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유전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유전체는 DNA 내에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엑손의 집합을 의미하며, 전사 후 RNA 스플라이싱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성숙한 RNA를 형성한다. 인간 엑솜은 약 23만 개의 엑손으로 구성되며, 전체 게놈의 약 1.1%를 차지하지만, 돌연변이는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통해 엑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전체 엑솜 시퀀싱(WES)과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분석(WGS)이 가능해지면서, 희귀 유전 질환의 진단 및 유전적 변이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윤리적 고려를 바탕으로 신중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엑솜 시퀀싱은 다양한 유전 질환 진단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류유전학 - 피부색
    피부색은 멜라닌의 양과 유형에 의해 결정되며, 자외선 노출, 비타민 D 합성,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와 관련되어 진화해 왔다.
  • 인류유전학 - 근친혼
    근친혼은 혈족 또는 인척 간의 결혼을 의미하며, 유전적 결함과 질병 발생의 위험으로 인해 각국에서 민법 등을 통해 규제하고 금혼 범위는 국가별로 차이를 보인다.
  • 유전학 - 우생학
    우생학은 인간의 유전적 특질 개선을 목표로 19세기 후반 골턴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긍정적·부정적 방식으로 전개되었으나, 나치 독일의 인종정책과 결부되어 비판받으며 쇠퇴하였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유전자 선별과 관련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전학 - 행동유전학
    행동유전학은 행동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프랜시스 골턴의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나 우생학 논란을 겪었으며, 가족 연구, 쌍둥이 연구 등을 통해 발전해 왔지만 사회적 논쟁과 방법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진유전체
개요
유형유전체
위치DNA
기능단백질 코딩
상세 정보
구성엑손
인트론
관련 질병낭포성 섬유증
듀켄형 근이영양증
기타
관련 용어전사체
단백질체
유전체학

2. 정의

엑솜은 세포 내의 모든 전사된 RNA를 의미하는 전사체와는 다르다. 엑솜은 세포 유형에 따라 일정하지만, 전사체는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엑솜 전체가 모든 세포에서 단백질로 번역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세포 유형은 엑솜의 일부만 전사하며, 엑손의 코딩 영역만이 결국 단백질로 번역된다.

3. 통계

인간 엑솜은 대략 233,785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약 80%는 길이가 200 염기쌍 미만이다. 엑솜은 전체 게놈의 약 1.1%(약 30 메가베이스)의 DNA를 구성한다.[2][3][4] 게놈의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엑솜 내의 돌연변이는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5]

4.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NGS)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NGS)은 대량의 DNA 염기서열을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로, 유전학 연구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생어 시퀀싱과 같은 이전 방법을 대체하고 있다.[6] NGS는 유전적 변이를 확인하는 신뢰성 높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며, 연구자들이 며칠에서 몇 주 안에 전체 게놈을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의료 및 연구 분야에서 NGS가 널리 활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며, 몇 달씩 걸리던 이전 방법에 비해 획기적인 발전이다.[6] NGS 기술에는 전체 엑솜 시퀀싱과 전체 게놈 시퀀싱 등이 있다.

4. 1. 전체 엑솜 시퀀싱 (WES)

'''게놈, 엑솜, 전사체의 차이.''' 엑솜은 게놈 내의 모든 엑손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전사체는 세포 유형(예: 뉴런 대 심장 세포)에 따라 다르며, 실제로 mRNA로 전사되는 엑손의 일부만 포함한다.


인간 엑솜은 대략 233,785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약 80%는 길이가 200 염기쌍 미만이다. 엑솜은 전체 게놈의 약 1.1% (약 30 메가베이스의 DNA)를 차지한다.[2][3][4] 게놈의 매우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엑솜 내의 돌연변이는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5]

개인의 전체 유전체 대신 엑솜을 시퀀싱하는 것은 희귀한 유전 질환을 진단하는 데 더 비용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어 왔다.[7][8] 또한 핵형 분석 및 마이크로어레이와 같은 다른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9] 이러한 차이는 유전 질환의 표현형이 돌연변이된 엑손의 결과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엑솜은 전체 유전체의 1.5%만을 차지하므로, 이 과정은 유전체를 구성하는 30억 염기쌍 대신 약 4천만 염기를 시퀀싱하므로 비용 효율적이고 빠르다.[10]

4. 2. 전체 게놈 시퀀싱 (WGS)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분석은 전체 엑솜 시퀀싱에 비해 DNA의 변이를 더 포괄적으로 파악한다. 특히 단일 염기 다형성의 경우,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분석은 엑솜 내에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탐지하는 데 있어 전체 엑솜 시퀀싱보다 더 강력하고 민감하다.[11] 또한 비부호화 영역이 엑솜을 구성하는 엑손의 조절에 관여할 수 있으므로, 전체 엑솜 시퀀싱은 엑솜을 형성하는 데 작용하는 모든 서열을 보여주는 데 불완전할 수 있다.

4. 3. 윤리적 고려 사항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 또는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같은 염기서열 분석은 의료 윤리적 고려가 필요하다. 의사는 환자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지만, 염기서열 분석은 환자의 현재 상태와 관련 없을 수 있는 구조적 변이를 밝혀낼 수 있다. 이는 의도치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정 유전자를 가진 집단에 대한 차별과 낙인을 유발할 가능성도 제기된다.[12]

5. 질병 및 진단

엑솜 시퀀싱은 전체 유전체 대신 엑솜을 시퀀싱하여 희귀 유전 질환을 진단하는 데 더 비용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7][8] 엑솜은 전체 유전체의 1.5%만을 차지하므로, 이 과정은 유전체를 구성하는 30억 염기쌍 대신 약 4천만 염기를 시퀀싱하여 비용 효율적이고 빠르다.[10] 핵형 분석 및 마이크로어레이와 같은 다른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9]

필수 단백질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희귀한 돌연변이는 멘델 질환의 대다수를 구성하며, 멘델 유전자좌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압도적인 다수의 돌연변이는 코딩 영역 내에서 발견될 수 있다.[13]

전체 엑솜 시퀀싱은 다양한 유전 질환의 발견을 이끌고 희귀 유전 질환 환자의 진단율을 높인 최근 기술이다. 임상 환경에서 전체 엑솜 시퀀싱은 희귀하고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질환을 가진 환자의 관리를 변화시켜 의사가 더욱 표적화되고 개인화된 중재를 개발할 수 있게 할 잠재력이 있다.[14]

예를 들어, 바터 증후군은 염분 소실 신병증이라고도 하며, 저혈압, 저칼륨혈증, 알칼리증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의 유전 질환으로, 근육 피로와 다양한 수준의 치명률을 초래한다.[15] 이 질환은 백만 명 중 한 명 미만에게 영향을 미치는 희귀 질환인데, 전체 엑솜 시퀀싱을 통해, 이전에 바터 증후군과 관련된 전형적인 돌연변이를 보이지 않던 환자들이 이 질환이 관심 유전자좌 밖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 공식적으로 진단을 받았다.[5] 따라서 그들은 질병에 대한 더 표적화되고 생산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엑솜 시퀀싱은 20개 이상의 멘델 또는 단일 유전자 질환의 유전적 기초를 결정하는 효율적인 전략임이 입증되었다.[20]

5. 1. 질병 진단에서의 한계와 미래

전체 엑솜 시퀀싱은 다양한 유전 질환 발견에 기여하고 희귀 유전 질환 환자의 진단율을 높인 기술이다. 그러나 엑솜 시퀀싱은 단백질 코딩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비번역 영역을 연구하면 희귀 멘델 질환의 진단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16] 엑솜은 게놈의 일부로,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RNA 스플라이싱을 통해 인트론이 제거된 후 성숙한 RNA에 남아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최종 단백질 산물에 기여하는 서열이다. 인간 게놈의 엑솜은 약 180,000개의 엑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전체 게놈의 약 1%에 해당한다.[17] 엑솜의 돌연변이는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의 85%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참조

[1] 논문 Exome sequencing as a tool for Mendelian disease gene discovery 2011-09
[2] 논문 Distributions of exons and introns in the human genome 2004
[3] 논문 The sequence of the human genome 2001-02
[4] 논문 Targeted capture and massively parallel sequencing of 12 human exomes 2009-09
[5] 논문 Genetic diagnosis by whole exome capture and massively parallel DNA sequencing 2009-11
[6] 웹사이트 What are whole exome sequencing and whole genome sequencing? https://ghr.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19-11-07
[7] 논문 Whole exome sequencing in Alopecia Areata identifies rare variants in KRT82 2022-02
[8] 논문 Clinical whole-exome sequencing for the diagnosis of mendelian disorders 2013-10
[9] 서적 Perinatal Genetics Content Repository Only! 2019-01-01
[10] 논문 Exome sequencing: one small step for malignant hyperthermia, one giant step for our specialty—why exome sequencing matters to all of us, not just the experts 2013-11
[11] 논문 Whole-genome sequencing is more powerful than whole-exome sequencing for detecting exome variants 2015-04
[12] 서적 Medical and Health Genomics Academic Press 2016-01-01
[13] 논문 Genetic diagnosis by whole exome capture and massively parallel DNA sequencing 2009-11
[14] 논문 Whole-exome sequencing in undiagnosed genetic diseases: interpreting 119 trios 2015-10
[15] 웹사이트 Bartter syndrome https://ghr.nlm.ni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2019-11-19
[16] 논문 Diagnosing rare diseases after the exome 2018-12
[17] 논문 Targeted capture and massively parallel sequencing of 12 human exomes 2009-09
[18] 논문 Exome sequencing of a colorectal cancer family reveals shared mutation pattern and predisposition circuitry along tumor pathways 2015
[19] 논문 Genetic diagnosis by whole exome capture and massively parallel DNA sequencing 2009-11
[20] 논문 Exome sequencing as a tool for Mendelian disease gene discovery 20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