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은 대한항공의 후원을 받아 2010년에 개최된 스타크래프트 리그이다. 36강, 16강 풀리그, 8강, 4강,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상금은 1억 800만원 규모였다. 결승전은 김포공항 내 대한항공 격납고에서 열렸으며, 김정우가 이영호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의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새로운 세상을 향한 첫걸음!'이며, 36강은 하늘, 16강은 공항을 컨셉으로 하였다.
2. 대회 개요
2. 1. 후원
대한항공은 젊은 층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후원을 결정했다. 대한항공 고위 관계자는 "스타리그는 젊은이들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확고히 자리 잡고 있다"라고 말했다.[1]
2. 2. 대회 방식
36강은 각 조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명의 선수가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치고, 이에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진출자와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쳐 최종 승리한 선수가 16강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은 4인 1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1] 36강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여 종족별 배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추첨되었다.[1]
36강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매치 1 | 매치 2 | ||||||
---|---|---|---|---|---|---|---|---|
A조 | 김구현 | 2 | 정종현 | 1 | 문성진 | 1 | 김구현 | 2 |
B조 | 김상욱 | 2 | 손주흥 | 1 | 송병구 | 2 | 김상욱 | 0 |
C조 | 박상우 | 0 | 배병우 | 2 | 한상봉 | 2 | 배병우 | 0 |
D조 | 김승현 | 1 | 박준오 | 2 | 진영수 | 2 | 박준오 | 1 |
E조 | 박지수 | 2 | 신동원 | 0 | 박명수 | 1 | 박지수 | 2 |
F조 | 고석현 | 0 | 김동건 | 2 | 정명훈 | 2 | 김동건 | 0 |
G조 | 김재춘 | 2 | 임진묵 | 1 | 김정우 | 2 | 김재춘 | 1 |
H조 | 김택용 | 2 | 김현우 | 0 | 김창희 | 2 | 김택용 | 1 |
I조 | 신상문 | 0 | 신대근 | 2 | 박지호 | 0 | 신대근 | 2 |
J조 | 조일장 | 1 | 전태양 | 2 | 이제동 | 0 | 전태양 | 2 |
K조 | 박찬수 | 1 | 이동준 | 2 | 박세정 | 2 | 이동준 | 0 |
L조 | 이재호 | 1 | 김태균 | 2 | 김명운 | 2 | 김태균 | 0 |
2. 3. 대회 일정
- '''오프라인 예선''': 2010년 2월 5일
- '''36강''': 2010년 2월 10일 ~ 2010년 3월 19일
- '''16강 조 지명식''': 2010년 3월 26일
- '''16강''': 2010년 3월 31일 ~ 2010년 4월 18일
- '''8강''': 2010년 4월 23일, 2010년 4월 30일
- '''4강''': 2010년 5월 7일, 2010년 5월 14일
- '''결승''': 2010년 5월 22일
2. 4. 상금
총 상금은 1.08억원이다.
2. 5. 경기장
- '''예선''' - 용산 이스포츠 보조 경기장
- '''본선''' -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2]
- '''8강 투어''' - 울산 문수축구경기장 (프로축구 울산 현대 축구단의 홈 경기장) 호반 광장
- '''결승전''' - 서울특별시 강서구 김포공항 내 대한항공 본사 격납고 특설 무대[3][4]
3. 맵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에서 사용된 맵은 다음과 같다.
단계 | 맵 |
---|---|
오프라인 예선 | 매치포인트, 투혼, 태풍의 눈 |
36강 | Great Barrier Reef영어[5], 투혼, 태풍의 눈 |
16강 | Great Barrier Reef영어, 태풍의 눈, 투혼, 매치포인트 |
3. 1. 오프라인 예선
오프라인 예선은 매치포인트, 투혼, 태풍의 눈에서 진행되었다.3. 2. 36강
Great Barrier Reef영어, 투혼, 태풍의 눈 순서로 36강 경기가 진행되었다.[5]- 1경기: Great Barrier Reef영어
- 2경기: 투혼
- 3경기: 태풍의 눈
3. 3. 16강
16강은 Great Barrier Reef, 태풍의 눈, 투혼, 매치포인트에서 진행되었다.[5]4. 리그 BGM
- 예선전 예고: U2 - With Or Without You
- 오프닝 멘트: Forever The Sickest Kids - Phone Call
- 경기 전후: The Almost - Get Through
- 36강 타이틀곡: Alter Bridge - One Day Remains
- 36강 조예고곡: Yellowcard - Afraid
- 16강 조지명식, 16강 티저, 16강 타이틀곡, 16강 예고곡: Face to Face - I won't lie down(kombat mix)
- 36강 선수소개곡: Jack's Mannequin - Mixed Tape
- 16강 선수소개곡: Endeverafter - Tip Of My Tongue
- 16강 진출곡: Alter Bridge - Down To My Last
- 16강 조지명식 조 선택곡: Serenity - The Heartblood Symphony
- 16강 조지명식 선수 등장곡, Next Match곡: Sick Puppies - Street Fighter War
- 엔딩: Forever The Sickest Kids - Take It Slow
- 16강 1회차 엔딩: Boys Like Girls - Five Minutes To Midnight
- 16강 2회차 엔딩: Nine / Rose - Break Myself
- 16강 3회차 엔딩: Breaking Benjamin - Breath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36강 엔딩곡)
- 결승전 오프닝: Aphex Twin - Afx237 V7
- 우승자 세레머니: Alex Band - Forever Yours
- 결승전 엔딩: Alex Band - Only One
5. 스타리그 예선
스타리그 예선은 오프라인 예선을 통해 선발된 24명의 선수들과 지난 시즌 스타리그 16강 진출자 중 4강 진출에 실패한 12명의 선수들에게 36강 시드를 주어 치러졌다.
5. 1. 조별 본선 진출자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
---|---|---|---|---|---|---|---|---|---|---|---|
김상욱 | 김승현 | 박준오 | 신상문 | 박지수 | 손주흥 | 김동건 | 김재춘 | 김택용 | 이재호 | 정종현 | |
M조 | N조 | O조 | P조 | Q조 | R조 | S조 | T조 | U조 | V조 | W조 | X조 |
김구현 | 신동원 | 조일장 | 이동준 | 임진묵 | 김현우 | 전태양 | 박상우 | 고석현 | 신대근 | 배병우 | 김태균 |
5. 2. 36강 시드자
지난 시즌 스타리그 16강에 진출했지만, 4강 진출에 실패한 12명의 선수들은 36강 시드를 받게 된다.5. 3. 본선 진출자 분포
종족별 분포 | 팀별 분포 |
---|---|
6. 36강
36강의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여 종족별 배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추첨되었다. 예선을 진출한 선수들끼리 매치 1에서 3전 2선승제로 대결한 후, 승리한 선수가 지난 시즌 16강 리거와 매치 2에서 경기를 펼쳐 이기는 선수가 16강에 진출한다. 재경기를 거친 선수들의 승패가 1승 1패일 경우 다시 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린다.
조 | 매치 1 | 매치 2 | ||||||
---|---|---|---|---|---|---|---|---|
A조 | 김구현 | 2 | 정종현 | 1 | 문성진 | 1 | 김구현 | 2 |
B조 | 김상욱 | 2 | 손주흥 | 1 | 송병구 | 2 | 김상욱 | 0 |
C조 | 박상우 | 0 | 배병우 | 2 | 한상봉 | 2 | 배병우 | 0 |
D조 | 김승현 | 1 | 박준오 | 2 | 진영수 | 2 | 박준오 | 1 |
E조 | 박지수 | 2 | 신동원 | 0 | 박명수 | 1 | 박지수 | 2 |
F조 | 고석현 | 0 | 김동건 | 2 | 정명훈 | 2 | 김동건 | 0 |
G조 | 김재춘 | 2 | 임진묵 | 1 | 김정우 | 2 | 김재춘 | 1 |
H조 | 김택용 | 2 | 김현우 | 0 | 김창희 | 2 | 김택용 | 1 |
I조 | 신상문 | 0 | 신대근 | 2 | 박지호 | 0 | 신대근 | 2 |
J조 | 조일장 | 1 | 전태양 | 2 | 이제동 | 0 | 전태양 | 2 |
K조 | 박찬수 | 1 | 이동준 | 2 | 박세정 | 2 | 이동준 | 0 |
L조 | 이재호 | 1 | 김태균 | 2 | 김명운 | 2 | 김태균 | 0 |
7. 16강
16강은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조는 3번의 경기를 치러 8강 진출자를 가린다. 재경기 및 재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되며, 승패가 동률(1승 1패)일 경우 다시 재경기를 진행한다. D조에서는 재재경기가 발생하여 더욱 치열한 경합이 벌어졌다.
7. 1. 본경기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A조 | B조 | C조 | D조 | ||||
---|---|---|---|---|---|---|---|
이영호 | 2승 1패 | 진영화 | 2승 1패 | 김윤환 | 1승 2패 | 이영한 | 1승 2패 |
한상봉 | 1승 2패 | 진영수 | 1승 2패 | 박세정 | 1승 2패 | 김창희 | 1승 2패 |
신대근 | 1승 2패 | 송병구 | 1승 2패 | 김명운 | 3승 0패 | 김정우 | 1승 2패 |
김구현 | 2승 1패 | 전태양 | 2승 1패 | 정명훈 | 1승 2패 | 박지수 | 3승 0패 |
재재재경기를 거친 선수들의 승패가 1승 1패일 경우 다시 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7. 2. 재경기 및 재재경기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8. 8강 ~ 결승
9. 대회 결과
10. 특이사항
-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이후 스타리그 10주년을 기념하는 대회이다.
- 이제동이 36강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하였다.
- 스타리그 최초로 항공사 (대한항공)가 후원하였다.[6][7]
- 스타리그 예선 최초로 '멀티 라이브 시스템'이 도입되었다.[6][7]
- 경기 그래픽을 공항 출발 안내기처럼 표현하였다.
- 선수 기량을 세분화한 레이다 차트를 경기 시작 전에 제시하였다.
- 2004 질레트 스타리그 이후 웅진스타즈 테란 프로게이머(임진묵, 정종현, 이동준)가 스타리그에 진출하였다.
- 16강 오프닝은 김포-인천국제공항 활주로, 대한항공 본사에서 비공개로 촬영되었다.
- 16강 선수들은 정장 차림으로 프로필을 촬영하였다.
-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이후 3시즌 만에 8강 투어가 울산 문수 월드컵경기장 호반광장에서 진행되었다.
- 결승전은 사상 처음으로 김포공항 대한항공 격납고에서 진행되었다.
- 이영호는 최초로 2회 연속 양대리그 결승에 진출하였다.
- 스타리그 결승전 사상 통산 3번째 리버스 스윕 우승이 나왔다.
- 스타리그 결승 무대 사상 최고가(약 1조 이상)로 기록되었다.
- 결승전 경기 종료 후 관중들이 1시간 넘게 격리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저그VS테란 결승전에서 3할 승률의 테란전을 가진 저그가 테란을 꺾고 우승하는 최초의 사례가 나왔다.(김정우)[8]
- 김정우는 스타리그 사상 한 시즌 최다 경기수를 기록하였다.
- 저그가 테란 상대로 세 번째 리버스 스윕을 하였다. (첫 번째는 다음 스타리그 결승)
- 결승전 초대 가수는 시크릿이었다.
10. 1. 방송사고
- 16강 3회차 C조 3경기(김명운 대 김윤환) 승자 사인 장면 방송 중 방송 장비 이상으로 10여 초간 초록색 화면이 송출되었다.
- 결승전 1경기 중 이영호의 모니터가 온게임넷의 방송 장비 문제로 갑자기 꺼지는 상황이 발생하며 재경기가 진행되었다.
10. 2. 16강 C/D조 재경기 기록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16강 C, D조 재경기에서 Starleague|스타리그영어(와일드카드전 방송경기 포함) 방송 사상 최다 경기 기록이 나왔다. C조는 5경기, D조는 12경기를 치렀다.[9]스타리그 사상 최장 시간 생방송 기록(예선전 제외)은 7시간 23분이었다.[9]
D조 재경기에서 스타리그 사상 통산 2번째 재재경기가 나왔다.[9]
스타리그 사상 최다 재경기 기록이 갱신되었다.[9]
16강 D조 이영한, 김창희, 김정우의 경기에서 총 12경기의 재재재경기가 나오면서, 스타리그 사상 첫 재재재경기가 진행되었다.[9]
11. 사용 맵 정보
종족 | Great Barrier Reef | 투혼 | 태풍의 눈 | Match Point |
---|---|---|---|---|
인원 | 3 | 4 | 4 | 2 |
P vs Z | 5:5 | 2:5 | 1:1 | 3:1 |
Z vs T | 6:10 | 9:5 | 6:6 | 3:5 |
T vs P | 4:3 | 2:4 | 4:5 | 2:1 |
Z vs Z | 6번 | 3번 | 3번 | 2번 |
T vs T | 3번 | 2번 | 1번 | 0번 |
P vs P | 0번 | 2번 | 0번 | 1번 |
참조
[1]
뉴스
대한항공, 대표 e스포츠 '스타리그' 후원한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0-01-20
[2]
웹사이트
약도와 교통 안내, 온게임넷 홈페이지
http://www.ongamenet[...]
[3]
뉴스
대한항공 스타리그 결승전. 김포공항 격납고에서 열린다
http://esports.daily[...]
데일리e스포츠
2010-05-07
[4]
웹사이트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결승전은 대한항공 본사 격납고!!
http://www.fomos.kr/[...]
포모스
2010-05-07
[5]
문서
엘니뇨를 Twilight 타일셋으로 바꾸면서 미네랄 양을 조절했다. 맵의 테마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 따왔다.
[6]
웹사이트
대한항공 스타리그 예선전 경기, 입맛대로 골라 본다!
http://www.fomos.kr/[...]
포모스
2010-02-02
[7]
뉴스
"[대한항공 예선] 성승헌-김창선 듀오 입담에 라이브TV 폭주"
http://www.xportsnew[...]
엑스포츠뉴스
2010-04-16
[8]
문서
결승전을 하기 전 당시 김정우의 2010시즌 대 테란전 승률은 5승 11패였다.
[9]
뉴스
스타리그 역사상 최초로 7시간 30분 ‘재경기 시리즈’ 탄생!!
http://www.fomos.kr/[...]
포모스
2010-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