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77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를 기점으로 하여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경기도, 인천광역시, 부천시, 서울특별시, 고양시, 파주시를 잇는 국도이다. 2001년 신설되어,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마창대교, 자유로 등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산 낙동남로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인천에서 부산까지의 해안 국도 연결 사업의 일환으로, 2020년대 전 구간 개통을 목표로 관련 공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도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완도군의 교통 - 완도로
완도로는 완도군 군외면, 완도읍, 신지면을 잇는 국도 77호선 일부 구간으로, 주요 교량과 교차로를 포함하며 완도 지역 경제와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주요 교통망이다. - 남해군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남해군의 교통 - 남해시외버스터미널
남해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남해군에 위치하여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으로 운행하는 노선을 제공하며 남해군 주민들의 광범위한 지역 이동을 지원하는 시외버스터미널이다. - 신안군의 교통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부산광역시 중구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도로, 도로 개량과 확장, 우회도로 건설 등을 거쳐 현재는 주요 간선도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로 구성되어 있고,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연결 우회도로와 다수의 교량 및 터널, 신안군 지역 연도교 건설, 일부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등이 진행 중이다. - 신안군의 교통 - 흑산공항
국도 제77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국도 제77호선 |
대체 이름 | 부산-파주선 |
로마자 표기 | Gukdo Je 77 Hoseon |
노선 정보 | |
관리 | 해당 없음 |
총 길이 | 1239.4 km |
기점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1가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
개통일 | 2001년 8월 25일 |
주요 경유지 | |
도시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통영시 경상남도 고성군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남해군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완도군 전라남도 해남군 전라남도 목포시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영광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남도 보령시 충청남도 태안군 충청남도 서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시흥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파주시 |
주요 교차 도로 | |
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평택파주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79호선 국도 제82호선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1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
기타 도로 | 강변북로 |
2. 연혁
- 2001년 8월 25일: '부산 ~ 인천선'으로 '''국도 제77호선'''을 새로 신설함.[10]
- 2001년 10월 15일: 국도로 승격된 서천군 비인면 충청남도·전라북도계 ~ 아산시 인주면 충청남도·경기도계 207.8km 구간 개통.[11]
- 2002년 2월: 국도로 승격된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 37.72km 구간 개통.[12]
- 2002년 4월 20일: 안면대교(태안군 남면 신온리 ~ 안면읍 창기리) 6.5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교량 구간 폐지.[13][14]
- 2005년 12월 30일: 평택시 포승면 원정리 ~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7.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9.8km 구간 폐지.[15]
- 2006년 8월 16일: 망운 ~ 현경간 도로(무안군 망운면 목서리 ~ 현경면 외반리) 4.68km 구간 확장 개통.[16]
- 2006년 12월 22일: 진산지구 도로(태안군 남면 진산리) 1.2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400m 구간 폐지.[17] 장곡지구 도로(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 중장리) 60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300m 구간 폐지.[18] 중장지구 도로(태안군 안면읍 중장리) 1.02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500m 구간 폐지.[19]
- 2008년 1월 28일: 우정 ~ 장안 ~ 발안간 도로(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 멱우리) 4.4km 구간 확장 개통.[20]
- 2008년 2월 1일: 영전리 위험도로(해남군 북평면 영전리) 960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180m 구간 폐지.[21] 칠곡리 위험도로(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1.358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907m 구간 폐지.[22]
- 2008년 6월 19일: 마창대교(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8.5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3]
- 2008년 6월 30일: 우정 ~ 장안 ~ 발안간 도로 준공으로 기존 화성시 우정읍 화산리 ~ 멱우리 6.76km 구간 폐지.[24]
- 2008년 7월 1일: 마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우산 ~ 귀곡간 도로 및 마창대교, 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10.47km 구간 신설 개통.[25]
- 2008년 11월 17일: 자유로 구간이 편입되어 종점이 인천광역시 동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노선명도 '부산 ~ 인천선'에서 '부산 ~ 파주선'으로 변경.[26]
- 2008년 12월 30일: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 2.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28]
- 2009년 12월 22일: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 ~ 화산동 7.0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시내 통과 4.7km 구간 폐지.[27]
- 2009년 12월 30일: 부안 변산우회도로(부안군 변산면 마포리 ~ 지서리) 2.8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 지서리 1.45km 구간 폐지.[29]
- 2010년 12월 28일: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km 구간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km 구간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km 구간 폐지.[30][31][32]
- 2012년 2월 17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3.5km 구간 임시 개통.[33]
- 2012년 4월 12일: 여수시 둔덕동 ~ 돌산읍 우두리 구간 확장 개통.[34][35]
- 2012년 9월 27일: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1.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90m 구간 폐지.[36]
- 2012년 11월 30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6.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 우산동 1.05km 구간 폐지.[37][38]
- 2013년 5월 27일: 여수시 둔덕동 ~ 돌산읍 우두리간 도로, 거북선대교 개통으로 인해 기존 11km 구간 폐지.[39]
- 2013년 7월 1일: 무안군 운남면 연리 ~ 망운면 목서리 9.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5km 구간 폐지.[40]
- 2013년 9월 17일: 압해 ~ 운남간 도로 및 김대중대교(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 무안군 운남면 연리) 5.2km 구간 2013년 9월 23일까지 임시 개통.[41]
- 2013년 12월 2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창포리 3.84km 구간 개량 개통.[42]
- 2013년 12월 27일: 압해 ~ 운남간 도로(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 무안군 운남면 연리) 6.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1km 구간 폐지.[43][44]
- 2014년 12월 26일: 양화교 ~ 양화대교 남단 2.1km 구간 자동차전용도로 해제.[45]
- 2015년 2월 10일: 송정 ~ 마산간 도로 중 송정 교차로 ~ 목동 교차로(무안군 현경면 송정리) 2.2km 구간 임시 개통.[46]
- 2015년 9월 24일: 대산 ~ 석문 ~ 가곡간 도로(당진시 석문면 통정리 ~ 송산면 가곡리) 9.2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km 구간 폐지.[47]
- 2015년 12월 22일: 화태대교 및 돌산 ~ 화태간 도로 (여수시 돌산읍 신복리 ~ 남면 화태리) 3.78km 구간 신설 개통.[48]
- 2016년 3월 25일: 영광대교 및 홍농 ~ 백수간 도로(영광군 백수읍 구수리 ~ 홍농읍 칠곡리) 2.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영광군 홍농읍 칠곡리 2.4km 구간 폐지.[49]
- 2016년 12월 27일: 팔영대교 및 적금 ~ 영남간 도로(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2.9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250m 구간 폐지.[50]
- 2016년 12월 30일: 대산 ~ 석문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10.6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서산시 대산읍 화곡리 2.59km 구간과 당진시 석문면 삼봉리 ~ 통정리 4km 구간 폐지.[51] 원청 ~ 태안간 도로 1공구(태안군 남면 원청리 ~ 신장리) 7.1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남면 달산리 ~ 신장리 2km 구간 폐지.[52]
- 2017년 2월 27일: 고현 ~ 하동IC간 도로 3공구(남해군 고현면 도마리 ~ 오곡리) 800m 구간 확장 개통.[53]
- 2017년 6월 30일: 원청 ~ 태안간 도로 2공구(태안군 남면 신장리 ~ 태안읍 장산리) 7.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태안군 태안읍 남산리 500m 구간 폐지.[54]
- 2017년 7월 1일: 남양 ~ 안산간 도로(화성시 남양읍 송림리 ~ 문호리) 4.42km 구간 신설 개통.[55]
- 2017년 10월 27일: 남양 ~ 안산간 도로(화성시 남양읍 문호리 문호 교차로 ~ 초지 교차로) 3.39km 구간 신설 개통.[56]
- 2017년 11월 28일: 신지 ~ 고금간 도로 및 장보고대교(완도군 고금면 상정리 ~ 신지면 송곡리) 3.537km 구간 신설 개통 및 기존 완도군 고금면 상정리 총 1.365km 구간 폐지.[57]
- 2018년 2월 9일: 송정 ~ 마산간 도로 중 홀통 교차로 ~ 송정 교차로(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송정리) 6.5km 구간 임시 개통.[58]
- 2018년 4월 23일: 송정 ~ 마산간 도로(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외반리) 8.05km 전 구간과 무안군 해제면 용학리 ~ 유월리 1.2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오류리 610m 구간과 무안군 현경면 마산리 ~ 평산리 8.8km 구간 폐지.[59]
- 2018년 9월 20일: 화산 ~ 평호간 도로(해남군 화산면 안호리 ~ 평호리) 1.8km 구간 신설 개통.[60]
- 2018년 12월 27일: 동백대교(전라북도 군산시 해망동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성주리) 3.185km 구간 신설 개통.[61]
- 2019년 4월 19일: 남양 ~ 안산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화성시 남양읍 송림리 ~ 신외리 5.9km 구간 폐지.[62]
- 2019년 12월 18일: 영광 ~ 해제간 도로 및 칠산대교(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 영광군 염산면 봉남리) 9.5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63]
- 2019년 12월 26일: 보령 ~ 태안간 도로(보령시 오천면 원산도리 ~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6.3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1.1km 구간 폐지.[64] 염산 ~ 백수간 도로(영광군 염산면 두우리 ~ 백수읍 하사리) 6km 구간 신설 개통.[65]
- 2019년 12월 31일: 화양 ~ 적금간 도로 3공구(여수시 화정면 조발리 ~ 낭도리) 3.899km 구간 신설 개통.[66]
- 2020년 1월 23일: 설날 연휴인 1월 28일까지 화양 ~ 적금간 도로 2공구 및 화양대교(전남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 화정면 조발리) 2.04km 구간 임시 개통.[67] 설날 연휴인 1월 28일까지 화양 ~ 적금간 도로 4공구 및 적금대교(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 적금리) 3.648km 구간 임시 개통.[68] 설날 연휴인 1월 28일까지 화양 ~ 적금간 도로 1공구(전남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 장수리) 8.8km 구간 임시 개통.[69]
- 2020년 1월 30일: 화양 ~ 적금간 도로 4공구 및 적금대교(전남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 적금리) 3.648km 구간 정식 신설 개통.[70] 화양 ~ 적금간 도로 1공구(전남 여수시 화양면 안포리 ~ 장수리) 8.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0km 구간 폐지.[71]
- 2020년 2월 28일: 화양 ~ 적금간 도로 2공구 및 화양대교(전남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 화정면 조발리) 2.047km 구간 정식 신설 개통 및 기존 여수시 화양면 장수리 580m 구간 폐지.[72]
- 2020년 11월 30일: 신온 ~ 창기간 도로(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 신온리) 1.6km 구간 확장 개통.[73] 국도 제23호선 강진 ~ 마량간 도로 개량 개통으로 인해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190m 구간 접속도로 신설 개통.[74]
- 2020년 12월 30일: 장좌지구 위험도로(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1.02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440m 구간 폐지.[75][76] 장좌지구 위험도로2(고성군 동해면 장좌리) 18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300m 구간 폐지.[77][78]
- 2021년 12월 1일: 보령 ~ 태안간 도로(보령시 신흑동 ~ 오천면 원산도리) 8.2km 구간 신설 개통.[79]
- 2021년 12월 22일: 중현지구 위험도로(남해군 서면 노구리 ~ 정포리) 44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구간 폐지.[81]
3. 주요 경유지
- 부산광역시
- 중구 - 서구 - 사하구 - 강서구
- 경상남도
- 창원시 (진해구 - 성산구 - 마산합포구 - 진동면 - 진북면 - 진전면) - 고성군 (동해면 - 거류면) - 통영시 (광도면 - 도산면) - 고성군 (삼산면 - 하일면 - 하이면) - 사천시 - 남해군
- 전라남도
- 여수시 - 고흥군 - 보성군 - 장흥군 - 강진군 - 완도군 - 해남군 - 목포시 - 신안군 - 무안군 - 영광군
- 전북특별자치도
- 고창군 - 부안군 - 군산시
- 충청남도
- 서천군 - 보령시 - 태안군 - 서산시 - 당진시 - 아산시
- 경기도
- 평택시 - 화성시 - 안산시 - 시흥시
- 인천광역시
- 남동구 - 연수구 - 미추홀구 - 중구 - 동구 - 미추홀구 - 동구 - 서구 - 계양구
- 경기도
- 부천시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경기도
- 부천시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영등포구 - 마포구
- 경기도
- 고양시 - 파주시
4. 주요 도로 및 터널
wikitext
이름[82]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옛시청 교차로 (옛시청사거리) | 국도 제7호선 (중앙대로) 태종로 | 부산광역시 | 중구 | 기점 국도 제2호선과 중복 |
남포역 | 국도 제2호선과 중복 | |||
남포사거리 | 중구로 자갈치로37번길 | |||
자갈치 교차로 (자갈치역) | 보수대로 자갈치로15번길 | |||
서구 | ||||
충무동사거리 | 충무대로 자갈치로 | |||
토성동역앞 | 까치고개로 | |||
부산대학교병원 토성역 | ||||
부민사거리 | 부산광역시도 제6301호선 (대청로) 임시수도기념로 |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 ||||
부용사거리 | 부용로 | |||
동대신사거리 (동대신역) | 대영로 | |||
구덕운동장삼거리 | 망양로 | |||
구덕운동장 | 꽃마을로 | |||
서대신사거리 (서대신역) | 대영로 대티로 구덕로321번길 | |||
대티터널 | 국도 제2호선과 중복 연장 401m | |||
사하구 | ||||
대티역 괴정초등학교 | 국도 제2호선과 중복 | |||
괴정사거리 (괴정역) | 사하로 낙동대로216번길 | |||
사하초등삼거리 (사하초등학교) | 장평로 | |||
사하역 | ||||
당리주민센터사거리 | 다대로 낙동대로372번길 | |||
(사하구청입구) | 낙동대로398번길 | 국도 제2호선과 중복 하행 좌회전 불가 | ||
당리역 | 국도 제2호선과 중복 | |||
하단 교차로 | 낙동대로 승학로 하신중앙로 | |||
하단역 | ||||
하구둑 교차로 | 강변대로 | |||
낙동강하굿둑 | ||||
을숙도휴게소 | ||||
명지 나들목 | 공항로 | 강서구 | ||
경일중학교입구 | 영강길 낙동남로1013번길 | |||
청량사어귀 | 제도로 | |||
부산강서경찰서 녹산제2교 녹산교 | ||||
성산삼거리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생곡로) | |||
녹산중학교 녹명초등학교 | ||||
본녹산삼거리 | 화전산업대로 | |||
산양삼거리 | 녹산화전로 | |||
녹송육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가락대로) | |||
녹송교 | ||||
용원삼거리 | 만금로 김해산업로 | |||
이름[82]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동백대교 | 서천군 | 장항읍 | 국도 제4호선과 중복 | |
원수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장산로) | |||
송내 교차로 (송내교) | 국도 제21호선 (금강로) | 마서면 | 국도 제4, 21호선과 중복 | |
과선교 송내2교 | ||||
장항역사거리 | 장항산단로 장항역길 | |||
덕암 교차로 | 옥도로 | |||
삼산 교차로 | 삼산길 | 서천읍 | ||
군사2 교차로 | 장서로 | |||
군사 교차로 (군사IC교) | 충절로 장항산단북로 | |||
(이름 없음) | 사곡로 | |||
서천 교차로 | 국도 제4호선 (대백제로) 서천로 | |||
황촌교 | 국도 제21호선과 중복 | |||
오산교 | ||||
종천면 | ||||
산천 교차로 | 충서로92번길 | |||
화산 교차로 | 종천화산길 충서로143번길 | |||
당정 교차로 | 지방도 제617호선 (장천로) 충서로302번길 | 국도 제21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617호선과 중복 | ||
당정천교 | ||||
부내 교차로 | 지방도 제617호선 (충서로) | |||
종천 교차로 | 당정로 | 국도 제21호선과 중복 | ||
종천교 | ||||
다사 교차로 | 충서로 | |||
관리 교차로 | 충서로 | 비인면 | ||
장포 교차로 | 비인로 | |||
(이름 없음) | 선도길 | |||
비인 교차로 | 지방도 제607호선 (서인로) 비인로 | |||
성북1 교차로 | 서인로1243번길 | |||
성북교 | ||||
성북2 교차로 | 충서로 | |||
비인1교 | ||||
춘장대 나들목 (춘장대 교차로) (춘장대IC교)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충서로 | |||
구복교 | ||||
신구교 | ||||
보령시 | 주산면 | |||
야룡삼거리 | 만세운동길 | |||
주산면행정복지센터 | ||||
금암삼거리 주산초등학교 | 주산벚꽃로 | |||
산업단지교차로 | 보령주산농공단지 | |||
대창사거리 | 지방도 제607호선 (독산로) 장터6길 | 웅천읍 | ||
대창교 | ||||
웅천교삼거리 | 장터중앙길 | |||
대천리삼거리 | 지방도 제606호선 (만수로) | 국도 제21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606호선과 중복 | ||
무창포삼거리 | 지방도 제606호선 (무창포로) | |||
두룡2 교차로 | 충서로 | 국도 제21호선과 중복 | ||
두명2교 | ||||
두룡1교차로 | ||||
충혼탑 교차로 | ||||
사현 교차로 | 충서로 | 남포면 | ||
사현교 남포교 읍내교 옥서교 | ||||
남포 교차로 (남포IC교) | 충서로 | |||
창동교 | ||||
흥덕교 | ||||
대천동 | ||||
명천교 | ||||
명천 교차로 | 국도 제40호선 (성주산로) | 국도 제21, 40호선과 중복 | ||
명천1교 명암교 평산교 한내교 화산1교 | ||||
화산 교차로 |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40호선 (충서로) 국도 제36호선 (대청로) | 국도 제21, 40호선과 중복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 ||
신설사거리 | 동현로 신평로 |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 ||
동대사거리 | 보령북로 한내로 | |||
주공사거리 | 주공로 | |||
수청사거리 | 보령남로 중앙로 | |||
궁촌사거리 | 현충탑길 | |||
보령종합버스터미널 (터미널사거리) | 남대천로 명해로 | |||
대천역 (대천역사거리) | ||||
남곡사거리 | 황골길 | |||
대천 나들목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 |||
후동삼거리 | 뒷골길 | |||
삼현삼거리 | 삼현길 | |||
해망산삼거리 | 해망산길 | |||
청룡초등학교 | ||||
흑포삼거리 | 지방도 제607호선 (대해로) | |||
고잠 교차로 | 광장진입로 석서1길 | |||
대천서중학교 (대천해수욕장시외버스정류장) | ||||
대천 교차로 | 국도 제36호선 (대천항로) | |||
보령해저터널 | 상행 연장 6,927m 하행 연장 6,916m | |||
오천면 | ||||
저두 교차로 (저두교) | 원산도4길 | |||
원산 교차로 | 원산도4길 | |||
원의 교차로 | 원산도3길 | |||
선촌 교차로 | 원산도2길 | |||
원산안면대교 | ||||
태안군 | 고남면 | |||
영목 교차로 | 영목항로 | |||
만수 교차로 | 만수길 | |||
고남 교차로 (고남IC교) | 영항로 |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 ||
고남면 행정복지센터 고남초등학교 | ||||
감나무골삼거리 | 누동로 | |||
누동삼거리 | 대야로 | |||
상촌삼거리 | 중신로 | 안면읍 | ||
안면도자연휴양림 | ||||
(승언3리) | 꽃지해안로 조운막터길 | |||
승언삼거리 | 장터로 | |||
방포사거리 | 방포로 | |||
(이름 없음) | 초망수길 | |||
승언리 교차로 | 밧개길 | 상행 진입 불가 | ||
안면삼거리 | 장터로 | |||
창기리정류소 | ||||
창기삼거리 | 황도로 | |||
백사장사거리 | 백사장1길 | |||
연육교 교차로 | 등마루1길 흑석동길 | |||
안면대교 | ||||
남면 | ||||
드르니 교차로 | ||||
신온 교차로 | ||||
곰섬삼거리 | 곰섬로 | |||
(이름 없음) | 마검포길 |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원청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천수만로) 별주부길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 ||
청포대 교차로 | 청포대길 | |||
달산포 교차로 | 달산포로 | |||
양잠 교차로 | 적돌길 | |||
양잠1 교차로 | 적돌길 | |||
쪽다리 교차로 | 남면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몽산포 교차로 | 남면로 몽산포길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 ||
삼거리 교차로 | 남면로 | |||
신장 교차로 | 연꽃길 우운길 | |||
몽산 교차로 | 몽대로 | |||
서초휴양소 (구 남진초등학교) | ||||
남진 교차로 | 연꽃길 진산2길 | |||
진산 교차로 | 진산1길 | |||
진산2 교차로 | 진산1길 | 태안읍 | ||
남산 교차로 | ||||
송남 교차로 | 송암로 | |||
남산1 교차로 | 속햇말길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 ||
남산2 교차로 | 남산1길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 ||
남문 교차로 | 국도 제3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서해로) 환동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국도 제32호선과 중복 | ||
평천 교차로 | 동백로 | 국도 제32호선과 중복 | ||
화동 교차로 | 중앙로 | |||
인평 교차로 | 강경벌로 선비길 | |||
(고성 교차로) | 팔봉2로 진장3길 | 서산시 | 팔봉면 | |
어송 교차로 | 팔봉1로 팔봉2로 | |||
수랑재 교차로 | 차동길 차리강수길 | 인지면 | ||
화수 교차로 | 차동길 화수2길 화수왕대길 | |||
풍전 교차로 | 수현로 | |||
공림삼거리 | 지방도 제649호선 (무학로) | 석남동 | 국도 제32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649호선과 중복 | |
예천사거리 |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2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서해로) 고운로 | 국도 제29, 32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649호선과 중복 | ||
갈산 교차로 | 안견로 | 부춘동 | 국도 제29, 32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 |
서산종합운동장 | 안견로 | |||
일람 교차로 | 국도 제32호선 (외곽순환로) | 성연면 | ||
일람사거리 | 지방도 제634호선 (한월당로) 사연동로 |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634호선과 중복 | ||
일람삼거리 | 람동길 | |||
오사삼거리 | 지방도 제634호선 (성연3로) | |||
(이름 없음) | 무장산업로 |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과 중복 | ||
중왕 교차로 | 왕산이로 화천2길 | 지곡면 | ||
지곡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백제사신로) | |||
대요 교차로 | 진충사길 한새지1길 |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 ||
대산중학교 | 대산읍 | |||
대산1교차로 | 구진로 가로림로 | |||
명지사거리 | 국도 제38호선 (명지1로) | 국도 제29, 38호선과 중복 | ||
화곡 교차로 | 국도 제29호선 (평신1로) | |||
반곡 교차로 | 화곡로 삼길포1로 |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 ||
화곡터널 |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470m 하행 연장 395m | |||
삼길포 교차로 | 삼길포1로 삼길포7로 |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 ||
대호교 | ||||
대호방조제 | ||||
당진시 | 석문면 | |||
도비도 교차로 | 대호만로 | |||
대호 교차로 | 초락2로 | |||
초락 교차로 | 초락2로 | |||
삼봉 교차로 | 지방도 제647호선 (대호로) | |||
석문 교차로 | 지방도 제615호선 (대호만로) | |||
통정 교차로 | 해명1로 | |||
(교차로 이름 미정) | 산단1로 | |||
새터 교차로 | 삼화길 | |||
석문대교 | ||||
송산면 | ||||
무수 교차로 | 무수들길 | |||
가곡 교차로 | 지방도 제633호선 (송산로) | |||
동곡 교차로 (동곡지하차도) | ||||
송산 교차로 | ||||
현대제철 교차로 (지하차도) | 송악읍 | |||
(이름 없음) | 대섬길 | |||
고대 교차로 | 고잔로 | |||
고대공단 교차로 | 고대공단1길 | |||
한진 교차로 | 지방도 제619호선 (송악로) | |||
부곡 교차로 | 신복운로 부곡공단1길 | |||
송악 나들목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 |||
법석이 교차로 | 매산로 | 신평면 | ||
운정 나들목 | 국도 제34호선 (서해로) | 국도 제34, 38호선과 중복 | ||
운정 교차로 | 닻거리길 | 국도 제34, 38호선과 중복 하행 진출 불가 | ||
삽교대교 | 국도 제34, 38호선과 중복 | |||
삽교 교차로 | 삽교천길 | |||
삽교천방조제 | ||||
아산시 | 인주면 | |||
문방 교차로 | 인주산단로 아산만로1578번길 | |||
인주공단 교차로 | 지방도 제623호선 (인주산단로) | |||
밀두 교차로 | 현대로 걸매길 | |||
인주초등학교 | ||||
공세 교차로 | 공세길 | |||
입체 교차로 (인주육교) | 국도 제34호선 (장영실로) 국도 제39호선 (아산로) | 국도 제34, 38, 39호선과 중복 | ||
아산호 교차로 | (도로 이름 없음) | 국도 제38, 39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 ||
아산만방조제 | 국도 제38, 39호선과 중복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85%; text-align: center;"
|-
! 이름
! 한글 이름
! 연결 도로
! colspan="2" | 위치
! 참고
|-
! 아산만방조제
|
|rowspan=14|평택시
|rowspan=3|현덕면
|rowspan=2|국도 제38, 39호선과 중복
|-
! 현덕 교차로
| 국도 제39호선
(서해로)
|-
! 우경삼거리
| 서동대로
|rowspan=6|국도 제38호선과 중복
|-
! 서부두입구삼거리
|
|rowspan=11|포승읍
|-
! 포승 나들목
| 173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
! 신명1리삼거리
| 직산동길
|-
! 만호사거리
| 평택항로
평택항만길
|-
! 포승중학교
|
|-
! 내기삼거리
| 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 국도 제38호선과 중복
국도 제82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중복
|-
! 서평택 나들목
(서평택IC사거리)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포승공단로
|rowspan=11|국도 제82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 중복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309호선
(포승서로)
|-
! 원정 교차로
| 평택항로
|-
! 원정삼거리
| 남양만로
|-
!rowspan=2| 남양대교
|
|-
|
|rowspan=38|화성시
|rowspan=13|우정읍
|-
! 노진1사거리
| 지방도 제302호선
(남양황라로)
|-
! 노진2사거리
|
|-
! 이화사거리
| 화곡로
|-
! 석천사거리
| 남양만로
|-
! 봉화 교차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지방도 제301호선
(기아자동차로)
|-
! 마산 교차로
| 버들로
|rowspan=3|국도 제82호선과 중복
|-
! 죽말 교차로
|
|-
! 멱우교
|
|-
! 멱우 교차로
| 국도 제82호선
(포승향남로)
지방도 제313호선
(쌍봉로)
| 국도 제82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313호선과 중복
|-
! 화수사거리
| 지방도 제310호선
(버들로)
|rowspan=2| 지방도 제313호선과 중복
|-
! 경기요양병원
|
|-
! 선창포구
|
|rowspan=2| ''미개통 구간''
지방도 제313호선과 중복
|-
! (배바위)
|
|rowspan=23|남양읍
|-
! 장덕2육교
|
| rowspan="5" | 지방도 제313호선과 중복
|-
! (현대자동차연구소입구)
| 현대연구소로
|-
! 신남3리
| 신남로
|-
! 화성 나들목
|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 화성서부경찰서
|
|-
! 신남4리
| 지방도 제318호선
(신남안길)
|rowspan=2| 지방도 제313, 318호선과 중복
|-
! 택지앞 교차로
| 지방도 제318호선
(시청로)
남양로
|-
! 영남교
|
|rowspan=5| 지방도 제313호선과 중복
|-
! 남양 교차로
| 남양성지로
|-
! (경기약국)
| 남양시장로
|-
! 남양파출소
| 남양시장로
|-
! 남양초등학교
| 남양시장로25번길
|-
! 수작이 교차로
| 지방도 제322호선
(화성로)
|rowspan=2| 지방도 제313, 322호선과 중복
|-
! 남양 교차로
| 지방도 제313호선
지방도 제322호선
(화성로)
|-
! 송림리
| 남양로
|
|-
! 삼부실 교차로
| 남양로
|
|-
! (생태통로)
|
|
|-
! 서호2교
서호1교
수화3교
|
|
|-
! 수화 교차로
| 송산비봉로
|
|-
! 수화2교
|
|
|-
! 문호 교차로
| 남양서로
|
|-
! (교차로 명칭 미상)
| 남양로
|
|-
! 오룡지하차도
| 수노을중앙로
|rowspan=2|
5.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6. 중앙버스전용차로
2008년 7월 2일부터 부산에서는 최초로 낙동남로의 하단교차로 ~ 낙동강 하구둑 입구 구간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시범 실시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4일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82] 운영 원리는 서울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같으나, 서울과는 달리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영되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및 평일의 다른 시간대에는 일반 차로로 운영된다.[82]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을 제외한 출근시간 (07:00 ~ 09:00)과 퇴근시간 (17:30 ~ 20:30)으로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 대중교통과 36인승 이상 대형 승합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하다.[82] 36인승 미만 16인승 이상 통학·통근용 승합차의 경우 부산지방경찰청의 지정을 받을 경우 전용차로 통행이 가능하다.[82]
7. 계획 및 공사 중인 도로
인천광역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이어지는 897km의 대규모 해안 국도 연결 사업은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에 흩어져 있던 지방도를 일반 국도로 승격시키면서 시작되었다. 2003년에는 여수~남해, 태안~보령(12km), 부안~고창(10.5km), 영광~(10km) 등 4개의 단선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이 구간들이 완공되면 추가적인 연결 작업이 계속해서 추진될 예정이다. 2008년에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파주시를 잇는 자유로가 국도 77호선에 포함되면서 전체 구간이 더욱 길어졌다. 2020년대에는 국도 77호선 전 구간이 완전히 개통될 것으로 예상된다.
- 계획 및 공사 중인 구간
구간 | 내용 | 비고 |
---|---|---|
신장 교차로 ~ 복룡 교차로 | 2023년 완공 예정 |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7]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8]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9]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10]
법률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11]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225호
http://gwanbo.mois.g[...]
2001-10-15
[12]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8호
http://gwanbo.mois.g[...]
2002-03-02
[13]
공고
충청남도공고 제2002-89호
2002-04-20
[14]
공고
충청남도공고 제2002-90호
2002-04-20
[15]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00호
http://gwanbo.mois.g[...]
2005-12-30
[16]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21호
http://www.jeonnam.g[...]
2006-08-11
[1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86호
http://cblib.cb21.ne[...]
2016-03-04
[18]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87호
http://cblib.cb21.ne[...]
2016-03-04
[19]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88호
http://cblib.cb21.ne[...]
2016-03-04
[20]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8호
http://gwanbo.mois.g[...]
2008-01-29
[21]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9호
http://gwanbo.mois.g[...]
2008-02-13
[22]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1호
http://gwanbo.mois.g[...]
2008-02-13
[23]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8-426호, 마산시공고 제2008-711호, 창원시공고 제2008-489호
http://www.gyeongnam[...]
2008-06-19
[24]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08호
http://gwanbo.mois.g[...]
2008-07-24
[25]
공고
경상남도공고 제2008-438호, 창원시공고 제2008-741호, 마산시공고 제2008-184호
http://www.gyeongnam[...]
2008-06-19
[26]
법률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27]
공고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68호, 보령시공고 제2009-905호
http://www.chungnam.[...]
2009-12-30
[28]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38호
http://gwanbo.mois.g[...]
2008-12-12
[29]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234호
http://gwanbo.mois.g[...]
2009-12-18
[30]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88호
http://gwanbo.mois.g[...]
2010-12-23
[31]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89호
http://gwanbo.mois.g[...]
2010-12-23
[32]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호
http://gwanbo.mois.g[...]
2011-01-14
[33]
공고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6호
http://gwanbo.mois.g[...]
2012-02-21
[34]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5호
http://gwanbo.mois.g[...]
2012-04-12
[35]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55호
http://gwanbo.mois.g[...]
2013-05-30
[3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96호
http://gwanbo.mois.g[...]
2012-09-27
[3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25호
http://gwanbo.mois.g[...]
2012-12-03
[3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26호
http://gwanbo.mois.g[...]
2012-12-03
[3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56호
http://gwanbo.mois.g[...]
2013-05-30
[4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78호
http://gwanbo.mois.g[...]
2013-07-02
[4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95호
http://gwanbo.mois.g[...]
2013-09-23
[4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256호
http://gwanbo.mois.g[...]
2013-12-02
[4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32호
http://gwanbo.mois.g[...]
2013-12-31
[44]
뉴스
무안 압해-신안 운남도로 개통…5분으로 단축
http://news1.kr/arti[...]
뉴스1
2013-12-26
[45]
보도자료
노들길 양화교~양화대교 남단 2.1km 자동차전용도로 해제
http://spp.seoul.go.[...]
서울특별시청
2014-12-21
[4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8호
http://gwanbo.mois.g[...]
2015-02-09
[4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5호
http://gwanbo.mois.g[...]
2016-01-25
[4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99호
http://gwanbo.mois.g[...]
2015-12-24
[4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53호
http://gwanbo.mois.g[...]
2016-04-04
[5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322호
http://gwanbo.mois.g[...]
2016-12-22
[5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5호
http://gwanbo.mois.g[...]
2017-01-02
[5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96호
http://gwanbo.mois.g[...]
2017-01-02
[5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9호
http://gwanbo.mois.g[...]
2017-02-24
[5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76호
http://gwanbo.mois.g[...]
2017-07-12
[5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51호
http://gwanbo.mois.g[...]
2017-06-29
[5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80호
http://gwanbo.mois.g[...]
2017-10-31
[5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200호
http://gwanbo.mois.g[...]
2017-11-24
[5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3호
http://gwanbo.mois.g[...]
2018-02-09
[5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54호
http://gwanbo.mois.g[...]
2018-04-27
[6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62호
http://gwanbo.mois.g[...]
2018-09-21
[6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29호
http://gwanbo.mois.g[...]
2018-12-19
[6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47호
http://gwanbo.mois.g[...]
2019-04-19
[6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46호
http://gwanbo.mois.g[...]
2019-12-09
[6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19-530호
https://gwanbo.go.kr[...]
2019-12-30
[6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7호
http://gwanbo.mois.g[...]
2020-01-16
[6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72호
http://gwanbo.mois.g[...]
2019-12-30
[6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9호
http://gwanbo.mois.g[...]
2020-01-17
[6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0호
http://gwanbo.mois.g[...]
2020-01-17
[6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2호
http://gwanbo.mois.g[...]
2020-01-17
[7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1호
http://gwanbo.mois.g[...]
2020-01-17
[7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3호
http://gwanbo.mois.g[...]
2020-01-21
[7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34호
http://gwanbo.mois.g[...]
2020-02-24
[73]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20-1823호
http://www.chungnam.[...]
2020-11-30
[7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420호
https://gwanbo.mois.[...]
2020-12-08
[7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59호
https://gwanbo.mois.[...]
2021-01-05
[7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60호
https://gwanbo.mois.[...]
2021-01-05
[7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61호
https://gwanbo.mois.[...]
2021-01-05
[78]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262호
https://gwanbo.mois.[...]
2021-01-05
[7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168호
https://gwanbo.go.kr[...]
2021-11-26
[8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272호
https://gwanbo.go.kr[...]
2021-12-30
[8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273호
https://gwanbo.go.kr[...]
2021-12-30
[82]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83]
문서
본 국도의 노선 지정 방향으로의 연결로가 설치되지 않아 회차하거나 다른 경로를 이용하여야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