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방평균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평균시는 19세기 초 해시계 등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던 방식으로, 각 지역의 자오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했기 때문에 경도에 따라 시간 차이가 발생했다. 경도 1도 차이마다 4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여 지역 간 시간 통일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철도 운행 시작과 일반인들의 시간표 사용으로 불편함이 커졌다. 표준시가 채택되기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그리니치 표준시나 지역 중심 도시의 표준시를 사용하면서 지방평균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대한제국 시기인 1908년 표준시 도입으로 사용이 중단되었으며, 동경 127도 30분 기준의 표준시를 사용하다가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변경을 거쳐 현재는 동경 135도 기준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문학에서의 시간 - 동지점
    동지는 태양 황경이 270°인 시점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여러 문화권에서 축제와 풍습이 행해지며, 한국에서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완화 시간
    완화 시간은 물리학, 화학, 천문학 등에서 시스템이 외부 섭동이나 불균형으로부터 평형 상태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볼츠만 운송 방정식, 응축물질물리학, 핵자기 공명, 화학 반응 속도, 대기 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지방평균시
개요
이름지방 평균시 (地方平均時)
로마자 표기Jibang Pyeonggyunsi
종류시간대
설명특정 경도에서의 태양시
상세 정보
정의지방 평균시(地方平均時, Local Mean Time, LMT)는 특정 경도에서의 태양시를 말한다. 이는 지구가 완벽한 구체이고 태양이 지구 궤도를 완벽하게 원형으로 돈다고 가정했을 때의 시간이다.
차이점실제 태양의 움직임은 지구의 궤도 타원형과 자전축 기울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실제 태양시는 지방 평균시와 차이가 있으며, 이 차이를 균시차라고 한다.
사용지방 평균시는 천문학 및 측지학에서 사용되며, 표준시의 기초가 된다.
역사적 의미19세기 후반까지 각 도시나 마을은 자체적인 지방 평균시를 사용했다. 그러나 철도와 통신의 발달로 시간 표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결과 표준시가 도입되었다.
계산지방 평균시는 해당 지역의 경도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갈수록 시간이 빨라지고 서쪽으로 갈수록 시간이 느려진다. 1도당 4분의 시간차가 발생한다.
참고 사항
균시차지방 평균시와 실제 태양시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균시차를 적용할 수 있다. 균시차는 계절에 따라 변하며, 그 값은 천문력에 수록되어 있다.
표준시와의 관계표준시는 지방 평균시를 기준으로 설정되지만, 국가 또는 지역의 편의를 위해 자오선에서 약간 벗어난 경도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표준시는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한다.

2. 과거 사용

지방평균시는 19세기 초, 각 지역에서 해시계 등을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던 방식이다. 각 도시나 마을은 자체적인 자오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했기 때문에, 경도에 따라 시간 차이가 발생했다.[7] 19세기 중엽, 철도역 간에 통합된 시간이 필요해지고 사람들이 시간표에 시계를 맞춰야 하는 상황이 되면서, 표준시가 도입되기 시작했고, 그리니치 평균시 또는 그 지역 수도의 표준시를 이용하게 되면서 지방평균시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2. 1. 문제점

경도 1도 차이마다 4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여, 지역 간 시간 통일에 어려움이 있었다.[7][2][5] 특히, 19세기 중반 철도 운행이 시작되면서, 역 간의 정확한 시간 동기화가 필요해짐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부각되었다. 또한, 일반인들도 시간표에 맞춰 시계를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불편함을 겪었다.

3. 표준시

표준시간대가 채택되기 전인 19세기 초까지는 현지 태양시해시계를 사용하여 지방 평균시를 사용했다. 각 마을이나 도시는 각자의 자오선을 기준으로 시간을 정했기 때문에, 경도가 1도 차이 날 때마다 4분의 시간 차이가 발생했다.[7] 19세기 중엽, 철도 운행 시 역 간 통일된 철도 시간이 필요해지면서 문제가 발생했고, 사람들은 시간표에 시계를 맞춰야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시가 도입되었고, 그리니치 평균시 또는 그 지역 수도의 표준시를 사용하게 되면서 지방 평균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3. 1. 표준시의 정의

표준시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같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그리니치 평균시로부터 시차를 두어 정하거나, 그 지역의 중심 도시의 지방 평균시를 채용했다.[2] 지방 평균시는 19세기 초부터 사용되었으며, 당시에는 지역 태양시 또는 해시계 시간을 마지막으로 사용하다가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날짜에 표준시가 채택되었다. 각 도시마다 자체적인 자오선을 유지했으므로, 경도가 1도 차이 나는 지역은 4분 차이가 났다.[2] 이는 19세기 중반 철도에서 역 간에 동기화된 철도 시간을 위한 시계가 필요했고, 동시에 지역 주민들은 시계(또는 교회 시계)를 시간표에 맞춰야 하는 상황에서 문제가 되었다. 지방 평균시와 지방 시태양시 간의 차이를 균시차라고 한다.

3. 2. 균시차

균시차는 지방 평균시와 지방 시태양시 간의 차이이다.[1]

참조

[1]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2013
[2] 서적 Elementary Meteorology McGraw-Hill Book Company, Inc. 1943
[3]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2013
[4] 문서 IERS基準子午線、グリニッジ子午線
[5] 서적 Elementary Meteorology McGraw-Hill Book Company, Inc. 1943
[6] 서적 Explanatory Supplement to the Astronomical Almanac University Science Books 2013
[7] 서적 Elementary Meteorology McGraw-Hill Book Company, Inc. 19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