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증례 보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례 보고는 질병이나 증상 간의 예상치 못한 연관성, 예상치 못한 사건, 새로운 발견, 독특하거나 희귀한 특징, 독특한 치료 접근법, 해부학적 구조의 변이 등을 다루는 의학 연구의 한 유형이다. 사례 증거로 간주되며 의학적 증거의 계층에서 낮은 위치를 차지하지만, 새로운 질병의 확립과 치료 부작용 인지, 희귀 질환의 이해, 가설 설정, 맞춤 의료 등에 기여한다. 증례 보고는 의학 교육에서 사례 기반 학습에 활용되며, CARE 지침을 통해 보고의 질과 투명성을 높인다. 많은 학술지에서 출판되며, 환자들이 자신의 증례를 공유할 수 있는 웹사이트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상 연구 - 무작위 대조 시험
  • 임상 연구 - 제임스 린드
    제임스 린드는 1716년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영국의 군의관이자 의사로, 괴혈병 연구를 통해 오렌지와 레몬의 효과를 밝혀냈으며, 해군 위생 개선에도 기여했다.
  • 의학 용어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증례 보고
증례 보고
정의임상 진료에서 특이하거나 드물거나 새로운 양상을 보이는 환자 사례에 대한 상세한 기술 보고
목적
주 목적특정 질병 또는 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발견 및 지식 기여
의학적 경험과 지식 공유
추가 연구를 위한 가설 생성
구조
일반 구조서론 (증례 소개)
증례 기술 (환자 정보, 임상 경과)
고찰 (증례의 특이점, 의의 분석)
결론 (핵심 메시지)
연구 방법
방법론방법론에 대한 제한된 설명 제공
사례 선정 기준, 자료 수집 방법 명시 필요
근거 수준
근거 수준최하위 수준의 근거 (다른 연구 디자인에 비해 낮은 수준)
일반화에 제한적 (단일 사례에 대한 관찰 결과)
체계적 분석 부재
장점 및 단점
장점새로운 질병 또는 치료법 발견에 기여
희귀 질환 또는 드문 증상 사례 보고
새로운 연구 가설 생성
실질적 임상 경험 공유
단점일반화의 어려움 (개별 사례에 국한)
연구 결과의 객관성 및 대표성 부족
다른 연구 디자인에 비해 낮은 수준의 근거 제공
윤리적 고려
환자 개인 정보 보호환자 정보 보호 중요
익명성 보장 및 동의 획득 필수
다른 연구 디자인과의 비교
비교코호트 연구, 증례 대조 연구, 무작위 대조 시험 등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의 근거 제공
체계적 고찰, 메타분석에 비해 연구 결과의 확증성이 떨어짐
유의점새로운 연구 아이디어 또는 가설 생성에 유용
체계적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유용한 정보 제공
인용
인용다양한 문헌에서 증례 보고가 자주 인용됨
증례 보고 자체는 낮은 수준의 근거를 갖지만, 다른 연구에 영감을 주거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역할 수행
관련 용어
관련 용어증례 시리즈 (case series)
횡단면 연구 (cross-sectional study)
종단 연구 (longitudinal study)
관찰 연구 (observational study)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추가 정보
추가 정보의학 연구의 중요한 부분
임상 지식 및 경험을 공유하고 확산시키는 데 기여

2. 유형

증례 보고는 일반적으로 다음 여섯 가지 주제를 다룬다.[29][1]


  • 질병이나 증상 사이의 예상치 못한 연관성
  • 환자를 관찰하거나 치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예상치 못한 사건
  • 질병의 발병기전이나 유해효과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밝히는 발견
  • 질병의 독특하거나 드문 특징
  • 독특한 치료 접근법
  •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적 또는 양적 변형


증례 보고는 사례 증거로 간주된다.[19] 통계적 추출이 없다는 방법론적 제약을 포함하여, 증례 보고는 증례 시리즈와 함께 의학적 증거의 계층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한다.[20] 그러나 의학 연구에서 증례 보고는 유용한 역할을 한다.[21] 특히 새로운 질병의 확립과 치료의 부작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22] 또한 희귀 질환의 임상적 범위나 일반적인 질병의 이례적인 증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1] 질병의 발생 기전 등 연구상의 가설을 세울 수도 있다.[21] 의료 현장에서는 맞춤 의료의 참고 자료가 되기도 한다.[21]

특히 증례 보고는 빠르게 출판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연구를 수행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임상의도 신속하고 간결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24]

2. 1. 질병 및 증상 간의 예상치 못한 연관성

대부분의 증례 보고서는 다음 주제 중 하나에 해당한다.[29][1]

2. 2. 예상치 못한 사건

환자를 관찰하거나 치료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예상치 못한 사건도 증례 보고의 주제가 될 수 있다.[29][1] 증례 보고는 새로운 질병의 확립과 치료의 부작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데, 예를 들어 탈리도마이드를 임산부에게 투여한 후 태어난 영아에게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 것도 증례 보고가 계기였다.[23] 증례보고는 pharmacovigilance영어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22]

2. 3. 새로운 발견

질병의 발병기전이나 유해한 영향의 가능한 병태생리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발견이 증례 보고에 포함될 수 있다.[29][1] 이러한 발견은 질병의 발생 기전 등 연구상의 가설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21]

2. 4. 독특하거나 희귀한 특징

질병의 독특하거나 드문 특징을 보여주는 것은 증례 보고서의 주요 주제 중 하나이다.[29][1] 희귀 질환의 임상적 범위나 일반적인 질병의 이례적인 증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21]

2. 5. 독특한 치료 접근법

증례 보고에서는 새로운 치료법이나 기존 치료법의 변형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29][1]

2. 6. 해부학적 구조의 변이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적 또는 양적 변형을 보고한다.[29][1]

3. 의학 연구 및 교육에서의 역할

증례 보고는 일반적으로 사례 증거로 간주되지만,[2] 근거 기반 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4] 비록 통계적 추출이 없다는 방법론적 제약으로 인해 증례 시리즈와 함께 의학적 증거의 계층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하지만,[3] 새로운 질병과 치료의 부작용을 인식하고, 약물 감시에 활용되며, 희귀 질환의 임상 양상 및 흔한 질환의 특이 증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질병 발생 기전에 대한 연구 가설 수립을 지원하고, 맞춤 의료 발전에 기여하는 등 의학 연구에서 유용한 역할을 한다.

증례 보고는 전형적이지 않은 증례가 발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과학적 증거로 사용할 때 출판 편향을 고려해야 한다. 일부 증례 보고에는 해당 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 검토가 포함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보고서는 "증례 보고 및 문헌 검토"와 같은 용어로 식별되며, 진정한 의미의 증례 연구로 간주될 수 있다.

3. 1. 연구에서의 역할

증례 보고는 의학 연구 및 근거 기반 의학에서 다음과 같은 유용한 역할을 한다.[4]

  • 새로운 질병 및 치료의 부작용 인식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임산부에게 탈리도마이드를 투여했을 때 태아에게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관성은 증례 보고를 통해 인식되었다.[6]
  • 약물 감시에 활용된다.[5]
  • 희귀 질환의 임상 양상 및 흔한 질환의 특이 증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4]
  • 질병 발생 기전에 대한 연구 가설 수립을 지원한다.[4]
  • 맞춤 의료 발전에 기여한다.[4]


증례 보고는 새로운 것을 감지하는 데 높은 민감도를 가지므로 의학 발전의 초석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의학에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한다.[7] 또한, 대규모 연구를 수행할 시간이나 자원이 없는 임상의들 사이에서 신속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8]

3. 2. 교육에서의 역할

증례 보고는 의학 교육에서 사례 기반 학습(Case-Based Learning)을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4] 환자의 증례를 바탕으로 학습함으로써 임상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증례 보고는 (무작위 대조 시험과 같은 광범위한 연구와 비교하여) 빠르게 출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 이는 대규모 연구를 수행할 시간이나 자원이 부족한 임상의들 사이에서 신속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8]

4. 증례 보고의 장점 및 한계

증례 보고는 신약의 부작용이나 새로운 질병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임산부가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를 복용하면 태아에게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례 보고를 통해 밝혀졌다.[6] 이처럼 증례 보고는 약물 감시 체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5] 또한, 희귀 질환의 다양한 증상이나 흔한 질환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증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4]

증례 보고는 질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찾는 데 활용될 수 있다.[4] 의학 교육 과정에서는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4]

일부 증례 보고는 관련된 연구 자료들을 폭넓게 검토하고, 때로는 체계적인 분석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증례 보고는 '증례 보고 및 문헌 검토'와 같이 표현하며, 깊이 있는 연구를 포함하는 경우 진정한 증례 연구로 볼 수 있다.

4. 1. 장점

증례 보고는 새로운 것을 감지하는 데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있어 의학 발전의 초석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의학에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한다.[7] 무작위 대조 시험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소수의 변수만 조사하여 복잡한 의학적 상황의 전체 그림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증례 보고는 환자의 병력, 신체 검사, 진단, 심리사회적 측면, 추적 관찰 등 여러 측면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8]

또한, 증례 보고는 빠른 출판이 가능하여 대규모 연구를 수행할 시간이나 자원이 없는 바쁜 임상의들 사이에서 신속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8]

4. 2. 한계

증례 보고는 일화적 증거의 한 유형으로 간주된다.[2] 통계적 표본 추출의 부족 등 고유한 방법론적 한계로 인해, 증거의 계층 구조에서 증례 시리즈와 함께 가장 낮은 수준에 위치한다.[3]

과학적 증거로서 증례 보고를 사용할 때는 출판 편향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전형적이고 특별할 것 없는 증례는 발표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5. 보고 지침

증례 보고의 질을 높이고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CARE (CAse REport) 지침이 개발되었다.[4] CARE 지침은 EQUATOR 네트워크[9]에 포함되어 있으며, 제목, 키워드, 초록, 서론, 환자 정보, 임상 소견, 시간 경과, 진단 평가, 치료적 개입, 추적 관찰 및 결과, 논의, 환자 관점, 동의서 등 13개 항목의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4] CARE 지침에 따라 증례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설명 및 상세 설명 기사(매뉴얼)는 2017년 임상 역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에 게재되었다.[10]

6. 출판

많은 국제 학술지가 증례 보고를 게재하지만, 이는 학술지의 영향력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쇄본에 게재되는 수를 제한한다.[12] 증례 보고는 온라인으로 자주 출판되며, 접근하려면 종종 구독이 필요하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학술지가 증례 보고만을 출판하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개방 접근이다.[11][12] 이 중 최초로 2001년에 출판을 시작한 것은 ''그랜드 라운드''였다.[13][14]

환자가 자신의 증례 보고서를 다른 사람들과 제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여러 웹사이트가 있다. PatientsLikeMe[15]와 Treatment Report[16]는 그러한 사이트의 두 가지 예이다.

7. 대한민국에서의 증례 보고

대한민국에서도 다양한 학술지 및 학술대회를 통해 증례 보고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다. 대한의학회 및 각 전문 학회는 증례 보고의 질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국내 의료 환경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나 한국인에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질병 양상에 대한 증례 보고는 한국 의료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8. 유명 증례 보고 (해외)


  •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안나 O., 도라, 리틀 헨스, 쥐 인간, 늑대 인간 등 수많은 사례를 보고했다.
  • 프레더릭 트리브스 경은 "코끼리 인간"을 보고했다.
  • 폴 브로카는 1860년대 좌반구 병변 후 언어 장애에 대한 사례를 보고했다.
  • 조셉 쥘 데제린은 순수 알렉시아 사례를 보고했다.
  • 윌리엄 매킨타이어는 1840년대에 기술된 다발성 골수종 사례를 보고했다.
  • 크리스티안 바르나르트는 세계 최초의 심장 이식[17]을 증례 보고로 기술했다.
  • W. G. 맥브라이드는 1961년 탈리도마이드 증례를 보고했다. ''The Lancet'' 2:1358.

9. 증례 보고 작성 방법

증례 보고는 표지, 요약, 서론, 증례, 고찰, 감사의 글, 이해상충, 참고문헌을 기재하는 경우가 많다.[25] 그러나 실제로 증례 보고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학술지의 투고 규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증례 항목에는 연령, 성별, 주소,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복약력, 입원 시 현황, 검사 소견, 입원 후 경과, 경과표를 기재하는 경우가 많다.[26] 물론, 증례의 특징에 따라 일부 항목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항목들을 포괄적으로 기재함으로써 객관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증례에 대한 포괄적인 기재는 대상이 비교적 소수라면 용이하지만,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장황해지므로, 증례 대조 연구나 코호트 연구 등 다른 형식을 사용하게 된다.

정해진 형식에 따라 작성하며, LafLabo와 같은 전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편리하다. 복용 이력이나 검사 소견을 LafLabo로 일괄 처리도 가능하다.

참조

[1] 서적 Guidebook to better medical writing Island Press
[2] 논문 Anecdotes as evidence 2003-06-00
[3] 논문 How to read a paper. Getting your bearings (deciding what the paper is about) 1997-07-00
[4] 논문 The CARE guidelines: consensus-based clinical case reporting guideline development
[5] 논문 Anecdotes that provide definitive evidence 2006-12-00
[6] 웹사이트 Thalidomide and congenital abnormalities http://www.jameslind[...] James Lind Library 2014-05-28
[7] 논문 In defens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2001-02-00
[8] 논문 Case report on trial: Do you, Doctor, swear to tell the truth, the whole truth and nothing but the truth? http://www.jmedicalc[...] 2011-05-00
[9] 웹사이트 The CARE Guidelines: Consensus-based Clinical Case Reporting Guideline Development http://www.equator-n[...] The EQUATOR Network 2014-05-28
[10] 논문 CARE guidelines for case report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document 2017-09-00
[11] 논문 New journals for publishing medical case reports 2016-11-21
[12] 논문 How to choose the best journal for your case report 2017-07-22
[13] 논문 Grand Rounds
[14] 웹사이트 Online open peer-reviewed case report journal http://www.grandroun[...]
[15] 웹사이트 Treatment and Side Effect Information http://www.patientsl[...]
[16] 웹사이트 Share and Find Treatment Reviews for Medical Conditions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Cardiac transplantation: since the first case report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SUNY Downstate EBM Tutorial http://library.downs[...] 2015-09-03
[19] 논문 Anecdotes as evidence 2003-06-00
[20] 논문 How to read a paper. Getting your bearings (deciding what the paper is about) 1997-07-00
[21] 논문 The CARE guidelines: consensus-based clinical case reporting guideline development
[22] 논문 Anecdotes that provide definitive evidence 2006-12-00
[23] 웹사이트 Thalidomide and congenital abnormalities http://www.jameslind[...] James Lind Library 2014-05-28
[24] 논문 Case report on trial: Do you, Doctor, swear to tell the truth, the whole truth and nothing but the truth? http://www.jmedicalc[...] 2011-05-00
[25] 웹사이트 感染症学雑誌投稿規定 https://www.kansensh[...] 一般社団法人 日本感染症学会 2023-05-24
[26] 논문 全身性エリテマトーデス治療中に致死的経過を辿った播種性クリプトコックス症の1例 https://doi.org/10.1[...] 2023-05-20
[27] 웹사이트 LafLabo https://web.laflabo.[...] 2023-05-27
[28]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9] 서적 Guidebook to better medical writing https://archive.org/[...] Island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