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례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례면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에 속하는 면이다. 가락국 수로왕 때 왕자가 진례 성주에 봉해졌고, 조선 예종 때 부서 진례촌으로 기록되었다. 갑오경장 이후 진례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진영의 일부 지역을 흡수했다. 말굽 모양의 계곡에 위치하며, 동서남북으로 산맥에 둘러싸여 있다. 주요 법정리는 청천리, 시례리, 송정리, 초전리, 신안리, 신월리, 산본리, 송현리, 담안리, 고모리이다. 도예 공예로 유명하며, 쌀 농업이 이루어진다. 진례초등학교, 진례중학교, 대진초등학교가 있으며, 김해 시례 염수당 고문서와 김해 시례리 염수당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해시의 행정 구역 - 북부동 (김해시)
    김해시 북부동은 대성동, 구산동, 삼계동으로 이루어진 동으로, 김해시청과 김해문화의전당 등 주요 시설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 구지봉, 김해향교 등의 문화재, 그리고 가야대학교를 포함한 교육 기관들이 위치한 김해 시민의 생활 중심지이다.
  • 김해시의 행정 구역 - 장유동
    장유동은 2013년 장유면 분리로 법정동이 되었으며, 장유1동, 2동, 3동으로 나뉘어 유하동, 내덕동, 신문동, 부곡동, 무계동, 관동동, 율하동, 응달동, 수가동을 포함하고 N스퀘어와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장목면
    장목면은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면으로, 조선시대 장목포진 설치 이후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김영삼 대통령 생가, 거제 장문포 왜성 등의 역사·문화·관광 자원과 농소몽돌해수욕장 등의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장목항과 외포항을 중심으로 어업 활동이 활발하며 양파, 멸치, 대구 등의 특산물이 풍부하다.
  • 경상남도의 읍·면 - 삼랑진읍
    삼랑진읍은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세 갈래 물결이 일렁이는 나루라는 뜻으로 유래했으며, 삼랑진역을 중심으로 교통의 요지이고, 만어사, 김범우 순교자 성지, 작원관 등의 문화·관광 자원이 있으며, 딸기와 복숭아가 특산물이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진례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종류
국가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로마자 표기Jillye-myeon
면사무소 주소진례면 진례로 241 (송정리 246-3)
홈페이지진례면 행정복지센터
행정복지센터
행정복지센터
통계
면적44.82 km²
세대3,583 (2012년 8월 1일 기준)
인구6,306명 (2022년 3월 기준)
법정리 수10개
행정리 수34개
반 수49개

2. 연혁

42년 가락국 수로왕이 왕자를 진례 성주에 봉하였으며, 통일신라 말기에는 김인광이 진례성 제군사가 되어 이곳을 지켰다고 전해진다. 조선 예종 때인 1469년 《경상도지리지》에는 '부서 진례촌(府西 進禮村)'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이곳은 청천면(속칭 청내)이라 불렸는데, 열두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물이 청천리에 모여 북쪽으로 흐른다고 하여 '열두청내'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1894년 갑오경장 때 행정구역 개편으로 다음과 같이 나뉘었다.

중심 지역
진례면청천, 시례, 송정, 초전, 신안
율리면산본리, 신월, 송현, 담안, 고모, 고령, 관동, 성법, 개동



그러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과정에서 진영의 의전리와 죽곡리 일부를 흡수하여 다시 진례면이 되었다. 이후 1942년 진영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죽곡리와 의전리를 다시 진영으로 편입하였다.[2]

3. 지리

진례면은 주로 말굽 모양의 계곡에 위치하며, 동쪽, 남쪽, 서쪽을 따라 산맥이 둘러싸고 있다. 이 산들 중 가장 큰 산은 남서쪽에 위치한 신안리이다. 신안리 서쪽 바로 맞은편에는 창원시가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 약 10km 떨어진 곳에 김해시가 있다.

4. 행정 구역 (법정리)


시례리에 있는 어느 느티나무

5. 문화

진례면은 도예 관련 공예로 잘 알려져 있어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마을 곳곳에서 많은 가마도자기 상점을 찾아볼 수 있다. 진례면은 비교적 농촌 지역으로, 계곡 지형을 활용하여 농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6. 교육 기관

7. 문화재

염수당

참조

[1] 웹사이트 진례면 지역 특성 http://www.gimhae.go[...] 2012-08-12
[2] 웹사이트 진례면 연혁 http://www.gimhae.go[...] 2012-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