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산합포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산합포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이다. 고려 시대인 1282년에 '회원현'으로 시작되어, 조선 시대에는 창원부 서면, 이후 마산부, 마산시를 거쳐 2010년 창원시, 진해시와 통합하며 현재의 마산합포구로 신설되었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마산가고파국화축제, 마산문학관, 마산어시장, 저도연륙교, 창동예술촌, 창원시립마산박물관, 창원시립문신미술관 등이 있으며,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마산역, 마산항 등 교통 시설과 경남대학교를 비롯한 다수의 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창원시의 구 - 성산구
    성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로, 창원시의 옛 지명인 성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창원분지의 중심지인 성산 일대에 위치하고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5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 경상남도의 구 - 의창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는 1읍 2면 4동으로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경남 행정 및 창원시 교통의 중심지이며 주요 교육 및 문화시설이 위치하고,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21만 8,589명이다.
  • 경상남도의 구 - 성산구
    성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구로, 창원시의 옛 지명인 성산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창원분지의 중심지인 성산 일대에 위치하고 8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5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 마산합포구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은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위치하여 수도권, 영남권 주요 도시 및 경남 남해안, 내륙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과 마산 농어촌 지역을 잇는 농어촌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마산합포구 - 마산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는 1936년에 개교하여 여러 시설을 확충하고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했으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동문들을 많이 배출했다.
마산합포구
지도
기본 정보
행정 구역 명칭마산합포구
한글 표기마산합포구
한자 표기馬山合浦區
로마자 표기Masanhappo-gu
면적240.2
통계 연도2023
총 인구179,394
남자 인구89,116
여자 인구90,278
상위 자치 단체창원시
하위 행정 구역12동 4면
구청 홈페이지마산합포구청 홈페이지
구청 주소마산합포구 3·15 대로 210 (반월중앙동3가 4-11)
행정
구청장강창열
국회의원최형두(국민의힘, 창원시 마산합포구)
상징
구의 나무(설정 없음)
구의 꽃(설정 없음)
구의 새(설정 없음)

2. 역사


  • 고려시대: 진해현(鎭海縣)이 설치되었다.
  • 1018년: 진주목(晉州牧)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390년: 감무를 파견함으로써 독립했다.
  • 조선 태종: 현감을 두었다.
  • 1570년: 함안군에 합쳐졌다.
  • 1617년: 다시 진해현이 설치되었다.
  • 1627년: 창원대도호부에 합쳐졌다.
  • 1629년: 함안군에 합쳐졌다.
  • 1639년: 다시 진해현이 설치되었다.
  • 1895년: 진주부 진해군으로 개편되었다.[4]
  • 1896년: 경상남도 진해군으로 개편되었다.[5]
  • 1908년: 진해군이 웅천군(현 창원시 진해구)과 함께 창원부에 통합되었다.[6]
  • 1910년 10월 1일: 창원부가 마산부로 개칭되었다.
  • 1949년 8월 15일: 마산시가 설치되었다.

2. 1. 1989년 이전

1282년 고려시대에 '회원현'(檜原縣)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회원'이 지명으로 사용되었는데, 회원현은 '''합포'''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1378년에 지금의 구암동 일대에 합포성이 축조되었다. 이후 조선 태종 때인 1408년에 창원부 서면으로 편입되었다.[6]

2. 2. 마산시 합포구

1989년 마산시 합포출장소로 설치되었다가 마산시 인구가 50만 명을 넘으면서 1990년 7월 1일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합포구'(合浦區)가 신설되었다.[7] 1995년 1월 1일 창원군이 해체되어 각각 마산시, 창원시와 통합하면서 창원군구산면, 진동면, 진전면, 진북면이 합포구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인근의 계획도시인 창원시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어 1995년 도농통합 직전에는 마산시 인구가 35만 명까지 줄었고, 1997년 창원시가 인구 50만 명을 넘은 후에도 구제를 실시하지 않자 인구 40만 명의 마산시에 구제를 유지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잇따라 2000년에 구가 폐지되었다.[8]

2. 3. 창원시 마산합포구

1990년 7월 1일 마산시 인구가 50만 명을 넘으면서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합포구'(合浦區)가 신설되었다.[7] 1995년 1월 1일 창원군이 해체되어 마산시와 통합하면서 창원군구산면, 진동면, 진전면, 진북면이 합포구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인근의 계획도시인 창원시로 인구가 유출되어 1995년 도농통합 직전에는 마산시 인구가 35만 명까지 줄었고, 2000년에 구가 폐지되었다.[8]

2010년 창원시, 진해구와 통합하면서 같은 해 2월 17일 통합시 명칭을 창원시로 확정하고 국회의원 선거구를 따라 5개 구(區)를 설치하기로 하였다. 4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실시된 구 명칭 공모에서 당시 마산시 갑 선거구에 해당하던 이 지역은 과거에 사용했던 '합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그러나 마산시에 2개 구가 설치되면서 '마산'이라는 지명이 행정구역에서 사라진다는 정서적 위화감 때문에 2010년 5월 6일 통합준비위원회 제13차 회의에서 '마산'이 포함된 '마산합포구'라는 구 이름이 최종 결정되었다.[10][11] 2010년 7월 1일 마산시·창원시·진해시가 통합하면서 창원시 '''마산합포구'''(馬山合浦區)로 신설되었으며, 이날 마산합포구청(구 마산시청)에서 개청식이 있었다.

2020년 1월 1일 노산동교방동에 편입되었다.

3. 행정

창원시는 통합 이후 구 마산시청 업무 종료로 오동동 통술거리가 침체되는 등[12] 이 지역이 소외받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시의 균형발전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산권 국가기관들의 창원권 이전을 자제하도록 요청하고,[13] 마산어시장을 인근 상업지역인 창동, 오동동과 연계하는 등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14]

마산합포구의 행정 구역은 10개 행정동, 4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40.2km2이며, 2012년 7월 1일 기준 인구는 74,074세대, 186,213명이다.[15]

행정동한자면적 (km²)세대인구 (명)
구산면龜山面43.64km22,4135,405
진동면鎭東面32.3km24,20510,920
진북면鎭北面46.57km21,8434,780
진전면鎭田面78.58km22,1304,629
현동顯洞19.51km29182,192
가포동架浦洞4.47km27241,634
월영동月影洞2.62km211,79934,257
문화동文化洞1.71km25,68613,613
반월중앙동半月中央洞1.03km26,76718,512
완월동琓月洞2.73km24,46512,019
자산동玆山洞1.16km25,29514,264
교방동校坊洞2.73km27,82919,834
오동동午東洞1.86km212,21822,612
합포동合浦洞0.66km23,7418,321
산호동山湖洞0.76km26,59115,643
마산합포구馬山合浦區240.23km274,060187,835


4. 행정 구역

마산합포구는 10개의 행정동과 4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7월 1일 기준으로 마산합포구의 면적은 240.2km2이며, 인구는 74,074세대, 186,213명이다.[15]

4. 1. 행정동

마산합포구의 행정 구역은 10개 행정동, 4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7월 1일 기준으로 면적은 240.2km2이며, 74,074세대, 186,213명이 거주하고 있다.[15]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구산면龜山面43.64km22,4135,405
진동면鎭東面32.3km24,20510,920
진북면鎭北面46.57km21,8434,780
진전면鎭田面78.58km22,1304,629
현동顯洞19.51km29182,192
가포동架浦洞4.47km27241,634
월영동月影洞2.62km211,79934,257
문화동文化洞1.71km25,68613,613
반월중앙동半月中央洞1.03km26,76718,512
완월동琓月洞2.73km24,46512,019
자산동玆山洞1.16km25,29514,264
교방동校坊洞2.73km27,82919,834
오동동午東洞1.86km212,21822,612
합포동合浦洞0.66km23,7418,321
산호동山湖洞0.76km26,59115,643
마산합포구馬山合浦區240.23km274,060187,835



행정동·면법정동·법정리
현동예곡동, 우산동, 현동, 덕동동
가포동가포동
월영동대내동, 월영동, 해운동
문화동대외동, 대창동, 두월동1가, 두월동2가, 두월동3가, 문화동, 신창동, 월남동1가, 월남동2가, 월남동3가, 월남동4가, 월남동5가, 월영동, 유녹동, 창포동1가, 창포동2가, 창포동3가, 청계동, 평화동, 화영동, 홍문동
반월중앙동신월동, 월포동, 대성동1가, 대성동2가, 장군동1가, 장군동2가, 장군동3가, 중앙동1가, 중앙동2가, 중앙동3가, 신흥동
완월동완월동, 장군동4가, 장군동5가
자산동자산동, 교방동
교방동교방동, 교원동, 상남동
오동동중성동, 오동동, 남성동, 동성동, 부림동, 서성동, 수성동, 신포동1가, 신포동2가, 창동, 주산동, 성호동
합포동상남동, 산호동
산호동산호동
구산면유산리, 마전리, 석곡리, 수정리, 내포리, 옥계리, 판동리, 구복리, 심리, 난포리
진동면고현리, 신기리, 사동리, 진동리, 여장리, 다구리, 교동리, 대봉리, 인곡리, 동전리
진북면추곡리, 금산리, 대치리, 대평리, 덕곡리, 망곡리, 부산리, 부평리, 인곡리, 이목리, 예곡리, 신촌리, 영학리, 정현리, 지산리
진전면창포리, 곡안리, 근곡리, 동산리, 봉곡리, 봉암리, 이명리, 율치리, 오서리, 시락리, 양촌리, 일암리, 임곡리, 금암리, 주양리, 고사리, 평암리


4. 2. 면

마산합포구에는 4개의 면이 있다. 마산합포구의 면적은 240.2km2이며, 2012년 7월 1일 기준으로 74,074세대, 186,213명이 거주하고 있다.[15]

한자면적세대인구
구산면龜山面43.64km22,4135,405
진동면鎭東面32.3km24,20510,920
진북면鎭北面46.57km21,8434,780
진전면鎭田面78.58km22,1304,629



각 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법정리
구산면유산리, 마전리, 석곡리, 수정리, 내포리, 옥계리, 판동리, 구복리, 심리, 난포리
진동면고현리, 신기리, 사동리, 진동리, 여장리, 다구리, 교동리, 대봉리, 인곡리, 동전리
진북면추곡리, 금산리, 대치리, 대평리, 덕곡리, 망곡리, 부산리, 부평리, 인곡리, 이목리, 예곡리, 신촌리, 영학리, 정현리, 지산리
진전면창포리, 곡안리, 근곡리, 동산리, 봉곡리, 봉암리, 이명리, 율치리, 오서리, 시락리, 양촌리, 일암리, 임곡리, 금암리, 주양리, 고사리, 평암리


5. 인구

마산합포구의 행정 구역은 10개 행정동, 4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산합포구의 면적은 240.2km2이며, 2012년 7월 1일 기준으로 인구는 74,074세대, 186,213명이다.[15]

행정동한자면적(km2)세대인구(명)
구산면龜山面43.642,4135,405
진동면鎭東面32.304,20510,920
진북면鎭北面46.571,8434,780
진전면鎭田面78.582,1304,629
현동顯洞19.519182,192
가포동架浦洞4.477241,634
월영동月影洞2.6211,79934,257
문화동文化洞1.715,68613,613
반월중앙동半月中央洞1.036,76718,512
완월동琓月洞2.734,46512,019
자산동玆山洞1.165,29514,264
교방동校坊洞2.737,82919,834
오동동午東洞1.8612,21822,612
합포동合浦洞0.663,7418,321
산호동山湖洞0.766,59115,643
마산합포구馬山合浦區240.2374,060187,835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해당하는 영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6]

연도총인구(명)
2010년187,893
2015년181,670
2020년177,758


6. 문화·관광


  • '''마산가고파국화축제'''
  • '''마산문학관''' - 2005년에 근대 마산문학의 흐름을 조망하고, 소중한 문학 전통과 자산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건립되었다.[17]
  • '''마산어시장''' - 마산합포구 동서동(동성동, 남성동, 신포동2가) 일원에 위치한 수산물 시장이다. 연면적 190000m2(약 5332.63m2) 정도의 규모이며, 2,020여 개 (고정 1,320, 노점 700)의 점포가 있는 마산어시장은 1일 평균 30,000~50,000여 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인근에 대우백화점 마산본점이 있다.
  • '''저도연륙교''' -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와 저도를 잇는 연륙교콰이강의 다리라는 별명이 있다.
  • '''창동예술촌''' & '''상상길''' - 창동예술촌은 마산시의 옛 도심인 창동에 위치한 예술 골목으로, 창동예술촌 초입에 한국을 사랑하는 23,000여 명의 이름이 적힌 블럭이 있는 상상길이 있다.
  • '''창원시립마산박물관''' - 전시실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설전시실은 각종 지역 출토 유물과 사진 자료, 설명문이 전시되고 있다.[18] 마당에는 최치원 선생의 학문 세계를 높이기 위하여 우리 고장 마산과 월영대를 노래한 고려·조선시대 대학자 13인의 시를 새긴 13인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 '''창원시립문신미술관''' - 마산합포구 추산동에 있는 미술관이다. 총 면적은 7500m2(약 213.68m2)으로 마산 출신의 조각가 문신의 조각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그 조각 작품은 스테인리스, 청동 등 다양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1994년에 개관하여 2003년에 당시 관장이자 문신의 미망인이었던 최성숙 여사에 의해 마산시에 기증되었다. 제1전시관, 제2전시관, 야외조각전시장, 문신원형미술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각, 석고원형, 유화, 채화, 드로잉, 유품, 공구 등 총 3,900여 점의 작품 및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19]
  • '''해양드라마세트장''' - 2010년 4월 조성된 해양드라마세트장으로, <김수로>, <징비록>, <육룡이 나르샤> 등의 드라마가 촬영되었다.
  • '''경남 마산로봇랜드''' - 2019년 9월 7일 개장한 마산합포구 구산면에 있는 로봇랜드는 세계 최초 로봇테마파크를 비롯하여 로봇 관련 시설이 상용화된 로봇 융복합 문화공간이다. 11개의 로봇 전시 체험 시설과 22개의 어트랙션으로 구성된 테마파크는 특별한 체험 거리로 로봇랜드의 신세계를 체험해 볼 수 있다.

7. 교통

8. 교육

마산합포구에는 경남대학교(4년제 사립 대학)를 비롯하여 여러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고등학교는 경남전자고등학교, 마산가포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마산삼진고등학교, 마산여자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마산중앙고등학교, 성지여자고등학교, 태봉고등학교, 합포고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구남중학교, 구산중학교, 마산삼진중학교, 마산서중학교, 마산의신여자중학교, 마산제일여자중학교, 마산중학교, 성지여자중학교, 진전중학교, 합포중학교, 해운중학교가 있다.

초등학교는 가포초등학교, 교방초등학교, 구산초등학교, 구서분교, 마산신월초등학교, 무학초등학교, 반동초등학교, 산호초등학교, 상남초등학교, 성호초등학교, 우산초등학교, 월성초등학교, 월영초등학교, 월포초등학교, 진동초등학교, 진전초등학교, 완월초등학교, 용마초등학교, 하북초등학교, 합포초등학교, 해운초등학교, 현동초등학교가 있다.

8. 1. 대학교

경남대학교(4년제 사립 대학)

8. 2. 고등학교

8. 3. 중학교

구남중학교

구산중학교

마산삼진중학교

마산서중학교

마산의신여자중학교

마산제일여자중학교

마산중학교

성지여자중학교

진전중학교

합포중학교

해운중학교

8. 4. 초등학교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간행물 칙령 제98호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5] 간행물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6] 간행물 칙령 제69호 군을합치는데관한안건
[7] 간행물 마산시조례 제1590호 1990-06-09
[8] 간행물 마산시조례 제360호 1999-03-17
[9] 뉴스 통합 창원시 구명칭, '의창-성산-합포-회원-진해구' 유력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4-22
[10] 뉴스 창원시 5개 구청 명칭·위치 월말 결정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10-04-09
[11] 뉴스 통합창원시 구청이름 결정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5-07
[12] 뉴스 행정통합의 명암..마산합포구 오동동 통술거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09
[13] 뉴스 창원시 "옛 마산권 국가기관 창원 이전 자제" 요청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7-29
[14] 뉴스 250년전통 마산어시장 옛 명성 되찾기 본격화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0-07-26
[15] 웹사이트 마산합포구의 일반개요 http://masanhp.chang[...] 2012-07-20
[16] 웹사이트 창원시 정보통계시스템 http://stat.changwon[...]
[17] 웹사이트 마산문학관 https://www.changwon[...]
[18] 웹사이트 마산박물관 https://www.changwon[...]
[19] 웹사이트 https://www.changw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