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공군사령부는 중화민국 국군 공군을 지휘하는 기관으로, 1920년 쑨원이 항공국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이전하면서 공군사령부도 타이베이에 설치되었고, 이후 미국으로부터 전투기를 도입하여 전력을 강화했다. 현재 F-16V, F-CK-1, 미라주 2000-5 등 현대적인 전투기를 운용하며, 타이완 해협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사령관을 포함한 지휘부와, 공군작전지휘부, 방공·미사일 지휘부, 교육훈련기준발전지휘부 등 다양한 부대 및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화민국 공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쑹산 공군기지지휘부 쑹산 공군기지지휘부는 중화민국 공군 제3수송군 예하 부대로, 특별 임무 항공기 운용과 고위 인사 수송을 담당하며, 1945년 창설 후 재편성을 거쳐 현재 다양한 부대와 과거 여러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했다.
중화민국 공군 - 중화민국 총통 행정 전용기 중화민국 총통 행정 전용기는 총통의 해외 순방과 외교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00년 보잉사에서 구매 및 개조된 항공기로, 최첨단 위성 통신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공공 자원 사용 투명성 논란을 겪기도 했다.
중화민국 공군 - 쑹산 공군기지지휘부 쑹산 공군기지지휘부는 중화민국 공군 제3수송군 예하 부대로, 특별 임무 항공기 운용과 고위 인사 수송을 담당하며, 1945년 창설 후 재편성을 거쳐 현재 다양한 부대와 과거 여러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했다.
중화민국 국방부 - 중화민국 헌병 중화민국 헌병은 청나라 헌병학당을 기원으로 1912년 창설되어 국방부 직속으로 군부대 감시, 군사 반란 경고, 정부 시설 경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군 관련 범죄 수사, 공공 안전 유지, 재해 복구 지원 등 다양한 민간 업무도 지원하는 중화민국의 군사 경찰 조직이다.
중화민국 국방부 - 중화민국 해군사령부 중화민국 해군사령부는 중화민국 국방부 예하 해군을 총괄하는 군사 기관으로, 1912년 북양정부 시기 해군부로 창설되어 국공 내전 후 타이완으로 이전, 가오슝시 쭤잉구에 위치하며 해군 전력 현대화를 추진한다.
1920년 11월 29일, 쑨얏센이 항공국을 설립하면서 중화민국 공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23년 3월 1일, 광저우 다사터우에서 대원수부 산하 항공국으로 개편되었다. 1924년에는 조종사 양성을 위해 광둥 항공학교를 설립하였다.
1925년 7월, 대원수부에서 군사위원회 산하 항공국으로 개칭되었다. 1926년 7월 9일, 국민혁명군 총사령부 산하 항공처로 승격되었다.[3]1927년 9월, 다시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산하로 이전되었으며,[3] 항공사령부가 설치되었다. 1928년 11월 1일, 북벌 종료와 군사위원회 해산에 따라 행정원 군정부 항공서로 승격되었다.[4]
1931년항저우로 이전하였다.[4]1933년 8월 17일, 다시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산하 항공서로 개칭되었다.[3]1934년 3월, 항공서는 난창으로 이전하고, 5월에 항공위원회로 승격되었다.[6][7] 위원장은 장제스가 맡았다.
1936년 1월 12일, 항공위원회는 난징 주장루 샤오잉으로 이전하였다.[8]중일 전쟁 기간 동안, 1937년 8월 14일, 신속한 지휘 작전을 위해 '공군 전적 총지휘부'가 설치되었다.[10]1937년 11월, 항공위원회는 난징에서 한커우의 구 닛신 기선 한커우 지점 빌딩으로 이전하였다.[11]
한커우로 천도 후 위원회 본부가 잠시 설치되었던 옛 일청기선 한커우 지점 빌딩
1939년 1월, 항공위원회는 청두 둥먼 밖 샤허바오로 이전하였다.[13]
국공 내전 기간 동안, 중화민국 공군은 인민해방군 공군과 전투를 벌였다. 1946년 1월 16일, 난징으로 이전하였고,[15] 6월 1일, 중화민국 국방부가 설립되고 공군총사령부가 되었다. 1949년 4월 23일, 중화민국 정부와 함께 대만으로 이전하였다.[6]
대만 이전 후 공군사령부로 사용된 타이베이 동구 런아이 잉취의 옛 대만 총독부 중앙 연구소
이전 직전의 옛 공군사령부
2. 1. 대륙 시기 (1920년 ~ 1949년)
1920년 11월 29일, 쑨얏센이 항공국을 설립하면서 중화민국 공군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23년 3월 1일, 광저우 다사터우에서 대원수부 산하 항공국으로 개편되었다. 1924년에는 조종사 양성을 위해 광둥 항공학교를 설립하였다.
1925년 7월, 대원수부에서 군사위원회 산하 항공국으로 개칭되었다. 1926년 7월 9일, 국민혁명군 총사령부 산하 항공처로 승격되었다.[3]1927년 8월, 다시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산하로 이전되었으며,[3] 항공사령부가 설치되었다. 1928년 11월 1일, 북벌 종료와 군사위원회 해산에 따라 행정원 군정부 항공서로 승격되었다.[4]
1931년항저우로 이전하였다.[4]1933년 8월 17일, 다시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산하 항공서로 개칭되었다.[3]1934년 3월, 항공서는 난창으로 이전하고, 5월에 항공위원회로 승격되었다.[6][7] 위원장은 장제스가 맡았다.
1936년 1월 12일, 항공위원회는 난징 주장루 샤오잉으로 이전하였다.[8]중일 전쟁 기간 동안, 1937년 8월 14일, 신속한 지휘 작전을 위해 '공군 전적 총지휘부'가 설치되었다.[10]1937년 11월, 항공위원회는 난징에서 한커우의 구 닛신 기선 한커우 지점 빌딩으로 이전하였다.[11]
1939년 1월, 항공위원회는 청두 둥먼 밖 샤허바오로 이전하였다.[13]
국공 내전 기간 동안, 중화민국 공군은 인민해방군 공군과 전투를 벌였다. 1946년 1월 16일, 난징으로 이전하였고,[15] 6월 1일, 중화민국 국방부가 설립되고 공군총사령부가 되었다. 1949년 4월 23일, 중화민국 정부와 함께 대만으로 이전하였다.[6]
2. 2. 국부천대 이후 (1949년 ~ 현재)
1949년, 제2차 국공 내전에서 중화민국 국군이 패배함에 따라 국부천대로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으로 이전하였고, 공군사령부도 타이베이시 다안구 레나이로와 지앙궈로 교차로에 있는 옛 타이완 총독부 공업 연구소에 설치되었다.[17][18][19][20] 이후 미국으로부터 F-86 세이버, F-104 스타파이터 등 첨단 전투기를 도입하여 전력을 강화하였다. 냉전 시기, 중화민국 공군은 중화인민공화국 공군과 수 차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2005년 1월 1일, 국방부 조직법 개정에 따라 ''국방부 공군총사령부''로 개명되었다.[4] 2006년 2월 15일, ''국방부 공군사령부''로 다시 개명되었다.[4]
2012년 10월 5일, 타이베이 중산구 베이안로에 있는 다지 군영(충용영구)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중화민국 공군은 F-16V, F-CK-1, 미라주 2000-5 등 현대적인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타이완 해협에서의 방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국방부 공군사령부'''의 사령관은 2급 상장 1명, 부사령관은 중장 2명(작전 담당 1명, 병참 담당 1명)이다. 참모장은 중장 1명이며, 부참모장은 소장 2명(작전 담당 1명, 병참 담당 1명)이다. 사령부 선임 상급 부사관장은 1명이다.[2]
내부 조직으로는 정치작전실, 독찰장실, 인사군무처, 군사정보처, 전비훈련처, 후근처, 계획처, 통신전자정보처, 주계처, 공군 의장대, 중부 지역 인재 모집 센터가 있다. 정치작전실 주임은 중장 1명이며, 전투/작전 인원에서 임명된다. 부주임은 소장 1명으로, 정전/정공 인원이 취임한다. 독찰장실의 독찰장은 소장 1명이다. 각 처의 처장은 소장 또는 대령 1명이다.[2]
3. 2. 부서
정치작전실은 주임 1명(중장), 부주임 1명(소장)으로 구성된다.[2] 검찰장실에는 검찰장 1명(소장)이 있다.[2] 인사군무처, 군사정보처, 전비훈련처, 후근처, 계획처, 통신전자자통처, 주계처에는 각각 처장 1명(소장 또는 상교)이 있다.[2] 이 외에도 공군의장중대가 있다.[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