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위군은 1895년 공주부 관할로 시작하여, 1896년 경기도에 속하게 된 조선시대 행정 구역이다. 1914년 수원군과 충청남도 평택군 일부를 병합하였으며, 1938년 평택군으로 개칭되었다. 진위군청은 북면에서 병남면으로 이전되었고, 평택면으로 개칭된 후 팽성면으로 합면되기도 하였다.
1926년 진위군청을 북면에서 병남면으로 이전하였다. 1931년 4월 1일 병남면을 평택면(平澤面)으로 개칭하였다. 1934년 4월 1일 부용면과 서면을 팽성면(彭城面)으로 통합하였다. 1938년 10월 1일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었고,[5] 평택면이 평택읍으로 승격하였다.[6]
2. 역사
2. 1. 조선시대
1895년 양력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실시로 공주부 진위군이 되었다가,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로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3]
2. 2.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수원군 서남부 지역(현재 평택시 서부 지역인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오성면, 현덕면)과 충청남도 평택군(현재의 팽성읍 지역)을 진위군으로 병합하였다.[3]
| 개편 전 | 개편 후 (진위군) |
|---|---|
| 경기도 진위군 성남면(城南面)·병파면(丙坡面) | 병남면(丙南面) |
| 경기도 진위군 일탄면(一炭面)·송장면(松長面)·여방면(餘方面) | 송탄면(松炭面) |
| 경기도 진위군 군내면(郡內面)·일북면(一北面)·이북면(二北面)·마산면(馬山面) | 북면(北面) |
| 경기도 진위군 일서면(一西面)·이서면(二西面)·이탄면(二炭面) | 서탄면(西炭面) |
| 경기도 진위군 고두면(古頭面)·오타면(五朶面)·소고니면(所古尼面) | 고덕면(古德面) |
| 경기도 수원군 종덕면(宗德面) | |
| 경기도 수원군 토진면(土津面)·수북면(水北面)·청룡면(靑龍面)·감미면(甘味面)·율북면(栗北面) | 청북면(靑北面) |
| 경기도 수원군 포내면(浦內面)·승량면(升良面) | 포승면(浦升面) |
| 경기도 수원군 숙성면(宿城面)·언북면(堰北面)·오정면(梧井面) | 오성면(梧城面) |
| 경기도 수원군 안외면(安外面)·광덕면(廣德面)·가사면(佳士面)·현암면(玄巖面) | 현덕면(玄德面) |
| 충청남도 평택군 읍내면(邑內面)·동면(東面)·서면(西面)·북면(北面) | 부용면(芙蓉面) |
| 충청남도 평택군 군서면(郡西面)·군남면(郡南面)·경양면(慶陽面) | 서면(西面) |
1914년의 행정구역[4]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1914년 | 현재 | ||
|---|---|---|---|
| 면 | 동 | 구·읍·면 | 동·리 |
| 병남면(丙南面) | 군문리, 동삭리, 비전리, 세교리, 신대리, 유천리, 지제리, 통복리, 평택리, 합정리 | 평택시 | 군문동, 동삭동, 비전동, 세교동, 신대동, 유천동, 지제동, 통복동, 평택동, 합정동 |
| 송탄면(松炭面) | 가재리, 도일리, 독곡리, 모곡리, 서정리, 신장리, 이충리, 장당리, 장안리, 지산리, 칠괴리, 칠원리 | 가재동, 도일동, 독곡동, 모곡동, 서정동, 신장동, 이충동, 장당동, 장안동, 지산동, 칠괴동, 칠원동 | |
| 서탄면(西炭面) | 금각리, 금암리, 내천리, 마두리, 사리, 수월암리, 장등리, 적봉리, 황구지리, 회화리 | 평택시 서탄면 | 금각리, 금암리, 내천리, 마두리, 사리, 수월암리, 장등리, 적봉리, 황구지리, 회화리 |
| 고덕면(古德面) | 궁리, 당현리, 동고리, 동청리, 두릉리, 문곡리, 방축리, 여염리 일부, 좌교리 일부, 해창리 일부 | 평택시 고덕면 | 궁리, 당현리, 동고리, 동청리, 두릉리, 문곡리, 방축리, 여염리, 좌교리, 해창리 |
| 여염리 일부, 율포리, 좌교리 일부, 해창리 일부 | 평택시 | 고덕동 | |
| 북면(北面) | 가곡리, 갈곶리 일부, 견산리, 고현리 일부, 동천리, 마산리, 봉남리, 신리, 야막리, 은산리, 청호리 일부, 하북리 | 평택시 진위면 | 가곡리, 갈곶리, 견산리, 고현리, 동천리, 마산리, 봉남리, 신리, 야막리, 은산리, 청호리, 하북리 |
| 갈곶리 일부, 고현리 일부, 청호리 일부 | 오산시 | 갈곶동, 고현동, 청호동 | |
| 청북면(靑北面) | 고잔리, 백봉리, 삼계리, 어소리, 어연리, 옥길리, 율북리, 토진리, 한산리, 현곡리, 후사리 | 평택시 청북읍 | 고잔리, 백봉리, 삼계리, 어소리, 어연리, 옥길리, 율북리, 토진리, 한산리, 현곡리, 후사리 |
| 덕우리, 용성리 | 평택시 안중읍 | 덕우리, 용성리 | |
| 포승면(浦升面) | 석정리 일부 | 성해리 | |
| 내기리, 도곡리, 만호리, 신영리, 방림리, 석정리 일부, 원정리, 홍원리, 희곡리 | 평택시 포승읍 | 내기리, 도곡리, 만호리, 신영리, 방림리, 석정리, 원정리, 홍원리, 희곡리 | |
| 오성면(梧城面) | 교포리, 길음리, 당거리, 숙성리, 신리, 안화리, 양교리, 죽리, 창내리 | 평택시 오성면 | 교포리, 길음리, 당거리, 숙성리, 신리, 안화리, 양교리, 죽리, 창내리 |
| 금곡리, 대반리, 삼정리, 안중리, 학현리 | 평택시 안중읍 | 금곡리, 대반리, 삼정리, 안중리, 학현리 | |
| 현덕면(玄德面) | 인광리 일부, 화양리 일부 | 송담리, 현화리 | |
| 권관리, 기산리, 대안리, 덕목리, 도대리, 방축리, 신왕리, 운정리, 인광리 일부, 장수리, 화양리 일부, 황산리 | 평택시 현덕면 | 권관리, 기산리, 대안리, 덕목리, 도대리, 방축리, 신왕리, 운정리, 인광리, 장수리, 화양리, 황산리 | |
| 부용면(芙蓉面) | 객사리, 근내리, 내리, 노와리, 동창리, 두리, 석봉리, 신궁리, 신호리, 원정리, 추팔리, 평궁리 | 평택시 팽성읍 | 객사리, 근내리, 내리, 노와리, 동창리, 두리, 석봉리, 신궁리, 신호리, 원정리, 추팔리, 평궁리 |
| 서면(西面) | 남산리, 노성리, 노양리, 대사리, 대추리, 도두리, 두정리, 본정리, 서근리, 송화리, 신대리, 안정리, 함정리 | 남산리, 노성리, 노양리, 대사리, 대추리, 도두리, 두정리, 본정리, 서근리, 송화리, 신대리, 안정리, 함정리 |
1926년 진위군청을 북면에서 병남면으로 이전하였다. 1931년 4월 1일 병남면을 평택면(平澤面)으로 개칭하였고, 1934년 4월 1일에는 부용면과 서면을 팽성면(彭城面)으로 합면하였다. 1938년 10월 1일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었고,[5] 평택면이 평택읍으로 승격하였다.[6] 이러한 행정구역 개편은 지역 주민들의 생활과 정체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일제의 식민 통치를 위한 효율적인 행정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2. 3. 현재
1938년 10월 1일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었고,[5] 평택면이 평택읍으로 승격하였다.[6] 이후 평택시/평택군의 행정구역 변천 과정은 평택시의 행정 구역#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14년 | 현재 | ||
|---|---|---|---|
| 면 | 동 | 구·읍·면 | 동·리 |
| 병남면 | 군문리, 동삭리, 비전리, 세교리, 신대리, 유천리, 지제리, 통복리, 평택리, 합정리 | 평택시 | 군문동, 동삭동, 비전동, 세교동, 신대동, 유천동, 지제동, 통복동, 평택동, 합정동 |
| 송탄면 | 가재리, 도일리, 독곡리, 모곡리, 서정리, 신장리, 이충리, 장당리, 장안리, 지산리, 칠괴리, 칠원리 | 가재동, 도일동, 독곡동, 모곡동, 서정동, 신장동, 이충동, 장당동, 장안동, 지산동, 칠괴동, 칠원동 | |
| 서탄면 | 금각리, 금암리, 내천리, 마두리, 사리, 수월암리, 장등리, 적봉리, 황구지리, 회화리 | 평택시 서탄면 | 금각리, 금암리, 내천리, 마두리, 사리, 수월암리, 장등리, 적봉리, 황구지리, 회화리 |
| 고덕면 | 궁리, 당현리, 동고리, 동청리, 두릉리, 문곡리, 방축리, 여염리 일부, 좌교리 일부, 해창리 일부 | 평택시 고덕면 | 궁리, 당현리, 동고리, 동청리, 두릉리, 문곡리, 방축리, 여염리, 좌교리, 해창리 |
| 여염리 일부, 율포리, 좌교리 일부, 해창리 일부 | 평택시 | 고덕동 | |
| 북면 | 가곡리, 갈곶리 일부, 견산리, 고현리 일부, 동천리, 마산리, 봉남리, 신리, 야막리, 은산리, 청호리 일부, 하북리 | 평택시 진위면 | 가곡리, 갈곶리, 견산리, 고현리, 동천리, 마산리, 봉남리, 신리, 야막리, 은산리, 청호리, 하북리 |
| 갈곶리 일부, 고현리 일부, 청호리 일부 | 오산시 | 갈곶동, 고현동, 청호동 | |
| 청북면 | 고잔리, 백봉리, 삼계리, 어소리, 어연리, 옥길리, 율북리, 토진리, 한산리, 현곡리, 후사리 | 평택시 청북읍 | 고잔리, 백봉리, 삼계리, 어소리, 어연리, 옥길리, 율북리, 토진리, 한산리, 현곡리, 후사리 |
| 덕우리, 용성리 | 평택시 안중읍 | 덕우리, 용성리 | |
| 포승면 | 석정리 일부 | 성해리 | |
| 내기리, 도곡리, 만호리, 신영리, 방림리, 석정리 일부, 원정리, 홍원리, 희곡리 | 평택시 포승읍 | 내기리, 도곡리, 만호리, 신영리, 방림리, 석정리, 원정리, 홍원리, 희곡리 | |
| 오성면 | 교포리, 길음리, 당거리, 숙성리, 신리, 안화리, 양교리, 죽리, 창내리 | 평택시 오성면 | 교포리, 길음리, 당거리, 숙성리, 신리, 안화리, 양교리, 죽리, 창내리 |
| 금곡리, 대반리, 삼정리, 안중리, 학현리 | 평택시 안중읍 | 금곡리, 대반리, 삼정리, 안중리, 학현리 | |
| 현덕면 | 인광리 일부, 화양리 일부 | 송담리, 현화리 | |
| 권관리, 기산리, 대안리, 덕목리, 도대리, 방축리, 신왕리, 운정리, 인광리 일부, 장수리, 화양리 일부, 황산리 | 평택시 현덕면 | 권관리, 기산리, 대안리, 덕목리, 도대리, 방축리, 신왕리, 운정리, 인광리, 장수리, 화양리, 황산리 | |
| 부용면 | 객사리, 근내리, 내리, 노와리, 동창리, 두리, 석봉리, 신궁리, 신호리, 원정리, 추팔리, 평궁리 | 평택시 팽성읍 | 객사리, 근내리, 내리, 노와리, 동창리, 두리, 석봉리, 신궁리, 신호리, 원정리, 추팔리, 평궁리 |
| 서면 | 남산리, 노성리, 노양리, 대사리, 대추리, 도두리, 두정리, 본정리, 서근리, 송화리, 신대리, 안정리, 함정리 | 남산리, 노성리, 노양리, 대사리, 대추리, 도두리, 두정리, 본정리, 서근리, 송화리, 신대리, 안정리, 함정리 |
참조
[1]
간행물
평택시사
[2]
서적
[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간행물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