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VER 스타리그 200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VER 스타리그 2009는 KT의 EVER가 후원하고, 2009년에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개인리그이다. 36강은 카툰 컨셉, 16강은 일러스트 컨셉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영호가 진영화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6강은 PC방 예선 통과 선수와 지난 대회 16강 진출자들이 대결했고, 16강은 풀리그, 8강부터 결승까지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대회는 이영호의 두 번째 스타리그 우승, 테란 종족의 6시즌만의 우승, 그리고 승부조작 사건 발생 등 다양한 특징을 보였다.

2. 대회 개요

EVER 스타리그 2009는 KT의 EVER가 후원하는 다섯 번째 스타리그이다.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유쾌한 상상, 넘치는 즐거움 EVER!'이며, 36강은 2007 시즌에 맞춰 카툰 컨셉, 16강은 일러스트 컨셉으로 진행되었다.

총 상금 규모는 1.08억이며, 우승 상금은 4000만, 준우승 상금은 2000만이다. 그 외 선수들에게도 순위에 따라 상금이 차등 지급되었다. 상세한 상금 내역은 다음과 같다.

구분상금
36강 1위250000KRW
36강 2위150000KRW
36강 3위100000KRW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대회는 2009년 9월 30일 오프라인 예선을 시작으로, 본선은 2009년 10월 14일부터 2010년 1월 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2010년 1월 17일에 열렸다. 예선은 용산 이스포츠 보조 경기장에서, 본선은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에서, 결승전은 서울특별시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되었다.

2. 1. 후원

KT의 EVER가 2004, 2005, 2007, 2008 시즌에 이어 다섯 번째로 스타리그를 후원하였다. KT테크 마케팅팀 최재성 과장은 “젊은이들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확고히 자리 잡은 스타리그를 다섯 번째로 후원하게 돼 매우 기쁘다. EVER가 스타리그와 함께 성장해 온 만큼 스타리그에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다”며 “특히, 이번 리그에는 지난 EVER 스타리그에서 좋은 경기를 펼쳤던 임요환, 박성준 등 노장 게이머들의 활약을 기대해본다. E스포츠 팬들의 많은 관심 부탁 드린다”고 전했다.[1]

2. 2. 대회 방식

36강은 각 조에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명의 선수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치고,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진출자와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쳐 최종 승리자가 16강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16강은 4명 4개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준결승과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1] 36강은 수요일에 두 개 조의 경기가 편성되어 4주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1]

2. 3. 출전 선수

36강에는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준결승에 진출하지 못한 12명의 선수들이 시드를 받았다.[1] 이들은 다음과 같다:

  • 김정우, 이영호, 손찬웅, 송병구, 김택용, 김창희, 진영수, 김명운, 조일장, 신상문, 한상봉, 고인규


16강 시드 진출자는 ''', 36강 시드 진출자는 '*'로 표시했다. 괄호 안은 (시드진출자/예선진출자)이다.[2]

; 종족별 분포

  • 테란(6/10): 정명훈, *고인규*, *김창희*, *신상문*, *이영호*, *진영수*, 김동건, 김기현, 민찬기, 조병세, 이재호, 박지수, 박상우, 황병영, 이성은, 박성균
  • 프로토스(3/7): *김택용*, *손찬웅*, *송병구*, 김재훈, 진영화, 박지호, 김승현, 이경민, 박세정, 허영무
  • 저그(7/7): 이제동, 박명수, 문성진, *김명운*, *김정우*, *조일장*, *한상봉*, 김상욱, 신노열, 김경모, 김윤환, 박찬수, 박재혁, 이영한


; 팀별 분포

  • '''SK텔레콤''' (3/1): 정명훈, *김택용*, *고인규*, 박재혁
  • '''하이트''' (4/2): 박명수, 문성진, *김창희*, *신상문*, 김상욱, 이경민
  • '''STX''' (2/2): *진영수*, *조일장*, 김동건, 김윤환
  • '''삼성전자''' (1/3): *송병구*, 김기현, 허영무, 이성은
  • '''이스트로''' (0/1): 박상우
  • '''화승''' (2/1): 이제동, *손찬웅*, 김경모
  • '''웅진''' (2/1): *김명운*, *한상봉*, 김승현
  • '''KT''' (1/3): *이영호*, 박지수, 황병영, 박찬수
  • '''위메이드''' (0/4): 신노열, 박세정, 이영한, 박성균
  • '''CJ''' (1/2): *김정우*, 진영화, 조병세
  • '''공군''' (0/1): 민찬기
  • '''MBC게임''' (0/3): 박지호, 김재훈, 이재호

2. 4. 대회 일정


  • 오프라인 예선: 2009년 9월 30일
  • 36강: 2009년 10월 14일 ~ 11월 6일 (수요일 오후 5시 2개조 경기, 금요일 오후 6시 30분 1개조 경기)
  • 16강 조지명식: 2009년 11월 20일
  • 16강: 2009년 11월 25일 ~ 12월 11일
  • 8강: 2009년 12월 18일 ~ 12월 25일
  • 준결승: 2010년 1월 1일, 1월 8일
  • 결승: 2010년 1월 17일

2. 5. 상금

총 상금 규모는 1억 800만원이다. 우승 상금은 4000만, 준우승 상금은 2000만이다. 우승자와 준우승자를 제외한 시드자 2명부터 36강 진출자까지 상금이 차등 지급된다. 상세한 상금 내역은 다음과 같다.

구분상금
36강 1위250000KRW
36강 2위150000KRW
36강 3위100000KRW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2. 6. 경기장

예선은 용산 이스포츠 보조 경기장에서, 본선 경기는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에서 열렸다.[2] 결승전은 서울특별시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개최되었다.

3. 사용 맵

오프라인 예선에서는 지난 시즌 스타리그 공식맵인 ‘왕의귀환’과 프로리그 맵인 ‘데스티네이션’, ‘단장의 능선’을 사용한다.[3]

36강에서는 '왕의 귀환'과 '홀리월드' 대신 '엘니뇨'[4]와 '태풍의 눈'이 새롭게 사용되며, 지난 시즌 스타리그에 사용된 '단장의 능선'이 이번 시즌에도 사용된다.

36강 맵 순서는 다음과 같다.


  • 1경기 : 태풍의 눈
  • 2경기 : 엘니뇨
  • 3경기 : 단장의 능선


16강 맵 순서는 투혼, 엘니뇨, 단장의 능선, 태풍의 눈 순서이다.

8강에서는 '단장의 능선'이 '신 단장의 능선'으로 교체되었다.[5]

준결승 맵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이영호 vs 김윤환
  • * 1경기 : 엘니뇨
  • * 2경기 : 신 단장의 능선
  • * 3경기 : 투혼
  • * 4경기 : 태풍의 눈
  • * 5경기 : 엘니뇨


결승 맵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이영호 vs 진영화
  • * 1경기 : 신 단장의 능선
  • * 2경기 : 엘니뇨
  • * 3경기 : 태풍의 눈
  • * 4경기 : 투혼
  • * 5경기 : 신 단장의 능선


종족태풍의 눈엘니뇨단장의 능선투혼신 단장의 능선
인원43242
P vs Z6:74:73:34:12:1
Z vs T8:44:64:02:21:1
T vs P3:67:41:51:01:0
Z vs Z0번2번2번2번0번
T vs T1번1번1번0번0번
P vs P1번0번0번0번0번


4. 리그 BGM

이번 리그에서는 다음과 같은 록 음악들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곡명아티스트
Welcome To The MasqueradeThousand Foot Krutch
ScreamThousand Foot Krutch
Jessica엘리엇 마이너
E For ExtinctionThousand Foot Krutch
CancerSick Puppies
Blood On My HandsThe Used (더 유즈드)
Illegal FunHardcore Superstar
Bring me to lifeThousand Foot Krutch
Little Too LateDefault
Show MeDefault


5. 스타리그 예선 및 36강

24개조로 구성된 예선을 통해 36강 진출자를 가렸다. 각 조는 8명(Q, R, U조는 7명)으로 구성되어, 3전 2선승제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가 36강에 진출했다.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진영화김승현김상욱박지호김재훈김동건신노열조병세박세정민찬기김기현김경모
M조N조O조P조Q조R조S조T조U조V조W조X조
이경민이재호박지수박상우박찬수김윤환황병영박재혁허영무이성은박성균이영한



36강은 예선 통과자와 지난 시즌 16강 시드자가 3전 2선승제로 대결하여 16강 진출자를 결정했다. 36강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고, 종족별 배분 등을 고려하여 추첨으로 정해졌다. 예선 진출 선수끼리 매치 1에서 대결하여 승리한 선수가 지난 시즌 16강 진출자와 매치 2에서 대결하는 방식이었다.

매치 1매치 2
A조박지수0박지호2고인규1박지호2
B조박상우1이영한2김택용1이영한2
C조김윤환2김기현0손찬웅1김윤환2
D조허영무2황병영1한상봉2허영무0
E조조병세0김경모2송병구2김경모0
F조이재호0진영화2조일장1진영화2
G조박성균1김상욱2이영호2김상욱0
H조이성은2김재훈0김명운2이성은0
I조박찬수1김승현2진영수2김승현0
J조이경민1김동건2김정우2김동건0
K조박세정2박재혁1신상문1박세정2
L조신노열0민찬기2김창희2민찬기1


6. 16강 및 8강

16강은 4개조 풀리그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1]

A조B조C조D조
이제동3승 0패박명수2승 1패정명훈1승 2패문성진0승 3패
박지호0승 3패박세정2승 1패김윤환2승 1패송병구3승 0패
김창희1승 2패김명운2승 1패이영한2승 1패한상봉1승 2패
진영화2승 1패진영수0승 3패김정우1승 2패이영호2승 1패



B조는 3명의 선수가 승패가 동률을 이뤄 재경기를 치렀다.

B조 재경기
박명수0승 2패
박세정1승 1패
김명운2승 0패



8강은 3전 2선승제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1]

7. 준결승 및 결승

준결승전에서는 이영호김윤환을 3:1로, 진영화이영한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이영호진영화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강 A조결과
이영호3김윤환1이영호 결승 진출
4강 B조결과
진영화3이영한1진영화 결승 진출
결승결과
이영호3진영화1이영호 우승


8. 대회 결과

스타리그 2009의 우승자는 이영호(두 번째 우승)이고, 준우승자는 진영화이다. 4강 진출자는 김윤환, 이영한이다.

9. 특이사항


  • 스타리그 사상 최초로 5번째 타이틀 스폰서이다. (프로리그 포함 6번째 타이틀 스폰서)[1]
  • 16강에서 이제동 외 시드권자 (박명수, 정명훈, 문성진) 모두 탈락[2]
  • 우승자 징크스 발생 (전 시즌 우승자 이제동 8강 2패 탈락)[3]
  • 다음 스타리그 2007에 사용된 ‘Hitchhiker’ 이후 9시즌만에 아이스 타일 맵 ‘El_Nino’ 등장.[4]
  • 공식 맵 4개 중 3개가 정글 타일로 제작되었다. (태풍의 눈, 단장의 능선 1.2, 투혼)[5]
  • 오프닝의 컨셉은 EVER 스타리그 2007에 대응하는 일러스트로 잡았다.
  • 이영한이 한쪽 내부 이어폰을 빼고 경기를 해서 논란이 있었으나 승패에 영향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36강 B조 2경기 2Set, 3Set)
  • 36강 H조 매치1 (이성은 vs 김재훈) 1세트 경기는 스타리그 2000번째 경기로 치뤄졌다.
  •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이후 8년 만에 조추첨식 방식을 사용하였다.
  • * 조 추첨 후 시드자가 각 조당 1명씩 바꿀 수 있다.
  • 경기 전 선수 등장할 때 오른쪽 하단에 선수들의 서명이 나옴.
  • 죽음의 조 성립 (C조: 정명훈, 김윤환, 이영한, 김정우 / D조: 문성진, 송병구, 한상봉, 이영호)
  • P VS P전 통합 유닛 킬수: 4킬 (박지호 VS 진영화 - 16강 A조 4경기)
  • * 박지호 : 2킬
  • * 진영화 : 2킬
  • 준결승 진출자 중 이영호이영한을 제외한 나머지 2명이 로열로더 후보이다.
  • 준결승 진출자의 이름 영문 이니셜이 모두 YH이다 (이영호, 김윤환, 진영화, 이영한)
  • 이영호박카스 스타리그 2008 이후 5시즌만에 결승에 진출하였다.
  • 이영호가 통산 6번째로 양대리그 결승에 진출했다. (EVER 스타리그 2009 & 네이트 MSL 2009)
  • 진영화변형태(CJ 엔투스) 이후 2년 만에 CJ 엔투스 출신으로 스타리그 결승 진출하였다.
  • 역대 EVER스타리그 최초의 테란 대 프로토스 결승전.
  • 준결승부터 치러진 5전 3선승제 경기에서는 모두 3:1의 스코어였다.
  • * 결승전 : 2010년 1월 17일 -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올림픽공원역 3번출구)(Gillette 스타리그 2004 이후 일요일에 열리는 결승전)
  • 양대리그 사상 최초 승부조작 경기가 일어난 스타리그. (16강전 진영수 VS 박명수 ) - 진영수 가담
  • 이영호 스폰서의 저주(스폰서에 관계된 팀이나 선수는 우승 못한다는 징크스)를 무너뜨리고 우승하였다.
  • 이영호 스타리그 2회 우승.
  • 6시즌 만의 테란 우승.
  • 결승전 초대가수: 카라

참조

[1] 뉴스 차기 스타리그 스폰서 EVER, ‘EVER 스타리그 2009’ 출범 http://www.fomos.kr/[...] FOMOS 2009-09-23
[2] 웹사이트 찾아오시는 길 http://www.ongamenet[...]
[3] 문서 3인용 맵으로 아웃사이더처럼 제2, 제3멀티가 미네랄벽처럼 되어 있다.
[4] 문서 넓은 중앙전장을 지닌 힘 싸움 맵으로 폭풍 전야를 컨셉으로 제작된 4인용 맵이다.
[5] 뉴스 EVER 스타리그 2009, 8강부터 ‘신단장의능선’ 사용 http://www.fomos.kr/[...] 포모스 2009-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