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호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호안은 941년에 태어나 1005년에 사망한 베트남의 군주이다. 딘 왕조의 십도대장군으로 12사군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으며, 딘 왕조가 멸망하고 어린 황제가 즉위하자 섭정으로 실권을 장악했다. 이후 황제로 즉위하여 송나라의 침략을 격퇴하고 참파를 정벌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운하 건설과 지방 제도 정비 등 내치에도 힘썼으나, 엄격한 법치와 잦은 반란으로 통치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레호안 사후, 아들들 간의 내전 끝에 셋째 아들 레롱비엣이 즉위했으나, 이내 살해당하고 다섯째 아들 레롱딘이 왕위를 찬탈했다. 그는 사후 대행황제로 불렸으며, 11명의 아들과 1명의 양자, 그리고 여러 명의 황후와 부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 레 왕조의 황제 - 레롱딘
레롱딘은 베트남 전 레 왕조의 황제로, 폭정과 잔혹한 성정, 잦은 병치레로 '와조'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사후 리공온에 의해 왕조가 멸망했다. - 전 레 왕조의 황제 - 레롱비엣
레롱비엣은 전 레 왕조의 제2대 황제로, 레 다이 하잉의 아들이며 1005년 즉위했으나 3일 만에 동생에게 암살당해 짧은 재위 기간으로 역사적 평가가 미흡하다. - 1005년 사망 - 아베노 세이메이
아베노 세이메이는 헤이안 시대의 음양사로 천문과 점술에 능통하여 조정과 귀족의 신임을 받았고 사후에는 신비로운 전설과 민담의 주인공이 되었으며 현대 대중문화 속 인물로 자리 잡았다. - 1005년 사망 - 에이리크 힌 라우디
에이리크 힌 라우디는 살인으로 아이슬란드에서 추방된 후 그린란드를 탐험하고 정착을 이끈 바이킹으로, 뛰어난 경영 수완으로 이주민들을 유치하여 그린란드 동부 정착지에서 번성하는 삶을 누렸다.
레호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레 대행 (黎大行) |
본명 | 레 호안 (黎桓, 黎奐) |
신상 정보 | |
출생일 | 941년 8월 10일 |
사망일 | 1005년 3월 18일 (향년 63세) |
사망 장소 | 대구월, 장춘 궁궐 |
아버지 | 레 미ịch |
어머니 | Đặng Thị (당 씨) |
통치 정보 | |
칭호 | 대구월 황제 |
재위 기간 | 980년 – 1005년 3월 |
이전 통치자 | 딘 폐제 |
다음 통치자 | 레 쭝똥 |
왕조 | 레 왕조 |
시대 | Thiên Phúc (티엔푹: 天福: 980–988) Hưng Thống (흥통: 興統: 989–993) Ứng Thiên (응티엔: 應天: 994–1005) |
가족 정보 | |
배우자 | 대승명태후 (Dương Vân Nga) 봉건지리황후 순성명도황후 정국황후 범황후 |
자녀 | 경천 영주 레 롱 타우 동탄 공작 레 롱 틱 남퐁 공작 레 롱 비엣 (황제 레 쭝똥) 어만 공작 레 롱 딘 카이밍 공작 레 롱 딩 (황제 레 응와 찌에우) 어박 공작 레 롱 껀 딘피엔 공작 레 롱 뚱 66명의 다른 자녀 |
사후 정보 | |
시호 | 민건 응운 신무 승평 지인 광효 황제 (明乾應運神武昇平至仁廣孝皇帝) |
기타 | |
종교 | 불교 |
2. 생애
레호안의 선조는 현재의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계림시 양삭현 출신으로 전해진다. 그는 처음에 딘보린의 부하로 들어가 12사군의 난 평정에 기여했으며, 968년 딘 왕조가 건국되자 십도장군(十道將軍)에 임명되었다.
979년 궁정 변란으로 딘보린과 장남 딘리엔이 살해되고 어린 딘또안이 즉위하자, 레호안은 황태후 양운아와 관계를 맺으며 실권을 장악했다. 이에 반발한 정국공 응우옌박, 딘디엔, 팜합 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레호안에게 진압되었다.[1]
딘 왕조의 내분을 틈타 980년 송나라가 침공해오자, 레호안은 군대를 이끌고 출정하던 중 군사들의 추대로 황제에 즉위하여 전 레 왕조를 개창했다.[1] 그는 981년 백등강 전투에서 송나라 군대를 격파하고[1], 이후 송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어 993년 교지군왕, 997년 남평왕으로 책봉받았다.[1]
982년에는 참파를 친정하여 수도 인드라푸라를 함락시키고 조공을 바치도록 강요했다. 국내 통치는 군정을 기반으로 엄격한 법치를 시행했으며, 형벌은 무거웠다. 운하를 건설하여 경제 발전을 꾀하고 어전 경작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으며, 불교를 중시했다. 11명의 아들을 왕으로 봉하여 각지를 다스리게 하고 1002년 지방 제도를 개편했으나, 지방 호족의 반항과 농민 및 소수민족의 봉기가 빈발하여 가혹하게 진압했다. 1005년 사망하였다.[1][2]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941년 아이 현(愛州, 현재의 타인호아 성)에서 태어났다. 그의 선조는 현재의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의 계림시 양삭현 출신이라고 전해진다.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같은 지역의 관리였던 레관찰(黎觀察)에게 양육되었다.
젊은 시절 딘보린 휘하에 들어가 12사군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했다. 968년 딘 왕조가 건국되고 딘보린이 황제에 오르자, 레호안은 십도장군(十道將軍)에 임명되어 군대의 지휘를 맡았다.
979년, 딘보린과 그의 장남 딘리엔이 환관(또는 관리) 도틱(杜釋, 두석)에게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여섯 살의 어린 아들 딘또안(丁璿, 딘투옌)이 왕위를 계승하자, 레호안은 황태후였던 양운아(楊雲娥)와 사적인 관계를 맺고 부왕(副王)을 자칭하며 섭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했다.
레호안의 이러한 권력 장악과 전횡에 반발하여, 정국공(定國公) 응우옌박(阮匐, 응우옌푹)과 외갑(外甲) 딘디엔(丁佃), 팜합(范盍) 등이 군사를 일으켰다. 하지만 레호안은 우세한 병력을 바탕으로 이들의 반란을 모두 진압하였다.
2. 2. 황제 즉위와 송나라 격퇴
979년, 딘보린과 그의 장자 딘리엔이 환관 도틱에게 살해되는 궁정 변란이 발생하자, 어린 딘또안이 황위를 계승했다. 이 시기 레호안은 황태후 양운아와 관계를 맺으며 실권을 장악하였다. 이에 딘 왕조의 대신 정국공(定國公) 응우옌박(阮匐), 딘디엔(丁佃), 범합(范盍) 등이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레호안은 우세한 병력으로 이를 진압했다.[1]딘 왕조의 내분을 기회로 삼아, 980년 송나라 광서옹주지사(廣西邕州知事) 후인보(侯仁寶)는 송 태종에게 딘 왕조 정벌을 건의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 후인보는 수륙 양군을 이끌고 대구월을 침공했다.[1] 황태후 양운아는 레호안에게 군대를 이끌고 송나라 군을 막도록 명했다. 출정 중 군중에서 레호안은 황제로 추대되어 즉위하였고, 이 소식을 들은 양운아는 용포(龍袍)를 보내 그의 즉위를 공식화했다. 레호안은 딘또안을 폐위시키고 위왕(衛王)으로 봉했으며, 이로써 딘 왕조는 멸망하고 전 레 왕조가 시작되었다.[1]
레호안은 981년 초 백등강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초기에는 송나라 해군에게 패배하여 병력과 함선 손실을 입기도 했으나, 이후 기습 작전을 통해 송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지휘관 후인보가 전사하자 송나라 군대는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1]
전쟁 이후 레호안은 송나라에 책봉을 요청했다. 당시 북방의 요나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던 송나라는 레호안의 요구를 받아들여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이에 따라 레호안은 993년에는 교지군왕(交趾郡王), 997년에는 남평왕(南平王)으로 책봉되었다.[1]
2. 3. 참파 원정과 내치
979년 말, 과거 12사군 시대 동안 참파로 망명했던 베트남 군벌 응오 녓 칸을 복위시킨다는 명분으로 참파 왕 파라메스와라바르만 1세가 대월을 공격하려 했으나, 태풍으로 인해 함대가 대부분 파괴되고 응오 녓 칸도 익사하면서 실패했다. 이듬해 레호안은 참파에 사절을 보냈지만 참파 왕에게 억류되었다.이에 982년 레호안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참파를 정벌하여 수도 인드라푸라를 함락시키고 약탈했으며, 전투 중 파라메스와라바르만 1세는 전사했다. 레호안은 참파가 대월에 칭신하고 조공을 바치도록 강요했다. 파라메스와라바르만의 왕자 자야 인드라바르만 4세는 남쪽으로 피신했고, 이후 참파군 내 베트남 장교였던 류 계 퉁이 참파에서 권력을 잡고 레호안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국내 통치에서 레호안은 실질적인 군정을 실시했으며, 법치는 매우 엄격하고 형벌은 무거웠다. 그는 운하를 건설하여 경제 발전을 도모했고, 987년 가뭄이 있은 지 5년 후에는 두 개의 논에서 직접 어전 경작 의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또한 불교 승려 크엉 비엣을 대선사로 중용하고, 995년에는 호아루에 대승 불교 사원을 짓고 수능엄경의 구절을 인용한 명문을 남겼다.
레호안은 자신의 11명의 아들을 왕으로 삼아 베트남 각지의 방어와 통치를 맡겼다. 1002년에는 전국 10도를 로(路), 주(州), 부(府)로 개편하는 등 지방 제도의 확립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방 호족들의 반항은 끊이지 않았고, 농민 반란이나 소수민족의 봉기도 자주 발생하여 정세는 불안정했다. 레호안은 이러한 저항 세력에 대해 가혹한 진압을 실시했다고 사서에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999년에는 소수 민족인 망인의 난과 하만동(현재의 타잉화성 탁타인현) 등 49개 지역의 반란을 평정했다.
2. 4. 사망과 왕위 계승
1005년, 레호안은 장춘전에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사후에는 '''대행황제'''(大行皇帝|대행황제중국어; 문자 그대로 "떠나간 황제")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1][2] 그의 사망 이후, 아들들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내전이 벌어졌다. 황태자였던 셋째 아들 남봉왕 레롱비엣이 즉위했으나, 3일 만에 다섯째 아들 레롱딘에게 살해당했다. 레롱딘은 왕위를 찬탈하여 이후 4년 동안 나라를 다스렸다.3. 가족 관계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3. 1. 부모
- '''아버지''': 레믹(Lê Mịch|레 믹vie, 黎覔)
- '''어머니''': 등씨(Đặng Thị|당 티vie, 鄧氏)
3. 2. 황후
- 대승명황후 (大勝明皇后)
- 봉건지리황후 (奉乾至理皇后)
- 순성명도황후 (順聖明道皇后)
- 정국황후 (鄭國皇后)
- 황후 범씨 (范皇后)
3. 3. 자녀
레호안에게는 11명의 아들과 1명의 딸, 1명의 양자가 있었다.- 아들
순서 | 왕호 | 이름 (한자) | 이름 (베트ナム語) | 생몰년 | 생모 | 비고 |
---|---|---|---|---|---|---|
1 | 경천대왕 (擎天大王) | 龍鍮 | Lê Long Thâuvie | ? ~ 1000년 | 알 수 없음 | 1000년까지 황태자였으나 요절. |
2 | 동성대왕 (東城大王) | 龍錫 | Lê Long Tíchvie | ? ~ 1005년 | 알 수 없음 | |
3 | 중종황제 (中宗皇帝) | 龍鉞 | Lê Long Việtvie | 983년 ~ 1005년 | 기후며녀 (祇候妙女) | 제2대 황제 (3일 재위) |
4 | 어만왕 (禦蠻王) | 龍釘 | Lê Long Đinhvie | 986년 ~ ? | 알 수 없음 | |
5 | 와조황제 (臥朝皇帝) 개명대왕 (開明大王) | 龍鋌 | Lê Long Đĩnhvie | 986년 ~ 1009년 | 기후며녀 (祇候妙女) | 제3대 황제 |
6 | 어북왕 (禦北王) | 龍釿 | Lê Long Cânvie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7 | 정번왕 (定藩王) | 龍鏦 | Lê Long Tungvie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8 | 부왕 (副王) | 龍鏘 | Lê Long Tươngvie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9 | 중국왕 (中國王) | 龍鏡 | Lê Long Kínhvie | ? ~ 1005년 | 알 수 없음 | |
10 | 남국왕 (南國王) | 龍鋩 | Lê Long Mangvie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11 | 항군왕 (行軍王) | 龍鍉 | Lê Long Đềvie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 양자
- 부대왕(副大王) 양희련(楊熙璉) - 십이 사군 시대의 사군 중 한 명이었던 양삼가(楊三哥)의 손자. 레호안이 초기에 아들이 없어 양자로 삼았다.
4. 평가 및 영향
레호안은 딘 왕조 말기의 혼란을 수습하고 전 레 왕조를 창건하여 베트남 초기 독립 왕조의 기틀을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딘보린 사후 권력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응우옌푹, 딘디엔, 팜합 등의 반발을 무력으로 진압하여 내부 안정을 꾀했다. 또한 981년 북송의 침입을 백등강 전투에서 성공적으로 격퇴하여 외세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지켜냈다.
이후 북송과의 외교 관계를 통해 교지군왕(993년), 남평왕(997년)으로 책봉받으며 왕조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외부 안정을 도모했다. 982년에는 남쪽의 참파를 직접 공격하여 수도 인다라푸라를 함락시키고 조공 관계를 강요하는 등 영토 확장과 국가 위상 강화에도 힘썼다. 경제 발전을 위해 운하를 개착하는 등 내치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그의 통치는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 군정의 성격이 강했으며, 법 집행이 엄격하고 형벌이 무거웠다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11명의 아들을 왕으로 봉하여 지방 통치를 맡겼으나 이는 오히려 왕들 간의 내분을 야기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지방 호족의 반항, 농민 반란, 므엉족과 같은 소수 민족의 봉기가 끊이지 않았으며, 레호안은 이러한 저항 움직임에 대해 가혹한 진압으로 일관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002년 전국 십도를 로·주·부로 개정하는 등 지방 제도를 확립하려 시도했지만, 그의 사후 왕위 계승 분쟁으로 이어지는 등 완전한 정치적 안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quyển 1
https://www.informat[...]
[2]
문서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vol. 1
:s:zh:大越史記全書/本紀卷之一
[3]
문서
대행이라는 호칭과 黎桓의 시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