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저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저론은 생강 뿌리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이다. 1917년 노무라 히로시가 처음 분리했으며, 초기에는 생강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오해였음이 밝혀졌다. 진저론은 바닐린과 아세톤을 반응시켜 합성하며, 자유 라디칼 제거 및 설사 억제 효과 등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운맛 - 쇼가올
    쇼가올은 생강에서 발견되는 [4]-쇼가올, [8]-쇼가올, [10]-쇼가올, [12]-쇼가올을 통칭하는 그룹으로, 진저롤의 탈수 반응으로 생성되는 인공적인 물질이며, 쇼가올과 진저롤의 비율은 제품의 품질 지표로 사용되고 바닐린을 사용하여 합성되기도 한다.
  • 매운맛 - 진저롤
    진저롤은 생강의 주요 활성 성분인 페놀 화합물로, 항암, 항염증, 항산화, 신경 보호, 위장 보호 효과와 구역질 및 두통 완화, 혈당 조절, 위 점막 보호 효과가 있지만, 과다 복용 시 유전 독성 가능성과 저체온증 유발 가능성 등 안전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물질이다.
진저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진저론
진저론
PIN4-(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뷰탄-2-온
IUPAC 이름4-(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2-뷰타논
다른 이름바닐릴 아세톤
CAS 등록번호122-48-5
UNII4MMW850892
ChemSpider ID28952
PubChem CID31211
ChEBI68657
ChEMBL25894
SMILESO=C(C)CCc1cc(OC)c(O)cc1
InChI1/C11H14O3/c1-8(12)3-4-9-5-6-10(13)11(7-9)14-2/h5-7,13H,3-4H2,1-2H3
InChIKeyOJYLAHXKWMRDGS-UHFFFAOYAN
표준 InChI1S/C11H14O3/c1-8(12)3-4-9-5-6-10(13)11(7-9)14-2/h5-7,13H,3-4H2,1-2H3
표준 InChIKeyOJYLAHXKWMRDGS-UHFFFAOYSA-N
속성
화학식C11H14O3
분자량194.22 g/mol
겉모습결정성 고체
냄새생강 유사 냄새
밀도1.138
녹는점40-41 ℃
끓는점187-188 ℃ (14mmHg)
용해도불용성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에터와 혼합 가능

2. 역사

진저론은 1917년 일본 도쿄 제국 대학의 노무라 히로시 교수가 생강 뿌리에서 처음 발견하여 명명하였다.[2] 이후 추가 연구를 통해 진저론이 생강의 매운맛 주성분이 아님이 밝혀졌다.[3]

2. 1. 초기 연구

도쿄 제국 대학의 화학 교수인 노무라 히로시는 1917년 생강 뿌리에서 진저론을 처음 분리하였다.[2] 노무라는 이 화합물의 이름을 짓고 농과대학 연구실에서 연구하여 진저론의 실험식을 확인하였다. 그는 처음에 진저론을 생강의 매운맛을 내는 화학 성분으로 확인했지만, 이후 연구를 통해 진저론이 생강의 매운맛 주성분이 아님이 밝혀졌다.[3]

3. 합성 방법

진저론 합성 과정


노무라 히로시 교수는 바닐린아세톤을 이용한 진저론 합성법을 개발하고 특허를 냈다.[4][5]

3. 1. 현재의 합성 방법

노무라(Nomura)는 진저론 합성을 위한 방법을 확인하고 특허를 냈는데, 이 방법은 바닐린아세톤을 염기성 조건에서 반응시켜 데히드로진저론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화합물은 약 95%의 수율로 얻어진다.[4] 이 반응 후 중간 화합물을 촉매 수소 첨가 반응시켜 약 100%의 수율로 진저론을 얻는다.[5]

4. 생물학적 효과

진저론은 다양한 생리 활성을 보인다. 개발도상국에서 영아 사망의 주원인 중 하나인 대장균 유발 설사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으며,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도 알려져 있다.[6][7] 일부 꽃은 파리 성 페로몬을 모방하여 수분 매개 파리를 유인하기도 한다.[8][9]

4. 1. 항산화 효과

진저론은 특히 효율적인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 알려져 있다. 체내에서 자유 라디칼과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분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활성 산소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소를 억제한다.[7]

4. 2. 항설사 효과

진저론은 장독소를 생성하는 대장균에 의한 설사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며, 생강의 지사 효과를 담당하는 활성 성분으로 추정된다.[6]

참조

[1] 논문 The metabolism of zingerone, a pungent principle of ginger
[2] 논문 The pungent principles of ginger. Part I. A new ketone, zingerone (4-hydroxy-3-methoxyphenylethyl methyl ketone) occurring in ginger. http://pubs.rsc.org.[...] 1917
[3] 서적 Perfume and Flavor Materials of Natural Origin
[4] 논문 An Efficient Method for the Selective Iodination of α,β-Unsaturated Ketones
[5] 간행물 Method of preparing 'zingerone' (methyl-3-methoxy-4-hydroxyphenyl-ethyl ketone. U.S. Patent 1918-04-23
[6] 논문 Ginger and Its Bioactive Component Inhibi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Induced Diarrhea in Mice
[7] 논문 Zingerone Protects Against Stannous Chloride-Induced and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Vitro 2013-12-01
[8] 논문 Mutual Reproductive Benefits Between a Wild Orchid, Bulbophyllum patens, and Bactrocera Fruit Flies via a Floral Synomone 2000
[9] 논문 Zingerone in the floral synomone of Bulbophyllum baileyi (Orchidaceae) attracts Bactrocera fruit flies during pollination 2007
[10] 서적 にお いかおり -実践的な知識と技術- フレグランスジャーナル 2006
[11] 논문 Ginger and Its Bioactive Component Inhibi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Heat-Labile Enterotoxin-Induced Diarrhea in Mice
[12] 논문 The metabolism of zingerone, a pungent principle of g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