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100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도 제1002호선은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서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원전항까지 이어지는 지방도이다. 2003년에 노선이 폐지 및 재지정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구간 확장 및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주요 경유지로는 하동군, 사천시, 진주시, 고성군, 창원시 등이 있으며,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와 중복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도로명으로는 구노량길, 경충로, 서삼로, 영회로, 회진로 등이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하동군의 교통 - 하동역
하동역은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경전선 철도역으로, 1968년 영업을 시작하여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2016년 역사가 이전되었고 부전, 목포 방면 열차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한다. - 사천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사천시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고성군 (경상남도)의 교통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4호선은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시작하여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거쳐 경상북도 포항시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쳐 김해, 창원, 거제 지역에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지정되었다. - 고성군 (경상남도)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지방도 제1002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경상남도 지방도 |
![]() | |
노선명 | 금남 ~ 구산선 |
노선 번호명 | 지방도 제1002호선 |
총 연장 | 148.43km |
기점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
주요 경유지 | |
주요 교차 도로 |
2. 연혁
- 2003년 2월 20일: 노선 폐지 및 재지정[2][3]
- 2005년 2월 24일: 창포 ~ 시락간 도로(마산시(현 창원시) 진전면 창포리 ~ 시락리) 1.493 km 구간 확장 개통[4]
- 2009년 4월 23일: 배둔 ~ 시락간 도로(고성군 회화면 어신리 ~ 마산시(현 창원시) 진전면 시락리) 5.392 km 구간 확장 개통[5]
- 2009년 6월 11일: 배둔 ~ 시락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고성군 회화면 봉동리 ~ 마산시(현 창원시) 진전면 시락리 총 2.92 km 구간 폐지[6]
- 2009년 10월 15일: 지방도 노선 조정으로 총 연장이 116.3km에서 103.3km로 변경[7]
- * 사천 공군부대 통과 노선 폐지
- * 사천시 만남의광장 ~ 탑리삼거리 구간 우회 노선으로 변경(축동면도103호선, 사천시 군도3호선 일부 승격)
- * 국도 제5호선에 편입되어 승격된 구간 폐지
- 2010년 6월 17일: 곤양 ~ 무고간 도로(사천시 곤양면 맥사리) 500m 구간 확장 개통[8]
- 2016년 9월 12일: 진교 ~ 노량간 도로(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 노량리) 2.5 km 구간 확장 개통[9]
- 2017년 2월 2일: 흥사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사천시 곤양면 검정리 ~ 축동면 가산리) 3.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670m 구간 폐지[10][11]
- 2018년 8월 2일: 진교 ~ 노량간 도로 양포 교차로 ~ 대전방 교차로(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 술상리) 1.3 km 구간 확장 개통[12]
- 2018년 12월 27일: 진교 ~ 노량간 도로 대지1 교차로 ~ 대전방 교차로(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 금남면 대치리) 2.58 km 구간 확장 개통[13]
- 2019년 2월 19일: 진교 ~ 노량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304m 구간과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 노량리 총 1.431 km 구간 폐지[14]
- 2020년 2월 28일: 진교 ~ 노량간 도로 장승 교차로 ~ 남해대교 교차로(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1.0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20m 구간 폐지[15]
- 2020년 10월 8일: 기점을 하동군 하동읍으로 연장[16]
2. 1. 2000년대
2003년 2월 20일 노선이 폐지 및 재지정되었다.[2][3] 2005년 2월 24일에는 창포 ~ 시락간 도로(마산시 진전면 창포리 ~ 시락리) 1.493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4] 2009년 4월 23일에는 배둔 ~ 시락간 도로(고성군 회화면 어신리 ~ 마산시 진전면 시락리) 5.392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5] 같은 해 6월 11일에는 배둔 ~ 시락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고성군 회화면 봉동리 ~ 마산시 진전면 시락리 총 2.92 km 구간이 폐지되었다.[6]2009년 10월 15일 지방도 노선 조정으로 총 연장이 116.3km에서 103.3km로 변경되었는데,[7] 사천 공군부대 통과 노선이 폐지되었고, 사천시 만남의광장 ~ 탑리삼거리 구간이 우회 노선으로 변경되었으며(축동면도103호선, 사천시 군도3호선 일부 승격), 국도 제5호선에 편입되어 승격된 구간이 폐지되었다. 2010년 6월 17일에는 곤양 ~ 무고간 도로(사천시 곤양면 맥사리) 500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8]
2. 2. 2010년대
2010년 6월 17일 곤양 ~ 무고간 도로(사천시 곤양면 맥사리) 500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8] 2016년 9월 12일에는 진교 ~ 노량간 도로(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 노량리) 2.5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9] 2017년 2월 2일에는 흥사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사천시 곤양면 검정리 ~ 축동면 가산리) 3.64 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670m 구간이 폐지되었다.[10][11] 2018년 8월 2일에는 진교 ~ 노량간 도로 양포 교차로 ~ 대전방 교차로(하동군 진교면 양포리 ~ 술상리) 1.3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으며,[12] 12월 27일에는 진교 ~ 노량간 도로 대지1 교차로 ~ 대전방 교차로(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 금남면 대치리) 2.58 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13]2019년 2월 19일, 진교 ~ 노량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304m 구간과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 노량리 총 1.431 km 구간이 폐지되었다.[14] 2020년 2월 28일에는 진교 ~ 노량간 도로 장승 교차로 ~ 남해대교 교차로(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1.0 km 구간이 확장 개통, 기존 820m 구간이 폐지되었으며,[15] 10월 8일 기점을 하동군 하동읍으로 연장했다.[16]
2. 3. 2020년대
2020년 2월 28일, 진교 ~ 노량간 도로 장승 교차로 ~ 남해대교 교차로(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구간이 1.0 km 확장 개통되고, 기존 820m 구간은 폐지되었다.[15] 2020년 10월 8일에는 기점이 하동군 하동읍으로 연장되었다.[16]3. 주요 경유지
하동군 금남면 남해대교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진교면 술상리, 양포리, 구곡 교차로, 평당 교차로, 진교 교차로, 진교교 서단, 상평사거리, 상평교를 거쳐 진교 나들목에서 남해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후 송원리, 송원교, 신율원교를 지나 밤터재까지 이어진다.
사천시 서포면과 곤양면을 잇는 구간은 밤터재와 밤치재를 넘는 구간으로, 일부 구간은 1차선이거나 미포장 상태이다. 곤양면에서는 맥사교, 곤양초등학교 서부분교(폐교), 남문외리, 금용교, 성내미재, 대진리, 환덕리, 묵곡리, 장포교, 검정리, 가산교 등을 지난다. 축동면에서는 가산교, 가산리, 축동 나들목, 경남도립정신병원, 용수삼거리, 축동초등학교 구호분교(폐교), 구호리, 탑리삼거리, 탑리공단, 길평리, 사천IC사거리, 운계 교차로, 배춘1교 등을 지난다. 사천읍에서는 배춘교, 구암 교차로, 정의리, 방곡 교차로, 구암리, 장전리, 돌장고개를 지난다.
진주시 정촌면 배춘1교에서 시작하여 배춘2교를 지나 금곡면으로 이어진다. 금곡면에서는 돌장고개를 넘어 두문리, 금곡초등학교, 금곡정류소, 영오교를 지난다.
고성군 영오면 영오교에서 연화산 나들목(영오 교차로), 오서 교차로를 거쳐 오서리, 영대리, 영오초등학교, 성곡리, 성곡교, 영천중학교, 영오면사무소, 영오사거리, 연당리, 양산리, 양산교를 지난다.
개천면에서는 양산교를 건너 가천저수지, 가천리, 청광교, 청광사거리, 청광리를 지난다.
구만면에서는 화림리, 신계교, 회화중학교 구만분교 (폐교), 구만초등학교, 구만면사무소, 광덕리를 지난다.
회화면에서는 녹명리, 배둔사거리, 배둔리, 배둔2교, 당항리, 허브드라마인, 당항사거리, 당항포랜드 (고성공룡세계엑스포), 봉동리, 고성노벨CC, 어신리를 지난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시락리에서 시락교와 동진교 서단을 지나 창포리, 진전초등학교 이창분교(폐교), 이명리, 장좌교, 이창교, 암아 교차로, 율티리를 거쳐 밤고개로 이어진다. 밤고개를 지나면 진북면으로 연결되어 진북교, 학동삼거리, 지산리, 지산교를 지난다. 진동면에서는 지산교, 사동교, 진동 교차로, 향군교, 요장리, 광암항, 다구리, 장고개를 거친다. 이후 구산면으로 이어져 마전리, 마전교,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군령삼거리, 석곡리, 사숙이고개, 수정삼거리, 수정리, 안녕삼거리, 백령치, 옥계삼거리, 옥계리, 신촌교, 신촌삼거리, 반동초등학교, 반동삼거리, 구남중학교, 반동리, 난포삼거리, 난포리, 준고개, 상용호삼거리, 심리, 원전항으로 이어진다.
3. 1. 하동군
하동군 관내에는 국도 제19호선과 분기하는 금남면 남해대교 교차로부터 시작하여, 진교면 술상리, 양포리, 구곡 교차로, 평당 교차로, 진교 교차로, 진교교 서단, 상평사거리, 상평교를 거쳐 진교 나들목에서 남해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후 송원리, 송원교, 신율원교를 지나 밤터재까지 이어진다.3. 2. 사천시
서포면과 곤양면을 잇는 구간은 밤터재와 밤치재를 넘는 구간으로, 일부 구간은 1차선이거나 미포장 상태이다. 곤양면에서는 맥사교, 곤양초등학교 서부분교(폐교), 남문외리, 금용교, 성내미재, 대진리, 환덕리, 묵곡리, 장포교, 검정리, 가산교 등을 지난다. 축동면에서는 가산교, 가산리, 축동 나들목, 경남도립정신병원, 용수삼거리, 축동초등학교 구호분교(폐교), 구호리, 탑리삼거리, 탑리공단, 길평리, 사천IC사거리, 운계 교차로, 배춘1교 등을 지난다. 사천읍에서는 배춘교, 구암 교차로, 정의리, 방곡 교차로, 구암리, 장전리, 돌장고개를 지난다.3. 3. 진주시
정촌면 배춘1교에서 시작하여 배춘2교를 지나 금곡면으로 이어진다. 금곡면에서는 돌장고개를 넘어 두문리, 금곡초등학교, 금곡정류소, 영오교를 지난다.3. 4. 고성군
영오면 영오교에서 연화산 나들목(영오 교차로), 오서 교차로를 거쳐 오서리, 영대리, 영오초등학교, 성곡리, 성곡교, 영천중학교, 영오면사무소, 영오사거리, 연당리, 양산리, 양산교를 지난다.개천면에서는 양산교를 건너 가천저수지, 가천리, 청광교, 청광사거리, 청광리를 지난다.
구만면에서는 화림리, 신계교, 회화중학교 구만분교 (폐교), 구만초등학교, 구만면사무소, 광덕리를 지난다.
회화면에서는 녹명리, 배둔사거리, 배둔리, 배둔2교, 당항리, 허브드라마인, 당항사거리, 당항포랜드 (고성공룡세계엑스포), 봉동리, 고성노벨CC, 어신리를 지난다.
3. 5. 창원시
진전면 시락리에서 시락교와 동진교 서단을 지나 창포리, 진전초등학교 이창분교(폐교), 이명리, 장좌교, 이창교, 암아 교차로, 율티리를 거쳐 밤고개로 이어진다. 밤고개를 지나면 진북면으로 연결되어 진북교, 학동삼거리, 지산리, 지산교를 지난다. 진동면에서는 지산교, 사동교, 진동 교차로, 향군교, 요장리, 광암항, 다구리, 장고개를 거친다. 이후 구산면으로 이어져 마전리, 마전교,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군령삼거리, 석곡리, 사숙이고개, 수정삼거리, 수정리, 안녕삼거리, 백령치, 옥계삼거리, 옥계리, 신촌교, 신촌삼거리, 반동초등학교, 반동삼거리, 구남중학교, 반동리, 난포삼거리, 난포리, 준고개, 상용호삼거리, 심리, 원전항으로 이어진다.4. 중복 구간
- 하동군 하동읍(회전교차로) ~ 비파회전삼거리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된다.
- 하동군 고전면 신월 교차로 ~ 신방 교차로 구간은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
- 사천시 곤양면 곤양초등학교 서부분교(폐교) ~ 남문외리 구간은 지방도 제1005호선과 중복된다.
- 사천시 사천읍 정의리 ~ 고성군 개천면 청광사거리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과 중복된다.
- 진주시 금곡면 금곡정류소 ~ 고성군 영오면 오서 교차로 구간은 지방도 제1009호선과 중복된다.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동진교 서단 ~ 암아 교차로 구간은 국도 제77호선과 중복된다.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동진교 서단 ~ 진북면 학동삼거리 구간은 지방도 제1021호선과 중복된다.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동진교 서단 ~ 진동면 진동 교차로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된다.
5. 도로명
하동군 금남면 남해대교 교차로에서 사천시 곤양면 곤양초등학교 서부분교 (폐교)까지 구간은 구노량길, 경충로로 지정되어 있다. 사천시 곤양면 곤양초등학교 서부분교 (폐교)에서 남문외리까지 구간은 곤북로로 지정되어 있다. 사천시 곤양면 (보옥당)에서 축동면 사천IC사거리까지 구간은 서삼로로 지정되어 있다. 사천시 축동면 사천IC사거리에서 양동삼거리까지 구간은 운계길로 지정되어 있다. 사천시 축동면 양동삼거리에서 사천읍 정의리까지 구간은 두량로로 지정되어 있다. 사천시 사천읍 정의리에서 진주시 금곡면 영오교까지 구간은 구암두문로로 지정되어 있다.
고성군 영오면 영오교에서 회화면 배둔리까지 구간은 영회로로 지정되어 있다.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에서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암아 교차로까지 구간은 회진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암아 교차로에서 진동면 진동 교차로까지 구간은 삼진의거대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진동 교차로에서 구산면 군령삼거리까지 구간은 해양관광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군령삼거리에서 수정삼거리까지 구간은 석곡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수정삼거리에서 신촌삼거리까지 구간은 구산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신촌삼거리에서 반동삼거리까지 구간은 해양관광로로 지정되어 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반동삼거리에서 원전항까지 구간은 이순신로로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뉴스
남해군의회 임시회 열고 추경예산안 등 심의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08-09-22
[2]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3-73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3-02-20
[3]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3-72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3-02-20
[4]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5-117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5-03-03
[5]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9-359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9-04-23
[6]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9-496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9-06-11
[7]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9-756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09-10-15
[8]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0-442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10-06-17
[9]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6-1122호
http://210.104.249.3[...]
경상남도
2016-09-08
[10]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7-100호
http://210.104.249.3[...]
경상남도
2017-02-02
[11]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7-101호
http://210.104.249.3[...]
경상남도
2017-02-02
[12]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8-1062호
http://210.104.249.3[...]
경상남도
2018-08-02
[13]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8-1600호
http://210.104.249.3[...]
경상남도
2018-12-27
[14]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9-259호
http://210.104.249.3[...]
경상남도
2019-02-21
[15]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20-367호
http://www.gyeongnam[...]
경상남도
2020-02-27
[16]
간행물
경상남도고시 제2020-478호 지방도 노선 변경
https://www.gyeongna[...]
경상남도
2020-10-08
[17]
통계자료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8]
통계자료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19]
통계자료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0]
웹사이트
창원시 명예도로 주소정보누리집(도로명주소안내시스템) 창원시 도로노선의(지정) 고시 (2017년 6월 20일 지정)
https://www.juso.go.[...]
2017-06-20
[21]
통계자료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