021-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