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 레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 레 왕조는 980년 레 호안이 건국한 베트남의 왕조로, 1009년 리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딩 왕조의 혼란을 틈타 레 호안이 섭정으로 시작하여 황제에 즉위하며 건국되었으며, 북송의 침략을 격퇴하고 참파를 정복하는 등 영토를 확장했다. 레 호안 사후 왕위 계승 분쟁과 폭정으로 국력이 쇠퇴하여 1009년 리 공운이 즉위하면서 멸망했다. 정치적으로는 황제 중심의 통치 체제를 구축했고, 지방 행정 개편과 군사력 강화에 힘썼다. 경제적으로는 농업을 장려하고 상업 발전을 도모했으며, 대외적으로는 송나라에 조공하며 관계를 유지했으나 참파와는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왕조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왕조 - 리 왕조
    리 왕조는 1009년에 건국되어 1225년까지 존속한 베트남의 왕조로, 하노이를 수도로 삼고 불교를 장려하며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13세기 초 쇠퇴하여 쩐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나라별 역사에 관한 - 토번
    토번은 7세기 초에 건국되어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한 티베트의 고대 왕국으로, 당나라와 빈번한 외교 및 전쟁을 벌였으며, 8세기 후반에 불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종교적 갈등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멸망했다.
전 레 왕조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명대구월국 (大瞿越國)
로마자 표기Đại Cồ Việt Quốc
통칭전 레 왕조
영어 명칭Early Lê dynasty
한자 표기前黎朝
베트남어 표기Nhà Tiền Lê
베트남어 (IPA)ɲâː tjə̂n le
국가 체제
정치 체제황제 (대내), 왕 (대외)
정치 형태송나라의 조공 체제 하의 내부 황제 체제
역사
성립양운아 황후가 여환을 즉위시키다 (980년)
주요 사건백등강 전투 (980년–981년)
주요 사건여와조가 여중종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 (1005년)
멸망여와조 사망 (1009년)
이전송 태종이 대구월 침공을 위해 군대 파견 (980년 6월)
계승리 왕조
이전 국가딘 왕조
영토
전 레 왕조의 영토
전 레 왕조의 영토
수도
수도호아르
언어 및 종교
공용어고대 베트남어, 한문
종교베트남 민간 신앙, 불교
통치자
직책황제
초대 황제여대행 (980년–1005년)
제2대 황제여중종 (1005년)
마지막 황제여와조 (1005년–1009년)
재상홍현 (980년)
화폐
통화구리 합금 동전
현재 국가
현재 국가베트남, 중국
왕조
왕조명전 레
지배 지역호아르, 베트남
창건자여환
마지막 통치자여와조
설립 연도980년
멸망 연도1009년
주요 칭호대구월 황제/대구월 왕, 교지군왕, 남평왕

2. 역사

979년 딩보린이 암살된 후, 레호안은 부왕(副王)으로서 국정을 맡았으며, 태후인 楊雲娥|양운아중국어와 관계를 맺고 적대 세력을 토벌하였다.[9] 같은 해, 참파 왕국에 망명해 있던 오권의 후손 고냣카인이 왕위를 요구하며 화려를 공격하려 하였으나, 레호안은 이를 격퇴시켰다.[10] 딩보린의 죽음을 알게 된 북송안남 원정을 결정하였고,[8] 송의 침공을 앞두고 딩 왕조의 장병들은 레호안을 새로운 군주로 추대하였다.[11][12] 양운아는 아들 딘또안을 보호하기 위해 레호안과 재혼하였고, 레호안이 황제 자리에 올랐다.[8]

981년 박당강 전투에서 대구월군은 해로로 침입한 송군을 격파하였고, 랑선에서도 육로로 침입한 송군을 물리쳤다.

982년 참파에 친정하여 수도 Indrapura|인드라푸라영어를 함락시켰고, 인드라바르만 4세는 남쪽으로 도망쳤다. 983년 송에 조공을 재개하며 참파 원정의 전리품인 유향과 서각을 바쳤다.[13] 대구월군 철수 후, 레호안의 부하 루케통이 참파에서 점성왕을 자칭하였다. 남쪽에는 인드라바르만 4세와 루케통의 정권이 병립하였고, 인드라바르만 4세는 송에 도움을 요청하였다.[14] 송은 레호안에게 참파 침입을 금지하였으나, 레호안은 989년992년 두 차례 참파를 침입하였다.[14]

993년, 레호안은 송으로부터 교지군왕에 책봉되었다.[8]

1005년 레호안 사후, 황자들의 내분으로 국력이 약화되었다.[8] 레롱비엣이 즉위하였으나, 3일 만에 폐위되었다.[11] 레롱딘이 레롱비엣을 살해하고 즉위하였다. 레롱딘은 잔혹한 성격으로 죄인들에게 가혹한 형벌을 내리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15] 1009년 말, 승려와 신하들의 지지를 받은 리꽁우언이 황제 자리에 올랐다.[16] 중국 사서에는 리꽁우언이 즉위할 때 유아 황제를 살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5]

2. 1. 왕조 성립

레호안딘 왕조딘보린을 섬기는 10도군의 장군이었다. 979년 내분으로 딘보린과 그 장남이 죽고, 나이가 어린 둘째 아들인 딘또안이 왕위에 올랐다. 레호안은 황태후를 통해 어린 군주의 섭정이 되어 부왕을 자칭했다. 딘 왕조의 신하인 정국공 완복 등은 레호안의 전횡에 분노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레호안은 반군을 진압하여 980년에는 신하에게 추대되는 형태로 스스로 즉위하여 전 레 왕조가 성립하였다.[1]

딘 티엔 황제와 황제의 첫째 아들 딘 리엔이 암살당한 후, 황제의 셋째 아들인 딘 페 데가 여섯 살의 나이로 섭정 레 혼의 도움을 받아 즉위했다. 레 혼의 섭정 기간 동안, 딘 응우옌 박 정국공과 딘 디엔 장군 등 레 혼의 충성심을 의심하는 신하들은 쿠데타를 시도하며 황궁으로 군대를 이끌었다.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그들은 처형당했다.[2]

980년, 송 태종이 이끄는 중국 송나라대구월을 침공했다. 어린 황제가 침략자에 맞서 나라를 이끌 수 없었기에, 신하들은 양번응아 황후와 함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장군이자 섭정인 레 혼을 황제로 추대하는 문제를 논의했다. 대부분이 이 계획에 찬성했고, 결국 황후는 자신의 아들을 폐위시키고 레 혼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레 혼은 황제의 자리를 받아들여, 새로운 왕조인 전 레 왕조를 건국했다. 레 혼은 시호로 레 다이 한으로도 불린다.[2]

2. 2. 전성기와 쇠퇴·멸망기

981년, 북송의 태종은 군을 남하시켰으나, 레호안은 백등강 전투에서 이를 격퇴하고 그 지위를 유지하였다.[8] 982년에는 베트남 남부의 참파 왕국을 토벌하여 그 세력을 멸망시키고, 한때 베트남 전 국토를 차지했다. 또한 천복전(天福錢)이라는 주화를 만들어 국정을 정비하고 베트남의 독립을 유지하여 전성기를 구축했다.

1005년 레호안 사후, 왕위 계승 다툼이 벌어져 혼란에 빠졌다. 결국 1010년 리꽁우언이 황제에 오르면서 전 레 왕조는 멸망했다.[15][16]

2. 2. 1. 레호안 (980년 - 1005년)

레호안딘 왕조딘보린을 섬기는 10도군의 장군이었다. 979년 내분으로 딘보린과 그의 장남이 죽고, 어린 둘째 아들 딘또안이 왕위에 올랐다. 레호안은 황태후를 통해 어린 군주의 섭정이 되어 부왕을 자칭했다. 딘 왕조의 신하인 정국공 완복 등은 레호안의 전횡에 분노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레호안은 반군을 진압했다.[9] 980년, 레호안은 신하들에게 추대되는 형태로 스스로 즉위하여 전 레 왕조를 성립시켰다.[11][12]

981년 박당강 전투에서 레호안의 군대는 팜 꺼 르엉 장군의 지휘 아래 송(宋)나라군의 육상 진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8] 레호안은 평화를 추구하며 사절을 보내 평화 협상을 했고, 중국 천자에게 예를 표하고 공물을 바치는 연례 행사가 재개되었다.

982년, 레호안은 참파 원정을 시작했다. 레호안의 군대는 도반(오늘날 꽝남성)에서 참파, 젠라, 압바스 왕조 용병 연합군을 모두 패배시켰다. 참파 왕 파라메스바라바르만 1세는 참수되었고, 참파의 수도 인드라푸라는 베트남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983년 새로운 참파 왕은 대구월의 속국이 되는 데 동의했다.[1]

레호안의 국내 업적으로는 새로운 기념물 건설과 농업 및 수공업 생산을 활성화하여 경제 발전을 이룬 것이 있다. 많은 정신적 예절이 발전되었고, 레호안의 정부는 후대 왕조의 모범이 되었다.

레호안은 1005년 65세의 나이로 25년의 통치 후 사망했다. 레호안은 유언으로 왕위를 그의 막내아들 레 롱 비엣에게 물려주었다.[11]

2. 2. 2. 왕위 계승 분쟁과 레롱딘 (1005년 - 1009년)

1005년 레호안이 죽자, 장남은 이미 사망했고 3남 레롱비엣이 왕위를 이었으나, 불과 3일 만에 동생이자 레호안의 다섯째 아들인 레롱딘에게 살해되어 왕위를 빼앗겼다.[11] 레호안 사후, 레롱딘, 레롱띡(Lê Long Tích), 레롱낀(Lê Long Kính)과 황태자 레롱비엣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하여 8개월 동안 전국을 통치할 정부가 수립되지 못했다. 1005년 겨울, 레롱띡은 황태자 레롱비엣에게 패배했다. 그는 현재 하띤성인 석하(Thạch Hà) 지방으로 도망쳐 현지 주민들을 학살하도록 명령했다. 몇 달 후, 레롱비엣은 레 중종으로 스스로 황제를 선포했지만, 3일 만에 레롱딘에게 암살당했고, 레롱딘이 황제가 되었다.

레롱딘은 폭정을 하여 신하들의 반발을 샀고, 1009년에 살해되었다.[15] 레롱딘의 아들은 어려서, 동생 등에 의한 후계자 싸움이 일어나 전 레 왕조는 혼란에 빠졌다.[16]

2. 2. 3. 리 왕조로의 전환

1005년 레호안이 죽자, 장남은 요절했고 3남인 레롱비엣(黎龍鉞)이 즉위하였으나, 불과 3일 만에 동생이자 레호안의 다섯째 아들인 레롱딘(黎龍鋌)에게 살해되어 왕위를 찬탈당했다.

레롱딘은 폭정을 하여 신하들의 반발을 샀고, 1009년에 살해되었다. 레롱딘의 아들은 어려서, 동생 등에 의한 후계자 싸움이 일어나 전 레 왕조는 혼란에 빠졌다. 1010년 리꽁우언이 황제에 오르면서 레 왕조는 멸망했다.[15][16]

레롱딘은 잔혹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으며, 죄인들에게 가혹한 형벌을 내리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황제의 건강이 좋지 않아 실제로는 리(Lý) 가문의 일원인 리꽁우언이 대부분의 권력을 장악했다고도 한다. 레롱딘 사후, 궁정은 대중과 불교 승려들의 압력으로 고위 관리이자 귀족인 리꽁우언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하는 데 동의했고, 이로써 전 레 왕조는 막을 내렸다. 그 자리에 리 왕조가 들어서면서 유교와 불교의 영향이 결합된 새로운 시대가 베트남에 도래했다.

3. 정치

레 환(黎桓)은 황제는 군사와 민정을 모두 통제했고, 최고 관직인 태사(太師)와 가장 명망 있는 불교 승려인 대사(大師)가 군주를 보좌하도록 했다.[17] 대사는 송(宋)나라 사신을 접대하는 외교관의 역할도 맡았다.[18] 레 환은 황자들을 지방에 배치하여 지방 세력을 억제하려 했고,[8] 양운아를 5명의 황후의 수장으로 삼았다.

국내는 10개의 로(路, 행정 구역)로 나뉘었고, 로 아래에 부(府)와 주(州)가 설치되었다. 행정을 담당하는 관리는 군인이 겸임했지만, 지방 관리는 부족했다.[17]

군사적으로는 황제와 수도 화려를 지키는 금군(禁軍)과 군사 훈련과 농사를 겸하는 지방군이 설치되었다.

3. 1. 중앙 행정

초기 레 왕조는 딘 왕조의 정부 형태를 유지했지만, 일부 부분을 수정했다. 980년, 레 환(Lê Hoàn)은 여러 사람을 궁정 직책에 임명했다. 홍헌(Hồng Hiến)을 태사(太師, 대재상)로, 팜 꺼 랑(Phạm Cự Lạng)을 태위(Thái úy, 부재상)로, 터 목(Từ Mục)을 대총관(Đại tổng quản, 궁정 총독)으로, 딘 터어 정(Đinh Thừa Chinh)을 내도지휘사(Nha nội đô chỉ huy sứ, 수도 내무 사령관)로 임명했다.[17]

그러나 주요 개혁은 딘 왕조가 모든 권력을 황제에게 집중시킨 것과는 대조적으로 각 관리에게 특정한 직무와 권한을 분배한 것이었다.

화러, 닌빈의 딘옌탄 사원(Đình Yên Thành)


황제가 군사와 민정을 모두 통제했고, 최고 관직인 태사(太師)와 가장 명망 있는 불교 승려인 대사(大師)가 군주를 보좌했다.[17] 대사는 송(宋)나라 사신을 접대하는 외교관의 역할도 맡았다.[18] 레 환은 황자들을 지방에 배치하여 지방 세력을 억제하려 했고,[8] 양운아를 5명의 황후의 수장으로 삼았다.

국내는 10개의 로(路, 행정 구역)로 나뉘었고, 로 아래에 부(府)와 주(州)가 설치되었다. 행정을 담당하는 관리는 군인이 겸임했지만, 지방 관리는 부족했다.[17]

3. 2. 지방 행정 및 반란 진압

초기 레 왕조는 딘 왕조의 정부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몇 가지 변화를 주었다. 980년, 레 호안(Lê Hoàn)은 홍헌(Hồng Hiến)을 태사(Thái sư, 대재상)로, 팜 꺼 랑(Phạm Cự Lạng)을 태위(Thái úy, 부재상)로, 터 목(Từ Mục)을 대총관(Đại tổng quản, 궁정 총독)으로, 딘 터어 정(Đinh Thừa Chinh)을 내도지휘사(Nha nội đô chỉ huy sứ, 수도 내무 사령관)로 임명하는 등 여러 사람을 궁정 직책에 임명했다.

딘 왕조가 황제에게 모든 권력을 집중시킨 것과는 달리, 각 관리에게 특정한 직무와 권한을 분배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

레 왕조 황제들은 통치 기간 동안, 특히 오지 지역에서 반란을 진압할 특별한 권한을 유지하면서도, 여러 지역 부족장과 총독들의 반란에 자주 직면했다.

980년, 레 대행(Lê Đại Hành)은 양진록(Dương Tiến Lộc)에게 현재 예안성과 탕화성인 환주(Hoan)와 ái주(Ái)에서 세금을 징수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양진록은 이에 반대하여 두 주를 장악하고 (Champa)의 지배하에 두려고 했다. 하지만 참파 왕국은 대고비엣(Đại Cồ Việt)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그의 제안을 거절했다. 레 대행은 군대를 이끌고 양진록을 물리쳐 죽였고, 두 주의 주민들을 대대적으로 학살했다.

이는 반란의 한 가지 예일 뿐이며, 5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황실에 대한 반란이 10건 이상 발생했다.

황제는 군사와 민정을 모두 통제했고, 최고 관직인 태사(太師)와 가장 명망 있는 불교 승려인 대사(大師)가 군주를 보좌했다.[17] 대사는 송나라 사신을 접대하는 외교관의 역할도 맡았다.[18] 레 환(黎桓)은 황자들을 지방에 배치하여 지방 세력을 억제하려 했고,[8] 양운아(楊雲娥)를 5명의 황후의 수장으로 삼았다.

국내는 10개의 로(路, 행정 구역)로 나뉘었고, 로 아래에 부(府)와 주(州)가 설치되었다. 행정을 담당하는 관리는 군인이 겸임했지만, 지방 관리는 부족했다.[17]

군사적으로는 황제와 수도 화려(華閭)를 지키는 금군(禁軍)과 군사 훈련과 농사를 겸하는 지방군이 설치되었다.

4. 경제

매년 봄 황제가 직접 지방을 순행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적전 의식을 거행하였다.[19] 개간과 생산이 장려되었고, 많은 수로가 개척되었다.[19] 천복전이라는 동전도 주조되었다.[10]

4. 1. 농업

농업은 초기 레 왕조 시대 대구월(大瞿越) 경제의 근간이었다. 마을의 대부분 토지는 황실의 통제 아래 있었고 법적으로 황실 소유였다.

토지는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설명
황제의 땅영적인 의미를 지니고 경작되었으며, 주로 포로와 농민들이 농업 활동에 참여하여 모든 생산물을 황실에 바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 제도는 레 대행(Lê Đại Hành)에 의해 987년에 처음 시행되었다.
분배지관리들에게 나라에 이바지한 공로에 대한 보상으로, 또는 왕족들에게 거처로 분배되었다. 이는 사유 재산이 아니었으며, 토지 소유자가 사망하면 황실로 반환되었다.
사찰 토지불교 승려들의 수행을 위해 따로 마련되었다.
사유지개인 간에 정부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소유되고 매매되었다.



이 외에도 정부는 미개척지를 개척하여 정착하도록 백성들을 장려했으며, 정착 지역을 확장하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토지를 제공했다. 농민들은 토지를 공평하게 나누어 경작하고, 정부 예산을 위해 정기적으로 세금을 납부했다.

화사 사원 – 명어루


매년 봄 황제가 직접 지방을 순행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적전 의식을 거행하였다.[19] 개간과 생산이 장려되었고, 많은 수로가 개척되었다.[19]

4. 2. 수공업 및 상업

레 다이한(Lê Đại Hành)은 국내적으로 새로운 기념물을 건설하고 농업 및 수공업 생산을 활성화하여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1] 983년 참파(Champa)를 정복한 뒤에는 점령한 영토를 국가에 편입하고, 남쪽 어귀에서 꽝빈성(Quảng Bình Province)까지 이르는 도로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1003년에는 다까이 운하(Đa Cái canal)를 준설하도록 명령했다. 1009년에는 지역 간 무역과 남쪽으로 이동하는 군인들의 편의를 위해 대규모 교통 인프라 건설을 시작했다.

초기 레 왕조는 토지 소유를 기반으로 세금을 부과했다. 세금에는 공공 사업에 10일 동안 노역하는 공공 부담금, 매년 납부하는 재산세, 그리고 가정 내 치안 및 군사 작전을 위한 군사세가 있었다. 재산세는 중국의 하, 상, 주 왕조의 제도를 차용한 것으로, 화폐가 아닌 물품만 징수했다. 동시에 정부는 토지를 제외한 상인의 재산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아 무역을 촉진했다.

대월(大越)의 황제들은 도로와 수로를 통한 새로운 무역로 개척에 집중했는데, 기록에 따르면 이러한 인프라 프로젝트는 주로 983년, 1003년, 1009년에 진행되었다. 대월의 주요 무역 파트너는 중국이었으며, 양측은 국경에서의 상호 교역을 확립했다. 일부 지역 고위 관리들은 지역 간 상업 활동을 지원했고, 대월의 사절단은 무역 분쟁에서 정부 중재자 역할을 했다. 베트남의 대표적인 수출품은 금, 은, 청동 제품이었다.[3]

매년 봄, 황제가 직접 지방을 순행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籍田(적전) 의식을 거행했다.[19] 개간과 생산이 장려되었고, 많은 수로가 개척되었다.[19] 또한, 天福銭(천복전)이라는 동전도 주조되었다.[10]

5. 대외 관계

982년, 레 다이한은 대구월 남쪽에 위치한 참파 원정을 시작했다. 레 다이한의 군대는 도반(오늘날 꽝남(Quảng Nam)성)에서 참파, 젠라(Chenla) 및 압바스 왕조 용병 연합군을 격파했다. 참파 왕 파라메스바라바르만 1세(Paramesvaravarman I)는 참수되었고, 참파의 수도 인드라푸라는 베트남군에 의해 함락되었다. 983년 새로운 참파 왕은 대구월의 속국이 되는 데 동의했다.[1]

대구월군이 참파에서 철수한 후, 레 헌의 부하였던 루 케 통이 참파에서 점성왕(占城王)을 자칭했다. 남쪽에는 인드라바르만 4세(Indravarman IV)와 루 케 통의 정권이 병립하였고, 인드라바르만 4세는 송에 도움을 요청했다.[14] 송은 레 헌에게 참파 침입을 금지했으나, 레 헌은 989년992년 두 차례에 걸쳐 참파를 침입했다.[14]

5. 1. 송나라와의 관계

송(宋)나라의 전쟁 위협 이후, 레 다이한(Lê Đại Hành)은 송군이 대구월(Đại Cồ Việt)로 진격하는 동안 전쟁 준비를 했다. 이후 백등강 전투에서, 레 다이한의 군대는 팜 꺼 르엉(Phạm Cự Lượng) 장군의 지휘 아래 송군의 육상 진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일부 손실을 입었다. 레 다이한은 평화를 추구하며 사절을 보내 평화 협상을 했고, 중국 천자(天子)에게 예를 표하고 공물을 바치는 연례 행사가 송나라를 달래는 수단으로 재개되었다.[1]

981년 침략 실패 이후, 송나라 황제는 레 환(Lê Hoàn)을 대고월의 통치자로 인정했지만, 중국인들이 대고월을 부르던 안남(安南) 보호령의 절도사(Jiedushi, 지역 군사 총독)로 간주했다. 982년부터 994년 사이에 레 환은 봉작을 요청하는 다섯 차례의 사신을 송나라에 파견했다.[6] 986년, 송 태종은 레 환을 안남도호(Annan duhu, 안남 상주)로 임명했다.[6] 993년 말, 송 황제는 그의 충성을 확신한 후 레 환을 교지군왕(Giao Chi Quan Vuong, 교지 왕)으로 임명했다.[6]

979년 딩 보 린이 암살된 후, 레 헌은 부왕(副王)으로서 국정을 맡았다.[9] 딩 보 린의 죽음을 알게 된 송(宋)은 안남(安南) 원정을 결정[8]하였고, 송의 침공을 앞두고 딩 왕조의 장병들은 레 헌을 새로운 군주로 추대하였다.[11][12]

981년 박당(白藤)강 전투에서 대구월군(大瞿越軍)은 해로를 통해 침입한 송군을 승리하였고, 량산(諒山)(랑선)에서도 육로로 침입한 송군을 물리쳤다.

983년에는 송에 대한 조공을 재개하였는데, 이때 참파 원정의 전리품으로 여겨지는 유향(乳香)과 서각(犀角)을 바쳤다.[13]

993년, 레 헌은 송으로부터 교지군(交趾郡)왕에 책봉되었다.[8]

레 롱 딘(Lê Long Đĩnh)은 온화하고 우호적인 정책으로 송나라와 외교 관계를 강화했다. 1009년, 그는 남녕(Nanning)에서 송나라와 상품 교역을 시작했지만, 송나라 황제가 베트남 상인들의 무역을 합포현(Hepu County)과 광서(Guangxi)와 같은 국경 근처 특정 지역으로 제한했기 때문에 제한적이었다.

5. 2. 참파와의 관계

981년, 레 다이한은 참파에 사신을 보냈으나 참파에 의해 붙잡혔다. 이 사건은 두 나라 사이의 전쟁을 촉발했다.[1]

982년, 레 호안은 참파 원정에서 승리하여 참파 왕 파라메스바라바르만 1세(Paramesvaravarman I)를 죽이고, 수도 인드라푸라를 함락했다. 100명의 병사와 첩, 인도 승려 한 명을 사로잡고 금, 은 등 귀중품을 가져왔으며, 이전 참파 왕들의 요새와 무덤을 불태웠다.[1]

983년, 새로운 참파 왕은 대구월의 속국이 되는 데 동의했다.[1]

992년, 참파의 하리바르만 2세(Harivarman II) 왕은 대월에 사절을 보내 포로 360명을 송환해 줄 것을 요청했다.

대구월군이 참파에서 철수한 후, 레 헌의 부하였던 루 케 통이 참파에서 점성왕(占城王)을 자칭했다. 남쪽에는 인드라바르만 4세(Indravarman IV)와 루 케 통의 정권이 병립하였고, 인드라바르만 4세는 송에 도움을 요청했다.[14] 송은 레 헌에게 참파 침입을 금지했으나, 레 헌은 989년992년 두 차례에 걸쳐 참파를 침입했다.[14]

6. 문화

초기 레 왕조 시대의 문화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그러나 불교가 가장 널리 퍼진 종교였으며, 중국 당나라의 불교 번영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승려들은 정치와 국가 계획에 참여할 수 있을 정도로 정부 업무에서 높은 지위를 누렸다.

7. 역대 군주

대수묘호시호성명연호재위 기간
제1대Không có|공 코vi대행황제Lê Hoàn|레호안viThiên Phúc|티엔푹vi980년 - 1005년
제2대중종Không có|공 코viLê Long Việt|레롱비엣viKhông có|공 코vi1005년
제3대Không có|공 코vi와조황제Lê Long Đĩnh|레롱딘viCảnh Thụy|까인투이vi1005년 - 1009년


8. 연호

연호기간
천복(天福)980년 - 988년
흥통(興統)989년 - 993년
응천(応天)994년 - 1007년
경서(景瑞)1008년 - 1009년


참조

[1]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2] 웹사이트 АНТОЛОГИЯ ТРАДИЦИОННОЙ ВЬЕТНАМСКОЙ МЫСЛИ. X начало XIII вв. http://www.philosoph[...] 2011-10-19
[3] 서적 sách đã dẫn
[4] 웹사이트 English/Vietnamese Handbook on Philosophy and Political Economy https://web.archive.[...] 2017-11-13
[5] 서적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6] 학술지 The Tributary Relations between China's Song Dynasty and Vietnam's Dinh, Le and Ly Dynasties: Effects on Their Political Sustainability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紅河の世界
[14] 서적 南シナ海の世界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