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즉흥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즉흥극은 대본 없이 배우들이 즉석에서 대사와 행동을 창작하는 연극 형식이다. 기원전 아텔라 파르스에서 시작하여 코메디아 델라르테, 스타니슬라프스키, 자크 코포 등의 연출가들을 거치며 발전했다. 20세기 초 드라마 교육으로 활용되었으며, 비올라 스폴린의 저서 "Improvisation For The Theater"를 통해 기술이 체계화되었다. 숏폼, 롱폼, 임프로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뉘며, 배우 훈련, 교육, 드라마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델 클로스, 키스 존스턴, 맷 베서 등 많은 인물들이 즉흥극 발전에 기여했으며, 한국에서도 극단 및 단체를 중심으로 공연 및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즉흥 - 카덴차
    카덴차는 협주곡 등에서 오케스트라 반주가 멈춘 후 독주자가 자유로운 리듬으로 기교를 선보이는 부분으로, 즉흥 연주에서 작곡가의 작곡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재즈 음악에도 짧게 등장한다.
  • 즉흥 - 즉흥 연주
    즉흥 연주는 악보나 계획 없이 즉석에서 음악을 창작하고 연주하는 행위로, 다양한 장르에서 나타나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다른 예술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연기 (예술) - 카메오 출연
    카메오 출연은 영화, 드라마, 소설 등에서 유명인이나 특별한 인물이 짧게 등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홍보, 원작 존중, 유머 등을 위해 활용된다.
  • 연기 (예술) - 조연
  • 연극 장르 - 도덕극
    도덕극은 인간 영혼의 갈등을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된 등장인물로 표현하여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중세 유럽의 종교극에서 발전한 연극으로, 르네상스 시대 연극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
  • 연극 장르 - 멜로드라마
    멜로드라마는 과장된 감정, 극적인 줄거리, 선악이 분명한 인물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마 장르로, 18세기 프랑스에서 음악 반주가 있는 연극으로 시작되어 19세기 영국과 프랑스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영화와 텔레비전으로 확장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음악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즉흥극
즉흥극
고대 그리스 극장 가면
고대 그리스 극장 가면
장르적 특징
유형공연 예술
파생 장르즉흥 뮤지컬
즉흥 연극
관련 용어연극
희극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기법 및 요소
주요 요소자발성
즉흥성
협력
이야기 만들기
청중 참여
역사적 맥락
기원코메디아 델라르테
즉흥시
관련 인물 및 단체
주요 인물비올라 스폴린
키스 존스턴
델 클로즈
관련 단체세컨드 시티
컴퍼스 극단
즉흥 올림픽
국가별 현황
대한민국대학로, 소극장, 공연 단체 등에서 활발하게 공연됨
기타
관련 링크즉흥 연극 자원 센터 (Improv Resource Center)
코미디 즉흥 연극 (Comedy Improvisation)

2. 역사

즉흥극의 역사는 고대 그리스 시대의 아텔라나 희극, 16세기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라르테 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현대 즉흥극은 20세기 초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 운동과 드라마 교육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조안 리틀우드는 공연을 위한 연극을 개발하는 데 즉흥극을 광범위하게 활용했으나, 배우들이 공연에서 즉흥극을 하도록 허용했다는 혐의로 두 번 기소되었다. 1968년까지 영국의 법은 대본을 영국 궁내부 장관실의 승인을 받도록 요구했으며, 승인된 대본이 정확하게 공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사관을 파견하기도 했다.[2]

1987년 애노이언스 시어터는 롱폼 즉흥극을 강조하는 시카고의 클럽으로 시작되어 시카고와 뉴욕시에 여러 지점을 갖는 것으로 성장했다. 이곳은 11년 동안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뮤지컬 즉흥극 쇼의 본거지였다.[7]

2012년 레바논 작가이자 연출가인 루시앙 부르제일리는 즉흥극 기법을 사용하여 ''66 Minutes in Damascus''라는 다감각 연극을 만들었다. 이 연극은 런던 국제 연극 페스티벌에서 초연되었으며, 무대에 올려진 가장 극단적인 종류의 인터랙티브 즉흥극 중 하나로 여겨진다. 관객들은 초현실적인 감각 환경에서 오늘날의 시리아에서 납치된 관광객 역할을 한다.[8]

롭 위티그와 마크 C. 마리노는 넷프로브라는 온라인 연극 즉흥극을 위한 즉흥극의 한 형태를 개발했다. 이 형태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역동적인 허구적 시나리오를 만들어내고 실시간으로 진화하는 관객을 참여시킨다.[9]

2. 1. 서양의 즉흥극

서양 연극사에서 즉흥극이 가장 초기에 사용된 사례는 기원전 391년의 아텔라 파르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2]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코메디아 델라르테'' 배우들은 이탈리아 거리에서 대략적인 줄거리를 바탕으로 즉흥 연기를 펼쳤다. 1890년대에는 러시아의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와 프랑스의 자크 코포와 같은 연극 이론가이자 연출가들이 배우 훈련과 리허설에 즉흥 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이들은 연기 이론의 두 가지 주요 흐름을 창시했다.[2]

이탈리아 노벨상 수상자 다리오 포는 고도의 즉흥적인 스타일로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


현대 연극 즉흥극 게임은 20세기 초 드라마 교육의 주류였던 어린이들을 위한 드라마 훈련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는 1916년 존 듀이에 의해 시작된 진보주의 교육 운동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받았다.[3] 일부 사람들은 미국인 더들리 리그스를 무대에서 관객의 제안을 사용하여 즉흥적인 스케치를 만든 최초의 보드빌 배우로 꼽는다. 즉흥 훈련은 1940년대, 50년대, 60년대에 비올라 스폴린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으며, 그녀의 저서 ''Improvisation For The Theater''[4]에 정리되었는데, 이 책은 즉흥극을 배우고 가르치는 구체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최초의 책이었다. 1977년 클라이브 바커의 저서 ''Theatre Games''(여러 번역 및 개정판)은 즉흥극의 아이디어를 국제적으로 확산시켰다. 영국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키스 존스톤은 즉흥극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책 ''Impro: Improvisation and the Theatre''를 썼으며, 현대 즉흥 코미디의 주류가 되었고 인기 TV 프로그램 ''Whose Line Is It Anyway?''의 영감이 된 시어터스포츠를 발명했다.

비올라 스폴린은 시카고의 더 컴퍼스 플레이어스에서 현대 미국 즉흥극의 첫 세대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세컨드 시티로 이어졌다. 그녀의 아들 폴 실스는 데이비드 셰퍼드와 함께 더 컴퍼스 플레이어스를 시작했다. 컴퍼스 플레이어스가 해체된 후, 폴 실스는 세컨드 시티를 시작했다. 그들은 시카고에서 최초의 조직화된 즉흥극 단체였으며, 현대 시카고 즉흥 코미디 운동은 그들의 성공에서 성장했다.[5][6]

코미디 즉흥극의 현재 "규칙" 중 다수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시카고에서 처음 공식화되었으며, 초기에는 폴 실스가 연출한 더 컴퍼스 플레이어스 단원들 사이에서였다. 대부분의 설명에 따르면, 데이비드 셰퍼드는 컴퍼스 플레이어스의 철학적 비전을 제공했으며, 엘레인 메이는 즉흥극의 전제를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마이크 니콜스, 테드 플리커, 델 클로즈는 이와 관련하여 그녀의 가장 빈번한 협력자였다. 1959년 12월 16일 폴 실스가 연출한 세컨드 시티가 문을 열었을 때, 그의 어머니 비올라 스폴린은 현대 즉흥 훈련의 초석이 된 일련의 수업과 훈련을 통해 새로운 즉흥극 배우들을 훈련시키기 시작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비올라 스폴린의 수업은 그녀의 제자 조 포스버그에게 넘겨졌고, 그녀는 스폴린의 방법을 1년 과정으로 더욱 발전시켜, 결국 미국 최초의 공식적인 즉흥극 학교인 더 플레이어스 워크숍이 되었다. 이 기간 동안, 포스버그는 세컨드 시티 무대에서 주연을 맡게 된 많은 배우들을 훈련시켰다.[5][6]

''Saturday Night Live''의 오리지널 출연진 중 다수가 세컨드 시티 출신이며, 이 프랜차이즈는 마이크 마이어스, 티나 페이, 밥 오덴커크, 에이미 세다리스, 스티븐 콜베어, 유진 레비, 잭 맥브레이어, 스티브 카렐, 크리스 팔리, 댄 에크로이드, 존 벨루시와 같은 코미디 스타들을 배출했다.

몬트리올 즉흥 리그 회원들


동시에, 키스 존스톤의 그룹 더 시어터 머신은 런던에서 시작되어 유럽을 순회했다. 이 작업은 처음에는 존스톤의 워크숍에서 비밀리에, 결국 그가 캐나다로 이주하면서 공개적으로 시어터스포츠를 탄생시켰다. 토론토는 풍부한 즉흥극 전통의 본고장이다.

1984년, 딕 추드노우 (켄터키 프라이드 시어터)는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코미디스포츠를 설립했다. 확장은 1985년 코미디스포츠-매디슨(위스콘신)의 추가로 시작되었다. 제1회 코미디 리그 오브 아메리카 전국 토너먼트는 1988년에 개최되었으며, 10개 팀이 참가했다. 이 리그는 현재 CSz Worldwide로 알려져 있으며, 29개의 국제 도시를 자랑한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더 코미티 극장이 1960년대 노스 비치에서 활동했다. 이곳은 시카고 세컨드 시티 출신인 앨런 마이어슨과 그의 아내 제시카에 의해 설립되었다. 1972년 더 코미티가 해산되었을 때, 더 피첼 플레이어스, 더 윙, 즉흥 Inc. 등 3개의 주요 회사가 설립되었다. 델 클로스의 해롤드를 계속 공연한 유일한 회사는 후자였다. 전 멤버인 마이클 보시어와 존 엘크는 1976년 샌프란시스코의 올드 스파게티 팩토리에서 스파게티 잼을 결성하여 1983년까지 숏폼 즉흥극과 해롤드를 공연했다. Intersection for the Arts에서 길 건너편에서 공연하는 스탠드업 코미디언들이 들러서 참여하기도 했다. 1979년 엘크는 숏폼을 영국으로 가져와 잭슨스 레인 극장에서 워크숍을 열었으며, 런던 코미디 스토어에서 소호 스트립 클럽 위에서 공연한 최초의 미국인이었다.

현대 정치 즉흥극의 뿌리는 예르지 그로토프스키의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폴란드에서의 작업, 피터 브룩의 1960년대 후반 잉글랜드에서의 "해프닝", 아우구스토 보알의 1970년대 초 남아메리카에서의 "포럼 극장", 1960년대 샌프란시스코의 디거스의 작업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업 중 일부는 순수한 즉흥 공연 스타일로 이어졌고, 다른 작업은 단순히 연극 어휘에 추가되어 전반적으로 아방가르드 실험이었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활동한 영국 배우이자 연출가인 조안 리틀우드는 공연을 위한 연극을 개발하는 데 즉흥극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그러나 그녀는 배우들이 공연에서 즉흥극을 하도록 허용한 혐의로 두 번이나 기소되었다. 1968년까지 영국의 법은 대본을 영국 궁내부 장관실의 승인을 받도록 요구했다. 이 부서는 또한 승인된 대본이 승인된 대로 정확하게 공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부 공연에 검사관을 파견했다.

1987년, 애노이언스 시어터는 롱폼 즉흥극을 강조하는 시카고의 클럽으로 시작되었다. 애노이언스 시어터는 시카고와 뉴욕시에 여러 지점을 갖는 것으로 성장했다. 이곳은 11년 동안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뮤지컬 즉흥극 쇼의 본거지이다.[7]

2012년, 레바논 작가이자 연출가인 루시앙 부르제일리는 즉흥극 기법을 사용하여 ''66 Minutes in Damascus''라는 다감각 연극을 만들었다. 이 연극은 런던 국제 연극 페스티벌에서 초연되었으며, 무대에 올려진 가장 극단적인 종류의 인터랙티브 즉흥극 중 하나로 여겨진다. 관객들은 초현실적인 감각 환경에서 오늘날의 시리아에서 납치된 관광객 역할을 한다.[8]

롭 위티그와 마크 C. 마리노는 넷프로브라는 온라인 연극 즉흥극을 위한 즉흥극의 한 형태를 개발했다.[9] 이 형태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여 역동적인 허구적 시나리오를 만들어내고 실시간으로 진화하는 관객을 참여시킨다.

2. 2. 한국의 즉흥극

1990년대 후반, 한국에 즉흥극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했다. 여러 극단들이 즉흥극 공연을 무대에 올리고, 워크숍을 통해 즉흥극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i-1 그랑프리와 같은 즉흥극 경연 대회가 열리고 있다. 즉흥극은 대학 수업, 어린이 교육, 기업 연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을 비롯한 중도진보 성향의 사람들에게 창의성과 사회성을 길러주는 예술 형식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3. 종류

즉흥극은 크게 숏폼, 롱폼, 임프로 게임으로 나눌 수 있다.


  • 숏폼(Short Form): 특별히 관련 없는 짧은 장면을 연이어 보여주는 스타일이다.
  • 롱폼(Long Form): 몇몇 장면이 서로 관련되어 하나의 이야기가 되는 스타일이다.
  • 임프로 게임(Impro Game): 정해진 규칙에 따라 명확한 장면을 만들어내는 퍼포먼스이다.


즉흥극의 모든 형식에서 배우는 대화나 동작을 즉석에서 창작한다. 예측 불가능하며, 예상치 못한 다양한 사건이 발생하기 때문에 즉흥극은 자연스럽게 희극적인 면모를 띤다. 감동적인 장면이나, 이야기라고는 할 수 없는 예술적인 장면도 즉흥적으로 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흥극은 배우 훈련 도구로도 유용하며, 많은 기업과 예술가들이 발상력과 문장 구성력 훈련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훈련은 '유기적인 무대'라고 불리며, 드라마 치료 분야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다.[14]

극장 공연을 위해 1,000개에 가까운 훈련, 게임, 기술 및 형식이 고안되었으며, 지금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 연기나 연습으로 이어지는 레크리에이션 형태의 게임이며, 각 게임은 신체 표현, 인격 창조, 대응력, 긴장 완화, 제안에 대한 관대함, 신뢰 등 특정한 기술을 보여주거나 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 1. 숏폼 (Short Form)

비올라 스폴린은 연극 게임이라고 불리는 숏폼 즉흥극을 처음 만들었으며, 네바 보이드에게 훈련을 받았다.[4] 숏폼 즉흥극은 미리 정해진 게임, 구조,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진행되며, 관객의 제안을 받아 짧은 장면들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형식이다. 숏폼 즉흥 코미디 텔레비전 시리즈인 ''Whose Line Is It Anyway?''는 미국과 영국 시청자들에게 숏폼을 익숙하게 만들었다.

숏폼 즉흥극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시어터스포츠
  • 마에스트로
  • 고릴라 시어터

3. 2. 롱폼 (Long Form)

여러 장면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이야기가 되는 형식이다. 롱폼 즉흥극 배우들은 짧은 장면들이 종종 이야기, 등장인물 또는 주제로 상호 관련되어 있는 쇼를 만든다. 롱폼 쇼는 기존의 연극 유형, 예를 들어 장편 연극 또는 브로드웨이 스타일의 뮤지컬인 스포테니어스 브로드웨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 잘 알려진 롱폼 구조 중 하나는 임프로비올림픽 공동 창립자 델 클로스가 개발한 해롤드이다. 현재 많은 롱폼 구조가 존재한다. 윌 페렐, 티나 페이, 스티브 카렐과 같은 배우들은 롱폼 즉흥극에서 시작했다.[10]

대표적인 롱폼 형식으로는 해롤드, 리틀 타운, 스포큰 등이 있다.

롱폼 즉흥극은 특히 시카고, 뉴욕 시,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댈러스, 보스턴, 미니애폴리스, 피닉스, 필라델피아,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디트로이트, 토론토, 밴쿠버 및 워싱턴 D.C.에서 공연되며, 볼티모어,[11] 덴버, 캔자스 시티, 몬트리올, 콜럼버스, 뉴올리언스, 오마하, 로체스터(뉴욕)[12] 및 하와이에서 점점 더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 미국 외 지역에서 롱폼 즉흥극은 영국에서 점점 더 입지를 넓히고 있으며, 특히 런던, 브리스톨, 글래스고와 같은 도시와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그 인기를 더해가고 있다.

3. 3. 임프로 게임 (Impro Game)

임프로 게임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장면을 만들어가는 퍼포먼스 형식이다.[14] 즉흥극의 모든 형식에서 배우는 대화나 동작을 즉석에서 창작한다. 본질적으로 예측 불가능하며, 예상치 못한 다양한 사건이 발생하기 때문에 즉흥극은 자연스럽게 희극적인 면모를 띤다. 감동적인 장면이나, 이야기라고는 할 수 없는 예술적인 장면도 즉흥적으로 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14]

4. 즉흥극의 과정

즉흥극 배우들이 즉석에서 대사와 동작을 창작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26]


  • '''오퍼(Offer):''' 배우가 장면의 설정, 인물, 관계 등을 제안하는 행위이다. '엔도우먼트(endowment)'라고도 한다.
  • '''블로킹(Blocking):''' 상대방의 오퍼를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행위이다.
  • '''예스, 앤드...(Yes, and...):''' 상대방의 오퍼를 수용하고(Yes), 자신의 아이디어를 덧붙이는(and) 즉흥극의 기본 원리이다.


즉흥 장면이 성공하려면, 참여하는 즉흥극 배우들이 장면의 매개변수와 행동을 정의하기 위해 반응적으로 협력해야 하며, 이는 공동 창작 과정이다. 장면에 등장하는 각 단어나 행동으로 즉흥극 배우는 '오퍼'를 만드는데, 이는 그가 장면의 현실의 일부 요소를 정의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는 다른 캐릭터의 이름 부여, 관계, 위치 식별, 또는 마임을 사용하여 물리적 환경을 정의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부여'라고도 알려져 있다.[26]

다른 즉흥극 배우가 동료 배우가 만든 오퍼를 받아들이는 것이 그들의 책임이다.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은 블로킹, 부정, 또는 거부라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장면의 발전을 방해한다. 일부 배우는 코미디 효과를 위해 의도적으로 블로킹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캐릭터에서 벗어나는) '개깅'을 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장면의 진행을 방해하며 많은 즉흥극 배우들이 좋지 않게 생각한다. 오퍼를 수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오퍼를 추가하는 것으로 동반되며, 종종 이전 오퍼를 기반으로 한다. 이것이 즉흥극 배우들이 'Yes, and...'라고 부르는 과정이며, 즉흥 기술의 초석으로 간주된다. 추가된 모든 새로운 정보는 즉흥극 배우가 캐릭터를 다듬고 장면의 행동을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26]

즉흥극의 대본이 없는 특성은 또한 장면에 유용할 수 있는 소품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음을 의미한다. 즉흥극 단체는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소품을 어느 정도 보유할 수 있지만, 많은 즉흥극 배우들은 마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선호하여 소품을 피한다. 즉흥극에서 이것은 '마임'보다는 '공간 오브젝트 작업' 또는 '공간 작업'으로 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기술에 의해 생성된 소품과 위치는 바이올라 스폴린에 의해 개발된 '공간 물질'로 만들어진 '공간 오브젝트'로 발전했다.[4]

5. 즉흥극의 활용

즉흥극은 공연 예술의 한 형태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과학 커뮤니케이션: 앨런 알다는 저서 ''만약 당신을 이해했다면, 내 얼굴이 이렇게 보일까?''에서 즉흥극이 과학 분야의 소통을 개선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스토니브룩 대학교의 앨런 알다 커뮤니케이션 과학 센터에서의 작업을 바탕으로, 즉흥극 게임이 소통 능력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38]
  • 즉흥극 이론: 군터 뢰젤은 모레노, 스폴린, 존스턴, 클로스 등 기존의 즉흥극 이론을 비교하고 구조화하여 즉흥극의 일반 이론을 썼다.[37]

5. 1. 배우 훈련

즉흥극은 배우 훈련 도구로도 유용하다. 많은 극단과 예술가들이 발상력과 문장 구성력 훈련에 즉흥극을 활용하고 있으며, 드라마 치료 분야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다.

즉흥극을 통해 얻는 기술, 즉 듣는 것,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 자신감을 갖는 것, 생각 없이 연기하는 것 등은 일반 배우들에게 중요한 기술로 여겨진다.[3]

5. 2. 교육

즉흥극은 학교 교육에서 창의성, 표현력, 협동심 등을 기르는 데 활용된다. 20세기 초 존 듀이가 시작한 진보주의 교육 운동은 드라마 교육에 즉흥극을 활용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3] 비올라 스폴린은 ''Improvisation For The Theater''[4]라는 책을 통해 즉흥극 훈련을 발전시켰다. 이 책은 즉흥극을 배우고 가르치는 구체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기업 연수에서는 즉흥극을 통해 아이디어 발상, 문제 해결 능력, 팀워크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3. 드라마 치료

즉흥극은 배우 훈련 도구로 유용하며, 많은 기업과 예술가들이 발상력과 문장 구성력 훈련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훈련은 '유기적인 무대'라고 불리며, 드라마 치료 분야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다.[3] 드라마 치료는 즉흥 연기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심리 치료의 한 방법이다.

6. 주요 인물


  • 다리오 포: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 작가로, 고도의 즉흥적인 스타일로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3]
  • 존 듀이: 1916년 진보주의 교육 운동을 시작하여 드라마 교육에 영향을 주었다.[3]
  • 더들리 리그스: 관객의 제안을 바탕으로 즉흥적인 스케치를 만든 최초의 보드빌 배우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 비올라 스폴린: 1940~60년대에 즉흥극 훈련을 발전시켰으며, 저서 ''Improvisation For The Theater''[4]는 즉흥극 기술을 가르치는 최초의 책이었다.
  • 클라이브 바커: 1977년 저서 ''Theatre Games''를 통해 즉흥극 아이디어를 국제적으로 확산시켰다.
  • 키스 존스톤: 즉흥극에 대한 아이디어를 담은 책 ''Impro: Improvisation and the Theatre''를 썼으며, 시어터스포츠를 발명했다.
  • 폴 실스: 비올라 스폴린의 아들로, 데이비드 셰퍼드와 함께 더 컴퍼스 플레이어스를 시작하고, 이후 세컨드 시티를 설립했다.
  • 데이비드 셰퍼드: 컴퍼스 플레이어스의 철학적 비전을 제공했다.
  • 엘레인 메이: 즉흥극의 전제를 발전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마이크 니콜스, 테드 플리커, 델 클로즈: 엘레인 메이의 협력자였다.
  • 조 포스버그: 비올라 스폴린의 제자로, 그녀의 방법을 발전시켜 더 플레이어스 워크숍을 설립했다.[5][6]
  • 딕 추드노우: 1984년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코미디스포츠를 설립했다.
  • 앨런 마이어슨: 1960년대 더 코미티 극장을 설립했다.
  • 마이클 보시어와 존 엘크: 197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파게티 잼을 결성했다.
  • 예르지 그로토프스키, 피터 브룩, 아우구스토 보알: 현대 정치 즉흥극의 뿌리가 되는 작업을 했다.
  • 조안 리틀우드: 1950~60년대 활동한 영국 배우이자 연출가로, 즉흥극을 활용하여 공연을 개발했다.
  • 루시앙 부르제일리: 2012년 다감각 연극 ''66 Minutes in Damascus''를 만든 레바논 작가이자 연출가이다.[8]
  • 롭 위티그와 마크 C. 마리노: 넷프로브라는 온라인 연극 즉흥극 형태를 개발했다.[9]

7. 한국의 극단 및 단체

전국 각지에 즉흥극을 전문으로 하는 극단들이 존재한다. 순수 즉흥극을 공연하는 단체도 있고, 즉흥극을 응용하는 단체도 있다.

참조

[1] 논문 Improving Teenagers' Divergent Thinking With Improvisational Theater 2018
[2] 서적 Twentieth Century Acting Training Routledge 2012
[3] 웹사이트 TheatreSports History http://www.interacti[...]
[4] 서적 Improvisation for the Theater Third Editi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5] 서적 Something Wonderful Right Away Limelight Editions 2004
[6] 서적 The Compass: The Improvisational Theatre that Revolutionized American Comedy Centennial Publications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nnoyance {{!}} The Annoyance Theatre & Bar https://theannoyance[...] 2018-10-28
[8] 웹사이트 Review of 66 Minutes in Damascus at Shoreditch Town Hall - Exeunt Magazine http://exeuntmagazin[...]
[9] 웹사이트 Current Issue - Dichtung Digital http://www.dichtung-[...] 2014-11-03
[10]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Long- and Short-Form Improv https://www.backstag[...] 2023-03-29
[11] 웹사이트 Baltimore's comedy scene continues to grow, nurture aspiring talent https://www.baltimor[...] 2017-05-24
[12] 웹사이트 Fall Back Comedy Festival this weekend http://rochesterhome[...] 2015-01-29
[13] 서적 Experimental Theatre from Stanislavsky to Peter Brook
[14] 웹사이트 Everything I Need to Know, I Learned from Improv http://www.psycholog[...]
[15] 웹사이트 Stephen Colbert 2006 Commencement Address at Knox College http://departments.k[...] 2020-12-04
[16] 웹사이트 Tina Fey's Rules For Improv… And Your Career http://www.women2.or[...]
[17] 웹사이트 How Improvisers Effectively Ideate In High-Stakes Situations https://greenlightim[...] 2022-10-30
[18] 웹사이트 improvise v. ad-lib https://forum.wordre[...] 2012-09-22
[19] 웹사이트 Tele Topics https://www.archive.[...]
[20] 웹사이트 BBC sitcom lets kids improvise https://www.theguard[...] 2008-12-06
[21] 웹사이트 The Thick of It: Back in the loop https://www.independ[...] 2011-10-23
[22] 논문 an 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 2001
[23] 웹사이트 Levels of Consciousness http://sci-con.org/2[...]
[24] 웹사이트 Yes, and: Acceptance, Resistance, and Change in Improv, Aikido, and Psychotherapy http://www.sfxmachin[...]
[25] 웹사이트 BBC World Service - People Fixing The World, Improvising Your Way Out of Anxiety https://www.bbc.co.u[...] 2018-11-12
[26] 뉴스 Get the Laughs, but Follow the Rul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2-20
[27] 웹사이트 Brave New Workshop Main {{!}} stan harry styles for clear skin ;0Improv, Satire and Comedy since 1958 https://www.bravenew[...] 2019-11-19
[28] 웹사이트 The Magic Meathands http://magicmeathand[...] 2021-02-12
[29] 기타 David Shepherd: A Lifetime in Improvisational Theatre https://www.youtube.[...]
[30] 뉴스 London's Best Improv Comedy Clubs and Nights https://www.standard[...] Evening Standard 2018-05-10
[31] 웹사이트 Improv Comedy Club https://www.hooplaim[...]
[32] 뉴스 Improv has got big! https://www.comedy.c[...] British Comedy Guide 2019-04-25
[33] 뉴스 Hoopla Improv Marathon https://thevelvetoni[...] 2017-10-17
[34] 웹사이트 The Hoopla Improv Marathon https://www.hooplaim[...]
[35] 웹사이트 The Rise Of Improvised Comedy By Sarah Powell http://www.femalefir[...] 2019-03-07
[36] 웹사이트 Learning to Fail with Glasgow Improv Theatre By Sam Gonçalves https://www.theskinn[...] 2023-11-17
[37] 서적 Das Spiel mit dem Chaos - Zur Performativität des Improvisationstheaters transcript Verlag 2013
[38] 서적 If I Understood You, Would I Have this Look on My Face?: My Adventures in the Art and Science of Relating and Communicating Random House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