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도림은 동진 시대의 승려로, 불교와 노장사상을 융합하여 격의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25세에 출가하여 불교 교리를 연구했으며, 노장사상에 정통하여 《장자》에 주석을 달기도 했다. 왕희지 등 당대 문인들과 교류하며 불교 사상을 전파했고, 동진 시대 불교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저서로 《즉색유현론》, 《성불변지론》 등이 있으며, 그의 사상은 한국 불교, 특히 선불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14년 출생 - 도안 (동진)
도안은 동진 시대의 고승으로 중국 불교 중흥에 기여, 불도징의 제자로서 경전 번역에 참여, 승려들에게 '석'씨 사용 장려, 불교 경전 체계 정리 및 3분과 확립, 격의불교 비판, 부견의 국사로 활동 후 양양에서 말년을 보냈다. - 366년 사망 - 교황 리베리오
교황 리베리오는 4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아리우스파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유배를 당하고 논란에 휩싸였지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선승 - 선사
선사는 불교에서 수행 승려에 대한 존칭으로, 특히 선 수행을 통해 높은 경지에 이른 승려를 지칭하며, 선종의 스승이나 전법을 인정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선승 - 보디다르마
보리달마는 5~6세기경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가 선종을 전파한 승려로, 남인도 출신으로 추정되며, 양나라 무제와의 문답, 소림사 9년 면벽좌선, 혜가에게 법을 전한 이야기 등으로 유명하고, 좌선과 벽관을 강조하며 돈오와 불성을 중요시하여 동아시아 선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도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지둔 |
본명 | 지도림 |
로마자 표기 | Ji Dun |
출생 | 314년 |
출생지 | 카이펑, 서진 |
사망 | 366년 5월 29일 |
사망지 | 콰이지 군, 동진 |
국적 | 중국 |
종교 | 불교 |
사찰 | |
사찰 | 지산사 (支山寺) 영가사 (霊嘉寺) 서광사 (棲光寺) |
승려 정보 | |
법명 | 지둔 |
저서 | |
저서 | 《문한집》 |
2. 생애
지도림은 부친과 조부 대대로 불교 신자였으며, 어린 시절 이미 서진 말의 화북 혼란을 피해 강남으로 이주했다. 25세에 출가하여 『도행반야경』 등의 교리 연구에 전념했다.
노장사상과 청담에도 정통하여 『장자』 「소요유편」에 주석을 달아 독자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 후, 오군오현의 지산사에 들어갔으나, 왕희지의 요청으로 회계군산음현의 영가사로 옮겼다. 이후에도 각지에서 불전을 강설하고 제자 백여 명을 거느렸다. 애제의 초청으로 수도 건강에 나와 동안사에서 『도행반야경』을 강설하는 등 활동했다. 왕희지, 손작, 허순, 사안, 유회 등 동진 일류의 문인들과 교류했다.
태화 원년(366년) 윤4월, 회계군 섬현 석성산의 서광사에서 병사했다.
2. 1. 어린 시절과 출가
지도림은 부친과 조부 대대로 불교 신자였으며, 어린 시절 이미 서진 말의 화북 혼란을 피해 강남으로 이주했다. 25세에 출가하여 『도행반야경』 등의 교리 연구에 전념했다.2. 2. 노장사상과의 만남
지도림은 노장사상과 청담에 정통하여 『장자』 「소요유편」에 주석을 달아 독자적인 견해를 밝혔다. 격의불교 발전에 기여했다.2. 3. 주요 활동
지도림은 부친과 조부 대대로 불교 신자였으며, 어린 시절 이미 서진 말의 화북 혼란을 피해 강남으로 이주했다. 25세에 출가하여 『도행반야경』 등의 교리 연구에 전념했다. 노장사상과 청담에도 정통하여 『장자』 「소요유편」에 주석을 달아 독자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 후, 오군오현의 지산사에서 수행했다. 왕희지의 요청으로 회계군산음현의 영가사로 옮겼다. 이후에도 각지에서 불전을 강설하고 백여 명의 제자를 양성했다. 애제의 초청으로 수도 건강에 나와 동안사에서 『도행반야경』을 강설하는 등 활동했다. 왕희지, 손작, 허순, 사안, 유회 등 동진 일류의 문인들과 교류했다.2. 4. 사망
지도림은 태화 원년(366년) 윤4월, 회계군 섬현 석성산의 서광사에서 병으로 사망했다.3. 저작
남조 양의 혜교의 『고승전』(권4, 본전)에서 전하기를, 그의 저작으로는 『즉색유현론』, 『성불변지론』, 『도행지귀』, 『학도계』, 『석몽론』, 『절오장』, 『변삼승론』 등을 남겼다고 한다. 또한, 그의 문집으로 『문한집』 10권이 있었다고 한다.
3. 1. 주요 저작 목록
혜교의 『고승전』(권4, 본전)에 따르면, 지도림은 『즉색유현론』, 『성불변지론』, 『도행지귀』, 『학도계』, 『석몽론』, 『절오장』, 『변삼승론』 등을 저술하였다. 또한, 그의 문집으로 『문한집』 10권이 있었다고 한다.3. 2. 문집
혜교의 『고승전』(권4, 본전)에 따르면, 지도림은 『즉색유현론』, 『성불변지론』, 『도행지귀』, 『학도계』, 『석몽론』, 『절오장』, 『변삼승론』 등을 저술하였다. 또한, 그의 문집으로 『문한집』 10권이 있었다고 한다.4. 평가
지도림은 불교와 노장사상을 융합하여 격의불교를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으며,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왕희지(王羲之), 사안(謝安) 등 당대 최고의 문인들과 교류하며 불교 사상을 전파했으며, 동진 시대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지도림의 사상은 한국 불교, 특히 선불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된다.
4. 1. 격의불교 발전 기여
지도림은 불교와 노장사상을 융합하여 격의불교를 발전시킨 공로를 인정받으며,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다.4. 2. 당대 지식인들과의 교류
지도림은 왕희지(王羲之), 사안(謝安) 등 당대 최고의 문인들과 교류하며 불교 사상을 전파했으며, 동진 시대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4. 3. 한국 불교에 미친 영향
지도림의 사상은 한국 불교, 특히 선불교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된다.4. 4. 전기 자료
지도림(支道林)은 동진(東晉)의 승려이다.참조
[1]
서적
Patterns of Disengagement: The Practice and Portrayal of Reclusion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2]
서적
The Dawn of Chinese Pure Land Buddhist Doctrine: Ching-ying Hui-yüanʼs Commentary on the Visualization Sut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3]
서적
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Free Press-MacMillan Publishing Co., Inc.
[4]
기타
『高僧伝』巻4, 支遁伝「……以晋太和元年閏四月四日終于所住、春秋五十有三」
[5]
문서
지둔별전(支遁別傳)
[6]
문서
고일사문전(高逸沙門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