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영화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영화는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이다. 2007년 CJ 엔투스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했으며, 조병세, 김정우와 함께 신예 트로이카로 불렸다. 2012년 제8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하여 활동하다가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프로토스 종족으로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통산 205전 109승 96패, 53.2%의 승률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에어 그린윙스의 선수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진에어 그린윙스의 선수 - 조일장
    조일장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온라인 대회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BJ로 전향 후 유쾌한 입담과 인성으로 인기를 얻어 다양한 별명을 얻었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이호준 (프로게이머)
    이호준은 스타크래프트 선수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선수로 전향하여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CJ 엔투스의 선수 - 유대현
    유대현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최강 우주방어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GO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군 복무 후에는 다양한 방송에서 스타크래프트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가 및 캐스터로 활동했다.
  • 프로토스 선수 - 김윤중
    김윤중은 프로토스 게이머이며, 11연승으로 프로토스 대 저그전 공식전 최다 연승 기록을 세웠고, 2016년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에서 우승했다.
  • 프로토스 선수 - 장윤철
    장윤철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서 신인왕 및 신인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고, MSL, 스타리그 등 개인 리그에서 8강 이상의 성적과 커리지 매치 입상 경력이 있다.
진영화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진영화
국적대한민국
출생1990년 8월 30일
출생지대전광역시
종족프로토스
아이디By.mOvie, movie[Kal]
별명무비스타

2. 선수 경력

2. 1. CJ 엔투스 시절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CJ 엔투스의 4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완만한 인상 덕분에 '곰라인' 이재훈, 전상욱, 마재윤에 이어 곰에 관련된 별명을 얻었다.

같은 팀이었던 조병세(테란), 김정우(저그)와 더불어 CJ 엔투스의 '''신예 트로이카'''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매번 '연승이후 연패'라는 심한 기복을 보이는 것이 단점이었다. 박세정도 이와 유사했다. 강력한 한방병력으로 저그전에서 60%를 넘기는 승률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테란전과 프로토스전에서 약한점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2010년에 들어서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1년에는 12월 KeSPA 랭킹 21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2. 2. 제8프로게임단 시절

2012년 5월 7일 제8프로게임단으로 이적하였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부터 제8프로게임단 소속으로 활동했다.

2. 3. 은퇴 이후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2를 마치고 프로게이머 은퇴 의사를 팬카페에 밝히고 은퇴하였다.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아이템베이 8차 소닉 스타리그에 참가하여 8강까지 진출하였으나, 조일장에게 1-3으로 패배하여 4강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3. 주요 기록

3. 1. 개인 리그

진영화는 EVER 스타리그 2009에서 프로토스 종족으로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1:3 이영호)[1] 8강에서는 김명운을 상대로 2:0 완승, 4강에서는 이영한을 3:1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지만, 결승에서 이영호에게 패배하여 로열로더 달성에는 실패했다.[1]

이후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8강, 하나대투증권 MSL 2010 16강에 진출했다. 소닉 스타리그에도 참가하여 아이템베이 8차 소닉 스타리그 8강, 픽스 9차 소닉 스타리그 3위를 기록했다.

3. 2. 통산 전적

wikitable

경기승-패승률
테란6436-2856.3%
저그전7845-3357.7%
프로토스전6328-3544.4%
총합205109-9653.2%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